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145B1 - 절식 보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절식 보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145B1
KR101930145B1 KR1020160183910A KR20160183910A KR101930145B1 KR 101930145 B1 KR101930145 B1 KR 101930145B1 KR 1020160183910 A KR1020160183910 A KR 1020160183910A KR 20160183910 A KR20160183910 A KR 20160183910A KR 101930145 B1 KR101930145 B1 KR 10193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amount
contain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781A (ko
Inventor
신승우
김동환
신현택
오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방비만학회
신승우
김동환
신현택
오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방비만학회, 신승우, 김동환, 신현택, 오달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방비만학회
Priority to KR102016018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1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절식 보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식 보조용 조성물은 비만, 대사증후군 및 각종 염증의 지표들을 감소시키고, 영양 지표를 증가시키며, 간기능, 신기능 및 전해질의 지표를 정상범위로 유지함과 동시에 절식기 동안의 피로도와 불편 자각 증상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절식 보조용 조성물{FASTING SUPPLEM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절식 보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경제발전에 따라 환경오염이나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제품 등에 의해 다양한 화학약품 및 중금속과 같은 독성물질의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각종 사회적, 개인적 요인에 따른 식습관의 변화, 과다한 칼로리 섭취 및 부족한 영양소 등으로 인해 과체중이거나 비만 또는 대사증후군 등의 만성질환을 앓는 인구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각종 식품들을 이용한 식이요법이 있다. 그러나, 식이요법으로 사용되는 즉석식품 중에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첨가되어 있거나, 신체 외부로 독성물질뿐만 아니라, 기초적 필수요소들까지 배출되게 함으로써 신체를 쇠약하게 하는 등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하는 것이 비일비재하다. 또한, 편향된 영양성분만을 섭취하도록 함으로서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신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는 사례도 나타난다.
이를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 최근, 체내 유입된 독성물질만을 적극적으로 배출하면서 체중도 감량할 수 있는 해독(detox)요법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해독요법은 대체(代替)의학의 한 종류로서, 단식(fasting), 장 세척, 간 세척, 커피 관장, 미네랄 및 비타민과 같은 미량원소를 보충하는 영양요법 등이 대표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비만치료의 주된 요법 또는 보조요법 등으로 함께 사용되고 있다(Shin SU et al., J Korean Orient Assoc Study Obes. 3(1): 25-35, 2003).
이중, 단식(斷食)은 가장 오래된 해독요법으로서, 옛날부터 종교적인 목적, 정신수양의 방법, 질병 치유 등의 목적으로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 단식은 일정기간 동안 의식적으로 곡식의 섭취 등을 집중적으로 제한하여 단기간 내에 생체의 빠른 변화를 이끌어내는 등 여러 가지 임상 연구를 통해서도 그 치료 효과가 일정부분 규명되었기 때문에 민간요법의 차원을 벗어나 치료의학의 한 분야로 활용되고 있다. 단식의 잘 알려진 의학적 효능으로는 비만, 호흡기 질환(비염 및 천식), 자가면역질환(류마티스), 만성통증증후군, 대사증후군(고혈압, 당뇨 및 고지혈증) 및 우울증 등의 치료나, 만성 퇴행성 및 염증질환의 완화 및 예방, 신경 내분비 활성화, 항스트레스, 항산화, 항노화, 자식작용(autophagy) 등이 있다.
단식을 임상에 적용할 때에는 식이 제한에 따른 명현(瞑眩) 현상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준비기, 단식기, 회복식기 및 식이요법기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며 단식기간 동안 체내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장 세척, 냉온욕, 풍욕, 도인안교 및 유산소 운동 등의 보조요법들을 병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치료과정을 단식과 구분지어‘절식요법(節食療法, fasting therapy 또는 pinotherapy)’이라고도 한다(Fukuda H et al., Stem Cells 24(3): 763-771, 2006; David R et al., Stem Cells 23(4): 77-82, 2005). 한편, 근래에는 단식 중 물만을 섭취하였을 때의 부작용인 신체 피로도의 증가, 두통· 현훈·구토와 같은 명현현상, 전해질 손실, 케톤증(ketosis) 유발, 근육량 감소 등의 부작용을 최대한 완화시키면서도 치료 효과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단식기 동안 생수 이외에 야채 효소, 꿀, 한천, 곡물 발효식 등의 열량 섭취를 일부 허용(250 내지 500 kcal)하기도 하며, 이를 구분지어,‘단식’대신 '절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이와 관련된 일련의 치료과정을‘변형된 절식요법(modified fasting therapy)’이라고 구분짓기도 한다(Korean Association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Text book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nd ed., Seoul : Koonja Publisher, 2005: 376-84.).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단식의 치료효과를 제고(提高)하면서 단식의 부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던 중, 본 발명에 따른 절식 보조용 조성물을 절식기간 동안 섭취하면, 단식기 동안에 나타나는 문제점인 신체 피로도의 증가, 전해질의 불균형 등을 최소화하면서 비만, 대사증후군 및 각종 염증의 지표들을 감소시키고, 영양 지표를 증가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Shin SU et al., J Korean Orient Assoc Study Obes. 3(1): 25-35, 2003 Korean Association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Text book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nd ed. Seoul : Koonja Publisher. 376-84, 2005
본 발명의 목적은 약재 혼합 추출물, 매실,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을 포함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실, 진피, 사인, 생강과(生薑科), 맥문동, 오미자, 인삼,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을 포함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진피, 사인, 생강과(生薑科), 맥문동, 오미자 및 인삼의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혼합 추출물, 매실,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을 혼합하여 정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매실, 진피, 사인, 생강과(生薑科), 맥문동, 오미자, 인삼,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을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식 보조용 조성물은 비만, 대사증후군 및 각종 염증의 지표들을 감소시키고, 영양 지표를 증가시키며, 간기능, 신기능 및 전해질의 지표를 정상범위로 유지함과 동시에 피로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절식 보조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매실, 진피, 사인, 생강과(生薑科), 맥문동, 오미자, 인삼,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을 포함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절식" 또는 "절식요법"은 식사를 삼가는 것 또는 이를 통해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도모하는 치료법을 의미한다. 보통 준비기, 절식기, 회복식기 및 식이요법기 등 크게 네 단계로 나뉘어지며, 절식기간 동안에 행해지는 모든 의학적 치료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절식요법을 장기간 지속하기 위해 적당량의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 및 수분 등을 섭취하며, 최소한의 당질을 섭취할 수 있다.
매실(Prunus mune)은 지름 2 내지 3 ㎝인 둥근 핵과로, 익은 정도에 따라 청매와 황매로 구분하고 오매(烏梅)는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에 딴 미숙한 청매의 껍질과 씨를 벗겨 짚불 연기에 그을린 후 햇빛에 말려 검게 만들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한방에서는 매실을 건위, 지갈(止渴), 피로회복, 살균, 구충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알려진 성분으로는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 등의 유기산이 있으며, Ca, Na, Mg 및 P 등의 무기질을 비롯하여 terpenoid류와 flavonoid가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 항피로, 항염증,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매실은 단식기 동안에 나타나는 신체 피로도의 감소, 전해질 보충 및 해독(항염증, 항산화, 간기능 회복)효과를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매실은 당업계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매실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실은 오매육, 청매실 및 황매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황매실일 수 있다. 상기 매실은 추출액, 발효액 또는 착즙액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실은 발효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실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 7 내지 15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피(陳皮)는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인 귤의 숙과피를 건조시킨 것으로서, 채취 후 1년 정도 경과하여 향기가 강한 것을 약재로 사용할 수 있다. 알려진 주성분으로는 정유, 헤스베리딘 및 비타민 C 등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비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기능을 강화시키고 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노폐물 배출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또한, 소화촉진,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지질대사 촉진 및 항비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진피는 절식기 동안에 저하될 수 있는 위장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지질대사 촉진 및 항비만 효과를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진피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인(沙仁·砂仁)은 생강과에 속한 양춘사, 해남사 또는 축사의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껍질을 제거한 것으로 알려진 주성분으로는 d-camphor, d-borneol, bornyl acetate 및 nerolidol 등이 있다. 한방에서 사인은 위장기능을 활성화하여 소화를 돕고 진정시키는 데에 사용하며, 항당뇨, 항알러지, 위장기능 활성, 항염증 및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인은 절식기 동안에 저하될 수 있는 위장기능을 활성화하여 배출을 촉진시키고 해독(항산화, 간보호)효과의 증진을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사인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강과(生薑科)는 생강목의 여러해살이풀일 수 있다. 주로 열매 및 뿌리를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며, 알려진 주성분으로는 zingiberol, xingiberene, phellandrene, camphene 및 citral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방에서는 생강을 감기로 인한 오한·발열·두통, 위 기능 약화에 따른 구토, 해수·객담, 냉증완화 및 약물의 해독 등에 주로 사용하며 최근 생강이 항염증, 항산화, 체내지질저하 효과,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감소 및 배출 촉진, 위장기능개선 및 체온저하 억제효과를 가짐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 생강은 지방질의 섭취제한으로 나타날 수 있는 간내 콜레스테롤 대사저하를 해소하고, 신진대사 감소에 따른 체온의 저하를 억제하고, 해독(항염증, 항산화)효과의 증진을 위해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당업계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생강과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생강과는 생강, 울금, 초과, 및 강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생강과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맥문동(麥門冬)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주로 뿌리를 약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의 성분으로는 steroidalglycoside A-H, homoisoflavone, ophioside 및 kaempferol-3-glucogalactoside 등이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주로 진해, 거담, 소염, 항당뇨, 자율신경실조개선, 자양강장 및 면역증진 등을 위해 사용되며, 최근, 맥문동이 혈당강하작용, 항염증, 항알러지, 간기능보호, 지질대사 촉진 및 파골세포 분화억제와 관련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 맥문동은 절식기 동안 칼슘섭취 부족으로 나타날 수 있는 골밀도감소 억제, 항당뇨, 항알러지 및 해독(항염증)효과 증진을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맥문동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미자(五味子)는 목련과에 속하는 오미자 또는 화중오미자의 완전히 익은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서, 시잔드린, 고미신, 시트럴, 사과산 및 시트르산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방에서는 오미자를 면역증진과 자양강장의 목적으로 해수, 천식 및 발한(發汗)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최근 연구를 통해, 오미자가 항염증, 항산화, 파골세포 분화억제, 항노화 및 지구력증진의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졌다. 본 발명에서 오미자는 절식기 동안의 신체피로도 감소, 칼슘섭취 제한에 의한 골다공증 예방 및 해독(항염증, 항산화)효과의 증진을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오미자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5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삼(人蔘)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주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할 수 있다. 잘 알려진 성분으로 사포닌 등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주로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및 설사 등에 사용한다. 또한, 최근 연구를 통해, 인삼의 항산화, 항당뇨, 항암, 심혈관계 개선, 항피로, 항스트레스, 항비만 및 면역증강의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 인삼은 절식기 동안의 신체피로도의 감소, 신진대사 활성, 식이감소에 따른 면역기능 저하방지 및 해독(항산화)효과의 증진을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인삼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식 보조용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앞서, 절식 보조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재들의 혼합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맥문동, 진피, 오미자, 사인, 생강 및 인삼을 각각 (2 내지 4) : (1 내지 3) : (0.5 내지 2.5) :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은 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거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혼합 추출액은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냉침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 15 내지 30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3 내지 5회, 구체적으로는 3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단풍나무수액은 절식요법기간 동안 영양 섭취의 제한으로 발행하는 전해질 부족에 따른 대사 기능 저하 등의 생리기능 이상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단풍나무수액은 망간, 리보플라빈, 아연, 마그네슘, 칼슘, 포타슘 및 당 등 미네랄과 전해질 등을 풍부하게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풍나무수액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40 중량부, 구체적으로, 18 내지 35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청은 쌀을 원료로 한 올리고당 형태로 제조된 조청으로서, 위에서 소화되지 않고 장내에 도달하여 유익균의 먹이가 되어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식이 제한 중에 장 기능의 저하로 유발되는 변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조청은 구체적으로 이소말토 올리고당, 프락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자일로 올리고당, 말토 올리고당 또는 혼합 올리고당일 수 있다. 이중 이소말토 올리고당이 타 올리고당들에 비해 장 기능 활성화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조청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4 내지 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너지원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원 물질은 음식 섭취를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족한 신체 에너지를 보충해줄 수 있는 물질이면 어떤 물질이든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너지원 물질은 식물 발효액일 수 있다. 상기 물질은 약산성으로서 식이 제한 중 pH의 개선을 통해 장내 유익균의 조성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식물 발효액은 민들레, 뽕잎, 소엽, 약쑥, 익모초, 서양민들레, 솔잎, 망초, 미나리, 칡, 갈대, 다래나무, 산국, 엉겅퀴, 질경이, 더덕, 도라지, 수영, 연잎, 왕고들빼기, 찔레꽃, 한삼덩굴, 냉이, 달래, 황기, 흰민들레, 고들빼기, 쇠뜨기, 쇠비름, 씀바귀, 음나무, 생강나무, 참취, 사철쑥, 마타리, 개똥쑥, 오갈피나무 및 산초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효액일 수 있다. 상기 식물 발효액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발효시켜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실험 대상자들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을 섭취하면서 10일 동안 절식하였을 때, 비만관련지표인 체중 및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표 5 참조) 대사증후군 관련지표인 중성지방, 혈압, 허리둘레 및 공복혈당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5, 6, 8 참조). 또한, 염증관련 검사 결과, 고반응성 C-reactive 단백질(hs-CRP) 및 C-reactive 단백질(CRP)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표 9 참조), 식이제한을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지표에 해당하는 총단백, 알부민 및 헤모글로빈(혈색소)은 오히려 유의하게 상승하고(표 7, 8 참조), 이와 동시에, 간기능, 신기능 및 전해질지표 등을 포함한 생화학적 검사에서 얻은 모든 지표의 평균값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여 본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표 8 참조). 한편, 절식기 전후로 시행된 신체피로도 및 불편자각증상(명현현상) 설문조사결과, 식사제한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절식기 후 피로도가 오히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표 11 참조), 단식의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두통, 어지러움 또는 구토와 같은 불편자각증상 또한, 절식기 전후로 차이가 없어 본 발명의 절식 보조용 조성물을 섭취하면서 절식하였을 경우, 단식 후 나타나는 명현현상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표 11 및 1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절식요법의 보조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진피, 사인, 생강과(生薑科), 맥문동, 오미자 및 인삼의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혼합 추출물, 매실,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을 혼합하여 정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각 재료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계 2)에는 에너지원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너지원 물질로서 식물 발효액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혼합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냉침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일 수 있다. 이때,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 15 내지 30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3 내지 5회, 구체적으로는 3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정치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치는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진피, 사인, 생강, 맥문동 뿌리, 오미자 및 인삼을 세척 후 추출기에 정제수와 함께 첨가한 뒤, 9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물을 살균 후 여과한 다음, 상기의 여과물을 황매실 발효액과 산야초추출발효액의 혼합물에 단풍나무수액 및 쌀 올리고당과 함께 넣어 혼합하였으며,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한 뒤 여과하여 절식용 보조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매실, 진피, 사인, 생강과(生薑科), 맥문동, 오미자, 인삼,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을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보조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절식 보조제의 제조
<1-1> 한방 추출액의 제조
우선, 절식 보조제에 포함되는 약재들의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80 kg의 절식 보조제의 제조를 기준으로 하여 4 kg의 진피, 2 kg의 사인, 2 kg의 생강, 6 kg의 맥문동 뿌리, 3 kg의 오미자 및 2 kg의 인삼을 세척하였다(한의유통(주), 대한민국). 세척한 약재를 추출기에 투입하고 76 ℓ의 정제수를 첨가한 뒤, 9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된 추출물을 100℃에서 10분간 살균하였고, 이때, 스팀을 사용하여 열공급을 하였다. 살균된 한방 추출액을 254 μm의 포어사이즈를 갖는 100메쉬(mesh)의 필터로 여과한 후 1/4로 농축하여 용기에 보관하였다.
<1-2> 절식 보조제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한방 추출액을 이용하여 절식 보조제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산야초추출발효액(봄들에 핀(주), 대한민국) 및 황매실 발효액(자연향기(주), 대한민국)을 칭량하여 혼합하고, 이를 100℃에서 10분간 살균한 후 냉각 처리하였다. 살균시 온도가 80℃에 이를 때부터 잔존하는 에탄올이 제거될 수 있도록 에어아웃(airout) 밸브를 개방하여 공기를 주입하였다. 냉각 후 여액의 온도가 40℃도 이하로 감소하면, 상기 <1-1>에서 제조한 한방 추출액, 단풍나무수액(L.B. Maple Treat corp. 캐나다) 및 쌀 올리고당(청정원(주), 대한민국)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를 5 μm의 포어사이즈를 갖는 필터로 여과하여 절식 보조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절식 보조제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영양성분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재료 비율(%)
단풍나무수액 25
황매실 발효액 10
쌀 올리고당(조청) 5
맥문동 3.3
진피 2.2
오미자 1.7
사인 1.1
생강 1.1
인삼 1.1
산야초추출발효액 49.5
전체중량 100 100
영양성분 제공량
칼로리 (kcal) 70.1
탄수화물 (g) 17.36
당 (g) 14.57
단백질 (g) 0.07
총 지방 (g) 0.04
포화지방 (g) 0
트랜스지방 (g) 0
콜레스테롤 (mg) 0
염분 (mg) 0.61
절식 보조제 30ml당
< 실험 1 > 절식 보조제의 효능 확인
<1-1> 실험 대상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비만치료를 받기 위해 지역 한의원 3곳에 내원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23 kg/m2 이상의 한국인 과체중ㆍ비만환자를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절식 보조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 전에 절식요법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만 18세 미만의 성장기 환자, 60세 이상의 고령환자, 임신ㆍ수유부, 빈혈ㆍ저혈압ㆍ담석증ㆍ결핵ㆍ위십이지장 궤양ㆍ거식증 환자,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환자,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수축기 혈압 >160 mmHg 또는 이완기 혈압 >100 mmHg), 신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혈청 크레아티닌 >2.0 mg/dl), 간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ALT) >정상 상한치의 2.5배)는 절식요법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리고 상기 기준을 통과한 환자 중에서도 최근 6개월 이내에 다른 비만치료를 받은 환자는 실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 결과, 실험 대상자는 총 33명이었으며, 실험 대상자의 연령 분포 및 비만도를 각각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실험 대상자의 연령 분포로는 20대가 11명(33.3%), 30대가 6명(18.2%), 40대가 11명(33.3%), 50대가 5명(15.2%)이었으며, 성별 분포로는 여성이 16명(48.5%), 남성이 17명(51.5%)이었다(표 3). 또한, 연구대상자의 비만도를 BMI에 따라 분류하면 과체중(BMI가 23 내지 24.9 kg/m2)이 7명(21.2%), 비만(BMI가 25 내지 29.9 kg/m2)이 18명(54.5%), 고도비만(BMI, ≥30 kg/m2)이 8명(24.2%)이었다(표 4).

나이

성별

총합(%)
여성(%) 남성(%)
20∼29 7(21.2) 4(12.1) 11(33.3)
30∼39 2(6.1) 4(12.1) 6(18.2)
40∼49 3(9.1) 8(24.2) 11(33.3)
50∼59 4(12.1) 1(3.0) 5(15.2)
총합 16(48.5) 17(51.5) 33(100)
BMI(kg/m2)
성별

총합(%)
여성(%) 남성(%)
과체중(23∼24.9) 7(21.2%) (0.0%) 7(21.2%)
비만(25∼29.9) 8(24.2%) 10(30.3%) 18(54.5%)
고도비만(≥30) 1(3.0%) 7(21.2%) 8(24.2%)
총합 16(48.5%) 17(51.5%) 33(100%)
<1-2> 절식
절식요법은 2일간의 준비기, 10일간의 절식기 및 3일간의 회복식기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이후 15 내지 30일간의 식이요법기를 가졌다. 절식요법을 시행하는 동안에는 근육의 소실을 방지하고 기초대사량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 40분씩의 유산소 운동을 수행하였고, 식욕억제 및 저작기능(咀嚼機能)을 유지하고 구내 청량감을 제공하기 위해 하루 6개 이하의 자일리톨 껌(5 kcal/개)을 허용하였다.
우선, 준비기(2일) 동안에는 식사량을 줄이지는 않았으나 카페인, 육식, 음주를 제한하고 과식은 피하도록 하였다. 절식기(10일) 동안에는 매일 절식 보조제 180 ml를 30 ml씩 총 6회(아침, 아침과 점심 사이, 점심, 점심과 저녁 사이, 저녁, 저녁과 취침 사이) 음용하도록 하였으며, 기호에 따라 5 내지 10배 가량 물에 희석하여 섭취하도록 하였다. 1일 총 섭취 칼로리는 420.6 kcal이며, 수분 섭취량은 최소 2.5 ℓ 이상을 유지하였다. 회복식기(3일)의 첫째 날에는 생쌀 300 g을 사용하여 제조한 죽과 함께 식사를 약 1,200 kcal에 맞추어 섭취하도록 하고, 둘째 날부터 진밥과 함께 식사를 약 1,500 kcal, 셋째 날에는 약 1,800 kcal(정상식사량의 약 2/3)에 맞추어 서서히 늘리도록 하였다. 또한, 회복식기의 첫째 날에는 반드시 무염식을 하고 이후에는 저염식을 하였다.
절식기 시작 -7일에서 -1일까지 절식요법에 대한 적합성 검사와 더불어, 1차 검사(베이스라인 검사)를 시행하였고, 절식요법의 효과 판정을 위해 절식기 직후인 회복식기 1일 차에 2차 검사를 시행하였다.
<1-3> 신체계측 및 체성분 검사
절식 보조제의 섭취 전, 후에 따른 신체 변화 및 체성분 변화를 검사하였다.
먼저, 체성분 검사는 VENUS 5.5(자원메디칼,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키, 체중, 허리둘레, BMI, 체지방량, 근육량, 제지방량, 체지방률, 허리엉덩이 비율, 기초대사량 및 내장지방레벨을 조사 항목으로 하였으며, 절식기 전, 후 실험 대상자들의 체중, 허리둘레 및 체성분 검사의 지표항목을 paired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중, 허리둘레, BMI, 체지방량 등과 같은 모든 신체지표와 기초대사량이 감소하였다. 한편, 내장지방레벨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표 5).
변수 절식 전 절식 후 변화 p-값
체중(kg) 79.21±14.25 73.75±13.43 -5.45±1.13*** <0.001
허리둘레(cm) 89.75±10.64 82.46±10.57 -7.28±4.81*** <0.001
BMI(kg/m2) 27.9±3.44 26.01±3.29 -1.89±0.41*** <0.001
체지방량(kg) 25.23±5.4 22.97±5.07 -2.26±0.91*** <0.001
근육량(kg) 49.48±9.89 46.58±9.25 -2.89±1.26*** <0.001
제지방량(kg) 53.97±10.67 50.78±9.98 -3.19±1.30*** <0.001
체지방률(%) 31.98±4.17 31.24±4.09 -0.75±1.02*** <0.001
허리 엉덩이 비율 0.91±0.08 0.9±0.08 -0.01±0.01** 0.003
내장지방레벨 12.52±2.84 11.61±3.33 -0.91±2.59 0.052
기초대사량(kcal) 1,388.55±220.51 1,346.55±207.33 -42±21.12*** <0.001
**, *** P <0.01와 P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
<1-4> 혈압 검사
혈압 검사는 절식기 전, 후에 실험 대상자들을 5분 이상 안정시킨 후, FT-500R PLUS(자원메디칼,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표 6). 한편, 수분 및 염분만을 섭취하며 5일 동안 단식(fasting)을 수행하였을 때의 기존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단식 후 수축기 혈압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이완기 혈압만 평균 약 1-3 mmHg 정도 유의적으로 낮아짐이 보고된 바 있다(조성일 외, 단식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정의학회지 15권 12호 1995).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10일 간의 절식기 동안 절식 보조제를 섭취함으로써 더욱 유의적으로 혈압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변수 절식 전 절식 후 변화 p-값
수축기 혈압(mmHg) 124.36±16.36 113.52±14.34 -10.85±14.61*** <0.001
이완기 혈압(mmHg) 76.85±10 73.33±9.6 -3.52±8.03* 0.017
*, *** P <0.05와 P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
<1-5> 혈액 검사
먼저, 절식기 전, 후 실험 대상자들의 전혈구 및 백혈구 분획 검사는 BC5800(MINDRAY, 대한민국)을 사용하여 백혈구, 적혈구, 헤모글로빈(혈색소), 적혈구용적, 혈소판 및 세분화된 백혈구 분획(호염기구, 호산구,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을 측정하였다.
한편, 혈액 생화학적 검사는 실험 대상자들을 8시간 이상 공복하도록 한 후, AU680(Beckman Coulter, 미국)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공복 혈당,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크레아틴, 총 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알부민, 글로블린, 총 빌리루빈, 직접(direct)빌리루빈,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γ-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아제(γ-GTP),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P),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 중성지방, Na+, K+ 및 Ca2+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AU680(Beckman Coulter, 미국)를 사용하여 절식기 전, 후 실험 대상자들의 염증관련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고반응성 C-reactive 단백질(hs-CRP), C-reactive 단백질(CRP), 적혈구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혈구 및 백혈구 분획 검사결과, 적혈구, 헤모글로빈(혈색소) 및 적혈구용적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백혈구 및 호산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전혈구 및 백혈구 분획검사에서 얻은 모든 지표의 평균값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표 7). 한편, 수분 및 염분만을 섭취하며 5일 동안 단식을 수행한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단식 후 헤모글로빈 수치는 증가(약 1 g/dl)하나 적혈구용적의 수치는 감소함(약 1 g/dl)이 보고된 바 있다(조성일 외, 단식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정의학회지 15권 12호 1995).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10일 동안의 절식기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절식 보조제를 섭취함으로써 헤모글로빈 및 적혈구용적 등의 수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산소 공급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변수 일반범위 절식 전 절식 후 변화 p-값
적혈구(×106/μl) 4∼5.2 4.84±0.48 5.02±0.42 0.18±0.24*** <0.001
헤모글로빈(g/dl) 13∼16.5 14.50±1.41 15.07±1.16 0.57±0.64*** <0.001
적혈구용적(%) 36∼47 44.17±4.23 45.81±3.59 1.64±2.23*** <0.001
혈소판(×103/μl) 150∼400 251.15±43.41 251.24±41.23 0.09±26.42 0.984
백혈구(×103/μl) 4.5∼10 7.18±1.48 6.03±1.9 -1.15±1.58*** <0.001
호염구(%) 0∼3 0.56±0.26 0.55±0.25 -0.01±0.33 0.916
호산구(%) 0∼5 2.93±1.58 2.31±1.26 -0.62±1.38* 0.014
호중구(%) 47∼79.5 55.71±6.53 54.67±9.64 -1.04±10.02 0.555
림프구(%) 15∼45 33.73±6.34 34.80±8.47 1.07±8.71 0.487
단핵구(%) 2∼10 7.06±1.68 7.67±1.62 0.60±1.95 0.084
*, *** P <0.05와 P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
한편,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생화학적 검사 결과, 절식 후에영양학적 지표에 해당하는 총 단백질, 알부민, 글로블린의 수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절식 후에 ALT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γ-GTP 및 혈액요소질소(BUN)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총 빌리루빈, 직접빌리루빈 및 크레아틴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BUN/크레아틴 비율(B/C) 및 공복 혈당은 절식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총 콜레스테롤 또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또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및 중성지방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아울러, 전해질 지표인 Na+ 및 K+는 절식 후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Ca2 +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절식기 후, 생화학적 검사에서 얻은 모든 지표의 평균값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표 8). 한편, 수분 및 염분만을 섭취하며 5일 동안 단식을 수행한 기존의 연구결과에서는, 총 단백질 및 알부민이 유의성은 없었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이 보고되었다(조성일 외, 단식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정의학회지 15권 12호 1995).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10일 동안의 절식기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절식 보조제를 섭취함으로써 상기 수치가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절식기동안 체내 영양을 유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문헌의 연구결과에는 단식에 의해 체내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ALT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γ-GTP는 변하지 않음이 보고된 바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절식 보조제를 섭취하면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ALT 및 r-GTP 수치가 유의적 감소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참가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변수 일반범위 절식 전 절식 후 변화 p-값
총단백질(g/dl) 6∼8.5 7.29±0.36 7.79±0.37 0.49±0.45*** <0.001
알부민(g/dl) 3.5∼5 4.58±0.2 4.88±0.25 0.3±0.23*** <0.001
글로불린(g/dl) 1.5∼3.5 2.72±0.32 2.91±0.33 0.19±0.37** 0.005
AST(IU/L) 0∼40 24.88±8.41 28.91±8.48 4.03±7.4** 0.004
ALT(IU/L) 0∼40 37.94±23.69 35.94±19.71 -2.0013.27 0.393
γ-GTP(IU/L) 11∼63 40.52±30.53 29.88±18.93 -10.64±12.82*** <0.001
ALP(IU/L) 30∼115 70.73±15.31 74.36±15.66 3.64±12.23 0.097
총 빌리루빈(mg/dl) 0.2∼1.5 0.48±0.21 0.95±0.46 0.47±0.39*** <0.001
직접빌리루빈(mg/dl) 0.0∼0.5 0.20±0.06 0.38±0.13 0.17±0.13*** <0.001
BUN(mg/dl) 7∼26 13.64±3.29 8.98±4.18 -4.66±4.97*** <0.001
크레아틴(mg/dl) 0.5∼1.5 0.91±0.18 1.07±0.18 0.16±0.10*** <0.001
BUN/크레아틴 비율 7∼29 14.88±3.86 8.03±3.92 -6.85±5.21*** <0.001
공복혈당(mg/dl) 70∼110 99.21±11.18 92.52±10.9 -6.70±13.19** 0.006
총 콜레스테롤(mg/dl) 130∼230 210.58±40.79 209.42±43.56 -1.15±29.11 0.822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mg/dl)
35∼99 56.12±14.91 46.61±11.64 -9.52±8.55*** <0.001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mg/dl)
45∼150 124.61±43.33 145.55±43.55 20.94±30.88*** <0.001
중성지방(mg/dl) 30∼200 150.7±105.17 90.67±65.24 -60.09±65.22*** <0.001
Na+(mg/dl) 137∼150 138.52±1.37 137.64±2.29 -0.88±2.64 0.065
K+(mg/dl) 3.6∼5.0 4.26±0.36 4.18±0.39 -0.08±0.34 0.164
Ca2 +(mg/dl) 7.5∼12.1 9.17±0.35 9.56±0.46 0.39±0.52*** <0.001
**, *** P <0.01와 P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
아울러,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반응성 C-reactive 단백질(hs-CRP) 및 C-reactive 단백질(CRP)은 절식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적혈구침강속도(ESR)는 절식기 전, 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표 9).
변수 일반범위 절식 전 절식 후 변화 p-값
hs-CRP (mg/L) <1.0 0.33±0.54 0.14±0.17 -0.19±0.44* 0.016
CRP (mg/L) <5 1.63±1.77 0.92±0.65 -0.71±1.72* 0.023
적혈구침강속도(mm/h) 0∼14 8.82±4.25 9.97±6.67 1.15±5.5 0.237
* P <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
<1-6> 소변 검사
절식기 전, 후 실험 대상자들의 소변 검사를 수행하였다. 유로메터720(에스디,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소변을 분석하였고, 구체적으로 글루코즈(당), 케톤, 단백질, 아질산염,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잠재출혈(occult blood), 백혈구, 적혈구, pH 및 비중을 측정하였다. 각 항목의 결과판정은‘-’는 0, ‘±’는 0.5, ‘+’는 1, ‘++’는 2, ‘+++’는 3, ‘++++’는 4로 정량화시키는 방법으로 절식기 전, 후의 결과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식 후, 케톤 및 우로빌리노겐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표 10).
변수 일반범위 절식 전 절식 후 변화 p-값
글루코즈(포도당) 0 0.36±1.17 0.03±0.12 -0.33±1.13 0.100
케톤 0 0.32±0.73 1.50±1.08 1.18±1.39*** <0.001
단백질 0 0.36±0.99 0.27±0.40 -0.09±1.06 0.683
아질산 0 0.00±0.00 0.00±0.00 0.00±0.00 1.000
요 빌리루빈 0 0.00±0.00 0.00±0.00 0.00±0.00 1.000
우로빌리노겐 0∼1 0.00±0.00 0.73±0.88 0.73±0.88*** <0.001
요 잠재출혈 0 0.23±0.57 0.42±0.86 0.20±1.00 0.282
요 백혈구/HPF 0∼4 2.03±2.23 2.76±3.86 0.73±4.19 0.327
요 적혈구/HPF 0∼1 1.67±2.48 2.70±3.90 1.03±4.47 0.195
요 pH 5.0∼8.5 6.02±0.63 5.82±0.37 -0.20±0.71 0.119
요 비중 1.005∼1.030 1.022±0.005 1.021±0.006 -0.001±0.007 0.447
HPF:high power field
*** P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
<1-7> 설문 검사
절식기 전, 후 실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피로도 설문지(revised Chalder’s fatigue scale) 및 자각증상 설문지(rating scale for subjective symptoms)를 작성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로도 설문지는 신체적 피로 7문항과 정신적 피로 4문항,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피로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4단계로 구분된 척도(평소에 비해 좋다=1점, 평소와 비슷하다=2점, 평소에 비해 못하다=3점 및 평소에 비해 훨씬 못하다=4점)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자각증상 설문지는 절식기 동안에 나타날 수 있는 8종의 불편자각증상(공복감, 어지러움, 속쓰림, 두통, 울렁거림, 속이 더부룩함, 불면 및 피부발진)을 평가하기 위해 5단계로 구분된 척도(없음=1점, 가벼움=2점, 중간=3점, 심함=4점 및 매우 심함=5점)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식 후 피로도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항목별로,‘휴식이 더 많이 필요하십니까?’,‘졸리는 증상이 있으십니까?’,‘새로운 일을 시작하는데 어렵거나 힘이 드십니까?’ 및‘기억력이 떨어지십니까?’항목에서 절식 후, 유의적으로 호전된 결과를 확인하였다(표 11). 또한, 자각증상에서는 공복감, 어지러움, 속쓰림, 두통, 울렁거림, 속이 더부룩함, 불면 및 피부발진 등 8개 전 항목에서 절식기 전, 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표 12). 일반적으로, 생수만을 섭취하는 단식을 하면, 단식 후 무력감과 피로도가 증가하며, 현훈, 두통 및 속이 더부룩한 증상 등이 나타나 5일 이상의 단식을 일상생활과 병행하기 어려워 그 이상의 단식을 진행하려면 단식원이나 병원에 입원하여 집중적인 관리 하에서만 단식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절식 보조제를 섭취함으로써 단식으로 인한 부작용들이 완화되어 10일 이상의 절식도 일상생활을 병행하면서 시행가능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문 절식 전 절식 후 변화 p-값
피로하십니까? 2.06±0.61 1.79±0.55 -0.27±0.80 0.059
휴식이 더 많이 필요하십니까? 2.15±0.57 1.76±0.50 -0.39±0.79** 0.007
졸리는 증상이 있으십니까? 2.15±0.44 1.85±0.71 -0.30±0.81* 0.039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데 어렵거나 힘이 드십니까? 2.06±0.43 1.79±0.55 -0.27±0.63* 0.018
기운이 빠지십니까? 2.15±0.51 2.15±0.62 0.00±0.87 1
근육의 힘이 약하다고 느끼십니까? 2.21±0.55 2.24±0.71 0.03±0.81 0.831
전반적으로 체력이 약하다고 느끼십니까? 2.21±0.65 2.12±0.65 -0.09±1.07 0.629
일을 할 때나 생각할 때 집중하기가
힘드십니까?
2.09±0.46 1.91±0.58 -0.18±0.68 0.136
무슨 생각을 할 때 머리가 맑지않고 멍한 느낌이 드십니까? 2.09±0.52 1.85±0.67 -0.24±0.79 0.088
하고 싶은 말이 있지만 제대로 말을 할 수가 없습니까? 2.09±0.58 1.85±0.51 -0.24±0.75 0.073
기억력이 떨어집니까? 2.16±0.57 1.79±0.55 -0.30±0.88* 0.012
총합 23.36±4.36 21.09±4.54 -2.27±6.29* 0.046
*, ** P <0.05와 P <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
주관적 증상 절식 전 절식 후 변화 p-값
공복감 1.85±0.80 1.94±0.79 0.09±1.13 0.647
어지러움 1.42±0.79 1.36±0.82 -0.06±1.06 0.744
속쓰림 1.33±0.82 1.73±0.91 0.39±1.12 0.051
두통 1.39±0.79 1.24±0.56 -0.15±0.71 0.231
울렁거림 1.24±0.71 1.33±0.78 0.09±1.01 0.609
속이 더부룩함 1.52±0.97 1.42±0.87 -0.09±0.98 0.598
불면 1.48±0.83 1.36±0.86 -0.12±0.96 0.474
피부발진 1.24±0.79 1.15±0.62 -0.09±0.84 0.54
*, ** P <0.05와 P <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

Claims (20)

  1. 매실 발효액, 진피, 사인, 생강과(生薑科), 맥문동, 오미자, 인삼, 단풍나무수액, 조청, 및 식물발효액을 포함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로서,
    상기 매실 발효액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7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진피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사인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생강과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맥문동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오미자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인삼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단풍나무수액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조청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식물발효액은 민들레, 뽕잎, 소엽, 약쑥, 익모초, 서양민들레, 솔잎, 망초, 미나리, 칡, 갈대, 다래나무, 산국, 엉겅퀴, 질경이, 더덕, 도라지, 수영, 연잎, 왕고들빼기, 찔레꽃, 한삼덩굴, 냉이, 달래, 황기, 흰민들레, 고들빼기, 쇠뜨기, 쇠비름, 씀바귀, 음나무, 생강나무, 참취, 사철쑥, 마타리, 개똥쑥, 오갈피나무 및 산초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효액으로서,
    절식 보조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식물발효액의 중량부와 상기 매실 발효액, 진피, 사인, 생강과, 맥문동, 오미자, 인삼,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의 중량부를 합하면 100 중량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 발효액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7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진피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사인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생강과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맥문동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오미자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인삼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단풍나무수액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조청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6 중량부로 포함되고,
    절식 보조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식물발효액의 중량부와 상기 매실 발효액, 진피, 사인, 생강과, 맥문동, 오미자, 인삼,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의 중량부를 합하면 100 중량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이 오매육, 청매실 및 황매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절식 보조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과는 생강, 울금, 초과, 및 강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절식 보조용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1) 진피, 사인, 생강과(生薑科), 맥문동, 오미자 및 인삼의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혼합 추출물, 매실 발효액, 단풍나무수액, 조청, 및 식물발효액을 혼합하여 정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로서,
    상기 매실 발효액 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진피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사인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생강과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맥문동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오미자가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인삼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단풍나무수액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조청이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6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식물발효액은 민들레, 뽕잎, 소엽, 약쑥, 익모초, 서양민들레, 솔잎, 망초, 미나리, 칡, 갈대, 다래나무, 산국, 엉겅퀴, 질경이, 더덕, 도라지, 수영, 연잎, 왕고들빼기, 찔레꽃, 한삼덩굴, 냉이, 달래, 황기, 흰민들레, 고들빼기, 쇠뜨기, 쇠비름, 씀바귀, 음나무, 생강나무, 참취, 사철쑥, 마타리, 개똥쑥, 오갈피나무 및 산초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효액으로서,
    절식 보조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식물발효액의 중량부와 상기 매실 발효액, 진피, 사인, 생강과, 맥문동, 오미자, 인삼, 단풍나무수액, 및 조청의 중량부를 합하면 100 중량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삭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이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정치가 상온에서 수행되는, 절식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삭제
KR1020160183910A 2016-12-30 2016-12-30 절식 보조용 조성물 KR10193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910A KR101930145B1 (ko) 2016-12-30 2016-12-30 절식 보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910A KR101930145B1 (ko) 2016-12-30 2016-12-30 절식 보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781A KR20180078781A (ko) 2018-07-10
KR101930145B1 true KR101930145B1 (ko) 2018-12-17

Family

ID=6291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910A KR101930145B1 (ko) 2016-12-30 2016-12-30 절식 보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006A (ko) 2019-01-16 2020-07-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레노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다이어트 또는 식이제한 보조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45B1 (ko) * 2003-07-28 2011-06-20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KR100528565B1 (ko) * 2003-12-11 2005-11-15 김철호 비만억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강산농원 발효효소 산야초, 효소 다이어트 제품’(2012.11.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006A (ko) 2019-01-16 2020-07-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레노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다이어트 또는 식이제한 보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781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CN101473953B (zh) 净血排毒组合食品及其加工方法和应用
CN104322617B (zh) 一种辅助降血糖的饼干及其制备方法
KR101738912B1 (ko)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CN101579120A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CN103725469A (zh) 一种养生干红葡萄酒
CN110447902A (zh) 一种具有减肥功效的组合物
CN106912801A (zh) 一种纤体瘦身的食疗冲料及其制备方法
CN106418501A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保健食品
CN102197837A (zh) 一种沙棘纤维饼干
CN103168815A (zh) 一种银杏苦荞饼干及其制作方法
CN107801985A (zh) 含山药、白扁豆、鸡内金、山楂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5623995B (zh) 山里红开胃酒及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511876B (zh) 山楂红枣浓浆及其生产工艺
KR101930145B1 (ko) 절식 보조용 조성물
CN103977390B (zh) 一种生姜洋葱药酒组合物的制备方法及其用途
CN103920140B (zh) 一种人用降糖减肥降脂复方制剂
CN101120750B (zh) 银杏蜂产品的制备方法
CN101244157A (zh) 一种天然植物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638038A (zh) 一种用于控制高血糖的医学配方营养代餐粉及其制备方法
CN104783159A (zh) 一种中老年羊奶粉营养强化剂及其制备方法
KR20190102493A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1647B1 (ko) 항비만 조성물
JP2004352626A (ja) 植物由来成分を含有する抗コレステロール剤
US9192188B2 (en) Nutritional sup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