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072A -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072A
KR20180020072A KR1020160113650A KR20160113650A KR20180020072A KR 20180020072 A KR20180020072 A KR 20180020072A KR 1020160113650 A KR1020160113650 A KR 1020160113650A KR 20160113650 A KR20160113650 A KR 20160113650A KR 20180020072 A KR20180020072 A KR 2018002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g
rail
side rail
contact
cur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034B1 (ko
Inventor
이주섭
Original Assignee
이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섭 filed Critical 이주섭
Publication of KR2018002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는,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과, 상기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 내측에 결합되는 내측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 체결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 중에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렁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연결된 바디 연결부; 상기 바디 연결부에 연결된 가압 바디; 상기 가압 바디 내에 마련되고, 기설정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압 바디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컨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이나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 정돈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각종 케이블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반적으로 크게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측면 프레임과 렁 사이의 결합 방식은 용접방식, 끼움방식, 알루미늄 압착방식 등 다양하게 채택되고 있다.
용접부분의 부식성을 고려하여 용접부분에 용융아연 도금을 시행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며, 용접부분이 협소하므로 균일한 용접이 힘들어 강도의 균일성 확보가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용접으로 인해 발생한 슬래그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 남아있는 슬래그에 의하여 렁에 올려진 케이블과 접촉되면서 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져 화재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끼움방식의 경우 대량생산을 할 수 없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케이블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렁(가로대)의 조립시에 렁의 일부가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 특허가 있다.
(특허문헌 1) KR10-0817307 B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케이블 트레이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특허문헌 1은 케이블 트레이(10)의 측면 프레임(14)은 설치되는 천정, 벽면의 길이에 맞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11)의 상하측을 일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플렌지(12)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트레이(10)의 가로대(13)는 케이블(18)이 안착되도록 측면 프레임(14)의 트윈 결합공(15)을 관통하여 외력에 의하여 대향되게 절곡되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구(16)를 양단부에 각각 형성하여 트윈 결합공(15) 마다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가로대(13)를 절곡하여 측면 프레임(14) 고정하기 위한 제조 장치에 대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즉, 측면 프레임(14)의 외측에 근접되는 본체 플레이트(20)와, 본체 플레이트(20) 상면에서 대칭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31)를 형성한 회동 가압부(30)와, 본체 플레이트(20)의 상면에 안치되어 회동 플레이트(31)가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가압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4)를 형성한 슬라이드 가압부(35)로 구성된 제조 장치(40)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의 경우, 가로대(13)의 절곡을 통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회동 플레이트(31)가 탄성회동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확개되면서 그 외측면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4)의 곡면가압구(36)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회동 플레이트(42)를 확개회동레버(43)를 파지하여 작업자가 외측으로 직접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4)의 전진에 의하여 회동 플레이트(31)가 회동되면 절곡가압돌기(42)가 트윈 결합공(15)을 관통한 결합구(16)를 외측면에서 가압하게 되면서 그 가압력에 의하여 결합구(16)가 내측으로 절곡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34)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곡면 가압구(36)가 가압곡면(44)을 지나게 되면 회동 플레이트(31)가 탄성회동부재(33)에 의하여 다시 외측으로 확개하면서 그 외측면이 곡면가압구(36)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압착구(37)를 이용하여 결합구(16)를 가압하여 측면 프레임에 압착되도록 가압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위 특허문헌 1의 경우, 가로대를 절곡시켜 측면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34)에 의한 회동과, 그 회동에 따라 복수의 부재들이 연동/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고 있어, 빠른 시간 내에 대량 생산을 하기가 어려우며, 많은 구성부품으로 인하여 고장률이 높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함에 있어서 가로대, 즉, 렁 구성을 측면 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제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는,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과, 상기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 내측에 결합되는 내측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 체결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 중에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렁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연결된 바디 연결부; 상기 바디 연결부에 연결된 가압 바디; 상기 가압 바디 내에 마련되고, 기설정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압 바디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컨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렁은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렁 바디와, 상기 렁 바디의 양측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레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렁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기와, 상기 연장 돌기의 단부를 형성하면서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된 커링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에는 상기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사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사이드 홀을 통과한 상기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를 절곡시키기 위한 접촉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해서, 복수의 사이드 레일에 렁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렁의 단부에 구성된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를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렁과 사이드 레일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에 의하여 렁이 사이드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사이드 레일들 사이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렁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렁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연장 돌기가 형성된 렁을 사이드 레일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장 돌기가 형성된 렁을 사이드 레일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렁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렁이 결합되는 렁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렁과 사이드 레일의 결합 과정 및 결합 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렁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렁이 결합되는 렁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5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렁과 사이드 레일의 결합 과정 및 결합 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에 의하여 렁이 사이드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 사이의 연결은 내측 체결부와 외측 체결부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1)과 소정 간격(케이블 등의 배치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제 3 사이드 레일(미도시)을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1)과 연결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렁이 사용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가로대 또는 렁을 각각의 사이드 레일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각각의 사이드 레일에는 렁 결합을 위한 메인 홀(1a)과, 상기 메인 홀(1a)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사이드 홀(1b,1c)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홀(1a)과 사이드 홀(1b,1c)에는 렁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위가 삽입되고,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절곡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렁과 사이드 레일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과 같이 서로 접하면서 내측 체결부와 외측 체결부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사이드 레일들에 대해서는 동일선상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사이드 레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1 사이드 레일과 소정 간격이 이격되는 위치에서 렁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사이드 레일에 대해서는 평행하게 또는 이격되게 배열되는 사이드 레일이라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정의한 용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호 일직선상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 사이에 외측 결합부와 내측 결합부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하여 본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사이드 레일들 사이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트레이는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1,2,3,4)과,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측 체결부(100)와, 외측 체결부(20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3 사이드 레일(3) 사이에는 렁(300)에 의하여 결합되고, 동일선상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은 내측 체결부(100) 및 외측 체결부(200)에 의하여 그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 체결부(100)는 상기 사이드 레일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체결부(200)는 상기 사이드 레일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노출되는 커넥터에 체결된다.
이들 구성들은 용융아연도금 강판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건물 내부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부품의 절단면의 내식성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용융아연도금 강판 대신에 아연,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의 합금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건물이나 터널 등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는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1,2,3,4) 등과 같은 일정한 사이즈의 단위 부재들로 분할되어 생산되며,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에 따라 필요한 만큼 단위 부재들을 연결하여 사용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무엇보다도 케이블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케이블 트레이 전체가 평판 형태로 제작되면,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에 많은 양의 재료가 소비될 뿐만 아니라, 그 무게 증가로 인하여 건물 천장에 부착되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 측벽은 복수 개의 사각판 형태의 사이드 레일(1,2,3,4)로 구성되고,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들 사이를 연결하는 렁(10)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상기 내측 체결부(100)와, 외측 체결부(200)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여 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사이드 레일(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11,12,13)이 형성된다. 이들 삽입홀의 개수, 형성 위치 및 크기는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에 동일하게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케이블 트레이를 조립하는 현장에서는, 강판을 절곡시키거나 강판에 홀을 형성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들을 제작하게 되므로, 동일한 장비에 의하여 제작된 사이드 레일이기 때문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나 개수 및 위치 등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 레일(1,2) 내측면에는 본 발명의 내측 체결부(100)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내측 체결부(100)는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의 단부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1)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 1 내측 바디(101)와, 상기 제 2 사이드 레일(2)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 2 내측 바디(102)와, 상기 제 1 내측 바디(101)와 제 2 내측 바디(103) 사이에 소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된 홈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103)는 내측 체결부(100)의 전체적인 휨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 체결부의 재질에 따라서는 상기 홈부(103)가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내측 바디(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되도록 형성된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측와 하측에는 상기 사이드 레일 내측면에 수용되도록 절곡된 면(110)을 갖는다.
내측 바디(101) 상에 형성되는 커넥터의 개수 및 그 위치는, 상기 사이드 레일(1)에 형성된 삽입홀들(211,212,213)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측 바디(101)에 소정 간격 또는 소정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3 커넥터(111,112,113)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사이드 레일(1)에도 상기 커넥터들이 삽입될 수 있는 제 1 내지 제 3 삽입홀들(211,212,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측 바디(101)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상기 제 2 내측 바디(102)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커넥터들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 1 내측 바디(101)와 제 2 내측 바디(102)의 커넥터들은 상기 홈부(103)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 1 내측 바디(101)를 상기 홈부(103)에 형성된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킨 때의 커텍터의 형상과 위치대로 상기 제 2 내측 바디(102)에 커넥터들이 형성된다.
즉, 제 1 내측 바디(101)의 제 1 커넥터(111)는,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제 2 내측 바디(102)에 형성된 제 6 커넥터(123)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내측 바디(101)의 제 2 커넥터(112)는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제 2 내측 바디(102)의 제 5 커넥터(122)와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33)을 기준점으로 180도 회전된 상태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성은 상기 사이드 레일들(1,2)에 형성된 삽입홀들(211,212,213,221,222,223) 역시 마찬가지이다.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커넥터들과, 다른 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제 1 커넥터(111), 제 3 커넥터(113), 제 4 커넥터(121) 및 제 6 커넥터(123)는 동일한 거리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112)와 제 5 커넥터(122)는 상기 회전축(133)까지의 거리가 더 멀게 설계될 수 있다.
모든 커넥터들이 상기 회전축(133)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즉, 동일한 곡률반경 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는 다른 커넥터들보다 회전축(133)까지의 거리가 더 멀게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의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제 1 내측 바디(101)에서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는데, 소정 두께의 외측 체결부 회전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커넥터는 하프파이프(half-pip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커넥터들의 단부는 상기 내측 바디(101)에 접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 바디(101)에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내측 바디(101)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내측 체결부(100)의 커넥터들이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에 외측 체결부(200)의 절곡된 부위가 회전되어 삽입 고정됨으로써, 결국 동일선상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사이드 레일들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렁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레일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들 사이에는 렁에 의하여 그 간격이 유지됨은 물론, 사이드 레일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렁에 형성된 레일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사이드 레일에는 메인 홀(1a)과, 상기 메인 홀(1a)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사이드 홀(1b,1c)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홀(1b,1c)에 삽입되는 부재가 형성된 렁(300)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 1 실시예의 렁(300)은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렁 바디(310)와, 상기 렁 바디(3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레일 결합부(320,33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결합부(320)는 상기 렁 바디(310)의 양측에 각각 한쌍씩 구성되므로, 단일의 렁(300)에는 4개의 레일 결합부가 구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320)는 상기 렁 바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기(321)와, 상기 연장 돌기(321)의 단부를 형성하면서 소정 각도로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벤딩)되는 커링 단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커링 단부(322)는 상기 연장 돌기(321)의 단부를 커링 리벳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장 돌기(321)의 단부를 롤압착펀치를 이용하여 커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는 제 1 실시예의 렁(300)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대향하도록 구성된 제 1 레일 결합부(320)와 제 2 레일 결합부(330)들의 커링 단부들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렁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되는 제 2 실시예의 렁(300)의 경우는, 연장 돌기(321)의 단부가 렁 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것이 아니라,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경우이다.
즉, 연장 돌기(321)의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외향 절곡 커링 단부(323)가 구성된다. 연장 돌기의 단부를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는 경우와, 외측 방향으로 절곡하는 경우 모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그 절곡의 방향에 따라서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의 일부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렁(300)을 중심으로 커링 단부(322)와, 연장 돌기(321)를 이용한 사이드 레일과 렁 사이의 결합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렁(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사이드 레일들(1,2,3,4)이 배치되고, 각각의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메인 홀(1a)과 사이드 홀(1b,1c)을 이용하여 렁을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가압 수단(400)들이 배치된다.
각각의 가압 수단들은 각 사이드 레일의 메인 홀과 사이드 홀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들과 직접 접하며, 접촉 후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를 절곡시키기 위하여 해당 메인 홀과 사이드 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소정의 단계를 거쳐 사이드 레일과 렁 사이의 결합을 수행하는 상기 가압 수단(400)의 동작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연장 돌기가 형성된 렁을 사이드 레일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압 수단(4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압 수단(400)은 메인 바디(410), 바디 연결부(420), 가압 바디(430), 탄성부(440) 및 컨택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410)는 상기 가이드 레일(1)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상기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바디(410)가 유압 실린더나 프레스 기계로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상기 메인 바디(41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메인 바디(410)와 연결된 바디 연결부(420)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 바디(430)의 전후방 또는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 바디(430)는 사이드 레일(1)에 형성된 사이드 홀(1b,1c)을 통과하여 돌출된 연장 돌기들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연장 돌기들을 절곡/벤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가압 바디(430)의 위치가 상기 사이드 레일(1)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동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디 연결부(420)의 길이는 가변되지 않으면서 상기 메인 바디(410)가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가압 바디(430)가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렁의 연장 돌기와의 접촉 및 벤딩 형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상기 메인 바디(410) 내에 상기 바디 연결부(420)의 길이를 가변시키거나 바디 연결부(420)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바디 연결부(420)를 전후방으로 이동 또는 길이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가압 바디(430)가 상기 사이드 레일(1)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메인 바디(410)가 유압실린더 또는 프레스 장치 등에 의하여 그 위치가 가변, 예를 들면,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바디(410)의 전후방 이동은, 상기 사이드 레일(1)에 가까워지는 것을 전방 이동으로 정의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1)에서 멀어지는 이동을 후방 이동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바디 연결부(420)는 상기 가압 바디(430)와 메인 바디(41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압 바디(430)는 렁(300)의 연장 돌기(321)에 접촉하여 상기 메인 바디(410)의 전방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힘을 상기 연장 돌기(321)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 바디(430)의 일측(사이드 레일측)에는 사이드 레일의 일면 또는 연장 돌기(321)와 선택적으로 접하게 되는 컨택부(4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바디(430) 내에는 상기 컨택부(450)에 의한 연장 돌기(321)의 벤딩 공정시에 전달되는 힘의 완충을 위하여 탄성부(440)가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440)는 상기 컨택부(450)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컨택부(450)가 전방(사이드 레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연장 돌기(321)에 접촉하거나 연장 돌기(321)를 가압/벤딩하는 때에 전방으로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여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의 절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부(440)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바디(410) 및 컨택부(45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컨택부(450)와 커링 단부(322) 사이의 접촉이 일어나게 되면, 상기 커링 단부(322)를 가압하는 힘의 일부가 상기 탄성부(440)에 전달되므로, 상기 커링 단부(322)와 컨택부(450) 사이에 힘의 전달이 완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50)는 상기 탄성부(440)와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 프레임(451)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451)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돌기(321)의 휨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된 접촉 홈부(452)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홈부(452)는 상기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가 상기 접촉 홈부(452)의 내주면을 따라 휨이 이루어지도록 두 개의 홈이 연속된 모양으로 구성되어, 렁(300)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 결합부(320)가 상기 접촉 홈부(452)에 의하여 접촉 후 휨이 발생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 홈부(452)가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된 홈이 연속하여 2개 이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320)들이 접촉 홈부(452)의 홈을 따라 모두 내측으로 휨이 발생한다. 만약, 상기 접촉 홈부(452)가 소정 깊이 함몰형성된 홈이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렁(300)의 레일 결합부(320)의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형상에서 접촉 홈부와 레일 결합부가 접촉 및 가압된다면, 상기 레일 결합부(32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렁(300)의 레일 결합부(320)가 도 10과 같이 형성된 경우가 그러할 수 있다.
사이드 레일의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레일 결합부(320)를 벤딩시켜 사이드 레일과 렁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여 본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압 수단(400)들은 사이드 레일 주변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사이드홀(1b,1c)을 통과한 렁의 레일 결합부(320)이 돌출된다.
그 다음,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바디(410)가 전방, 즉, 사이드 레일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바디 연결부(420), 가압 바디(430) 및 컨택부(450) 역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된다. 이때, 컨택부(450)의 접촉 홈부(452)가 렁의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에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바디(410)가 전방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화살표로 표시), 상기 컨택부(450)의 접촉 홈부(452)가 렁의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를 가압하는 힘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를 가압하는 힘은 상기 탄성부(440)가 압축되는 것에 의하여 완충된다.
그 다음,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 홈부(452)가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장 돌기(321)들은 내측 방향으로 휨/벤딩이 발생하게 되고, 커링 단부(322)는 사이드 레일(1)의 메인홀(1a) 내로 삽입된다. 상기 메인홀(1a)의 크기 및 위치는 상기 커링 단부(322)가 벤딩되었을 때에, 커링 단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사이드 레일(1)의 메인홀(1a)내로 레일 결합부(320)의 일부, 즉, 커링 단부(322)가 삽입 및 고정된 다음에는, 상기 메인 바디(410)는 후방, 즉, 사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접촉 홈부(452)와 연장 돌기(321) 사이의 접촉 및 가압이 해제된다. 이러한 해제의 동작에서도, 상기 탄성부(440)에 의한 해제의 시간이 지연되어, 점차적으로 가압되는 힘이 제거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렁(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사이드 레일들(1,2,3,4)이 배치되고, 각각의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메인 홀(1a)과 사이드 홀(1b,1c)을 이용하여 렁을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가압 수단(500)들이 배치된다.
각각의 가압 수단들은 각 사이드 레일의 메인 홀과 사이드 홀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들과 직접 접하며, 접촉 후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를 절곡시키기 위하여 해당 메인 홀과 사이드 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장 돌기가 형성된 렁을 사이드 레일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 수단(500)은 전후방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 바디(510)와, 상기 메인 바디(510)와 연결된 바디 연결부(520)와, 상기 바디 연결부(52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바디(510)와 함께 전후방 또는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가압 바디(530)와, 상기 가압 바디(530) 내에 구성된 탄성부(540)와, 상기 가압 바디(53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540)와 일단이 연결된 컨택부(5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택부(550)는 상기 가압 바디(53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과,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 양측에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사이드 가이드 프레임(55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 및 사이드 가이드 프레임(552)들의 단부 각각에는 탄성부(540)들이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540)는 단일의 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스프링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과 사이드 가이드 프레임(552) 사이에는 렁의 레일 결합부(320)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홈부들(554)이 형성된다. 렁(300)의 레일 결합부(320) 한쌍에 대해서 휨이 동시에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홈부(554)는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과 사이드 가이드 프레임들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2개의 접촉 홈부(554)가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바디(510)가 전방(또는 좌측), 즉, 사이드 레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메인 바디(510)와 연결된 가압 바디(530) 및 컨택부(550)가 사이드 레일의 레일 결합부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레일에 사이드홀들만이 형성되고, 사이드홀들 사이의 메인홀은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바디(510) 및 컨택부(550)가 좀 더 사이드 레일(1)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컨택부(550)의 접촉 홈부(554)들이 렁의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510) 및 컨택부(550)가 더욱 더 사이드 레일(1)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접촉 홈부(554)에 의하여 렁의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에 휨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촉 홈부(544)는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를 내측으로의 휨/벤딩을 발생시키고,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은 휨이 발생된 커링 단부(322)를 사이드 레일(1) 벽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접촉 홈부(544)에서 휨이 발생되는 커링 단부(322)는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과 사이드 레일(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551)은 전방(좌측)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커링 단부(322)를 사이드 레일(1) 외벽면에 밀착 가압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돌기(322)는 내측 방향으로 휨이 이루어지고, 커링 단부(322)는 가압되어 사이드 레일(1) 외벽면에 밀착 고정된다.
그 다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510) 및 컨택부(550)들은 후방(우측), 즉, 사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고, 각각의 사이드 레일들에 형성된 사이드홀을 통과한 연장 돌기(321) 및 커링 단부(322)를 1번의 공정으로 사이드 레일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렁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렁이 결합되는 렁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렁과 사이드 레일의 결합 과정 및 결합 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이드 레일(2)은 메인홀(1a)과 사이드홀(1b,1c)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레일 바디(1001)와, 상기 사이드 레일 바디(1001)의 상부와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사이드 레일 바디(1001)와는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레일 상측부(1002) 및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를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의 렁과, 이하에서 설명할 제 4 실시예의 렁의 경우에, 상기 사이드 레일(2)의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에는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어 렁의 일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렁 가이드 돌출부(2a,2b)가 형성된다.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에 대해서는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렁(300)의 경우,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렁 바디(310)와, 상기 렁 바디(3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레일 결합부(320,330)를 포함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으나, 상기 렁 바디(310)의 하측에는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에 형성된 렁 가이드 돌출부(2a,2b)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이 되는 슬라이드 돌기(350)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는 상기 렁 바디(310)의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도 22 및 도 23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가 상기 렁 바디(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사이드 레일(1)의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의 크기 정도로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2a,2b)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2a,2b)는 상기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의 일부를 절개한 다음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에 별도로 결합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가 렁 바디(310)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제 1 및 제 2 레일 결합부(320,330)를 사이드 레일의 사이드홀(1b,1c)내로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레일 결합부(320,330)를 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벤딩/절곡시키는 때에 레일 결합부들의 단부가 메인홀(1a)내로 삽입/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의 렁 가이드 돌출부(2a,2b)를 따라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 및 렁(300)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레일 결합부(320,330)의 벤딩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렁(300)의 위치 변동이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와 렁 가이드 돌출부(2a,2b)의 결합에 의하여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레일 결합부(320,330)의 벤딩에 의한 사이드 레일과 렁 사이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2a,2b)들은 일측이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에 결합 또는 연결되고, 타측은 절곡형성되면서 제 1 렁 가이드 돌출부(2a)와 제 2 렁 가이드 돌출부(2b)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렁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렁이 결합되는 렁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렁과 사이드 레일의 결합 과정 및 결합 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이드 레일(2)은 메인홀(1a)과 사이드홀(1b,1c)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레일 바디(1001)와, 상기 사이드 레일 바디(1001)의 상부와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사이드 레일 바디(1001)와는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레일 상측부(1002) 및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를 포함한다.
제 4 실시예의 렁의 경우, 앞선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사이드 레일(2)의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에는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어 렁의 일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렁 가이드 돌출부(2a,2b)가 형성된다.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2a,2b)들은 일측이 상기 사이드 레일(사이드 레일 하측부)에 연결 또는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특히, 제 4 실시예의 렁의 경우,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2a,2b)들의 타측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에 대해서는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본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렁(300)의 경우,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렁 바디(310)와, 상기 렁 바디(3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레일 결합부(320,330)를 포함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으나, 상기 렁 바디(310)의 하측에는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에 형성된 렁 가이드 돌출부(2a,2b)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이 되는 슬라이드 돌기(350)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는 상기 렁 바디(310)의 하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두 개의 슬라이드 돌기 각각이 제 1 렁 가이드 돌출부(2a)와 제 2 렁 가이드 돌출부(2b)의 안으로 끼워진다.
도 29 및 도 30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가 상기 렁 바디(310)의 내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사이드 레일(1)의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의 크기 정도로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2a,2b)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2a,2b)는 상기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의 일부를 절개한 다음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절곡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에 별도로 결합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가 렁 바디(310)의 내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들이 렁 가이드 돌출부들(2a,2b)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레일 결합부(320,330)를 사이드 레일의 사이드홀(1b,1c)내로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레일 결합부(320,330)를 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벤딩/절곡시키는 때에 레일 결합부들의 단부가 메인홀(1a)내로 삽입/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의 렁 가이드 돌출부(2a,2b)를 따라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 및 렁(300)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레일 결합부(320,330)의 벤딩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렁(300)의 위치 변동이 상기 슬라이드 돌기(350)와 렁 가이드 돌출부(2a,2b)의 결합에 의하여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레일 결합부(320,330)의 벤딩에 의한 사이드 레일과 렁 사이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2a,2b)들은 일측이 사이드 레일 하측부(1003)에 결합 또는 연결되고, 타측은 절곡형성되면서 제 1 렁 가이드 돌출부(2a)와 제 2 렁 가이드 돌출부(2b)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과, 상기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 내측에 결합되는 내측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 체결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 중에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사이드 레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렁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연결된 바디 연결부;
    상기 바디 연결부에 연결된 가압 바디;
    상기 가압 바디 내에 마련되고, 기설정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압 바디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컨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렁은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렁 바디와, 상기 렁 바디의 양측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레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렁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기와, 상기 연장 돌기의 단부를 형성하면서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된 커링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에는 상기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사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사이드 홀을 통과한 상기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를 절곡시키기 위한 접촉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사이드 레일에는 상기 사이드 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홀들 사이에는 상기 접촉 홈부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커링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메인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링 단부는 상기 연장 돌기의 단부를 커링 리벳 가공함으로써 렁 바디의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 홈부가 상기 커링 단부 및 연장 돌기를 가압하는 때에, 상기 컨택부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탄성부에 의한 완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레일은 상기 메인홀과 사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레일 바디와, 상기 사이드 레일 바디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레일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레일 상측부 및 사이드 레일 하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 하측부에는 소정 높이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렁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렁 바디에는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에 끼워지거나 상기 렁 가이드 돌출부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상기 렁 바디의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렁 바디의 내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는 상기 렁의 연장 돌기들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중앙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 양측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사이드 가이드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연장 돌기 및 커링 단부와의 접촉 및 가압을 위하여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접촉 홈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가이드 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탄성부를 구성하는 스프링들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KR1020160113650A 2016-08-17 2016-09-05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KR101892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4243 2016-08-17
KR1020160104243 2016-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72A true KR20180020072A (ko) 2018-02-27
KR101892034B1 KR101892034B1 (ko) 2018-08-27

Family

ID=6139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50A KR101892034B1 (ko) 2016-08-17 2016-09-05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53B1 (ko) * 2018-09-07 2019-03-14 이보라 케이블 트레이용 렁, 상기 렁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388B1 (ko) * 2021-07-20 2021-1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케이블 트레이용 렁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235A (ja) 2001-09-28 2003-04-11 Matsuyama Denki Kk ケーブルラック構成部材の結合構造
KR100817307B1 (ko) 2007-08-20 2008-03-27 최석근 케이블 트레이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53B1 (ko) * 2018-09-07 2019-03-14 이보라 케이블 트레이용 렁, 상기 렁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034B1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034B1 (ko)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US8079187B2 (en) Lining of an in particular flat surface with a flexible covering material, particularly textile material as well as lining method
KR101709104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WO2009051431A3 (en) Apparatus, method for connecting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aw of holder-jaw
KR20160138238A (ko)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KR101180005B1 (ko) 케이블 트레이
JP2018012112A (ja) 曲げ矯正機
CN109048152B (zh) 全位置管道智能焊接系统
KR100817307B1 (ko) 케이블 트레이 제조장치
KR20100010501U (ko) 케이블 트레이의 분전반 배선용 연결 트레이
KR102462593B1 (ko)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US20170066026A1 (en) Tube bending tool
KR102471504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91767Y1 (ko) 산업용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일 방향 회전 유닛
KR200475602Y1 (ko) 조립식 건축물의 돌출 이음새용 더블 벤더기
EP2257725B1 (en) Auxiliary gripping tool for gripping device for gripping underwater pipelines at the laying stage, and gripping device
KR101701965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CN215879371U (zh) 一种折弯装置
KR101970595B1 (ko) 원터치 조립방식의 무볼트형 케이블 트레이
JP2007146925A (ja) 管連結具
JP5773505B2 (ja) 鋼床板
CN114952679B (zh) 一种用于组合式轨道的工装
KR102213133B1 (ko)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US3961407A (en) Manufacture of construction elements
KR102156255B1 (ko) 비계파이프용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