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556B1 -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556B1
KR101931556B1 KR1020180068075A KR20180068075A KR101931556B1 KR 101931556 B1 KR101931556 B1 KR 101931556B1 KR 1020180068075 A KR1020180068075 A KR 1020180068075A KR 20180068075 A KR20180068075 A KR 20180068075A KR 101931556 B1 KR101931556 B1 KR 101931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ture
helicobacter pylori
gastric
rasp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익
조진숙
압둘 라만 아지즈
남미경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리즈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즈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리즈바이오텍
Priority to PCT/KR2018/0141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1748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혼합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er pylori)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혼합물에 치자 추출물 또는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더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스트레스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높임으로써,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mixture of extract of Rubus crataegifolius and extract of Ulmus macrocarpa for prevention or treatment gastrointestinal disease}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장관 질환에는 헬리코박터에 의한 위 점막 손상에 의한 위 손상, 위축성 위염, 위궤양, 위암 등이 있다. 또한 에탄올, 메탄올, 흡연, 위산, NASIDs(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등 화학물질에 의한 위손상(위염,위웨양,위축성위염)이 있다.
헬리코박터는 인체의 위점막에서 처음 발견된 균으로 위 상피세포층에 부착되어 주변 세포의 정상적인 세포 고사를 방해한다. 또한 효소활성이 강한 우레아제(urease)를 분비하는데 이 우레아제는 요소(urea)를 분해하여 많은 양의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생산하여 헬리코박터 주변의 위액을 중화시켜 점막의 기능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위산역류를 초래하게 한다. 흔히 인간에게 발생하는 위염, 위궤양은 헬리코박터가 가장 큰 원인이다. 헬리코박터의 경우 위점막에 붙어살기 때문에 신체 내 면역반응이 소용없을 뿐만 아니라, 한번 감염이 되면 치료가 어렵과 치료가 되더라도 재발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현재까지 헬리코박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들은 오메프라졸(omeprazole)과 같은 프로톤 펌프 억제제와 아목시실린(amoxicillin), 클래리스로마이신(clari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과 같은 2종의 항생물질들을 함께 처리하는 삼제요법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헬리코박터는 약물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돌연변이가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균 자체가 어렵다. 또한 이 항생제들은 장기 복용 시 약물에 대한 내성이 생겨 자주 바꿔줘야 할 뿐 아니라, 변비, 발진, 역류성 식도염 등 다양한 부작용이 동반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위염이란 위의 표면 점막에 얇아진 상태로 염증이 있는 것으로 전 국민의 10% 이상이 갖고 있을 정도로 흔하다. 대개는 만성 헬리코박터 감염에 의해, 알코올과 담배 및 NASIDs 등 화학 제제에 의하여 일어난다. 위염의 정도에 따라, 경도 위염 (위염 의심)으로부터 중증도 위염 (위염), 정도가 심한 중증위염으로 분류한다. 만성 위염은 표층성 위염, 위축성 위염으로 구분하며 표층성 위염은 초기단계로서 점막의 변화만 있어 내시경 소견에서 발적으로 나타나며, 위축성 위염은 여기서 더 진행하여 점막이 위축되어 얇아지고 혈관이 투명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또한 위염은 위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위염에서 위암의 진행과정은 만성위염 > 위축성 위염 > 장상피 화상 > 위암으로 볼 수 있다.
위궤양은 위점막 조직이 위산 또는 펩신에 의해 점막근층까지 침식되고 손상 및 파괴된 상태로 출혈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상복부나 흉골 아래쪽에 타는 듯한 느낌과 속이 쓰리고 재발이 잘 되므로 정기검진을 3~6개월 주기로 받아야 한다.
십이지장염은 십이지장 점막에 염증이 있는 것을 말한다. 위산이나 펩신 등에 의해 십이지장 점막이 손상되어 일어나며 위산이 과다한 상태에서 헬리코박터나, 흡연, 진통소염제의 복용 등으로 유발된다. 커피, 술 등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구토, 신트림, 복부팽만감, 식욕부진, 소화불량, 속쓰림, 상복부동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식도 역류 질환은 위산이나 위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 안쪽으로 타는 듯한 통증, 쓰리는 등의 불편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유방되는 질환을 말한다. 이 증 역류로 인해 식도에 궤양이나 미란 등의 형태학적 변화가 일어난 상태를 역류성 식도염 혹은 미란성 식도염이라고 한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범주에 속하지만 내시경 검사에서 점막 파괴나 바레트 식도(Barrett’s esophagus; 지속적으로 위산이 역류하여 위의 경계 부위에서 식도 조직이 위 조직으로 변한 상태)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미란성 역류질환이라고 부른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원인으로는 정상인에게도 위 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할 수 있지만, 역류가 자주 발생하고 그 기간이 길어지면 역류 증상과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가장 중요한 발병 경로는 하부식도 괄약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의 일시적인 이완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식도열공 헤르니아(hiatal hernia)와 같은 해부학적 결손, 하부식도 괄약근의 낮은 압력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가슴 쓰림이나 산 역류라는 특징적인 증상이 있으면 위산역류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이렇듯 증상으로 진단하는 경우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산역류에 의해 일어난 식도손상을 확인가능하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만성적인 질환이며, 지속적인 치료를 필요로 한다. 위식도 역류질환에 있어서 치료의 목적은 역류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한 증상을 효과적으로 없애주며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로 위산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약의 복용량은 질환 및 증상의 정도에 따라 정해지며, 약물 투여의 목표는 역류가 자주 일어나는 낮 시간 동안 위 내의 산도를 pH 4 이상으로 올리는 것이다.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는 장미과(Rosaceae) 루부스속(Rubus)에 속하는 식물로, 가시가 많고, 줄기는 적갈색이며, 잎은 어긋나는 홑잎이다. 산딸기는 맛이 시며,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다. 산딸기의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 뿌리에는 트리테르펜사포닌이 주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 유기산, 말산(malic acid), 비타민 C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루부스속 식물은 과실(열매), 뿌리 및 잎이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루부스 속 식물의 과실은 민간에서 강장, 청량, 지갈 및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잎은 천식에 효과가 있으며, 그 뿌리는 지혈, 조혈, 불임증, 월경 불순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원산지는 한국, 러시아, 몽골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북부지방 산골짜기나 계곡 근처에서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 왕느릅나무의 껍질은 유피(楡皮) 또는 유백피(楡白皮), 뿌리껍질은 유근피(楡根皮)라고 한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왕느릅나무는 신체의 일부분에 염증이나 종양 등에 인해 곪거나 부어오르는 데 좋으며 또한 비위 질환에 매우 좋은 약이다. 특히 비위의 모든 질환 중에서도 특히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소장궤양, 대장궤양, 직장궤양, 식도궤양 등 궤양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치자(Gardenia jasminodes)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에서 서식하는 상록 관목수로서, 높이 2m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남과 제주도 남부에서 자라며 키가 2m에서 3m정도에서 자라는 작은 관목이다. 관상수로 쓰이며, 꽃은 향료, 열매는 해열 및 진통제 등 약으로 쓰인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해열작용, 미생물 억제, 위 보호, 이뇨작용, 뇌출혈에 쓰인다고 하며 오랫동안 복용하면 부작용이 생긴다고 한다.
본 발명자들은 위장질환에 효과적인 물질을 찾고자 노력하던 중,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누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혼합물에 치자 추출물 또는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더 첨가한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스트레스성 또는 NASIDs로 유발된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회복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상기 혼합물을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32551호(공개번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한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한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를 포함하는 산딸기속 식물, 왕느릅나무를 포함하는 느릅나무속 및 치자를 포함하는 치자나무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둘 이상의 식물의 혼합 추출물 및 유산균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산딸기는 루부스 크라타에기폴리우스(Rubus crataegifolius), 루부스 코레아누스(Rubus coreanus ), 루부스 옥시덴탈리스(Rubus occidentalis) 또는 루부스 이다에우스(Rubus ideaus) 이고, 상기 왕느릅나무는 울무스 마크로카르파 한스(Ulmus macrocarpa Hans) 또는 울무스 다비디아나 자포니카(Ulmus davidiana var.japonica)이고, 상기 치자는 가르데니아 자스미노이데스 엘리스(Gardenia jasminoides Ellis) 또는 가르데니아 자스미노이데스 오바리플리아(Gardenia jasminoides var. ovariflia)이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 gasser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 reut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 rhamnosu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 breve)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longum)인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er pylori)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혼합물에 치자 추출물 또는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더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스트레스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높임으로써, 위장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5종(26695, 95-113, 92-82-1, 95-45, 92-331 균주)에 대한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치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처리 농도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3종(PDEF444-12-1, 26695 및 92-20 균주)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5종(26695, 95-113, 92-82-1, 95-45 및 92-331 균주)에 대한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를 첨가하였을 때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에 감염된 동물모델의 제작 및 추출물 처리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에 감염 동물모델에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시, 위의 염증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에 감염 동물모델에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시, H&E 염색된 위 조직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알코올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추출물 및 복합물 처리 시, 회복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의 a: 대조군, b: 시메티딘, c: RF, d: UL, e: GJ;
B의 a: 대조군, b: 시메티딘, c: RF+UL, d: RF+GJ, e: UL+GJ;
C의 a: 대조군, b: 시메티딘, c: RF+UL+GJ, d: RF+UL+GJ+Pro).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딸기 미숙과는 산딸기 꽃이 지면서 맺는 초록색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4월 내지 9월에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월 내지 8월 수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월 내지 7월에 수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산딸기 미숙과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추출 방법은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일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는 추출에 사용되는 산딸기 미숙과의 중량에 2 내지 20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5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 시간은 2 내지 2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5 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온도, 추출 시간 또는 추출 횟수의 조건을 벗어난 범위에서는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내에 유효성분의 함량이 미미할 수 있다. 또는 더 이상 추출 수율이 증가하지 않아 추출 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상기 왕느릅나무의 유백피는 왕느릅나무의 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왕느릅나무의 유백피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추출 방법은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일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1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는 추출에 사용되는 산딸기 미숙과의 중량에 2 내지 20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5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 시간은 2 내지 2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5 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온도, 추출 시간 또는 추출 횟수의 조건을 벗어난 범위에서는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내에 유효성분의 함량이 미미할 수 있다. 또는 더 이상 추출 수율이 증가하지 않아 추출 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상기 위장질환은 헬리코박터성 위염, 비헬리코박터성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역류성 식도염, 수술 후 궤양 또는 위점막의 미란, 출혈, 발적 및 부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은 산딸기 미숙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각각의 건조물에 물 또는 알코올을 첨가하여 단독 추출물을 제조하고, 단독 추출물을 상기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은 1 : 0.01~1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1~3 :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산딸기 미숙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건조물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조성물로 추출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위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이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표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왕트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및 치자 추출물(GJ)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위에 유발된 염증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염증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5 및 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비스테로이드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7 참조).
따라서,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억제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 모델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또는 비스테로이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조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므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치자(Gardenia jasmoides)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자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치자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치자는 치자나무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등 모든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잎, 줄기, 뿌리 및 열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치자는 치자나무의 열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추출 방법은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일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는 추출에 사용되는 산딸기 미숙과의 중량에 2 내지 20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5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 시간은 2 내지 2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4 내지 10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온도, 추출 시간 또는 추출 횟수의 조건을 벗어난 범위에서는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내에 유효성분의 함량이 미미할 수 있다. 또는 더 이상 추출 수율이 증가하지 않아 추출 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은 산딸기 미숙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및 치자 각각의 건조물에 물 또는 알코올을 첨가하여 단독 추출물을 제조하고, 단독 추출물을 상기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은 1 : 0.01~100 : 0.01~1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산딸기 미숙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건조물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조성물로 추출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에 치자 추출물을 혼합(RF+UL+GJ)함으로써 염증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에 치자 추출물을 혼합(RF+UL+GJ)함으로써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에 치자 추출물을 혼합(RF+UL+GJ)함으로써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5 및 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에 치자 추출물을 혼합(RF+UL+GJ)함으로써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비스테로이드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에 치자 추출물을 혼합(RF+UL+GJ)함으로써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7 참조).
따라서,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 모델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또는 비스테로이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조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므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균주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및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 각각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혼합함으로써,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 억제 효과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도 3 및 표 3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위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이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혼합(RF+UL+GJ+Pro)함으로써,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표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위에 유발된 염증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혼합(RF+UL+GJ+Pro)함으로써, 염증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혼합(RF+UL+GJ+Pro)함으로써,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5 및 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혼합(RF+UL+GJ+Pro)함으로써,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비스테로이드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RF+UL+GJ)에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혼합(RF+UL+GJ+Pro)함으로써,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7 참조).
따라서,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의 배양액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억제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 모델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또는 비스테로이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조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므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 미숙과(Rubus crataegifoli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위 점막 손상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 또는 약물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5 및 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비스테로이드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각각을 처리하였을 경우, 동물모델의 손상된 위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RF+UL)이 손상된 위 조직을 더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표 7 참조).
따라서,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또는 비스테로이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조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므로,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를 포함하는 산딸기속 식물, 왕느릅나무를 포함하는 느릅나무속 및 치자를 포함하는 치자나무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둘 이상의 식물의 혼합 추출물 및 유산균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산딸기는 루부스 크라타에기폴리우스(Rubus crataegifolius), 루부스 코레아누스(Rubus coreanus ), 루부스 옥시덴탈리스(Rubus occidentalis) 또는 루부스 이다에우스(Rubus ideaus) 이고, 상기 왕느릅나무는 울무스 마크로카르파 한스(Ulmus macrocarpa Hans) 또는 울무스 다비디아나 자포니카(Ulmus davidiana var.japonica)이고, 상기 치자는 가르데니아 자스미노이데스 엘리스(Gardenia jasminoides Ellis) 또는 가르데니아 자스미노이데스 오바리플리아(Gardenia jasminoides var. ovariflia)이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 gasser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 reut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 rhamnosu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 breve)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longum)인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고사리 추출물을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또는 비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로는 고형 제제 및 액상 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또는 트로키제일 수 있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제제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예로는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등이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제제에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는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파우더 및 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나, 에틸올레이트와 같이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복강내, 직장내, 피하, 정맥, 근육내 또는 흉부내 주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환자의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01 내지 1,000 ㎎/㎏, 구체적으로 0.001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 수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 추출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은 산딸기 미숙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각각의 건조물에 물 또는 알코올을 첨가하여 단독 추출물을 제조하고, 단독 추출물을 상기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은 1 : 0.01~1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1~3 :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산딸기 미숙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건조물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조성물로 추출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자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상기 위장질환은 헬리코박터성 위염, 비헬리코박터성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역류성 식도염, 수술 후 궤양 또는 위점막의 미란, 출혈, 발적 및 부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억제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 모델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또는 비스테로이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조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으므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 모델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또는 비스테로이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조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으므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의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의 생장을 억제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 모델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또는 비스테로이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조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킴을 확인하였으므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위 점막 손상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 또는 약물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알코올성, 또는 비스테로이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조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으므로,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치자 추출물 또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90 중량부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및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추가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향미제,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고, 천연 감미제의 예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이 있다. 한편, 합성 감미제의 예로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서술한 추가성분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스탄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산딸기 미숙과(Rubus crataegifolius, Rubi Fructus) 추출물의 제조
산딸기 미숙과 열매를 동결건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였다. 분말화한 시료 100 g에 에탄올을 10배 첨가하고, 6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최종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이하 RF로 표기)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왕느릅나무( Ulmus macrocarpa )의 유백피 추출물의 제조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을 동결건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였다. 분말화한 시료 100 g에 에탄올을 10배 첨가하고, 상온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최종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이하 UL로 표기)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3> 치자( Gardenia jasminoides ) 추출물의 제조
치자나무 열매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였다. 분말화한 시료 100 g에 증류수를 10배 첨가하고, 6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최종 치자나무 추출물(이하 GJ로 표기)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4> 프로바이오틱스 ( Probiotics ) 배양
경상대 균주 센터(KNRRC)에서 입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를 MRS 배지에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 실험예 1> 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처리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항균 활성 평가
MRS 아가 플레이트(agar plate)에 경상대 의과대학교 미생물 거점은행(KNRRC)에서 분양받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26695, 95-113, 92-82-1, 95-45 및 92-331 균주를 도말하고, 그 위에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추출물(100 ㎍/mL),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과 이의 혼합물을 아가 플레이트 위에 로딩하였다.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성장이 억제되는 구역(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항생제 클래리스로마이신(clarithromycin)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조건
실험군 1 RF (10 ㎍)
실험군 2 UL (10 ㎍)
실험군 3 GJ (10 ㎍)
실험군 4 RF + UL (1:1) (5 ㎍ + 5 ㎍)
실험군 5 RF + UL (1:3) (2.5 ㎍ + 7.5 ㎍)
실험군 6 RF + UL (3: 1) (7.5 ㎍ + 2.5 ㎍)
실험군 7 클래리스로마이신
실험군 8 Pro (프로바이오틱스) (108 CFU)
도 1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5종(26695, 95-113, 92-82-1, 95-45 및 92-331 균주)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추출물(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과 이의 혼합물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5종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나, 치자 추출물(GJ)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은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1:1로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2> 락토바실러스 처리 농도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항균 활성 평가
아가 플레이트(agar plate)에 경상대 의과대학교 미생물 거점은행(KNRRC)에서 분양받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PDEF444-12-1, 26695 및 92-20 균주를 도말하고, 그 위에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107, 106, 105 및 104 CFU(colony forming unit)로 아가 플레이트 위에 로딩하였다.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성장이 억제되는 구역(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처리 농도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3종(PDEF444-12-1, 26695 및 92-20 균주)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3종 모두 락토바실러스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균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프로바이오틱스가 포함된 추출물 처리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항균 활성 평가
아가 플레이트(agar plate)에 경상대 의과대학교 미생물 거점은행(KNRRC)에서 분양받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26695, 95-113, 92-82-1, 95-45 및 92-331 균주를 도말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추출물(1000 ㎍/mL),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과 이의 혼합물을 아가 플레이트에 로딩하였다.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성장이 억제되는 구역(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조건
실험군 1 RF (10 ㎍)
실험군 2 UL (10 ㎍)
실험군 3 RF + Pro (10 ㎍ + 104 CFU)
실험군 4 UL + Pro (10 ㎍ + 104 CFU)
실험군 5 RF + UL + Pro (5 ㎍ + 5 ㎍ + 104 CFU)
도 3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5종(26695, 95-113, 92-82-1, 95-45 및 92-331 균주)에 대한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를 첨가하였을 때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Pro)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 및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Pro)을 모두 혼합한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 실험예 4>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
표 3에 나타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를 108 CFU값 으로 배양한 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추출물,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과 이의 혼합물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배양액에 각각 혼합하였다. 이를 배지 아가 플레이트에 도말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성장이 70% 이상 억제되는 각 추출물 또는 혼합물의 농도(MIC70)를 구하였다.
MIC70 (㎍/mL)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주명 RF
UL
GA
RF+UL
(1:1)
RF+Pro
(105 CFU)
UL+Pro
(105 CFU)
RF+UL+Pro
(RF:UL=
1:1,
Pro: 105 CFU)
클래리스로마이신
51 150 300 >500 75 100 250 75 <1
52 150 350 >500 75 100 250 50 <1
26695 200 350 >500 100 100 250 75 <1
SS1 150 300 >500 75 100 200 50 <1
92-20 150 300 >500 75 75 200 50 <1
92-30 150 300 >500 75 75 250 50 <1
92-33-1 200 350 >500 100 100 250 75 <1
92-82-1 200 350 >500 100 100 300 75 <1
95-113 200 300 >500 150 100 250 75 <1
95-45 150 300 >500 100 100 200 50 <1
PDEF444-12-1 150 300 >500 100 100 150 75 <1
11종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의 MIC70는 150~200 mg/mL 이고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의 MIC70는 300~350 mg/mL 이었으나, 치자 추출물(GJ)는 거의 항균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은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가 상승하였다.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에 각각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Pro)을 첨가한 경우에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딸기 미숙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을 모두 혼합한 경우(RF+UL+Pr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51 균주를 제외한 모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주에서 다른 실험군보다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딸기 미숙과, 왕누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가지며, 추출물은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혼합하여 처리하거나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항균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5>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 H. pylori ) 감염 동물모델에서의 추출물 및 혼합물의 항균 효과
Balb/c 마우스를 안정화시킨 후 도 4와 같이 2일 간격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2 × 108 CFU로 3회 투여하였다. 투여 4주 후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여부를 실험군의 마우스 일부의 위를 적출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배양 및 위 조직 실험(histology)을 통해 확인한 다음, 4주 동안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물과 이의 혼합물을 구강투여하였다. 4주 동안의 추출물 및 혼합물의 처리가 완료되면, 마우스의 위를 적출하여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균을 계산하였다.
대조군 2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8주) 실험군은 도 4의 헬리코박터 감염 유도 기간을 4주 대신 8주 동안 수행한 것이고, 대조군 3의 아목시실린, 클래리스로마이신 및 오메프라졸은 추출물 대신에 처리된 것이다.
실험군 처리 조건 위에서 검출된 균수
Log10CFU
대조군 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4주)
2.0 × 108 CFU 2.1 ×105
대조군 2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8주)
2.0 × 108 CFU 7.7 ×107
대조군 3 아목시실린(AMX) +
클래리스로마이신(CLM) +
오메프라졸(OMP)
138 + 30 + 30 mg/kg 8.2 ×102
실험군 1 RF 150 mg/kg 7.5 ×103
실험군 2 UL 150 mg/kg 4.3 ×104
실험군 3 GJ 150 mg/kg 3.2 ×105
실험군 4 RF+UL 75 + 75 mg/kg 4.8 ×103
실험군 5 RF+GJ 75 + 75 mg/kg 7.6 ×103
실험군 6 RF+UL+GJ 50 + 50 + 50 mg/kg 5.7 ×103
실험군 7 RF+UL+GJ+Pro 50 + 50 + 50 mg/kg
+ 105 CFU
2.3 ×103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서 추출물 및 혼합물의 항균 효과를 살펴보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 중에서는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의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자 추출물(GJ)의 항균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한 실험군 중에서는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RF+UL)을 혼합한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추출물은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항균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Pro)을 첨가한 실험군 7(RF+UL+GJ+Pro)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첨가함으로써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서도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RF)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UL)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추출물은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혼합하여 처리하거나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항균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6>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서의 추출물 및 혼합물의 항염증 효과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Balb/c 마우스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감염시킨 후, 실험예 5에서의 동일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위를 적출하여 위 조직의 염증 지수(inflammatory score)를 측정하였다. 염증 지수는 백혈구(WBC), C 반응성 단백질(CRP), 적혈구 침강 속도(ESR), 종양괴사인자 수용체1(TNFR1) 및 종양괴사인자 수용체2(TNFR2)를 측정한 후에 염증 정도를 0-5 사이로 규정지었다.
도 5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시 위의 염증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염증 지수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한 실험군 4(RF+UL), 실험군 6(RF+UL+GJ) 및 실험군 7(RF+UL+GJ+Pro)에서의 염증 지수는 양성 대조군인 대조군 3의 염증 지수 수준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3인 치자 추출물(GJ)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따른 염증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7>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서의 추출물 및 혼합물의 위 손상 회복 효과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Balb/c 마우스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감염시킨 후, 실험예 5에서의 동일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위를 적출하여 위 조직을 H&E 염색하였다. 염색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지수(histology score)를 도출하였다. 조직 지수는 세포의 섬유(fibre) 구조, 핵의 원형도(roundness) 및 세포 수를 계수하여 결정하였다.
도 6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동물모델에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시 H&E 염색된 위 조직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실험군 6(RF+UL+GJ) 및 실험군6(RF+UL+GJ+Pro)은 거의 정상 조직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조직 회복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3인 치자 추출물(GJ)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따른 위 손상 조직의 회복하는 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8> 알코올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의 추출물 및 혼합물의 위 손상 회복 효과
4주령의 SPF 수컷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일간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30~40 g인 건강한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실험군별로 7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는 상태에서 24시간 절식시킨 후,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추출물 및 이의 혼합물을 표 5에 나타낸 조건대로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30분 후 150 mM HCl 용액에 65%의 에탄올을 제조하여, 1마리 당 65% 에탄올을 1.0 mL 씩 경구 투여하여 1시간 동안 위손상이 유발되도록 하였다. 1시간 후 마우스의 위를 적출하여 2%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시켰다. 고정된 위는 대만부를 따라 절개한 후에 육안으로 위손상을 관찰하고, 위궤양의 길이를 측정한 위궤양 지수(lesion index)와 위궤양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대조군은 추출물 대신 물을 투여하였다.
그룹 시료명 투여 물질 투여량 (mg/kg) 위궤양 지수
(lesion index, mm)
의궤양
억제율(%)
A



Aa 대조군 - 133.26 ± 16.94 -
Ab 시메티딘
(cimetidine)
100 20.33 ± 23.73 84.75
Ac RF 150 94.97 ± 8.05 29.29
Ad UL 150 108.48 ± 11.51 19.23
Ae GJ 150 91.77 ± 6.77 31.11
B



Ba 대조군 - 110.38 ± 15.10 -
Bb 시메티딘
(cimetidine)
100 22.64 ± 11.06 79.51
Bc RF+UL 75 + 75 48.73 ± 6.46 55.27
Bd RF+GJ 75 + 75 25.13 ± 4.37 77.23
Be UL+GJ 75 + 75 53.23 ± 2.69 53.23
C


Ca 대조군 - 105.37 ± 6.77 -
Cb 시메티딘
(cimetidine)
150 18.88 ± 19.88 82.08
Cc RF+UL+GJ 50 + 50 + 50 23.34 ± 9.11 78.04
Cd RF+UL+GJ+Pro 50 + 50 + 50 + 105 CFU/mL 16.53 ± 5.79 84.76
표 5 및 도 7은 알코올로 손상된 위 조직에 대한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시 회복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5 및 도 7을 참고하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 위 보호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가지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보다 3가지 추출물을 모두 혼합하는 경우에 위 보호 효과가 증가하였고, 3가지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 양성 대조군인 시메티딘의 위궤양 억제율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3가지 추출물보다 3가지 추출물에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을 혼합한 경우가 위 보호 효과가 더 높았다.
따라서 산딸기 미숙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치자 추출물은 알코올성 위손상을 막는 데 효과적이며,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또는 추출물에 프로바이오틱스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위 손상 보호 효과를 더 상승시킬 수 있다.
< 실험예 9> 스트레스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의 추출물 및 혼합물의 위 손상 회복 효과
4주령의 SPF 수컷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일간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30~40 g인 건강한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실험군별로 7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후,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추출물 및 이의 혼합물의 표 6에 나타낸 조건대로 경구 투여하였다. 40분 후 마우스를 케이지에 넣고 머리만 공기에 노출되도록 하여 6시간 동안 방치시켰다. 마우스의 위를 적출하여 1%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시켰다. 고정된 위는 대만부를 따라 절개한 후에 육안으로 위 손상을 관찰하고, 위궤양의 길이를 측정한 위궤양 지수(lesion index)와 위궤양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대조군은 추출물 대신 물을 투여하였다.
그룹 투여 물질 투여량 (mg/kg) 위궤양 지수
(lesion index, mm)
의궤양
억제율(%)
A



대조군 - 120.22 ± 8.27 -
스티렌
(stillen)
20 21.32 ± 4.56 82.26
RF 150 78.14 ± 7.23 35.00
UL 150 97.82 ± 3.21 18.63
GJ 150 81.67 ± 8.71 32.12
B



대조군 - 131.37 ± 6.23 -
스티렌
(stillen)
20 27.78 ± 5.14 75.86
RF+UL 75 + 75 59.11 ± 4.91 55.46
RF+GJ 75 + 75 29.37 ± 2.58 77.64
C


대조군 - 127.18 ± 4.23 -
스티렌
(stillen)
100 30.37 ± 3.23 76.12
RF+UL+GJ 50 + 50 + 50 28.17 ± 7.37 77.85
RF+UL+GJ+Pro 50 + 50 + 50 + 105 CFU/mL 20.37 ± 6.51 84.25
표 6은 스트레스로 손상된 위 조직에 대한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시 회복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6을 참고하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 위 보호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과 치자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RF+GJ)와 세 가지 추출물을 모두 혼합한 경우(RF+UL+GJ)에 위 보호 효과가 크게 상승하여, 양성 대조군인 스티렌과 비슷한 위궤양 억제율을 보였다. 또한 전체 실험군 중 3가지 추출물에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을 혼합한 경우(RF+UL+GJ+Pro)가 위 보호 효과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산딸기 미숙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치자 추출물은 스트레스성 위손상을 막는 데 효과적이며,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또는 추출물에 프로바이오틱스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위 손상 보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 실험예 10> 비스테로이드성 위 손상 동물모델에서의 추출물 및 혼합물의 위 손상 회복 효과
4주령의 SPF 수컷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일간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30~40 g인 건강한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실험군별로 7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후,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추출물 및 이의 혼합물을 표 7에 나타낸 조건대로 경구 투여하였다. 1시간 후 인도메타신(70 mg/kg)를 경구 투여하고 1시간 동안 방치시켜 위 손상을 유발시켰다. 마우스의 위를 적출하여 1%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시켰다. 고정된 위는 대만부를 따라 절개한 후에 육안으로 위 손상을 관찰하고, 위궤양의 길이를 측정한 위궤양 지수(lesion index)와 위궤양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대조군은 추출물 대신 물을 투여하였다.
그룹 투여 물질 투여량 (mg/kg) 위궤양 지수
(lesion index, mm)
의궤양
억제율(%)
A



대조군 - 124.26 ± 7.97 -
시메티딘
(cimetidine)
100 21.58 ± 3.92 82.63
RF 150 76.69 ± 2.37 38.28
UL 150 102.35 ± 2.16 17.63
GJ 150 64.36 ± 7.73 51.8
B



대조군 - 108.78 ± 6.45 -
시메티딘
(cimetidine)
100 13.89 ± 7.23 87.23
RF+UL 75 + 75 62.79 ± 4.23 42.27
RF+GJ 75 + 75 39.91 ± 2.73 68.79
C


대조군 - 117.23 ± 4.92 -
시메티딘
(cimetidine)
100 16.14 ± 2.23 86.23
RF+UL+GJ 50 + 50 + 50 19.09 ± 7.23 83.71
RF+UL+GJ+Pro 50 + 50 + 50 + 105 CFU/mL 8.94 ± 2.73 92.37
표 7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로 손상된 위 조직에 대한 추출물 및 혼합물 처리 시 회복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7을 참고하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 위 보호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과 왕누릅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RF+UL)와 세 가지 추출물을 모두 혼합한 경우(RF+UL+GJ)에 위 보호 효과가 크게 상승하여, 양성 대조군인 시메티딘과 비슷한 의궤양 억제율을 보였다. 또한 전체 실험군 중 3가지 추출물에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을 혼합한 경우(RF+UL+GJ+Pro)가 위 보호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기존 치료제인 시메티딘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딸기 미숙과,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치자 추출물은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을 막는 데 효과적이며,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또는 추출물에 프로바이오틱스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위 손상 보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 점막 손상, 스트레스성 위 점막 손상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의한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알코올성 위 점막 손상, 스트레스성 위 점막 손상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의한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 점막 손상, 스트레스성 위 점막 손상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의한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알코올성 위 점막 손상, 스트레스성 위 점막 손상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의한 위 점막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68075A 2017-12-14 2018-06-14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31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4194 WO2019117486A1 (ko) 2017-12-14 2018-11-19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2044 2017-12-14
KR1020170172044 2017-12-14
KR20180001140 2018-01-04
KR1020180001140 2018-01-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128A Division KR20190141563A (ko) 2017-12-14 2018-06-14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556B1 true KR101931556B1 (ko) 2018-12-21

Family

ID=6495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075A KR101931556B1 (ko) 2017-12-14 2018-06-14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78A (ko)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네이처텍 왕느릅나무 및 모링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78A (ko)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네이처텍 왕느릅나무 및 모링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839329B2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感染症の管理のための組成物
KR101756775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2093A (ko)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052B1 (ko) 양배추를 포함하는 위장질환 개선용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208751B1 (ko)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7932A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101931556B1 (ko)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3713081A (zh) 林蛙抗菌肽在制备抗幽门螺旋杆菌药物中的应用
KR20090050295A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1125B1 (ko) 복합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성 위염을 포함한 위장관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WO2019117486A1 (ko)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2641097A (zh) 一种对胃粘膜损伤有辅助保护作用的组合物及应用
KR20190141563A (ko) 산딸기 미숙과 추출물 및 왕느릅나무의 유백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054121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및 위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63933B1 (ko) 가자 추출물과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브리오 패혈증 개선용 조성물
KR101521446B1 (ko)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KR101282356B1 (ko) 오가피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2429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46493B1 (ko) 식물의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578665B1 (ko) 위장질환 환자를 위한 생약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590150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90151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