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095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095B1
KR101933095B1 KR1020170028550A KR20170028550A KR101933095B1 KR 101933095 B1 KR101933095 B1 KR 101933095B1 KR 1020170028550 A KR1020170028550 A KR 1020170028550A KR 20170028550 A KR20170028550 A KR 20170028550A KR 101933095 B1 KR101933095 B1 KR 101933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rooves
disposed
connection block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954A (ko
Inventor
한진혁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0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69Tie bars for linking block elements and bridging th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영역 및 사이드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 영역은, 상기 타이어의 반경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길이를 갖는 복수의 그루브 및 상기 복수의 그루브의 각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갖고, 상기 일 그루브의 일단 및 이와 마주하는 일단과 접하도록 형성된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노면과의 타이어의 접촉 및 공기의 흐름 또는 빗물등 배수 특성의 변수에 따라 타이어의 제어를 통한 안정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영역 및 사이드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 영역은, 상기 타이어의 반경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길이를 갖는 복수의 그루브 및 상기 복수의 그루브의 각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갖고, 상기 일 그루브의 일단 및 이와 마주하는 일단과 접하도록 형성된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는 복수의 연결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일 그루브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은 상기 일 그루브와 인접한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과 중첩된 영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은 상기 일 그루브와 인접한 그루브에 배치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블록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과 중첩된 영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그루브의 깊이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갖고, 상기 연결 블록의 두께는 상기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서로 다른 상이한 폭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은 이와 인접한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과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의 연장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길이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연결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길이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연결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은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K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K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0)는 트레드 영역(TD) 및 사이드월 영역(SW)을 포함한다. 그리고 트레드 영역(TD)에는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 및 연결 블록(110, 120, 130, 1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 영역(TD)은 타이어(10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 영역(SW)은 트레드 영역(TD)과 연결된다. 사이드월 영역(SW)의 영역 중 트레드 영역(TD)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1000)를 휠(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는 제1 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는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는데,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의 각각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는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는 타이어(1000)의 반경 방향(r)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는 타이어(1000)의 트레드 영역(TD)에서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는 타이어(1000)의 트레드 영역(TD)에서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4개의 그루브(GR1, GR2, GR3, GR4)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4개의 그루브(GR1, GR2, GR3, GR4)는 각각 인접한 그루브들과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4개의 그루브(GR1, GR2, GR3, GR4) 중 서로 인접한 그루브들간의 간격이 적어도 서로 다른 2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연결 블록(110, 120, 130, 140)의 각각은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GR4)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110)은 그루브(GR1)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120)은 그루브(GR2)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130)은 그루브(GR3)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140)은 그루브(GR4)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GR1)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11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연결 블록(110)이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GR1)와 인접하고 이격된 그루브(GR2)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1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연결 블록(120)이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GR2)와 인접하고 이격된 그루브(GR3)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1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연결 블록(130)이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3)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GR3)와 인접하고 이격된 그루브(GR4)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1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연결 블록(140)이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4)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110)은 연결 블록(120)과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하는 타이어(1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10)은 연결 블록(120)과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10)은 연결 블록(120)과 전체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때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10)의 길이는 연결 블록(12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그루브(GR1)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블록(110)들간의 이격된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은 그루브(GR2)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블록(120)들간의 이격된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연결 블록(130)은 연결 블록(120)과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하는 타이어(1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30)은 연결 블록(120)과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30)은 연결 블록(120)과 전체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때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30)의 길이는 연결 블록(12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그루브(GR3)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블록(130)들간의 이격된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은 그루브(GR2)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블록(120)들간의 이격된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연결 블록(140)은 연결 블록(130)과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하는 타이어(1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40)은 연결 블록(130)과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40)은 연결 블록(130)과 전체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때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40)의 길이는 연결 블록(13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그루브(GR4)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블록(140)들간의 이격된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은 그루브(GR3)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블록(130)들간의 이격된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연결 블록(1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다른 연결 블록(120, 130, 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연결 블록(110)과 동일한 바 도 4를 통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연결 블록(110)은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블록(110)의 두께(T)는 그루브(GR1)의 깊이(DT)보다 작다. 이를 통하여 그루브(GR1)의 깊이(DT)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110)이 배치되지 않는 이격 영역은 높이(Da)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110)은 그루브(GR1)의 깊이(DT)방향을 기준으로 바닥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110)의 상면은 트레드 영역(TD)의 영역 중 그루브(GR1)의 주변 영역의 상면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연결 블록(110)의 노면 접촉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연결 블록(110)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110)의 폭은 그루브(GR1)은 두께(T)방향을 기준으로 다른 값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GR1)의 상부 영역에 대응하는 곳에서의 폭(W1)은 그루브(GR1)의 바닥면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블록(110)은 두께(T)방향을 기준으로 그루브(GR1)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그루브(GR1)의 폭을 이루는 일 측면 및 이와 마주하는 측면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110)은 그루브(GR1)의 폭을 이루는 일 측면 및 이와 마주하는 측면의 양쪽 모두와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블록(110)은 안정적으로 그루브(GR1)에 배치되어 박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GR1)의 상면보다 바닥면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폭이 작도록 연결 블록(110)을 형성하여 그루브(GR1)에서 연결 블록(110)이 바닥면 방향으로 밀려 변형 또는 이동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연결 블록(110)와 그루브(GR1)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높이(Da)에 대응하는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영역을 통하여 그루브(GR1)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110)의 두께(T)보다 높이(Da)가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의타이어는 트레드 영역에 복수 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차량의 구동, 제동 또는 선회를 포함하는 제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의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고, 이러한 서로 이격된 그루브의 각각에 연결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연결 블록은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면적을 증가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의 상면을 그루브와 인접한 영역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하여 노면과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연결 블록과 그루브의 바닥면의 사이에 연결 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이격 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영역을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 폭을 그루브의 상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이 그루브의 바닥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연결 블록이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파손되거나 박리 또는 그루브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려 내려가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그루브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를 통하여 일 그루브에서의 이물 및 수분 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그루브의 연결 블록 및 이와 인접한 그루브의 연결 블록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들면 타이어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차량 주행 시 일 그루브의 연결 블록 및 이와 인접한 그루브의 연결 블록이 지면과 접하는 시간이 동일하거나 적어도 지면과 동시에 접하는 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연결 블록을 통한 접지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핸들링 및 제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0)는 트레드 영역(TD) 및 사이드월 영역(미도시)을 포함한다. 그리고 트레드 영역(TD)에는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및 연결 블록(210, 220, 2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제1 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는데,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의 각각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타이어(2000)의 반경 방향(미도시)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타이어(2000)의 트레드 영역(TD)에서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타이어(2000)의 트레드 영역(TD)에서 타이어(2000)의 원주 방향(RT)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3개의 그루브(GR1, GR2, GR3)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2개 또는 4개 이상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3개의 그루브(GR1, GR2, GR3)는 각각 인접한 그루브들과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3개의 그루브(GR1, GR2, GR3) 중 서로 인접한 그루브들간의 간격이 적어도 서로 다른 2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연결 블록(210, 220, 230)의 각각은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210)은 그루브(GR1)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220)은 그루브(GR2)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230)은 그루브(GR3)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GR1)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21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210)은 복수의 연결 블록(211, 212)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연결 블록(211, 212)의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1)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블록(210)은 3개 이상의 서로 이격된 연결 블록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 블록(211, 212)의 각각은 서로 간격(SA1)을 갖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SA1)은 그루브(GR1)의 영역 중 연결 블록(21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 즉 연결 블록(21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다.
그루브(GR1)와 인접하고 이격된 그루브(GR2)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2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연결 블록(220)이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연결 블록(220)은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GR2)와 인접하고 이격된 그루브(GR3)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2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230)은 복수의 연결 블록(231, 232)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연결 블록(231, 232)의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3)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블록(230)은 3개 이상의 연결 블록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 블록(231, 232)의 각각은 서로 간격(SA3)을 갖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SA3)은 그루브(GR3)의 영역 중 연결 블록(23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 즉 연결 블록(23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다.
전술한 연결 블록(220)은 인접한 그루브(GR1)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211, 212)들간의 간격(SA1)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220)은 연결 블록(220)이 배치된 그루브(GR2)와 인접한 그루브(GR1)의 영역 중 연결 블록(21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즉 타이어(2000)의 원주 방향(RT)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하는 타이어(2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220)은 그루브(GR1)의 영역 중 연결 블록(21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220)은 인접한 그루브(GR3)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231, 232)들간의 간격(SA3)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220)은 연결 블록(220)이 배치된 그루브(GR2)와 인접한 그루브(GR3)의 영역 중 연결 블록(23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즉 타이어(2000)의 원주 방향(RT)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하는 타이어(2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220)은 그루브(GR3)의 영역 중 연결 블록(23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블록(220)의 길이(L2)는 간격(SA1) 또는 간격(SA2)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 블록(220)의 길이(L2)는 간격(SA1) 또는 간격(SA2)보다 클 수 있다.
연결 블록(210, 220, 230)은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210, 220, 230) 중 연결 블록(210), 연결 블록(220) 또는 연결 블록(230) 중 하나가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모두 다른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 영역에 복수 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차량의 구동, 제동 또는 선회를 포함하는 제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의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고, 이러한 서로 이격된 그루브의 각각에 연결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연결 블록은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면적을 증가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의 상면을 그루브와 인접한 영역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하여 노면과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연결 블록과 그루브의 바닥면의 사이에 연결 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이격 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영역을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 폭을 그루브의 상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이 그루브의 바닥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연결 블록이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파손되거나 박리 또는 그루브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려 내려가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그루브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를 통하여 일 그루브에서의 이물 및 수분 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그루브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와 인접한 일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은 이러한 간격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타이어의 원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들면 타이어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일 그루브의 연결 블록은 이와 인접한 그루브의 영역 중 복수의 연결 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그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일 그루브의 연결 블록은 이와 인접한 그루브의 연결 블록들과 서로 상이한 시점에 지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각 그루브 별 연결 블록의 지면 접촉 시간을 상이하게 하여 주행 시 연결 블록 및 그 하부의 공간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다르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고속 주행 시 타이어 노이즈 소음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0)는 트레드 영역(TD) 및 사이드월 영역(미도시)을 포함한다. 그리고 트레드 영역(TD)에는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 및 연결 블록(310, 320, 3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제1 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는데,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의 각각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타이어(3000)의 반경 방향(미도시)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타이어(3000)의 트레드 영역(TD)에서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는 타이어(3000)의 트레드 영역(TD)에서 타이어(3000)의 원주 방향(RT)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3개의 그루브(GR1, GR2, GR3)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2개 또는 4개 이상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3개의 그루브(GR1, GR2, GR3)는 각각 인접한 그루브들과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3개의 그루브(GR1, GR2, GR3) 중 서로 인접한 그루브들간의 간격이 적어도 서로 다른 2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연결 블록(310, 320, 330)의 각각은 복수의 그루브(GR1, GR2, GR3)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310)은 그루브(GR1)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320)은 그루브(GR2)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330)은 그루브(GR3)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GR1)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31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310)은 복수의 연결 블록(311, 312)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연결 블록(311, 312)의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1)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블록(310)은 3개 이상의 서로 이격된 연결 블록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 블록(311, 312)의 각각은 서로 간격(SA1)을 갖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SA1)은 그루브(GR1)의 영역 중 연결 블록(31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 즉 연결 블록(31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다.
그루브(GR1)와 인접하고 이격된 그루브(GR2)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3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연결 블록(320)이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연결 블록(320)은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GR2)와 인접하고 이격된 그루브(GR3)에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3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330)은 복수의 연결 블록(331, 332)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연결 블록(331, 332)의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GR3)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블록(330)은 3개 이상의 연결 블록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 블록(331, 332)의 각각은 서로 간격(SA3)을 갖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SA3)은 그루브(GR3)의 영역 중 연결 블록(33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 즉 연결 블록(33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다.
전술한 연결 블록(320)은 인접한 그루브(GR1)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311, 312)들간의 간격(SA1)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320)은 연결 블록(320)이 배치된 그루브(GR2)와 인접한 그루브(GR1)의 영역 중 연결 블록(31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즉 타이어(3000)의 원주 방향(RT)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 6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하는 타이어(3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320)은 그루브(GR1)의 영역 중 연결 블록(31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320)은 즉 도 6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하는 타이어(3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310)의 연결 블록(311, 312)들과 모두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320)은 인접한 그루브(GR3)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331, 332)들간의 간격(SA3)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320)은 연결 블록(320)이 배치된 그루브(GR2)와 인접한 그루브(GR3)의 영역 중 연결 블록(33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320)은 즉 도 6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하는 타이어(3000)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310)의 연결 블록(311, 312)들과 모두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블록(320)의 길이(L2)는 간격(SA1) 또는 간격(SA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 블록(320)의 길이(L2)는 간격(SA1) 및 간격(SA2)보다 작을 수 있다.
연결 블록(310, 320, 230)은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310, 320, 230) 중 연결 블록(310), 연결 블록(320) 또는 연결 블록(330)중 하나가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모두 다른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 영역에 복수 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차량의 구동, 제동 또는 선회를 포함하는 제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의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고, 이러한 서로 이격된 그루브의 각각에 연결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연결 블록은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면적을 증가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의 상면을 그루브와 인접한 영역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하여 노면과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연결 블록과 그루브의 바닥면의 사이에 연결 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이격 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영역을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 폭을 그루브의 상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이 그루브의 바닥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연결 블록이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파손되거나 박리 또는 그루브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려 내려가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그루브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를 통하여 일 그루브에서의 이물 및 수분 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그루브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와 인접한 일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은 이러한 간격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타이어의 원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들면 타이어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일 그루브의 연결 블록은 이와 인접한 그루브의 영역 중 복수의 연결 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그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블록들은 인접한 그루브의 복수의 연결 블록들간의 간격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일 그루브의 연결 블록은 이와 인접한 그루브의 연결 블록들과 서로 상이한 시점에 지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각 그루브 별 연결 블록의 지면 접촉 시간을 상이하게 하여 주행 시 연결 블록 및 그 하부의 공간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다르게 할 수 있다. 특히, 일 연결 블록이 지면과 접하는 시간과 이와 인접한 그루브의 연결 블록들이 접하는 시점의 사이에 시간적인 간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일 그루브의 연결 블록을 통한 지면 접촉, 그리고 이와 인접한 연결 블록을 통한 지면 접촉의 사이에 연결 블록의 지면 접촉이 없는 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일 연결 블록들의 지면 접촉시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보충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순차적인 연결 블록의 접촉 및 공기 흐름의 다양한 시간 제어를 통하여 타이어 노이즈 소음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0)는 트레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그루브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이어(4000)의 복수의 그루브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그루브의 각각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그루브는 타이어(4000)의 반경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4000)의 원주 방향과 나란하게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0)에 구비된 복수의 그루브는 각각 인접한 그루브들과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서로 인접한 그루브들간의 간격이 적어도 서로 다른 2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연결 블록은 복수의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이 복수의 그루브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는 하나의 그루브(GR1) 및 하나의 연결 블록(410)을 도시하였다.
연결 블록(410)은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블록(410)의 두께(T)는 연결 블록(410)의 최대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의 두께(T)는 그루브(GR1)의 깊이(DT)보다 작다. 이를 통하여 그루브(GR1)의 깊이(DT)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410)이 배치되지 않는 이격 영역은 높이(Da)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은 내측 오목부(410a)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오목부(410a)는 연결 블록(410)의 영역 중 그루브(GR1)의 바닥면을 향하는 면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조방법을 제하는 것이 아닌바 내측 오목부(410a)는 연결 블록(410)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의 내측 오목부(410a)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Ta)는 그루브(GR1)의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보다 그루브(GR1)의 내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더 클 수 있다. 예를들면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Ta)는 그루브(GR1)의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블록(410)의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Ta)는 그루브(GR1)의 폭의 방향(도 7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볼 때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의 값이 가장 큰 값을 갖는 지점일 수 있고, 예를들면 내측 오목부(410a)의 영역 중 그루브(GR1)의 폭의 방향(도 7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중앙인 점에서의 높이일 수 있다.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Ta)는 연결 블록(410)의 두께(T)보다 크지 않다. 즉, 연결 블록(410)의 영역 중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T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두께(Tb)가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Ta)는 두께(Tb)보다 클 수 있다.
내측 오목부(410a)는 폭(W3)을 가질 수 있다. 즉, 내측 오목부(410a)의 영역 중 그루브(GR1)의 바닥면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폭(W3)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내측 오목부(410a)는 그루브(GR1)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내측 오목부(410a)는 연결 블록(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Ta)는 연결 블록(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그루브(GR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연결 블록(410)의 하부를 통과 시 내측 오목부(410a)에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은 그루브(GR1)의 깊이(DT)방향을 기준으로 바닥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410)의 상면은 트레드 영역(TD)의 영역 중 그루브(GR1)의 주변 영역의 상면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연결 블록(410)의 노면 접촉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의 폭은 그루브(GR1)은 두께(T)방향을 기준으로 다른 값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GR1)의 상부 영역에 대응하는 곳에서의 폭(W1)은 그루브(GR1)의 바닥면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블록(410)은 두께(T)방향을 기준으로 그루브(GR1)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그루브(GR1)의 폭을 이루는 일 측면 및 이와 마주하는 측면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은 그루브(GR1)의 폭을 이루는 일 측면 및 이와 마주하는 측면의 양쪽 모두와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블록(410)은 안정적으로 그루브(GR1)에 배치되어 박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GR1)의 상면보다 바닥면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폭이 작도록 연결 블록(410)을 형성하여 그루브(GR1)에서 연결 블록(410)이 바닥면 방향으로 밀려 변형 또는 이동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와 그루브(GR1)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높이(Da)에 대응하는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영역을 통하여 그루브(GR1)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410)의 두께(T)보다 높이(Da)가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 영역에 복수 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차량의 구동, 제동 또는 선회를 포함하는 제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의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고, 이러한 서로 이격된 그루브의 각각에 연결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연결 블록은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면적을 증가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의 상면을 그루브와 인접한 영역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하여 노면과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연결 블록과 그루브의 바닥면의 사이에 연결 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이격 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영역을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 폭을 그루브의 상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이 그루브의 바닥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연결 블록이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파손되거나 박리 또는 그루브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려 내려가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그루브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를 통하여 일 그루브에서의 이물 및 수분 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블록들은 내측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오목부를 통하여 그루브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시 배수 및 오물 제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내측 오목부의 측면이 곡면을 갖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내측 오목부의 내주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오목부의 높이는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그루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연결 블록의 하부, 그루브의 영역 중 연결 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통과 시 이러한 공간과 연결된 내측 오목부와 접하면서 균일한 특성을 갖도록 배출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0')는 트레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그루브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이어(4000')의 복수의 그루브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그루브의 각각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그루브는 타이어(4000')의 반경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4000')의 원주 방향과 나란하게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0')에 구비된 복수의 그루브는 각각 인접한 그루브들과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서로 인접한 그루브들간의 간격이 적어도 서로 다른 2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연결 블록은 복수의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이 복수의 그루브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9에는 하나의 그루브(GR1') 및 하나의 연결 블록(410')을 도시하였다.
연결 블록(410')은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블록(410')의 두께(T)는 연결 블록(410')의 최대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의 두께(T)는 그루브(GR1)의 깊이(DT)보다 작다. 이를 통하여 그루브(GR1')의 깊이(DT)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블록(410')이 배치되지 않는 이격 영역은 높이(Da)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은 내측 오목부(410a')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오목부(410a')는 연결 블록(410')의 영역 중 그루브(GR1')의 바닥면을 향하는 면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조방법을 제하는 것이 아닌바 내측 오목부(410a')는 연결 블록(410')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의 내측 오목부(410a')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는 그루브(GR1')의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보다 그루브(GR1')의 내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더 클 수 있다. 예를들면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는 그루브(GR1')의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또한, 내측 오목부(410a')는 연결 블록(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내측 오목부(410a')는 연결 블록(41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연결 블록(410')의 일단에 대응하는 높이(Ta1), 타단에 대응하는 높이(Ta2) 및 그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높이(Ta3)를 가질 수 있다.
높이(Ta3)는 높이(Ta1) 및 높이(Ta2)보다 클 수 있다. 높이(Ta1) 및 높이(Ta2)는 서로 동일한 값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다른 값일 수도 있다.
여기서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Ta1)는 그루브(GR1')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볼 때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의 값이 가장 큰 값을 갖는 지점일 수 있고, 예를들면 내측 오목부(410a')의 영역 중 그루브(GR1')의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중앙인 점에서의 높이일 수 있다.
높이(Ta2) 및 높이(Ta3)도 각각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로서 높이(Ta1)과 유사한 기준으로 정의되고, 단 내측 오목부(4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이한 점에서의 높이라고 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4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단부의 높이(Ta1, Ta2)는, 그 사이의 영역의 높이(Ta3), 구체적 예로서 중앙 영역에서의 높이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높이(Ta1), 높이(Ta3) 및 높이(Ta2)는 점진적으로 커졌다가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9를 기준으로 연결 블록(41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오목부(410a')의 높이를 연결한 선은 곡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연결 블록(410')의 두께들(Tb1, Tb2, Tb3)도 상이하다. 즉 두께(Tb1, Tb2)에 비하여 두께(Tb3)은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그루브(GR1')를 통한 공기의 흐름 시 연결 블록(410')의 아래 및 내측 오목부(410a')를 통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공기는 내측 오목부(410a')를 통하여 공기가 흐를 때, 일정한 평탄면이 아닌 높이가 다른 면을 지나므로 일정한 공기의 흐름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내측 오목부(410a')를 통한 공기의 흐름의 변화를 통하여 소음 제어를 향상할 수 있다.
내측 오목부(410a')는 폭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그루브(GR1')의 바닥면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GR1')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은 그루브(GR1')의 깊이(DT)방향을 기준으로 바닥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410')의 상면은 트레드 영역의 영역 중 그루브(GR1')의 주변 영역의 상면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연결 블록(410')의 노면 접촉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GR1')의 상부 영역에 대응하는 곳에서의 연결 블록(410')의 폭이 그루브(GR1')의 바닥면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블록(410')은 두께(T)방향을 기준으로 그루브(GR1')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그루브(GR1')의 폭을 이루는 일 측면 및 이와 마주하는 측면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410')은 그루브(GR1')의 폭을 이루는 일 측면 및 이와 마주하는 측면의 양쪽 모두와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블록(410')은 안정적으로 그루브(GR1')에 배치되어 박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GR1')의 상면보다 바닥면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폭이 작도록 연결 블록(410')을 형성하여 그루브(GR1')에서 연결 블록(410')이 바닥면 방향으로 밀려 변형 또는 이동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연결 블록(410')와 그루브(GR1')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높이(Da')에 대응하는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영역을 통하여 그루브(GR1')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410')의 두께(T)보다 높이(Da)가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 영역에 복수 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차량의 구동, 제동 또는 선회를 포함하는 제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의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고, 이러한 서로 이격된 그루브의 각각에 연결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연결 블록은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면적을 증가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블록의 상면을 그루브와 인접한 영역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하여 노면과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연결 블록과 그루브의 바닥면의 사이에 연결 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이격 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영역을 통하여 차량 주행 시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을 형성 시 그 폭을 그루브의 상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이 그루브의 바닥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연결 블록이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파손되거나 박리 또는 그루브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려 내려가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그루브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를 통하여 일 그루브에서의 이물 및 수분 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블록들은 내측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오목부를 통하여 그루브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시 배수 및 오물 제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내측 오목부의 측면이 곡면을 갖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내측 오목부의 내주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오목부의 높이는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지 않고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그루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내측 오목부를 통과할 때 공기의 흐름의 변화를 줄 수 있고, 특히 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단부 및 이와 마주하는 단부에서 공기의 흐름보다 그 사이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많도록 공간을 제어할 수 있어서 내측 오목부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그루브들에 각각 배치된 연결 블록들의 내측 오목부를 통한 공기의 통과 시 상호 작용을 통한 소음 저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0, 2000, 3000, 4000, 4000': 타이어
TD: 트레드 영역
SW: 사이드 월 영역
GR1, GR1', GR2, GR3, GR4: 그루브
110, 120, 130, 140, 210, 220, 230, 310, 320, 330, 410, 410': 연결 블록
410a, 410a': 내측 오목부

Claims (10)

  1.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영역 및 사이드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 영역은,
    상기 타이어의 반경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길이를 갖는 복수의 그루브; 및
    상기 복수의 그루브의 각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갖고,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의 일단 및 이와 마주하는 일단과 접하도록 형성된 연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과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이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영역의 높이의 값은 상기 연결 블록의 두께의 값 이상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길이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연결 블록을 구비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는 복수의 연결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일 그루브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블록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배치된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은 상기 일 그루브와 인접한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과 중첩된 영역을 갖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은 상기 일 그루브와 인접한 그루브에 배치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블록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과 중첩된 영역을 갖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그루브의 깊이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갖고,
    상기 연결 블록의 두께는 상기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은 값을 갖는 타이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서로 다른 상이한 폭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영역을 갖는 타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그루브 중 일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은 이와 인접한 그루브에 배치된 연결 블록과 이격된 타이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의 연장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대응되는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적어도 길이가 같은 두 개 이상의 연결 블록을 구비하는 타이어.
  10. 삭제
KR1020170028550A 2017-03-06 2017-03-06 타이어 KR10193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50A KR101933095B1 (ko) 2017-03-06 2017-03-06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50A KR101933095B1 (ko) 2017-03-06 2017-03-06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54A KR20180101954A (ko) 2018-09-14
KR101933095B1 true KR101933095B1 (ko) 2018-12-27

Family

ID=6359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50A KR101933095B1 (ko) 2017-03-06 2017-03-06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0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334Y1 (ko) * 1994-12-27 2001-05-02 신형인 그루브에 그루브 원더 개선을 위한 브리지를 설치한 타이어
JP2013244854A (ja) * 2012-05-25 2013-12-0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334Y1 (ko) * 1994-12-27 2001-05-02 신형인 그루브에 그루브 원더 개선을 위한 브리지를 설치한 타이어
JP2013244854A (ja) * 2012-05-25 2013-12-0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54A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0733B1 (en) Tire for preventing irregular tread wear
US11040576B2 (en) Tire with grooves having variable depth
KR101619381B1 (ko) 스노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
CN100548723C (zh) 高横向刚度的刀槽花纹型轮胎胎面
EP2777952A2 (en) Pneumatic tire
JP569568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523366A (ja) 幅広部分と幅狭部分を含む切込みを備えたトレッドを有するタイヤ
JP2005162145A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6171139A1 (ja) スタッド、及び、タイヤ
KR100869025B1 (ko) 가변형 사이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JP53072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933095B1 (ko) 타이어
JP5965138B2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EP3539799B1 (en) Tire with main kerfs and sub-kerfs
JP40206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45720B1 (ko) 개선된 사이프를 구비한 타이어
US20160207269A1 (en) Retreaded tire treads having improved submerged void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JP2002103922A (ja) 左側通行車両用の空気入りタイヤ及び右側通行車両用の空気入りタイヤ
KR101905117B1 (ko) 타이어
RU2530200C2 (ru) Протектор шины, имеющий полости и прорези
JP2020199893A (ja) タイヤ
KR101901400B1 (ko) 타이어
KR10173501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01983B1 (ko) 타이어
KR101977292B1 (ko)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