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838B1 -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838B1
KR101928838B1 KR1020170076038A KR20170076038A KR101928838B1 KR 101928838 B1 KR101928838 B1 KR 101928838B1 KR 1020170076038 A KR1020170076038 A KR 1020170076038A KR 20170076038 A KR20170076038 A KR 20170076038A KR 101928838 B1 KR101928838 B1 KR 10192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tton seeds
solanum nigrum
cottonseed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지 filed Critical 김민지
Priority to KR102017007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은, 목화씨를 준비하여 건조한 후 목화씨 표면을 0.5 ~ 1초 동안 화염 처리하여 목화씨 표면의 털을 제거하는 화염처리단계와; 까마중 전초를 준비하여 건조한 다음 용기 바닥에 물이 담겨진 찜기에 투입한 다음 까마중 전초를 증숙시켜 까마중 전초에 수분이 스며들도록 하는 증숙단계와; 상기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단계를 거친 까마중 전초를 혼합한 다음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하여 착즙액을 제조하는 착즙단계와; 상기 착즙액을 용기에 넣고 85 ~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한 목화씨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까마중을 원료로 하되, 간단한 공정으로 목화씨 및 까마중 원료 사용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주름 개선, 미백, 보습 및 피부 유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composition using cotton seed and Solanum nigrum Linne}
본 발명은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상(열매)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류는 피부에 소수성 막을 형성하여 피부 표면의 수분 증발을 억제함으로써 보습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오일류로는 아보카도유, 밀배아유, 로즈힙 오일, 아몬드 오일 등이 있으며, 면실유(목화씨를 짜낸 오일)도 이에 포함된다.
대표적인 기술로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스틱형 입술화장료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62176호, 특허문헌 1)에는 오일의 종류로 면실유를 활용한 예가 고개되어 있다.
그런데, 면실유에는 고시폴이라는 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착유시 이 고시폴이 제거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에탄올 추출시 고시폴은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추출물에도 그대로 포함되게 된다.
고시폴의 중독 증상은 임상적으로는 식욕 부진, 호흡 장애, 복부 팽만이 있고, 병리 소견으로는 심근과 골격근의 괴사, 간중심 소엽성 괴사 등이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문에 면실유를 이용한 공정에서는 고시폴이라는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며, 황산아연을 넣고 끓이거나, 황산아철액을 침포시키거나, 소석회수로 침포시키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탈독 방식의 경우 천연 가공 방식을 벗어나 공업적, 화학적 제법이기 때문에 천연 화장료를 요구하는 소비자 요구에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로 "한방 열매 발효오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9419호, 특허문헌 2)에서는 식물성 오일 성분을 발효시키는 공정이 구비됨으로써 안정성을 높이려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발효를 이용한 제법의 경우 제조 시간이 길어지고 특히 대량 생산의 경우에는 설비가 증가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까마중은 가지과의 일년초로서 학명은 Solanum nigrum L 이다.
저지대의 길가나 밭 주의에 자라며 높이 20~90cm이고 가지가 옆으로 많이 퍼지며 원줄기에 능선이 약간 나타난다.
잎은 호생하고 란형이며 예저 또는 둔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긴 엽병의 윗부분까지 흐르고 길이 6~10cm, 폭 4~6cm로서 거치가 없거나 피상거치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6~7mm로서 백색이고, 화서는 잎보다 위에서 나오며 길이 1~3cm의 화경이 갈라지고 길이 3~8mm의 화경에 길이 7~12mm의 소화경이 있는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옆으로 퍼지며, 1개의 암술과 5개의 수술이 있다.
삭과는 둥글고 지름 6~7mm이며 흑색으로 익으며 한방에서는 부인병, 치질, 악창, 만성 기관지염 등에 사용하여 왔다.
근래에 이러한 까마중을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한 기술이 "싸리나무 및/또는 까마중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3547호, 특허문헌 3)에 공개된 바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까마중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환류 추출한 까마중 추출액을 활성성분으로 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까마중 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미, 주근께, 피부 색소 침착 원인이 되는 멜라닌 합성에 관련된 신호 전달물질의 합성을 억제하고, 피부 자극을 경감시키는 피부세포 사멸 억제 효과, 염증 유발관련 효소 활성억제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까마중을 원료로 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 중독 현상으로 목의 가려움을 발생시키거나 피부를 차갑게 하는 현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특허문헌 3의 기술 개발 이후 실제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262176 (2000.04.27) KR 10-2014-0059419 (2014.05.16) KR 10-0563547 (2006.03.16)
본 발명의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한 목화씨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까마중을 원료로 하되, 간단한 공정으로 목화씨 및 까마중 원료 사용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화씨는 착유(착즙) 전에 화염 처리하여 고시폴이 다량 함유된 목화씨 표면의 털을 제거하고, 착유(착즙) 후 85℃의 가열 공정을 통해 유지 성분의 증발을 유도함으로써 반복 사용시 고시폴의 중독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건조된 까마중 전초를 증기로 찐 후 이를 목화씨와 혼합한 다음 착즙(착유)하는 공정을 통해 고시폴의 중독 현상은 물론 까마중 사용시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목화씨나 까마중 사용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주름 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목화씨를 준비하여 건조한 후 목화씨 표면을 0.5 ~ 1초 동안 화염 처리하여 목화씨 표면의 털을 제거하는 화염처리단계와; 까마중 전초를 준비하여 건조한 다음 용기 바닥에 물이 담겨진 찜기에 투입한 다음 까마중 전초를 증숙시켜 까마중 전초에 수분이 스며들도록 하는 증숙단계와; 상기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단계를 거친 까마중 전초를 혼합한 다음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하여 착즙액을 제조하는 착즙단계와; 상기 착즙액을 용기에 넣고 85 ~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착즙단계에서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단계를 거친 까마중 전초를 1 : 2.7 ~ 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착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증숙단계는 100℃의 온도에서 1.7 ~ 2.3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착즙단계와 가열단계 사이에 착즙액을 교반날이 구비된 교반기에 투입한 120 RPM의 속도로 25 ~ 30분간 교반날을 교반시키는 교반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숙단계 전에 물 100 중량부와, 물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빙초산을 혼합한 다음 까마중 전초를 혼합액에 25 ~ 30분 동안 침지시키는 전처리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한 목화씨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까마중을 원료로 하되, 간단한 공정으로 목화씨 및 까마중 원료 사용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주름 개선, 미백, 보습 및 피부 유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화씨는 착유(착즙) 전에 화염 처리하여 고시폴이 다량 함유된 목화씨 표면의 털을 제거하고, 착유(착즙) 후 85℃의 가열 공정을 통해 유지 성분의 증발을 유도함으로써 반복 사용시 고시폴의 중독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된 까마중 전초를 증기로 찐 후 이를 목화씨와 혼합한 다음 착즙(착유)하는 공정을 통해 고시폴의 중독 현상은 물론 까마중 사용시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목화씨나 까마중 사용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주름 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은 화염처리단계, 증숙단계, 착즙단계,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염처리단계와 증숙단계 사이에 전처리단계가 포함될 수 있고, 착즙단계와 가열단계 사이에 교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화염처리단계
목화씨(면화자, 면실)를 준비하여 건조한 후 목화씨 표면을 0.5 ~ 1초 동안 화염 처리하여 목화씨 표면의 털을 제거한다.
목화씨는 면실(cotten seed)이라고도 부르며, 성숙하여 개열한 솜의 삭과에서 면섬유를 채취한 나머지 종자를 말한다.
목화씨에는 기름(유지) 성분이 약 40% 함유되어 있으며, 식용으로 활용시에는 착유 및 정제 공정을 거쳐 제조하고 샐러드유, 튀김유 등의 식용유로 사용하고, 유박은 가축의 사료로 활용한다.
목화씨의 기름 성분에는 리놀레인, 올레인, 팔미틴, 스테아린, 단백질, 고시플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씨껍질에는 만난, 페토잔, 메틸펜토잔, 갈락탄, 리그닌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통상의 화장료의 원료로 유지 성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데, 여타의 알려진 원료와 마찬가지로 목화씨를 착유한 기름 성분 역시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피부 보습 및 잡티 제거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목화씨의 삭과 표면에는 털이 다수 있는데 이 털에는 고시폴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목화씨를 착즙(착유)하기에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염 처리함으로써 표면의 털을 제거한다.
2. 증숙단계
까마중 전초를 준비하여 건조한 다음 용기 바닥에 물이 담겨진 찜기에 투입한 다음 까마중 전초를 증숙시켜 까마중 전초에 수분이 스며들도록 한다.
까마중은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강태, 깜두라지, 까마종이, 용규 등으로 불리운다.
까마중 과실은 검게 구형으로 익으며 우리 나라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이러한 까마중에는 열매에는 솔라닌과 솔라미르신이라는 알칼로이드 성분 및 아트로핀이 함유되어 있고, 잎과 줄기에는 스테로이드, 루틴, 사포닌, 카로타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까마중은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부 미백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가려움증이나 피부가 차갑게 느껴지는 현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까마중에 포함된 가지독 성분인 솔라닌 때문으로 판단된다.
솔라닌은 알칼로이드 배당체로써 적은 양으로도 매우 유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까마중을 전초를 건조하는 것은 까마중 전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생 뿌리, 줄기, 잎, 열매를 모두 포함한다.
건조된 까마중을 찜기에 넣어 증숙하게 되면 까마중 전초에 수분이 스며들어 부피가 팽창하면서 부드럽게 된다.
이때, 증숙 조건은 끓는 물 온도인 100℃의 온도에서 1.7 ~ 2.3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숙 시간이 상기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까마중이 너무 물러져 착즙이 어려워지고 유용 성분이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증숙 시간이 상기 시간에 미달되는 경우 조직이 부드러워지지 못하고 마른 상태로 후술하는 착즙(착유) 과정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숙단계 전에 물 100 중량부와, 물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의 빙초산을 혼합한 다음 까마중 전초를 혼합액에 25 ~ 30분 동안 침지시키는 전처리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까마중 전초를 빙초산 용액에 침지시키게 되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사용시의 까마중으로 인한 부작용이 적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까마중의 독성 물질인 솔라닌이 빙초산 용액에 용해되어 빠져나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착즙단계
상기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단계를 거친 까마중 전초를 혼합한 다음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하여 착즙액을 제조한다.
이때,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단계를 거친 까마중 전초는 1 : 2.7 ~ 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착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혼합비에서 까마중 전초가 과량 사용되는 경우에는 까마중 중독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까마중 전초가 과소하게 사용되는 경우 목화씨 중독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점을 살펴볼 때 까마중 전초와 목화씨는 서로의 독성 물질의 중독 현상 발휘에 관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상기 착즙단계 이후에는 하기 가열단계 이전에 교반날이 구비된 교반기에 착즙액을 투입한 후 120 RPM의 속도로 25 ~ 30분간 교반날을 교반시키는 교반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이는 증기에 찐 까마중 전초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반면, 목화씨는 주요 성분이 유지(기름)를 이루기 때문에 서로 층을 이루어 분리되는 경향이 있는 바, 교반을 통해 각각의 성분이 고르게 교반되어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착즙단계와 교반단계 사이에 착즙액을 여과시켜 액상만을 수득하는 여과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4. 가열단계
상기 착즙액을 용기에 넣고 85 ~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한다.
상기 온도로 가열 공정을 거치게 되면 지방 즉 유지류 성분들이 날라가게 되는데 이때 목화씨의 독성 물질인 고스폴이 지방과 함께 날라가게 하거나, 결정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열단계를 거쳐 제조된 조성물은 미세한 망을 통과시켜 액상만을 추려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장에서 목화씨와 건조된 까마중 전초를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목화씨는 1초간 화염 처리하여 겉면의 털을 제거하였다.
솥에 물을 붓고 가열하여 물이 끓도록 한 다음 물 위로 이격되도록 채반을 설치한 다음 채반에 건조된 까마중 전초를 투입하고 솥 뚜껑을 닫은 다음 2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숙된 까마중 전초를 꺼내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된 까마중 전초를 1 : 3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하여 착즙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착즙액은 냄비에 넣고 90℃ 정도의 온도로 20분간 가열한 다음 냉각하여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된 까마중 전초를 1 : 2.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된 까마중 전초를 1 : 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까마중 전초의 증숙 시간을 1.5시간으로 진행하여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까마중 전초의 증숙 시간을 2.5시간으로 진행하여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착즙기에서 착즙된 착즙액을 교반날이 구비된 교반기에 투입한 120 RPM의 속도로 30분간 교반날을 회전시켜 교반한 후 가열 처리하여 실시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까마중 전초의 증숙에 앞서 용기에 물 100 중량부 대비 1.5중량부의 빙초산을 혼합한 다음 혼합액에 까마중 전초를 27분동안 침지시킨 다음 건져내어 까마중 전초를 증숙하여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까마중 전초의 증숙에 앞서 용기에 물 100 중량부 대비 1.5중량부의 빙초산을 혼합한 다음 혼합액에 까마중 전초를 27분동안 침지시킨 다음 건져내어 까마중 전초를 증숙하고, 착즙기에서 착즙된 착즙액을 교반날이 구비된 교반기에 투입한 120 RPM의 속도로 30분간 교반날을 회전시켜 교반한 후 가열 처리하여 실시예 8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들의 제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비교예 1]
시장에서 목화씨를 구입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목화씨를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액을 제조하여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착즙액을 90℃ 정도의 온도로 20분간 가열한 다음 냉각하여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시장에서 건조된 까마중 전초를 구입한 다음 구입한 까마중 전초를 상온의 물에 12시간 동안 불린 다음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액을 제조하여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건조된 까마중 전초를 증숙 처리한 후 냉각한 다음 이를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하여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4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착즙 이후에 착즙액을 90℃ 정도의 온도로 20분간 가열한 다음 냉각하여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시장에서 건조된 까마중 전초와 목화씨를 구입하여 준비한 다음 까마중 전초와 목화씨를 1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태에서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하여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영양 화장수의 제조 및 관능 실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화장료 조성물 5 중량%, 세탄올 1 중량%, 스테아릴알콜 1 중량%,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3 중량%,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 중량%, POE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 중량%, 바세린 2 중량%, 유동파라핀 6 중량%, 스쿠알란 5 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부틸렌글리콜 5 중량%, 카복시비닐폴리머 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중량%,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제조예들에 대해 50 ~ 70대의 성인 여성 140명을 각 화장품에 대해 각 실시예별로 10명씩 무작위 추첨하여 3개월간 아침, 저녁에 1회씩 일정량 얼굴에 바르도록 한 후 하기의 항목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타나냈다.
(1) 평가 항목 : 주름 개선, 피부 유연화, 피부 미백, 보습
(2) 평가 기준평가 항목 : 5점 : 양호, 4점 : 다소 양호, 3점 : 차이 없음, 2점 : 다소 불량, 1점 : 불량
구분 주름 개선 피부 유연화 피부 미백 보습
실시예1 4.4 4.3 4.3 4.4
실시예2 4.4 4.3 4.2 4.5
실시예3 4.5 4.4 4.4 4.3
실시예4 4.5 4.4 4.4 4.3
실시예5 4.4 4.5 4.5 4.5
실시예6 4.7 4.7 4.6 4.7
실시예7 4.7 4.8 4.7 4.8
실시예8 4.9 4.8 4.8 4.8
비교예1 3.3 3.8 3.0 3.5
비교예2 3.8 3.7 3.1 3.6
비교예3 3.1 3.0 3.2 3.2
비교예4 3.3 3.2 3.7 3.5
비교예5 3.4 3.3 3.7 3.5
비교예6 4.0 3.7 2.7 3.7
상기 실험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주름 개선, 피부 유연화, 피부 미백, 보습의 네 가지 실험항목 모든 면에서 실시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비교예 6의 경우 목화씨와 까마중 전초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비율로 준비하여 착즙한 것인데, 차이 없음(3점)에서 다소 양호(4점) 사이의 미세한 변화만 발견된 반면, 실시예들은 전체적으로 양호(5점)에서 다소 양호(4점) 사이로 나타났다.
특히, 미백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진 까마중 전초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6의 경우 오히려 미백 효과가 다소 불량인 것으로 나타나 실시예들과 미백 효과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실시예 6 내지 8의 경우는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최대한 높은 평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봤을 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품이 주름 개선, 피부 유연화, 피부 미백, 보습 모든 면에서 목화씨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까마중 전초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이들은 단순 혼합하여 착즙한 것에 비하여 훨씬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험에 참여한 인원들에 대해 사용 후 식욕 부진, 복푸 팽만감, 간지러움, 수족 냉감 등의 불편한 점이 있는 지 자유 기재 방식으로 설문한 결과 비교예 1, 2에서 식욕 부진 및 복부팽만감을 느낀다는 사람이 각 1명씩 조사되었고, 비교예 3 내지 5에서는 손발이 차게 느껴진다는 설문이 각 1, 2, 1명씩 조사되었으며, 비교예 6의 경우 복부 팽만감과 간지러움을 느끼는 설문이 1명씩 있다고 조사된 반면, 실시예들에서는 이러한 불편사항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예 2> 유연 화장수의 제조 및 관능 실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화장료 조성물 5 중량%, 글리세린 2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 중량%, 부틸렌글리콜 2 중량%,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더불어, 관능 실험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주름 개선 피부 유연화 피부 미백 보습
실시예1 4.2 4.2 4.3 4.3
실시예2 4.3 4.3 4.2 4.2
실시예3 4.5 4.2 4.3 4.4
실시예4 4.5 4.4 4.3 4.3
실시예5 4.4 4.5 4.4 4.5
실시예6 4.7 4.6 4.7 4.7
실시예7 4.6 4.8 4.7 4.7
실시예8 4.8 4.8 4.9 4.7
비교예1 3.1 3.3 3.0 3.1
비교예2 3.2 3.1 3.1 3.2
비교예3 2.8 3.2 3.2 3.2
비교예4 3.1 3.3 3.3 3.5
비교예5 3.0 3.1 3.2 3.3
비교예6 3.3 3.5 2.7 3.4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실시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주름 개선, 피부 유연화, 피부 미백, 보습의 모든 면에서 전체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Claims (5)

  1. 목화씨를 준비하여 건조한 후 목화씨 표면을 1초간 화염 처리하여 목화씨 표면의 털을 제거하는 화염처리단계와;
    물 100 중량부와, 물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의 빙초산을 혼합한 다음 까마중 전초를 혼합액에 27분 동안 침지시키는 전처리단계;
    전처리된 까마중 전초를 건조한 다음 용기 바닥에 물이 담겨진 찜기에 투입한 다음 까마중 전초를 100℃의 온도에서 1.7 ~ 2.3시간 동안 증숙시켜 까마중 전초에 수분이 스며들도록 하는 증숙단계와;
    상기 화염 처리된 목화씨와, 증숙단계를 거친 까마중 전초를 1 : 2.7 ~ 3.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착즙기에 투입하여 착즙하여 착즙액을 제조하는 착즙단계와;
    교반날이 구비된 교반기에 상기 착즙액을 투입한 후 120RPM의 속도로 30분간 교반날을 회전시키는 교반단계와;
    상기 착즙액을 용기에 넣고 90℃로 가열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76038A 2017-06-15 2017-06-15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1928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038A KR101928838B1 (ko) 2017-06-15 2017-06-15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038A KR101928838B1 (ko) 2017-06-15 2017-06-15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838B1 true KR101928838B1 (ko) 2018-12-13

Family

ID=6467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038A KR101928838B1 (ko) 2017-06-15 2017-06-15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95B1 (ko) * 2015-10-23 2016-06-09 이종두 고농축 식물성 소마티드 천연 겔 엑기스를 이용한 천연 파우더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원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95B1 (ko) * 2015-10-23 2016-06-09 이종두 고농축 식물성 소마티드 천연 겔 엑기스를 이용한 천연 파우더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원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4768B (zh) 一种含天然油茶皂苷的婴儿护理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3181444A (zh) 一种苦水玫瑰干花瓣茶及其制备方法
CN106434028A (zh) 一种去除农药残留的果蔬洗涤盐及其制备方法
CN105394242A (zh) 一种养生白茶的制备方法
CN104068183A (zh) 一种芳香浓郁型茶叶及其制备方法
KR20190059628A (ko) 법제, 발효 및 증숙 과정을 이용한 증숙 도라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872735A (zh) 一种竹叶除烦异香核桃仁及其制备方法
KR101928838B1 (ko) 목화씨와 까마중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1557627B1 (ko) 셀룰로오스 및 코코넛을 함유한 단호박 호두 설기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6674B1 (ko) 하수오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하수오 발효식품
CN104490738A (zh) 一种紫茉莉美白遮瑕霜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KR102347923B1 (ko) 인삼 닭 농축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2064B1 (ko) 함초를 함유한 기능성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931907B1 (ko) 함초를 함유한 함초파우더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3139A (ko) 자색 당근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자색 당근 식품의 제조방법
KR101875738B1 (ko) 옻나무 잎, 씨앗의 옻 액 추출방법
CN107509838A (zh) 一种发酵型黑米茶的制备方法
KR20110014393A (ko) 쌈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2431B1 (ko) 참마 및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101724901B1 (ko) 모링가 잎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
CN110200222A (zh) 一种即食豆瓣酱的生产工艺
JP2020519252A (ja) 乳酸菌を用いた天然物酵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81496B1 (ko)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양념분말
KR20120136893A (ko) 젤리타입의 흑마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