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445Y1 -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445Y1
KR200246445Y1 KR2020010018294U KR20010018294U KR200246445Y1 KR 200246445 Y1 KR200246445 Y1 KR 200246445Y1 KR 2020010018294 U KR2020010018294 U KR 2020010018294U KR 20010018294 U KR20010018294 U KR 20010018294U KR 200246445 Y1 KR200246445 Y1 KR 200246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cooling
unit
passag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평균
Original Assignee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8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445Y1/ko

Links

Landscapes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형의 온도가 균일해짐으로써 발생되는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심 주조기에 있어서,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압축공기 발생부에 연결된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 노즐이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하고, 냉각수 공급부에 구비된 호스가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가변 냉각부와, 공기 발생부에 연결된 덕트가 하부금형의 상측을 공냉시키도록 구비된 고정 냉각부를 갖는 외부 냉각부와, 내부를 관통 하도록 구비된 '

Description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cooling device of centrifugal casting}
본 고안은 원통주형 내에 용탕을 넣고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주형 내면에 압착 응고가 되도록 하여 관(管), 실린더 라이너(cylinder liner), 피스톤 링 (piston ring), 브레이크링(brake ring), 차륜(車輪), 전기전열판 등과 같은 중공주물(中空鑄物)을 얻는 과정에서 하부금형의 가장자리와 중앙 부근의 온도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축공기나 물을 이용하여 금형의 중앙을 냉각시켜 온도가 균일해지도록 함으로써 온도의 불균일로 인해 발생되는 제품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물을 만들 때는 용융 금속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주형(鑄型)속에 흘려 보내는데, 이 방법으로는 용융 금속이 구석구석까지 도달하지 않아 형태가 복잡한 주물이나 미세한 주물의 경우에 많은 불량품이 제조되는 원인이 있었다.
이같은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주형을 배치하고, 반지름 방향으로 유로(流路)를 만들어 놓아 용융금속이 원판의 중심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고, 원판을 회전시켜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가압하면서 주조품을 얻는 원심 주조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원심 주조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11)를 갖는 박스형태의 몸체(110)와, 공간부(111)로 내설된 모터(121)에 연결된 회전축 (122)의 하단에 커플링(123)을 구비하고, 커플링(123)에 하부 실린더(124)를 연결시켜 회전축(122)을 상하로 왕복운동 시키는 작동부(120)와, 회전축(122)의 상단으로 주조된 제품을 용이하게 인출시키도록 구비된 인출핀(131)을 갖는 함체부(132)에 고정된 하부금형(130)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축(141)의 상단으로 구비된 패널(142)에 상부 실린더(143)를 구비하고, 플레이트(144)의 모서리 부분이 가이드축(141)에 끼워진 상태로 복수개의 수직바(145)(145a)와 수평바(146)로 이루어진 연결구(147)의 하단이 플레이트(144)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부 실린더(143)의 하단에 수평바(146)가 고정되도록 몸체 (110)의 윗면에 구비된 가압수단(140)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고정나사(151)를 갖는 브라켓(152)에 고정되는 주입구(153)가 플레이트 (144)의 윗면 중앙에 구비되도록 하고, 주입구(153)의 하단이 위치하는 플레이트 (144)의 밑면에 탄성부재(154)와 트러스트 베어링(156)을 개재하여 구비된 상부금형(150)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몸체(110)의 공간부(111)로 내설된 것으로, 유압펌프(161)의 흡입측에 구비된 저장탱크(162)와, 유압펌프(161)의 토출측에 제어밸브(163)(163a)를 개재하여 상,하부 실린더(143)(124)에 연결된 파이프 라인(164)을 갖는 유압구동부(160)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121)와 유압구동부(16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170)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부(120)를 구성하는 모터(121)와 회전축(122)의 연결은 통상의 V벨트 풀리(121a)와 V벨트(121b)로 연결하고, 회전축(122)은 몸체(110)의 윗면 내측 을 관통하는 부위는 레이디얼 베어링(122a)을 개재하고, 커플링(12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위는 트러스트 베어링(122b)을 개재하여 하부금형(130)의 무게를 충분히 받치면서 원활한 회전이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부 실린더(124)에 구비된 커플링(123)은 두부분으로 나뉘어져 볼트 (123a)로 고정된 것으로 상부 커플링의 내측에는 회전축(122)의 하단부에 이탈방지용 너트(123b)로 트러스트 베어링(122b)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고, 하부 커플링은 하부 실린더(124)의 로드에 조임너트(123c)로 고정되어 있다.
하부금형(130)은 상부가 오픈된 가장자리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플렌지 (132a)를 가지며 그 일측면이 개방되고 중앙 하단으로 중공인 축(132b)이 일체로 구비된 함체부(132)에 볼트(132c)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완성된 제품을 하부금형(130) 밖으로 인출시키는 인출핀(131)이 함체부 (132)의 중앙에 구비된 상태로 하부금형(13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인출핀 (131)은 회전축(122)의 상하 작동에 연동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심주조기를 이용하여 주조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우선 상부금형(150)이 하부금형(130)의 윗면으로 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스위치부(170)를 조작하면 유압구동부(160)의 유압펌프(161)가 회전하면서 저장탱크(162)의 오일을 압축시키게 된다.
다음 제어밸브(163)가 오픈되면 압축된 오일은 파이프 라인(164)을 통해 상부 실린더(143)로 유입됨으로써 로드와 연결된 수평바(146)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수직바(145)(145a)에 연결된 플레이트(144)가 양측의 가이드축(14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상부금형(150)의 밑면이 하부금형(130)의 윗면에 닿게 되고, 작동부(120)의 모터(121)가 구동되면서 V벨트(121b)를 통해 회전축(122)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와 연결된 하부금형(130)이 같이 회전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금속이 녹아있는 용탕을 주입구(153)를 통해 붓는다.
이때 상부금형(150)에 구비된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에 의해 주입된 용탕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트러스트 베어링(156)에 의해 같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구석 구석으로 고르게 퍼지면서 냉각됨으로써 목적하는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부(170)를 통해 유압구동부(160)에 있는 제어밸브(163)를 역방향으로 전환시키게 되면 상부 실린더(143)가 상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플레이트 (144)의 밑면에 구비된 상부금형(150)을 하부금형(130)으로 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하부금형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어밸브(163a)를 통해 하부 실린더 (124)로 오일이 공급되어 커플링(123)과 연결된 회전축(122)이 미소 간격 상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인출핀(131)이 상부금형(150)의 윗면으로 돌출됨에따라 주조된 제품이 상부금형(150)으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분리시킨 다음에 하부 실린더(124)의 역동작으로 인출핀(131)이 상부금형(15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다량의 주물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용탕의 열이 상,하부금형 사이로 전도되는 과정에서 전되된 하부금형의 온도가 상부금형의 온도에 비해 냉각되는 속도가 느리며 특히 하부금형의 가운데 부분의 온도가 제일 높게 되는 원인으로 인해 금형의 온도가 불균일해져 제품의 불량율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폐기처분으로 버려지는 재료의 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비능률적이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부금형의 중앙과 가장 자리에서 발생되는 온도 차이를 물이나 공기 또는 물이 적당량 썩인 공기를 가운데로 분사시켜 냉각 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제품의 불량율을 줄이도록 하고, 아울러 이로 인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도록 한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공간부로 하부 실린더에 커플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을 갖는 작동부와, 몸체의 윗면으로 노출된 회전축에 고정된 하부금형과, 몸체 윗면의 가이드축에 구비된 플레이트가 상부 실린더에 의해 이동 되도록 구비된 가압수단과, 플레이트의 밑면에 하부금형과 맞닿은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금형과, 상,하부 실린더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구동부와, 유압구동부와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원심 주조기에 있어서,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브라켓 윗면으로 얹혀진 압축공기 발생부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 노즐과, 압축공기 발생부의 토출측과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를 연결하는 제 1호스와, 제 2브라켓의 윗면으로 구비된 냉각수 공급부와, 냉각수 공급부와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를 연결하는 제 2호스로를 갖는 가변 냉각부와, 제 1브라켓의 윗면으로 공기 발생부에 연결된 덕트가 하부금형의 상단측을 공냉시키도록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냉각부로 구성된 외부냉각부와; 내부를 관통 하도록 구비된 '' 형태의 유로를 갖는 회전축과, 관통된 축공의 내측면 중앙에 원형유로가 연결유로에 연결되도록 하고, 원형유로와 접한 축공의 상,하단에 리테이너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축의 유로가 원형유로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구비된 연결구와, 제 1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 제 3호스가 압축공기 발생부와 연결유로에 연결된 내부 냉각부와, 상기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 1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가 설치된 원심 주조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냉각장치가 설치된 원심 주조기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냉각장치가 설치된 원심 주조기의 예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심 주조기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몸체 3a:제어부
4:고정 냉각부 5:가변 냉각부
6:외부 냉각부 7:내부 냉각부
8:제 1브라켓 9:공기 발생부
10:덕트 11:압축공기 발생부
12:혼합 솔레노이드 밸브 13:노즐
14:제 1호스 15:제 2브라켓
16:냉각수 공급부 17:제 2호스
18:회전축 19:유로
20:연결구 21:제 1솔레노이드 밸브
22:제 3호스 23:연결유로
24:축공 25:원형유로
26:리테이너 27:베어링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 기술과 연계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심주조기의 냉각장치(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하부금형(2)의 상단측을 공냉시키도록 몸체(3)에 구비된 고정 냉각부(4)와, 수직 이동이 가능한 플레이트(144)의 밑면에 구비된 상부금형(150)을 냉각시키는 가변 냉각부(5)를 갖는 외부 냉각부(6)와, 하부금형(2)의 내측을 냉각시키도록 몸체(3)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 냉각부(7) 및 제어부(3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냉각부(6)를 구성하는 고정 냉각부(4)는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금형(2)의 상단측을 냉각시키는 것으로, 몸체(3)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브라켓(8)과, 제 1브라켓(8)의 윗면에 고정된 공기 발생부(9)와, 공기 발생부(9)에 연결된 덕트(10)의 토출측인 상단부가 하부금형(2)의 상단측으로 공기를 뿜어줄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공기 발생부(9)는 모터에 구동되는 팬으로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신속히 빨아들여 턱트(10)로 내보도록 하는 것으로, 모터로 구동되는 팬은 시로코 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냉각부(6)를 구성하는 가변 냉각부(5)는 가이드축(14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레이트(144)에 설치된 상부금형(150)의 일측에 물과 혼합된 공기를 분사시켜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제 1브라켓(8)의 공기 발생부(9) 옆에 얹혀진 압축공기 발생부(11)와, 플레이트(144)의 일측에 나사 등으로 고정된 혼합 솔레노이브 밸브(12)를 갖는 노즐(13)과, 압축공기 발생부(11)의 토출측과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에 연결된 제 1호스(14)로 구비되어 있어 소정의 압력을 갖는 공기가 노즐(13)을 통해 분사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 1브라켓(8)의 상부로 구비된 제 2브라켓(15)에 얹혀진 냉각수 공급부(16)와, 냉각수 공급부(16)의 토출측과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에 제 2호스(17)가 연결되어 있어 공기와 적정 비율로 혼합된 상태로 상부금형(150)으로 분사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11)는 미도시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셔를 사용하도록 하고, 냉각수 공급부(16)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탱크내에 물이 저장되어 있어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항상 적정량의 물이 제 2호스(17)를 통해 올라오도록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냉각수 공급부(16)로 부터 공기의 압력에 따라 물이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로 유입되도록 하였으나 별도의 송출장치를 사용하여 분사력을 가감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2호스(14)(17)는 높낮이가 가변되는 플레이트(144)에 따라 그 높이를 맞추기 위해 굽힘이 자유로운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냉각부(7)는 모터(121)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8)의 내부로 압축공기 발생부(1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공급하여 상단부에 구비된 하부금형(2)의 하단을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된 '' 형태의 유로(19)를 갖는 회전축(18)과, 회전축(18)의 유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연결구(20)와, 제 1솔레노이드 밸브(21)를 갖는 제 3호스(22)가 압축공기 발생부(11)와 후술하는 연결유로(23)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구(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링형태로, 중앙을 관통하는 축공(24)의 내측면 가운데로 소정 넓이를 갖는 원형유로(25)가 형성되어 있고, 원형유로 (25)의 일측에 외부와 연결되는 관통된 연결유로(2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축공(24)으로 삽입된 회전축(18)과 마찰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상,하단에 리터이너(26)와 베어링(27)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a)에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21)와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부 실린더(143)로 하부금형(2)의 윗면에 상부금형(150)이 덮혀져 가압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44)의 윗면에 구비된 주입구(153)을 통해 용탕을 주입하고, 작동부(120)의 모터(121)로 회전축(18)을 회전시켜 주조품을 얻은 다음 상부금형 (150)을 오픈한 후 인출핀(131)을 작동시켜 주물제품을 꺼냄과 동시에 제어부(3a) 신호로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가 열림으로써 압축공기 발생부(11)로 부터 압축된 공기가 제 1호스(14) 및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냉각수 공급부(16)에 채워진 물이 제 2호스(17)를 통해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로 유입됨으로써 압축된 공기와 함께 혼합된 채로 노즐을 통해 상부금형(150)의 측면으로 뿜어져 냉각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공기 발생부(9)로 흡입된 공기는 덕트(10)를 통해 하부금형(2)의 상단측으로 토출되어 하부금형(130)의 윗면을 냉각시키게 됨과 동시에 제 1솔레노이드 밸브(21)가 제어부(3a)에 의해 오픈됨으로써 압축공기 발생부(11)의 압축된 공기가 제 3호스(22)와 제 1솔레노이드 밸브(21) 및 연결유로(23) 그리고 원형유로 (25)및 회전축(18)에 구비된 유로(19)를 통해 하부금형(2)의 밑면을 동시에 냉각시켜 하부금형(2)의 가장자리와 중앙의 온도를 거의 균일하게 유지된다.
본 고안에서는 외부 냉각부(6)는 소정의 물과 공기가 같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여 상부금형을 냉각시키고, 별도의 공기발생기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금형을 냉각시키도록 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발생부(11)에 연결된 호스(51)에 분기용 솔레노이드 밸브(50)를 구비하고, 분기용 솔레노이드 밸브(50)의 토출측에 덕트(53)를 연결하여 하부금형(2)의 상단 중앙을 직접 냉각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유로(30)와 수집유로(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32)가 내부에 구비된 하부금형(2)과, 내부를 관통 하는 '' 형태로 길이가 상이한 유입유로(33)와 배출유로(34)를 갖는 회전축(35)과, 유입유로 (33)와 배출유로(34)의 단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원형유로(36)(36a)를 일체로 갖는 연결구(37)와, 제 2솔레노이드 밸브(38)를 갖는 제 4호스(39)가 냉각수 공급부(16)와 유입유로(33) 사이에 연결 되도록 하고, 상기 분배유로(30)와 유입유로(33) 사이에 연결된 제 1연결 파이프(40)와, 상기 수집유로(31)와 배출유로(34) 사이에 연결된 제 2연결 파이프(41)를 갖는 내부 냉각부를 구비하여 수냉으로 냉각시킬 경우에는 냉각효율을 더 높여 양질의 주조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유로를 갖는 회전축의 상단부에 팬을 설치하고, 팬을 통해 공급되는 바람이 빠져나갈 수 있는 토출구나 바람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형태를 갖는 핀을 하부금형의 밑면에 구비하여 공냉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축공기나 물을 이용하여 금형의 가운데 부분의 상하부를 냉각시키도록 함으로써 금형의 가장자리와 중앙 부근의 온도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도의 불균일로 인해 발생되는 제품의 불량율을 줄여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도록 하고, 아울러 불량으로 폐기처분되는 재료의 량을 줄여 경제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Claims (4)

  1. 원심 주조기에 있어서,
    몸체(3)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브라켓(8) 윗면으로 얹혀진 압축공기 발생부(11)와,플레이트(144)의 일측으로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를 갖는 노즐(13)과, 압축공기 발생부(11)의 토출측과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를 연결하는 제 1호스(14)와, 제 2브라켓(15)의 윗면으로 구비된 냉각수 공급부(16)와, 냉각수 공급부(16)와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를 연결하는 제 2호스(17)로 구성된 가변 냉각부(5)와, 제 1브라켓(8)의 윗면으로 공기 발생부(9)에 연결된 덕트(10)가 하부금형(130)의 상단측을 공냉시키도록 몸체(3)의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 냉각부(4)를 갖는 외부 냉각부(6)와;
    내부를 관통 하도록 구비된 '' 형태의 유로(19)를 갖는 회전축(18)과, 관통된 축공(24)의 내측면 중앙에 원형유로(25)가 연결유로(23)에 연결되도록 하고, 원형유로(25)와 접한 축공(24)의 상,하단에 리테이너(26)와 베어링(27)을 개재하여 회전축(18)의 유로(19)가 원형유로(25)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구비된 연결구(20)와, 제 1솔레노이드 밸브(21)를 갖는 제 3호스(22)가 압축공기 발생부(11)와 연결유로(23)에 연결된 내부 냉각부(7)와;
    상기 혼합 솔레노이드 밸브(12)와 제 1솔레노이드 밸브(21)를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3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냉각부(6)는 압축공기 발생부(11)에 연결된 분기용 솔레노이드 밸브(50)와 덕트(53)를 통해 하부금형의 상단 중앙을 직접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기의 냉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냉각부는 분배유로(30)와 수집유로(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32)가 내부에 구비된 하부금형(2)과;
    내부를 관통 하는 '' 형태로 길이가 상이한 유입유로(33)와 배출유로(34)를 갖는 회전축(35)과;
    유입유로(33)와 배출유로(34)의 단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원형유로(36)(36a)를 일체로 갖는 연결구(37)와;
    제 2솔레노이드 밸브(38)를 갖는 제 4호스(39)가 냉각수 공급부(16)와 유입유로(33) 사이에 연결 되도록 하고, 상기 분배유로(30)와 유입유로(33) 사이에 연결된 제 1연결 파이프(40)와, 상기 수집유로(31)와 배출유로(34) 사이에 연결된 제 2연결 파이프(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기의 냉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냉각부는 회전축의 상단부에 팬을 설치하고, 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토출구나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다수의 요철형태를갖는 핀 중 어느 하나가 하부금형의 밑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기의 냉각장치.
KR2020010018294U 2001-06-19 2001-06-19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KR200246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94U KR200246445Y1 (ko) 2001-06-19 2001-06-19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94U KR200246445Y1 (ko) 2001-06-19 2001-06-19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445Y1 true KR200246445Y1 (ko) 2001-10-17

Family

ID=7305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294U KR200246445Y1 (ko) 2001-06-19 2001-06-19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44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7B1 (ko) 2011-08-10 2013-12-12 주식회사 세아베스틸 연속 주조용 몰드 파우더 투입장치
KR20160041294A (ko) * 2014-10-07 2016-04-18 정옥희 피스톤펌프 및 피스톤모터용 실린더블록의 라이닝부 형성방법
US9597727B2 (en) 2015-05-14 2017-03-21 Hyundai Motor Company Water cooling apparatus for centrifugal casting equipment
KR101855735B1 (ko) * 2016-06-27 2018-05-10 (주)월드씨앤엠 중공형의 축을 갖는 플랜지형 원심주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7B1 (ko) 2011-08-10 2013-12-12 주식회사 세아베스틸 연속 주조용 몰드 파우더 투입장치
KR20160041294A (ko) * 2014-10-07 2016-04-18 정옥희 피스톤펌프 및 피스톤모터용 실린더블록의 라이닝부 형성방법
KR101635132B1 (ko) * 2014-10-07 2016-06-30 정옥희 피스톤펌프 및 피스톤모터용 실린더블록의 라이닝부 형성방법
US9597727B2 (en) 2015-05-14 2017-03-21 Hyundai Motor Company Water cooling apparatus for centrifugal casting equipment
KR101745087B1 (ko) * 2015-05-14 2017-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심 주조 장치용 수냉식 냉각기
KR101855735B1 (ko) * 2016-06-27 2018-05-10 (주)월드씨앤엠 중공형의 축을 갖는 플랜지형 원심주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234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le blasting using particles of a material that changes its state
KR200246445Y1 (ko) 원심 주조기의 냉각장치
EP0555392A1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CN213701694U (zh) 一种离心式铸造机
CN111468680B (zh) 一种消失模铸造工艺
CN115121403B (zh) 一种铸造大型数控机床消失模涂料喷涂装置
CN112496297A (zh) 一种五金模具成型用压铸设备的加速冷却装置
CN205465660U (zh) 一种适用于大型模具的无齿轮研磨机
KR20100107585A (ko) 압축기 실린더 제작용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CN211614257U (zh) 一种离心铸造模具加工用冷却装置
CN210817414U (zh) 一种门把手铸造设备的浇筑成型装置
CN111482593A (zh) 一种铸造生产线
CN217666320U (zh) 一种用于压铸模的冷却装置
CN216989771U (zh) 一种轮毂成型装置
CN109109266B (zh) 一种电机永磁体的注塑加工设备
CN208895161U (zh) 一种耐用型卧式压铸机料筒
KR20100099086A (ko) 링 원심주조 장치
CN208163427U (zh) 一种喷砂抛光机的喷砂装置
US4861252A (en) Vibrator type concrete pipe making machines having combined lubrication and cooling system
KR101311952B1 (ko)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
CN221018595U (zh) 一种离心浇铸管件的脱模机构
CN213944834U (zh) 一种用于铝合金铸件生产用水平浇铸装置
CN210937089U (zh) 一种铸造车间节能环保降温装置
CN1057415A (zh) 立式离心金属型磨球铸造机
CN215746337U (zh) 一种用于压铸模的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