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927B1 -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927B1
KR101928927B1 KR1020170070618A KR20170070618A KR101928927B1 KR 101928927 B1 KR101928927 B1 KR 101928927B1 KR 1020170070618 A KR1020170070618 A KR 1020170070618A KR 20170070618 A KR20170070618 A KR 20170070618A KR 101928927 B1 KR101928927 B1 KR 10192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olefin block
resin
expanded particles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927B9 (ko
Inventor
이주선
한준택
한주택
Original Assignee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6712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289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7007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27B1/ko
Publication of KR10192892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2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를 보유하여 탄성이 우수하고 반복 충격에 대한 회복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재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열유속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10℃/min의 승온 속도로 0℃에서 200℃까지 승온시켰을 때에 1 ~ 2개의 흡열 피크가 나타나고, 10 ~ 300㎛의 단면 직경을 갖는 독립 기포셀이 90% 이상 형성되며, 15 ~ 500g/L의 벌크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Olefin block copolymer foam particle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를 보유하여 탄성이 우수하고 반복 충격에 대한 회복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올레핀계 발포 입자체의 경우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이용한 발포 입자로서, 순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을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과 압력 등을 물리적으로 가해 발포하여서 구(球, Beads) 형태의 입자들을 무가교성으로 형성시킨다. 이러한 발포 입자는 EPP(Expanded Polypropylene)나 EPE(Expanded Polyethylene)로 불리며 자동차의 충격 방지제나 전자제품의 포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이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이용한 발포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의 경우는 경도(Hardnees)가 높으며, 강도가 강하여 소프트 감이 필요하거나 우수한 완충 능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또한, 충격에 취약하여 충격에 쉽게 부러지거나 깨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발포 입자체를 이용한 성형체 제조시에는 안정화를 위한 냉각시간에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성형체 제조시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였다.
한편, 구형의 발포 입자와는 다른 형태의 올레핀계 시트 발포체도 포장재 또는 완충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시트 발포체의 경우는 기공이 오픈 셀(open cell)로 형성되어 압축강도가 낮으며, 내열성, 내약품성, 내수성과 같은 내 환경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트 발포체는 구조상의 한계에 따라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성형체의 형상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시트 발포체의 경우 내광성이 취약하여, UV에 의한 미세 플라스틱 분말화가 빠르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수분 흡수율도 높아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본 발명은 탄성이 우수하고 반복 충격에 대한 회복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재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열유속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10℃/min의 승온 속도로 0℃에서 200℃까지 승온시켰을 때에 1 ~ 2개의 흡열 피크가 나타나고, 10 ~ 300㎛의 단면 직경을 갖는 독립 기포셀이 90% 이상 형성되며, 15 ~ 500g/L의 벌크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입자는 상기 흡열 피크 중 고온 흡열 피크의 흡열량이 0.1 ~ 20cal/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입자는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가 블록 공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입자는 150 ~ 300㎛의 직경을 갖는 기포셀이 60% 이상 형성되고, 100 ~ 250g/L의 벌크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는 에틸렌(ethylene)과 C2 ~ C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틸렌 제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는 860 ~ 910g/L의 밀도를 갖고, 0.1 ~ 50g/10min의 용융지수(Melt Index, MI)를 갖는 수지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는 쇼어(shore) A 경도가 60 ~ 90인 수지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은 올레핀계 수지를 더 함유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선택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금속불활성화제, 안료, 염료, 핵제, 가교제 및 기포조정제로 이루어진 첨가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의 제조방법은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재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후 냉각하고 절단하여 펠렛 형상의 수지입자를 생성하는 수지입자 준비단계와; 상기 수지입자에 발포제를 혼합한 후 발포시켜 발포입자를 생성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입자 준비단계에서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로 기포조정제를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 5중량부 포함한다.
상기 수지입자 준비단계에서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금속불활성화제, 안료, 염료, 핵제, 가교제 및 기포조정제로 이루어진 첨가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 10중량부 더 포함한다.
상기 수지입자 준비단계는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투입하여 170 ~ 230℃에서 혼련한 다음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한 후 펠렛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입자 준비단계에서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는 에틸렌(ethylene)과 C2 ~ C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틸렌 제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단계는 상기 수지입자에 용매,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투입한 다음 가열하면서 교반하고, 가열온도가 발포온도 범위에 도달하면 발포제를 투입하고 고압의 발포압력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발포온도 범위 내에서 대기압하로 방출하여 상기 수지입자를 발포시켜 발포입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온도 범위는 120 ~ 170℃이고, 상기 발포압력 범위는 10 ~ 50ba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폴리 올레핀계 발포 수지와 대비하여 발포특성 및 반발탄성 등이 우수한 발포 입자를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발포 입자를 탄성, 반복 압축 및 영구 압축에 대한 우수한 회복력을 필요로 하는 부재 및 충격 흡수성능과 쿠션성을 필요로 하는 부재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입자로부터 얻어진 성형체는 종래의 올레핀계 발포 성형체보다 우수한 인장율과 인장강도를 제공하며 비틀림이나 벤딩 발생시 찢김없이 우수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OBC) 수지는 발포특성이 우수하여 필요에 따라 발포 배율의 조정이 용이하며, 탄성과 연질의 소프트감이 우수한 발포입자와 그의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입자는 독립 기공의 비율이 높아서 시트 발포체 대비 우수한 압축 강도와 내약품성 및 내수성 등과 같은 우수한 내 환경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 입자가 갖는 DSC 곡선에서의 흡열 피크 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 입자의 단면 SEM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재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구형 또는 원통형의 비드(bead) 형태의 발포체로서,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가 블록 공중합되어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를 함께 보유한다. 이때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 올레핀 엘라스토머보다 우수한 탄성과 저온 특성을 보유하고, 하드 세그먼트는 단단한(rigid) 특성을 보유하여 소프트 세그먼트가 갖는 특성과 하드 세그먼트가 갖는 특성이 동시에 구현 가능하여 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반복 충격에 대한 회복성이 뛰어나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 입자가 갖는 DSC 곡선에서의 흡열 피크 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흡열 Peak가 나타나며,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는 80 ~ 140℃ 사이의 흡열 피크를 가진다. 발포 온도 설정에 따라서 흡열 피크는 1개 내지 2개가 형성 될 수 있으며, 2개의 흡열 피크 형성시 저온 부분의 흡열 피크는 비 결정성으로서 융착성에 영향성이 크며, 고온 부분의 흡열 피크는 결정성으로서 강도에 영향성이 크다.
발포입자는 열유속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10℃/min의 승온 속도로 0℃에서 200℃까지 승온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 1 ~ 2개의 흡열 피크가 나타난다. 특히, 발포입자는 상기 흡열 피크 중 고온 흡열 피크의 흡열량이 0.1 ~ 20cal/g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열 피크 중 고온 흡열 피크의 흡열량이 0.5 ~ 5cal/g이다
여기서, 발포 입자의 1회째 DSC 곡선에서 비교적 저온 측의 흡열피크는 발포 입자를 구성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의 융해 시의 흡열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온 측의 흡열피크 보다 고온 측에 나타나는 흡열피크는 발포 공정(bead foam process)로 인해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에 형성되는 결정구조로 인한 흡열피크로 볼 수 있다. 발포입자를 이용하여 발포 성형체를 성형할 때, 저온측의 흡열피크는 발포입자 간의 융착성에 영향을 미치고 고온 측의 흡열피크는 발포입자의 2차 팽창성과 관련하여 발포입자 간의 공극을 메주고 융착을 위한 높은 스팀압의 부가에도 발포입자가 수축하지 않아 발포 성형체의 성형성 확보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포입자는 발포 성형체의 성형시 2차 팽창성을 부여하는 특성 및 발포 성형체의 표면에 함몰된 부분이 발견되지 않고 발포입자 간의 작은 공극률 등의 외관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 입자의 단면 SEM사진이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발포입자는 미세 독립 기공셀(close cell)이 형성된다. 이때 발포입자는 10 ~ 300㎛의 단면 직경을 갖는 독립 기포셀이 90% 이상 형성된다. 독립 기공 각각의 크기는 첨가제의 함량과 종류에 따라서 조정이 가능하며, 발포된 입자를 성형시 우수한 외관 및 발포성능을 확보 하기 위해서는 150~300㎛의 직경을 가지는 Cell이 60%이상 되어야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포입자는 15 ~ 500g/L의 벌크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입자는 100 ~ 250g/L의 벌크밀도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의 제조방법은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재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후 냉각하고 절단하여 펠렛 형상의 수지입자를 생성하는 수지입자 준비단계와; 상기 수지입자에 발포제를 혼합한 후 발포시켜 발포입자를 생성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수지입자 준비단계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Olefin Block Copolymer; 이하, "OBC수지"라고 함)를 함유하는 기재 수지 조성물을 준비한다.
여기서, OBC수지는 예를 들어 에틸렌(ethylene)과 C2 ~ C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틸렌 제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올레핀은 구체적으로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OBC수지는 860 ~ 910g/L의 밀도를 갖고, 0.1 ~ 50g/10min의 용융지수(Melt Index, MI)를 갖는 수지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OBC수지는 쇼어(shore) A 경도가 60 ~ 90인 수지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OBC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강성이나, 가공성을 개선하고자, 올레핀계수지를 함유한 조성물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올레핀계 수지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랜덤 공중함체, 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 그래프트 공중함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 에틸렌, 중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 에틸렌 및 초저밀도 폴리 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OBC수지를 함유하는 기재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금속불활성화제, 안료, 염료, 핵제, 가교제 및 기포조정제로 이루어진 첨가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로는 기포조정제로 미세 입자의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alc, CaCO3 또는 ZnB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포조정제는 내열온도가 높은 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TFE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착색 용도로 카본 블랙 또는 안료를 혼합할 수 있으며 착색제 이외에도 조성물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대전 방지제 및 조성물을 착색하는 안료를 혼합할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0.0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첨가제를 첨가하는 목적이 달성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카본 블랙의 경우 대전방지 효과 및 착색 효과등이 미미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 전체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첨가량의 증가에 비해 효과의 상승이 작아 효율적이지 못하다. 특히, 발포입자의 발포성을 좋게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제로 기포조정제를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 5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기재 수지 조성물이 준비되면, 준비된 기재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투입하고, 170 ~ 230℃로 가열하여 용융 혼련시킨다. 그리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한 후 절단하거나, 압출직 후 수중에서 냉각시키면서 절단하여 미니 펠렛이라고 하는 원통형 펠렛(pellet) 형태의 수지입자를 제조한다.
이때 펠렛 형태의 수지입자는 수지입자 1개의 평균 중량이 0.5 ~ 50mg일 수 있으며, 길이/직경비(L/D)가 0.1 ~ 4일 수 있다.
상기 중량과 길이/직경비의 수지입자는 발포시 균일한 발포 입자를 얻는데 효과적이며, 발포된 입자를 이용하여 금형 내로 발포입자의 충진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성형체 제조에 효과적이다.
한편, 발포단계는 상기 수지입자 준비단계에서 제조된 수지입자에 발포제를 가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발포입자를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단계는 발포기 내로 수지입자와 함께 용매,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투입한 다음 가열하면서 교반한다. 이때 용매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는 상기 수지입자가 용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로 알칸 술폰산 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로 제3인산칼슘 또는 카올린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포기 내의 수지입자와 용매,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발포기 내의 온도가 발포온도 범위, 즉 수지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이상의 온도까지 가열되면 발포제를 투입하여 혼합한다. 이때 발포제는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부탄 또는 펜탄 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포기 내의 온도가 발포온도 범위에 도달하면, 발포제가 혼합된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고압의 발포압력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저압 영역, 예를 들어 대기압 분위기로 방출하여 발포시키고 수중 또는 대기 중에서 냉각시킨 다음, 세척 및 건조하여 발포 입자를 얻는다. 이때 발포입자는 발포시 반응기의 온도와 압력 또는 발포제의 투입량 등을 조절하여 그 밀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포온도 범위는 120~170℃이고, 발포압력 범위는 10~50bar이다. 이렇게 얻어진 발포입자는 15~500 g/ℓ의 밀도를 갖는다.
이러한 발포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입자는 열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10℃/min의 승온 속도로 0℃에서 200℃까지 승온시키면서 측정시 2개의 흡열 피크가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흡열 피크 가운데 고온 흡열 피크의 흡열량은 0.1 ~ 20cal/g 일 수 있다. 이렇게 2개의 흡열 피크를 나타내며 그 중 고온 흡열 피크의 흡열량이 0.1 ~ 20cal/g인 발포입자의 경우 발포 성형체의 제조시 저온에서도 발포입자 간의 융착이 원활히 일어나 성형체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발포입자가 제조되면, 이를 이용하여 발포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포입자로 제조된 발포 성형체는 소프트하면서도 탄성이 매우 우수하며, 영구 압축에 의한 변형율도 적기 때문에 장기간의 외부 응력에도 쉽게 복원되며,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능력이 우수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포입자를 이용하여 발포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물론 그 제조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포입자를 이용하여 발포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준비된 발포입자를 밀폐용기에 넣은 후 공기로 압력을 가하여 내압을 형성시킨 후 금형 내에 충진하고, 여기에 포화 스팀을 공급하여 발포입자를 팽창 융착시킨다. 그런 다음 이를 냉각하여 금형으로부터 취출하여 발포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발포 성형체를 밀도에 따라 60 ~ 90℃ 사이의 온도에서 일정시간 건조(aging)시켜 발포 성형체의 냉각공정에서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제품의 수축 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펠렛 형상의 수지입자 제조(수지입자 준비단계)
먼저, 표 1의 조성 및 함량을 갖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기재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한 다음, 170 ~ 230℃로 가열하면서 압출기로 충분히 혼련한다. 그리고 혼련된 기재 수지 조성물을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한 뒤, 수중에서 냉각하고 펠렛타이저로 원주 형상으로 절단하여 미니 펠렛 형상의 수지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OBC수지는 Dow chemical사의 Infuse 9530을 사용하였으며, 이 OBC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20℃이고, ASTM D1238에 의해 측정한 MFI(melt flow index)가 5g/10min(190℃, 2.16kgf)이며, A shore 경도가 83이다. 또한, 첨가제로는 기포조정제인 PTEF 및/또는 ZnB를 사용하였고, 착색제로 카본 블랙을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Infuse 9530 100 100 100 100 100 100
PTFE (phr) 0.5 - 0.25 - 0.0005 1
ZnB (phr) - 0.5 0.25 - - -
카본 블랙 (phr) 3 3 - 3 10 10
2. 발포입자의 제조(발포단계)
반응기에 표 2의 조성으로 상기 수지입자 준비단계에서 얻은 수지입자와 함께, 용매인 물과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내용물의 온도가 하기 표 2의 발포 온도범위에 도달하면 발포제로 이산화탄소를 투입하여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어서 반응기 내부의 온도를 표 2의 발포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고 반응기의 배출 노즐을 개방하여 반응기 내부의 내용물을 대기압하로 방출함으로써 미니 펠렛 형상의 수지입자를 발포시켜 발포입자를 제조하였다.
또한, 방출시 반응기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방출하는 동안 이산화탄소를 반응기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후, 발포입자를 세척하고 탈수한 뒤 대기압하에서 8시간 이상 건조한 후 발포입자의 고온 피크 열량 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함께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미니펠렛 24 24 24 24 24 24
76 76 76 76 76 76
계면활성제 (phr) 0.19 0.19 0.19 0.19 0.19 0.19
카올린 (phr) 0.16 0.16 0.16 0.16 0.16 0.16
발포온도(℃) 125 125 125 125 125 125
반응기내 압력(bar) 40 40 40 40 40 40
Desnity (g/L) 106 103 291 98 106 153
DSC 2차 (cal/g) 3.6 3.9 3.7 3.7 4.0 3.6
발포성 Good Good Good Bad Good Bad
3. 발포 성형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발포입자를 자연건조 또는 열원을 이용하여 건조한다. 그리고, 금형 내 캐비티의 치수가 25㎝ × 10㎝ × 3㎝인 금형에 발포입자를 충진하고, 포화 스팀을 통과시켜 발포입자를 가열한 뒤 냉각하여 발포 성형체를 얻었다. 얻어진 발포 성형체를 40 ~ 80℃의 분위기에서 4 시간동안 양생한 후 다시 상온에 2시간동안 방치하여 발포 성형체를 얻는다.
4. 발포 성형체의 측정
반발 탄성은 KS M 180 8037의 시험 방법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지름이 16mm이고, 중량이 16.8g인 강철볼을 500mm의 높이에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발포 성형체의 시험편으로 낙하여서 측정하였다.
시험편은 100mm X 100mm 면적에 50mm 이상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외관 및 융착은 육안으로 확인하여 양호한 상태를 5점으로 하고, 불량한 상태를 1점으로 하였으며, cell은 균일한 상태를 5점으로 하고, 불균일한 상태를 1점으로 하여, 확인한 정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점수를 수치화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외관 OK OK Normal NG Normal NG
Cell OK OK OK NG Normal NG
융착 OK OK OK NG NG NG
반발탄성 40% 이상 40% 이상 50% 이상 40% 이상 40% 이상 40% 이상
표 1 내지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첨가제로 기포조정제 및 착색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포조정제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함량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1 및 2)에는 발포가 원하는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포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포 조정제 및 착색제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함량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는 미세셀이 형성되거나 발포 배율이 고르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및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7)

  1.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재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은 기포조정제를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 5중량부 포함하고,
    열유속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10℃/min의 승온 속도로 0℃에서 200℃까지 승온시켰을 때에 1 ~ 2개의 흡열 피크가 나타나고,
    상기 흡열 피크 중 가장 흡열량이 큰 흡열 피크의 정점 온도가 120 ~ 130℃ 구간에서 나타나며,
    10 ~ 300㎛의 단면 직경을 갖는 독립 기포셀이 90% 이상 형성되며, 150 ~ 300㎛의 직경을 갖는 기포셀이 60% 이상 형성되고,
    100 ~ 250g/L의 벌크밀도를 갖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입자는 상기 흡열 피크 중 고온 흡열 피크의 흡열량이 0.1 ~ 20ca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입자는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가 블록 공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는 에틸렌(ethylene)과 C2 ~ C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틸렌 제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는 860 ~ 910g/L의 밀도를 갖고, 0.1 ~ 50g/10min의 용융지수(Melt Index, MI)를 갖는 수지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는 쇼어(shore) A 경도가 60 ~ 90인 수지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은 올레핀계 수지를 더 함유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선택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금속불활성화제, 안료, 염료, 핵제, 가교제 및 기포조정제로 이루어진 첨가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070618A 2017-06-07 2017-06-07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KR10192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618A KR101928927B1 (ko) 2017-06-07 2017-06-07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618A KR101928927B1 (ko) 2017-06-07 2017-06-07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927B1 true KR101928927B1 (ko) 2018-12-13
KR101928927B9 KR101928927B9 (ko) 2024-09-26

Family

ID=6467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618A KR101928927B1 (ko) 2017-06-07 2017-06-07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9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99B1 (ko) * 2005-03-17 2014-04-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99B1 (ko) * 2005-03-17 2014-04-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 Performance Foam Solutions for Sports Shoes"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927B9 (ko) 202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2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単独重合体発泡粒子及び発泡粒子成型体
KR101455435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입자 및 그 성형체
KR100798204B1 (ko)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용 조성물, 폴리올레핀 수지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6807B1 (ko) 발포 입자와 그 성형체
KR101869577B1 (ko) 발포성이 개선된 발포성 열가소성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
JP725285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成形体
KR101928925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입자
CN109863196A (zh) 发泡粒子成形体以及鞋底部件
KR19990067641A (ko) 폴리에틸렌계 예비 발포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62308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 입자
KR20180133607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발포입자
JPH07503269A (ja) 無機発泡剤を用いて発泡した寸法安定性のあるポリプロピレン発泡体
KR101440217B1 (ko)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성형품
KR101928926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발포입자
WO2018084245A1 (ja) 発泡粒子及び発泡粒子成形体
KR101928927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발포입자
KR100837106B1 (ko)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JP722503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成形体
CN112955499B (zh) 发泡粒子
JP2018070735A (ja) 発泡粒子及び発泡粒子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10085443A (ko) 고융착성 발포 비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22115508A (ja) 発泡ブロー成形体
US3496124A (en) High impact foam blend of two different polyethylenes
JP2709395B2 (ja) 発泡用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樹脂粒子及び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発泡粒子の製造方法
KR101466909B1 (ko) 초박판 전자선가교 발포체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53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530

Effective date: 2023071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299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818

Effective date: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