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323B1 -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323B1
KR101931323B1 KR1020180023133A KR20180023133A KR101931323B1 KR 101931323 B1 KR101931323 B1 KR 101931323B1 KR 1020180023133 A KR1020180023133 A KR 1020180023133A KR 20180023133 A KR20180023133 A KR 20180023133A KR 101931323 B1 KR101931323 B1 KR 10193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vibration
valve
mold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미
조두혁
유주현
Original Assignee
최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미 filed Critical 최정미
Priority to KR102018002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23B1/ko
Priority to PCT/KR2019/002086 priority patent/WO20191642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not applied
    • B29C39/08Introduc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not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4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44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8Using vibrations during moulding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하 개시된 내용은,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터플라이 밸브 등에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라이닝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밸브를 합성수지로 라이닝하기 위한 금형과, 밸브와 금형이 안착되는 작업테이블을 포함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있어서, 작업테이블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 및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회전부는 진동부에 의한 작업테이블의 진동과 이시에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SYNTHETIC LESIN LINING APPARATUS FOR WATER PIPE}
이하 개시된 내용은,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터플라이 밸브 등에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라이닝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밸브는 유체를 통하게 하거나 차단 또는 제어하기 위해 통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의 대표적인 예로는 가정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도관에 설치되는 상수도관 밸브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 밸브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수도관 내의 수질의 상태에 의해 부식이나 마모가 일어나기 마련이다. 종래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 내면에 페인트 처리를 하였으나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여 최근에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라이닝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은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이 좋은 소재로서 밸브에 라이닝 되었을 때 밸브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등의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라이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금형이 이용되는데, 밸브의 내면과 금형 사이에 라이닝 할 공간을 형성한 다음 액상의 합성수지를 주입한 후 고형화시키 인서트 사출성형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4310호의 밸브나 배관 내면에 고분자화합물을 라이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4310호의 밸브나 배관 내면에 고분자화합물을 라이닝하는 방법에 의하면, 밸브의 부식이나 마모를 방지하여 밸브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이닝과정에서 금형을 회전시킴으로써 액상의 합성수지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방지하고 그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원심력에 의해 금형 내의 액상의 합성수지가 외측으로 힘을 받을 때 외측 부분의 미세한 기포들은 그대로 남게 되어 회전축과 근접한 내측 부분과 상대적으로 원의 중심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측부분 사이에는 기포의 불균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액상의 합성수지가 경화되었을 때 내측 부분과 외측부분에 밀도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7-0034310 A
개시된 내용의 목적은, 작업테이블에 회전과 진동을 이시 또는 동시 인가함으로써 기포의 불균등과 밸브몸체 내의 라이닝층의 밀도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표시창의 하한눈금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과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라이닝되는 제품마다 기포제거율을 동일하게 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밸브를 합성수지로 라이닝하기 위한 금형과, 밸브와 금형이 안착되는 작업테이블을 포함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있어서, 작업테이블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 및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회전부는 진동부에 의한 작업테이블의 진동과 이시에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작업테이블의 저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지점에 진동을 인가하며, 각각의 진동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진동발생부와 접촉되고 타단은 작업테이블의 저면에 접촉되어 진동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작업테이블에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는, 작업테이블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모터샤프트에 연결되며 작업테이블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결합구와, 구동모터를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상승시켜 결합구가 작업테이블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밸브를 합성수지로 라이닝하기 위한 금형과, 밸브와 금형이 안착되는 작업테이블을 포함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있어서, 작업테이블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 및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회전부는 상기 진동부에 의한 작업테이블의 진동과 동시에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작업테이블에 회전과 진동을 이시 또는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기포의 불균등과 밸브몸체 내의 라이닝층의 밀도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성능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표시창의 하한눈금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과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라이닝되는 제품마다 기포제거율을 동일하게 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금형부분의 종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진동발생부의 개략적 분해도.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진동발생의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작업테이블의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a)는 저면 사시도, (b)는 A-A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작업테이블의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금형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진동발생부의 개략적 분해도이며,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진동발생의 사시도이며,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작업테이블의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a)는 저면 사시도, (b)는 A-A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밸브를 합성수지로 라이닝하기 위한 금형과, 밸브와 금형이 안착되는 작업테이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는 볼밸브, 버터플라이밸브,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 등 다양한 밸브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버터플라이밸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라이닝을 위한 합성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형은 제1금형(220)과 제2 금형(240)으로 이루어지며, 금형과 버터플라이밸브의 밸브몸체(10)의 내측면과 사이에는 액상의 합성수지가 충진될 수 있도록 성형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공간이 밸브몸체(10)의 내측면과 금형 사이에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밸브몸체(10)의 외측면과 금형 사이에도 합성수지 라이닝을 위한 성형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밸브의 종류에 따라 다른 부분에도 성형공간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작업테이블(120)에 버터플라이밸브의 밸브몸체(10)가 수평으로 위치할 경우, 제1금형(220)은 도면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금형이고, 제2금형(240)은 하부에 위치하는 금형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금형(220, 240)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볼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금형(220)의 상단부에는 액상의 합성수지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주입구(260)는 액상의 합성수지가 금형에 주입될 때 그 들어간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주입구(260)에는 상한눈금(262a)과 하한눈금(262b)이 표시된 표시창(26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한눈금(262a)은 액상의 합성수지가 주입되었을 때의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하한눈금(262b)은 액상의 합성수지에서 기포가 빠져나갔을 때의 나중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작업테이블(12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300)와,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작업테이블(12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30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작업테이블(120)의 저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지점에 진동을 인가한다. 이때, 진동부(300)는 바람직하게는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진동부(300)는 진동발생부(340)와, 진동전달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4b를 참조하면, 진동발생부(340)는 작업테이블(120)에 진동을 인가하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입설되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341)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을 예로 들었으나 원통형상 등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면은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가 설치되는 공장이나 작업소의 바닥면 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진동발생부(340)는 보빈(342)과, 보빈(342)의 외면을 따라 권취되는 자기유도코일(342a)과, 자기유도코일(342a)에 의해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자성체(343)와, 자성체(343)의 저면에 접촉되어 자성체(343)의 상하 이동을 보강하는 탄성부재(3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340)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자성체보호캡(3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342)은 속이 빈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은 하우징(341)의 하판(341b)에 고정되고, 그 외면에는 자기유도코일(342a)이 권취되며, 그 내부에는 탄성부재(345), 자성체(343) 및 자성체보호캡(344)이 차례대로 하에서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41)의 상판(341a)에는 자성체를 감싸는 자성체보호캡(344)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1)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 진동될 수 있도록 캡노출공(341c)이 형성될 수 있다.
자기유도코일(342a)에 교류전류가 인가되면 유도기전력이 발생되는데, 이 유도기전력의 방향은 교류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그 방향이 상하 전환된다. 이에 따라 자성체(343)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진동전달부재(320)의 하단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이때 자성체(343)의 하부에 위치한 탄성부재(345)에 의해 자성체(343)의 진동이 증폭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테이블(120)에 인가되는 진동의 세기와 주기를 조절하기 위해 주파수 변환부와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320)는 진동발생부(34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작업테이블(12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그 일단은 진동발생부(340)와 접촉되고 타단은 작업테이블(120)의 저면에 접촉된다.
진동전달부재(32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각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400)는 구동모터(420)와, 결합구(426)와, 승강부(460)를 포함하며, 진동부(300)에 의한 작업테이블(120)의 진동과 이시, 즉 시간적 차이를 두고 작업테이블(12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420)는 작업테이블(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작업테이블(120)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승강부(460)에 의해 승강되어 제1지점과 제2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420)가 제1지점에 위치할 때에는 결합구(426)가 작업테이블(12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제2지점에 위치할 때에는 결합구(426)가 상승되어 작업테이블(120)의 저면과 결합된 후 작업테이블(120)을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작업테이블(120)이 진동부(300)에 의해 진동할 때에는 구동모터(420)를 제1 지점에 위치시켜 작업테이블(120)의 진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작업테이블(120)을 회전시킬 때에는 구동모터(420)를 제2 지점에 위치시키고 진동전달부재(320)는 작업테이블(120)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작업테이블(120)이 회전운동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합구(426)는 구동모터(420)의 모터샤프트(422)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모터샤프트(422)에 핀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구(426)는 구동모터(420)의 승강에 의해 작업테이블(12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에 위치할 수도 있고 작업테이블(120)의 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승강부(460)는 구동모터(420)를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구동모터(420)를 상승시켜 결합구(426)가 작업테이블(120)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승강부(460)는 밸브의 하중을 고려하여 유압실린더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모터(42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420)와 유압실린더 사이에는 모터지지플레이트(4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테이블(12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활한 회전운동을 위해 원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작업테이블(10)의 상면에는 금형 및 밸브몸체(1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지그(120a)가 설치될수 있다.
작업테이블(120)의 저면 중심부에는 모터샤프트(422)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결합홈(122)의 주변으로는 진동전달부재(32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환형홈(124)의 폭은 진동전달부재(320)의 폭과 일치하거나 근소한 차이로 더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터샤프트(422)는 작업테이블(120)의 저면에 직접 끼움결합될 수도 있지만 상술한 결합구(426)를 매개로 하여 작업테이블(120)의 저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426)와 결합홈(122)은 모터샤프트(422)의 회전에 의해 작업테이블(1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작업테이블(120)에 환형홈이 없는 경우 진동전달부재(320)가 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진동하였을 때 작업테이블(120)이 좌우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모터샤프트(422)에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환형홈(124)이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작업테이블(120)이 회전부에 의해 단순히 회전만 하도록 구성되었는데, 이 경우 금형 내 액상의 합성수지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힘을 받고 이 과정에서 액상의 합성수지 내에 존재하던 작은 기포들은 회전축 방향으로 밀려나와 주입구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원심력에 의해 액상의 합성수지가 외측으로 밀려날 때 미세한 기포들은 그대로 남게 되어 회전축과 근접한 내측 부분과 상대적으로 원의 중심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측부분 사이에는 기포의 불균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액상의 합성수지가 경화되었을 때 내측 부분과 외측부분에 밀도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테이블(120)에 회전과 진동을 순차적 또는 교대로 인가함으로써 금형의 내측과 외측에 균일한 외압을 가할 수 있고 그 결과 기포의 불균등과 밸브몸체(10) 내의 라이닝층의 밀도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성능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표시창(262)의 하한눈금(262b)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과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라이닝되는 제품마다 기포제거율을 동일하게 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구성 중 작업테이블의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7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밸브를 합성수지로 라이닝하기 위한 금형과, 상기 밸브와 금형이 안착되는 작업테이블(140)을 포함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있어서, 작업테이블(14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300)와, 작업테이블(140)을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300)는, 일 실시예의 진동부(300)와 동일하게,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작업테이블(140)의 저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지점에 진동을 인가하며, 각각의 진동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340)와, 진동발생부(34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작업테이블(140)에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발생부(340)의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바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진동전달부재(320)는, 진동발생부(34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작업테이블(14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일 실시예의 진동전달부재(320)와 동일하게, 바람직하게는 사각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은 진동발생부(340)와 접촉되고 타단은 작업테이블(14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일 실시예와 달리 작업테이블(140)의 진동과 회전이 함께 이루어지고, 회전구동부에 승강부(460)가 존재하지 않는바 일 실시예의 진동전달부재(320)보다는 더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회전부(400)는 작업테이블(140)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420)와, 구동모터(420)의 모터샤프트(422)에 연결되며 작업테이블(140)의 저면에 결합되어 구동모터(420)의 회전력을 작업테이블(140)에 전달하는 결합구(426)를 포함하며, 진동부(300)에 의한 작업테이블(140)의 진동과 동시에 작업테이블(14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회동부는 승강부(460)의 구성 유무와 구동모터(420)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회전부(400)의 구성과 동일한바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작업테이블(140)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판형태로 제작되며, 작업테이블(140)의 저면 중심부에는 모터샤프트(422)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의 주변으로는 진동전달부재(32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샤프트(422)는 작업테이블(140)의 저면에 직접 끼움결합될 수도 있지만 결합구를 매개로 하여 작업테이블(140)의 저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구와 결합홈은 모터샤프트(422)의 회전에 의해 작업테이블(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일 실시예와 달리 작업테이블(140) 저면에 형성된 환형홈(144)에 다수의 니들롤러(148)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니들롤러(148)는 다수의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된 롤러브라켓(1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니들롤러(148)에는 상술한 진동전달부재(320)의 상단면이 접촉되는데, 회전구동부(400)에 의해 작업테이블(140)이 회전하더라도 이 니들롤러(148)의 회전에 의해 진동전달부재(320)와 작업테이블(140)간에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고 작업테이블(140)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작업테이블에 회전과 진동을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진동과 회전가 순차 또는 교차로 이루어는 일 실시예와 달리, 기포제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화가 덜 진행된 상태에서 진동과 회전에 의해 기포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이고, 8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는, 도 8a 및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10)를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합성수지 라이닝을 진행할 수 있다.
작업테이블(120)에 버터플라이밸브의 밸브몸체(10)가 수직으로 위치할 경우, 제1 및 제2금형(220, 240)으로 이루어진 금형과 밸브몸체(10)의 내측면 사이에는 밸브몸체(10)가 수평으로 위치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라이닝을 위한 성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260)가 제1 및 제2 금형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이때, 주입구(260)에는 밸브몸체(10)가 상한눈금(262a)과 하한눈금(262b)이 표시된 표시창(262)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작업테이블(120)이 회전부(400)에 의해 단순히 회전만 하도록 구성되어, 밸브몸체(10)가 수직으로 위치할 경우 성형공간에 상하부 높이 차이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성형공간의 상측 부분의 액상수지에 존재하는 기포는 잘 제거되었으나 하측 부분의 기포는 잘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라이닝 과정에서 회전과 진동을 이시 또는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성형공간 내의 상하부 높이 차이에 상관없이 합성수지 내의 기포를 골고루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밸브몸체 120, 140: 작업테이블
122, 142: 결합홈 124, 144: 환형홈
146: 롤러브라켓 148: 니들롤러
220: 제1금형 240: 제2금형
260: 주입구 262: 표시창
262a: 상한눈금 262b: 하한눈금
300: 진동부 320: 진동전달부재
340: 진동발생부 342: 보빈
342a: 자기유도코일 343: 자성체
344: 자성체보호캡 345: 탄성부재
400: 회전부 420: 구동모터
422: 모터샤프트 426: 결합구
440: 모터지지플레이트 460: 승강부

Claims (13)

  1. 밸브를 합성수지로 라이닝하기 위한 금형과, 상기 밸브와 금형이 안착되는 작업테이블을 포함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 및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진동부에 의한 상기 작업테이블의 진동과 이시에 상기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며,
    상기 진동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지점에 진동을 인가하며,
    각각의 상기 진동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진동발생부와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상기 작업테이블에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바닥면에 입설되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저면이 상기 하우징의 하판에 고정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면을 따라 권취되는 자기유도코일과, 상기 자기유도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상판에 형성된 캡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 진동되는 자성체보호캡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작업테이블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결합구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상승시켜 상기 결합구가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 중심부에는 상기 모터샤프트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주변으로는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자성체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자성체의 상하 이동을 보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진동부에 의해 상기 작업테이블이 진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가 제2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홈의 폭은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폭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9. 밸브를 합성수지로 라이닝하기 위한 금형과, 상기 밸브와 금형이 안착되는 작업테이블을 포함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 및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진동부에 의한 상기 작업테이블의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작업테이블을 회전시키며,
    상기 진동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지점에 진동을 인가하며,
    각각의 상기 진동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진동발생부와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상기 작업테이블에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바닥면에 입설되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저면이 상기 하우징의 하판에 고정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면을 따라 권취되는 자기유도코일과, 상기 자기유도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상판에 형성된 캡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 진동되는 자성체보호캡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작업테이블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작업테이블에 전달하는 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테이블의 저면 중심부에는 상기 모터샤프트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주변으로는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환형홈에는 다수의 니들롤러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버터플라이밸브이며,
    상기 작업테이블에는 버터플라이밸브의 밸브몸체가 수평으로 위치하고,
    상기 금형은 제1금형과 제2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형과 상기 상기 밸브몸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금형의 상단부에는 액상의 합성수지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에는 상한눈금과 하한눈금이 표시된 표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1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버터플라이밸브이며,
    상기 작업테이블에는 버터플라이밸브의 밸브몸체가 수직으로 위치하고,
    상기 금형은 제1금형과 제2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형과 상기 밸브몸체의 내측면 사이에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상단부에는 각각 액상의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에는 상한눈금과 하한눈금이 표시된 표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KR1020180023133A 2018-02-26 2018-02-26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KR10193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33A KR101931323B1 (ko) 2018-02-26 2018-02-26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PCT/KR2019/002086 WO2019164269A1 (ko) 2018-02-26 2019-02-20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33A KR101931323B1 (ko) 2018-02-26 2018-02-26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323B1 true KR101931323B1 (ko) 2018-12-20

Family

ID=6495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133A KR101931323B1 (ko) 2018-02-26 2018-02-26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1323B1 (ko)
WO (1) WO20191642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69A1 (ko) * 2018-02-26 2019-08-29 최정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5870A (zh) * 2020-10-15 2021-01-15 北京理工大学 一种免粘接聚氨酯衬模的制备方法
CN114311454A (zh) * 2021-12-03 2022-04-12 西安电子工程研究所 一种弹载电子设备抗高过载振动灌封装置及灌封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759Y1 (ko) * 2001-02-28 2001-09-26 최돈희 진동발생기
JP2009160811A (ja) 2008-01-07 2009-07-23 National Printing Bureau ワイピングローラ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478B1 (ko) * 2011-01-28 2013-07-26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내오존용 폴리우레탄 라이닝 버터플라이밸브의 제조 방법
KR20120110364A (ko) * 2011-03-29 2012-10-10 송진수 폴리머관 원심.진동형 복합성형기
KR20170034310A (ko) *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솔브 밸브나 배관 내면에 고분자화합물을 라이닝하는 방법
KR101931323B1 (ko) * 2018-02-26 2018-12-20 최정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759Y1 (ko) * 2001-02-28 2001-09-26 최돈희 진동발생기
JP2009160811A (ja) 2008-01-07 2009-07-23 National Printing Bureau ワイピングローラ成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69A1 (ko) * 2018-02-26 2019-08-29 최정미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4269A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323B1 (ko) 밸브용 합성수지 라이닝장치
CN105328157B (zh) 一种用于物理模拟的立式离心铸造系统
CN105127391A (zh) 新型立式离心浇铸机
JPS5922120B2 (ja) 目的物を位置決めし且支持する方法及び装置
CN204867334U (zh) 新型立式离心浇铸机
CN115921786A (zh) 一种金属连续浇铸装置及方法
CN113458734B (zh) 一种自平衡电梯曳引轮及其生产方法
CN108971475B (zh) 一种使用门式自动浇铸机进行浇铸的方法
CN113182501A (zh) 一种水平旋转离心铸造磨球的模具装置及磨球成形方法
CN217751998U (zh) 一种用于混凝土预制管道浇筑的设备
CN113070462A (zh) 一种铝合金汽车轮毂低压铸造成型方法
CN211199299U (zh) 行走轮淬火装置
RU22356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CN114311450A (zh) 一种钢衬尼龙管加工用离心浇筑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368514B1 (ko)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 플랜지용 블랭크의 주조장치
JP2010131835A (ja) 鋳鉄管外装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鋳鉄管外装コンクリートの施工装置
CN208214149U (zh) 一种钢筋弯曲机
KR200246445Y1 (ko)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CN111468686A (zh) 一种泵体消失模铸造成型工艺
KR102310324B1 (ko) 링 타입 트랜스듀서의 오일충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링 타입 트랜스듀서의 오일충진 방법
JP5262302B2 (ja) 加硫金型の型締め装置
CN113954232B (zh) 管状砼结构的施工方法
JP3051052B2 (ja) 鋳造用上ノズルのモルタル塗布装置とその塗布方法
CN103697167A (zh) 回转式钢丝吊绳密封装置及其密封套的制作方法
KR20120110364A (ko) 폴리머관 원심.진동형 복합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