KR101933200B1 - 플레이트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200B1
KR101933200B1 KR1020160171283A KR20160171283A KR101933200B1 KR 101933200 B1 KR101933200 B1 KR 101933200B1 KR 1020160171283 A KR1020160171283 A KR 1020160171283A KR 20160171283 A KR20160171283 A KR 20160171283A KR 101933200 B1 KR101933200 B1 KR 10193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ripper
fixing member
press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259A (ko
Inventor
배종억
Original Assignee
배종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억 filed Critical 배종억
Priority to KR102016017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2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21D5/0218Length adjustment of the pun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81Workpiece sup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측에 스트리퍼 및 한 쌍의 가압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플레이트를 배치한 다음 가압부재와 스트리퍼를 전진시켜 플레이트를 양방향에서 가압하는 구조로 벤딩 가공할 수 있으며, 상기한 한 쌍의 가압부재의 전후진 각도를 스트리퍼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를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전진시켜 가압부재의 전진에 따라 플레이트의 벤딩곡률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플레이트 벤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수직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 측에 설치되어 벤딩 시 플레이트를 고정시켜 주는 스트리퍼; 상기 스트리펴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가압부재; 및, 상기 스트리퍼 및 각각의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스트리퍼 및 각각의 가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해 전후진시켜, 상기 고정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의 벤딩을 가능케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 벤딩장치 {Apparatus for bending a plate}
본 발명은 플레이트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플레이트를 일정한 곡률로 벤딩 가공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등의 건조에는 해치커버, 맨홀커버 및 코밍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벤딩 가공한 부재들이 다수 설치된다. 특히 코밍의 경우에는 금속 플레이트의 벤딩 각도가 대부분 90도 이상으로 곡 가공되어 고도의 벤딩 기술을 요하게 된다.
종래의 코밍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한 쌍의 플레이트를 구비시키고 각 플레이트를 벤딩장치에 투입하여 곡 가공함으로써 "⊂⊃" 형상을 구현한 다음 상호 용접결합하는 과정을 밟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먼저 한 쌍으로 제작되다 보니 용접 심(seam)이 두 군데 발생하게 됨으로써 용접에 투입되는 시간과 용접 후 용접 심의 가공 및 변형에 소모되는 공수가 필요 이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벤딩장치는 벤딩코자 하는 곡률이 반영된 형틀을 고정 설치하고 형틀의 대향방향에 유압실린더 등의 기기를 구비시켜 플레이트를 유압실린더로 형틀을 향해 가압하여 벤딩 가공하는데, 유압실린더의 직선 구동에 의해 벤딩 가공 되었던 플레이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되어 원하는 곡률이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벤딩 시 플레이트 표면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5453호 (2007.12.06) "코밍플레이트 벤딩 지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통형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측에 스트리퍼 및 한 쌍의 가압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플레이트를 배치한 다음 가압부재와 스트리퍼를 전진시켜 플레이트를 벤딩 가공할 수 있는 플레이트 벤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의 전후진 각도를 스트리퍼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를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전진시켜 가압부재의 전진에 따라 플레이트의 벤딩곡률을 제어할 수 있는 플레이트 벤딩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한 쌍의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플레이트 벤딩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레이트 벤딩장치는, 플레이트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수직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 측에 설치되어 벤딩 시 플레이트를 고정시켜 주는 스트리퍼; 상기 스트리펴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가압부재; 및, 상기 스트리퍼 및 각각의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스트리퍼 및 각각의 가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해 전후진시켜, 상기 고정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의 벤딩을 가능케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리퍼의 전단부의 단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스트리퍼의 후방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가압부재 각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 각각이 고정부재를 향해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리퍼의 전후진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배치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전후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가압부재 각각이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되 상기 가압부재 각각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노출된 부분이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감싸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가압부재 각각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력 제공부가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 각각을 그 수직방향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의 부분들을 순차적으로 벤딩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단일 용접 심을 가지는 벤딩 가공된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압부재의 전후진 각도를 스트리퍼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가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양방향으로 전진시켜 가압부재의 전진 거리에 따라 플레이트의 벤딩곡률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형틀의 교체 없이 다양한 곡률로 벤딩처리 할 수 있으며 벤딩 후 플레이트 이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레이트의 벤딩 시 플레이트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벤딩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벤딩장치의 작동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벤딩장치에 의해 플레이트가 벤딩 가공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벤딩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 1과,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벤딩장치의 작동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를 벤딩 가공하여 일정 곡률이 반영된 형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장치로써 조선 및 해양플랜트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코밍류와 같은 벤딩 가공부재들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레이트 벤딩장치는 고정부재(100), 스트리퍼(200), 가압부재(300) 및 구동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바람직하게 선반과 같은 평면 구조물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고정부재(10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후술되는 가압부재(300)들의 전진에 따라 다양한 곡률로 플레이트를 가공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트리퍼(200)는 고정부재(100)의 대향 측에 수직 설치되어 벤딩 시 플레이트를 고정시켜 그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자세하게 상기 스트리퍼(200)는 고정부재의 중심에서부터 연장되는 직선 상의 대향 측에 설치되어 플레이트의 벤딩 시 플레이트를 고정시켜 그 위치를 잡아줌과 더불어 원하는 곡률이 플레이트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단부의 횡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트리퍼(200)의 전단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고정부재(100)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즉, 상기 고정부재(100)의 반지름 보다 더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원하는 벤딩 곡률을 구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가압부재(3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스트리퍼(200)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다. 자세하게 상기 가압부재(300)는 스트리퍼(200)와 고정부재(100)의 사이에 상호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전후진되면서 플레이트를 고정부재(100)를 향해 양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유닛(400)은 스트리퍼(200) 및 각각의 가압부재(300)와 연결되어 스프리퍼(200) 및 각각의 가압부재(300)를 고정부재(100)를 향해 전후진시켜, 상기 고정부재(100)와 가압부재(300)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의 벤딩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유닛(400)은 제1 연결부(410), 제2 연결부(420) 및 구동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부(410)는 스트리퍼(200)의 후방과 연결되는 것으로, 자세하게 상기 스트리퍼(200)와 후술되는 구동부(430)의 사이에서 상기 스트리퍼(200)에 전후진 구동력이 전반적으로 골고루 분포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420)는 가압부재 각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300) 각각이 고정부재(100)를 향해 전후진 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리퍼(200)의 전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100)를 향해 일정 각도로 비스듬히 배치된다.
자세하게 상기 제2 연결부(420)는 전단부의 내향 측 모서리에 상기 가압부재(300) 각각이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되 상기 가압부재(300) 각각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노출된 부분이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감싸는 설치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42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가압부재(300) 각각을 그 수직방향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300) 각각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력 제공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부(430)는 상기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42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420)를 전후진시키게 된다.
자세하게 상기 구동부(430)는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 각각에 독립적으로 전후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일 동력원으로 상기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에 동시에 연동되는 전후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되어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3방향으로 분지되어 상기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 각각의 후방에 분지된 로드 각각이 연결되어 전후진 구동력을 전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는 전후진되면서 상호간에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구현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연결부(410)의 양측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단차를 형성하고 제2 연결부(420)에는 상기 단차에 걸림 가능한 턱부를 형성시키거나, 상기 제1 연결부(410)의 양측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부(420)에는 상기 홈 각각에 삽입 또는 걸림 가능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의 전후진을 연동시킴에 있어 유기적인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도면들과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벤딩장치에 의해 플레이트가 벤딩 가공된 모습을 사진으로 나타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플레이트가 가공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100)와 각각의 가압부재(300) 사이에 코밍 등으로 가공코자 하는 플레이트를 구비시키고 상기 구동유닛(400)을 작동시켜 상기 가압부재(300)와 스트리퍼(200)을 전진시킨다. 이후 상기 가압부재(300) 각각이 플레이트의 양측을 양방향에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00)를 통해 플레이트가 일정 곡률로 밴딩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부재(300) 각각이 전진되는 거리에 따라 원하는 곡률로 플레이트를 벤딩가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300)의 전진되는 거리가 짧으면 곡률이 커질 것이며, 이에 반해 상기 가압부재(300)의 전진되는 거리가 길어지면 곡률이 작아지게 벤딩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플레이트의 각 부분을 순차적으로 벤딩하여 최종적으로 단일 용접 심을 가지는 벤딩 가공된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그리고 한 쌍의 가압부재의 전후진 각도를 스트리퍼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를 향해 비스듬한 각도 배치하여 고정부재를 향해 가압부재를 양방향 전진시켜 가압부재의 전진에 따라 플레이트의 벤딩곡률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형틀의 교체 없이 다양한 곡률로 벤딩처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레이트의 벤딩 시 플레이트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상기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측에 스트리퍼 및 한 쌍의 가압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플레이트를 배치한 다음 가압부재와 스트리퍼를 전진시켜 플레이트를 양방향에서 가압하는 구조로 벤딩 가공할 수 있으며, 상기한 한 쌍의 가압부재의 전후진 각도를 스트리퍼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를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전진시켜 가압부재의 전진에 따라 플레이트의 벤딩곡률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플레이트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정부재
200: 스트리퍼
300: 가압부재
400: 구동유닛
410: 제1 연결부
420: 제2 연결부
430: 구동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플레이트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수직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대향 측에 설치되어 벤딩 시 플레이트를 고정시켜 주는 스트리퍼;
    상기 스트리퍼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가압부재; 및,
    상기 스트리퍼 및 각각의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스트리퍼 및 각각의 가압부재를 고정부재를 향해 전후진시켜, 상기 고정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의 벤딩을 가능케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스트리퍼의 후방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가압부재 각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 각각이 고정부재를 향해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리퍼의 전후진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배치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전후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벤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가압부재 각각이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되 상기 가압부재 각각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노출된 부분이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감싸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벤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가압부재 각각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력 제공부가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 각각을 그 수직방향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벤딩장치.
KR1020160171283A 2016-12-15 2016-12-15 플레이트 벤딩장치 KR101933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283A KR101933200B1 (ko) 2016-12-15 2016-12-15 플레이트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283A KR101933200B1 (ko) 2016-12-15 2016-12-15 플레이트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259A KR20180069259A (ko) 2018-06-25
KR101933200B1 true KR101933200B1 (ko) 2019-03-15

Family

ID=6280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283A KR101933200B1 (ko) 2016-12-15 2016-12-15 플레이트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578A (ko) 2019-11-04 2021-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레이팅용 플랫바 성형지그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5112A (ja) *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キグレ・テクノ パイプ曲げ加工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453A (ko) 2006-06-02 2007-12-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코밍플레이트 벤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5112A (ja) *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キグレ・テクノ パイプ曲げ加工装置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578A (ko) 2019-11-04 2021-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레이팅용 플랫바 성형지그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259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3053C (zh) 用于夹持部件的设备
JP6250994B2 (ja) 自在軸受けブレード付きパネル曲げマシン
KR20110085087A (ko) 벤딩 기능을 갖는 차량 프레임 용접용 지그장치
KR101243740B1 (ko) 선박 강재문의 문틀 제작용 형강재 냉간 밴딩 장치
WO2017215525A1 (zh) 大口径铝合金管螺旋搅拌摩擦焊装置的双面焊双面成型方法
US6109503A (en) Internal pipe clamp
KR101933200B1 (ko) 플레이트 벤딩장치
JP4513930B1 (ja) Uoe金属管の管端形状矯正装置
WO2012083638A1 (zh) 工装支撑板、正装焊接工装及弧度型材焊接方法
CN105499878A (zh) 一种定向防变形低残余应力焊接夹具
KR101467090B1 (ko) 틸팅테이블
JP2006205171A (ja) 溶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溶接方法
CN210499011U (zh) 一种筒体容器组装焊接夹具工装
CN105234577A (zh) 结构部件以及包括此结构部件的电气设备
KR101555304B1 (ko) 다단 슬라이드형 오비탈 용접장치 및 그 용접장치를 이용한 용접방법
KR20180020072A (ko)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KR102074733B1 (ko) 용접로봇의 작업위치 정렬을 위한 라인 레이저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05014060A (ja) 管の曲げ加工用芯金および管の曲げ加工方法
JP2015150596A (ja) 接合方法
JP2010240715A (ja) 曲げ加工装置
JP6060922B2 (ja) 接合方法
JP2015202531A (ja) 鋼管端部の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JP6487623B2 (ja) 接合方法
JPH0512048B2 (ko)
KR10127643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용 헤비 스틸 코너의 자동 용접 테이블 장치 및 헤비 스틸 코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