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423B1 -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423B1
KR101927423B1 KR1020170081216A KR20170081216A KR101927423B1 KR 101927423 B1 KR101927423 B1 KR 101927423B1 KR 1020170081216 A KR1020170081216 A KR 1020170081216A KR 20170081216 A KR20170081216 A KR 20170081216A KR 101927423 B1 KR101927423 B1 KR 101927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clined surface
vibration
elevator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백
오도석
전현주
김동군
Original Assignee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08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중을 분사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 장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상부에 고정하고 있는 지지대(30)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의 양측의 측벽(W)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대(30)의 양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10)을 포함한다. 서로 대향하는 지지브라켓(10)은 하방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성형되는 경사면(16)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 단부는 상기 경사면에 면접촉하는 경사를 가지는 외측면을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브라켓(10)의 경사면(16)은 한 쌍의 가이드턱(16a) 사이에 성형된다. 그리고 지지대(30)의 외측단부에서 일정 간격 돌출한 상태로 고정되는 접촉플레이트(32)의 외측면(34)이 경사면으로 성형되어 상기 경사면(16)과 면접촉하게 된다. 지지브라켓의 하부에는 방진돌출부가 내측으로 돌출 성형되고, 방진돌출부의 상부에는 지지대(30)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재(20)가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Device for supporting winding machin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권상기를 효율적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엘리베이터에서 일반적인 권상기의 지지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일반적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공간의 양측 벽면(W)에는 다수의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지지브라켓(2)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브라켓(2)의 상부에는 지지대(4)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대(4)의 상부에 권상기(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권상기(8) 및 지지대(4)의 하중을 지지브라켓(2)이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2)이 받는 하중은 순전히 하방을 향하는 하중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하중은 벽면(W)에 고정되는 다수의 앵커볼트가 지지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지구조에 의하면, 권상기(8)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의 하중은 전부 수직 방향의 하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권상기(8) 및 지지대(4)가 가지는 모든 하중을 수직 방향에서만 지지하는 것은 상술한 지지브라켓(2)이 담당하고 있는데, 이는 그렇게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권상기(8) 등에 의한 수직 방향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으면, 지지브라켓(2) 등과 같은 지지 부품의 안전상 더욱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하중을 분산시켜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충분히 향상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상부에 고정하고 있는 지지대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의 양측의 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지지브라켓은 하방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성형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 단부는 상기 경사면에 면접촉하는 경사를 가지는 외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브라켓의 경사면은 한 쌍의 가이드턱 사이에 성형된다. 그리고 지지대의 외측단부에서 일정 간격 돌출한 상태로 고정되는 접촉플레이트의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성형되어 상기 경사면과 면접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에는 방진돌출부가 내측으로 돌출 성형되고, 방진돌출부의 상부에는 지지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브라켓과 지지대의 접촉부분이 서로 경사면을 가지는 부재에 의하여 면접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권상기 및 지지대의 하중이 일부 분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든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만 작용하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이는 궁극적으로는 안전의 측면에서도 더욱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의 저면이 방진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일부 하중의 지지와 같이 권상기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방진부재가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최대한 건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권상기 기기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권상기 지지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권상기 지지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권상기 지지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권상기 지지장치의 부분 예시도.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지지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엘리베이터의 권상기(8)는 통상 H빔으로 만들어지는 지지대(30)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대(30)는, 그 양단부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의 양측의 벽면(W)에 지지되는 지지브라켓(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브라켓(10)은 벽면(W)에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고정브라켓(22)에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벽면(W)에는 다수의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브라켓(22)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0)은 다수의 볼트로 상기 고정브라켓(2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권상기(8)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지지브라켓(10)을 이용하여 지지대(30) 및 권상기(8)를 지지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어서, 상기 지지브라켓(10)을 벽면에 어떻게 고정하는가에 대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지지브라켓(10)은 실질적으로 지지대(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지지대(30) 및 권상기(8)의 하중의 적어도 일부분은 분산시킴으로써, 내구성 및 신뢰도가 높은 지지장치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브라켓(10)은, 도 4 및 도 5에 명백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16)을 구비하고 있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서 경사면(16)은 그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턱(16a) 사이에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경사면(16)은 지지대(30)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측에 모두 형성되어야 하고, 양측 경사면(16)의 경사 방향은 하방으로 갈수록 양측 경사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면(16) 사이에 지지대(30)가 올려지면, 지지대(30)는 하방으로 빠지지 않고 양측의 경사면(16) 사이에 걸쳐져서 지지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경사면(16)은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0)의 베이스플레이트(12)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2)는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술한 고정브라켓(22)에 다수의 볼트로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사면(16)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베이스플레이트(12)에는, 서로 근접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방진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한 방진돌출부(14)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방진돌출부(14) 상에는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흡수부재, 예를 들면 고무로 만들어지는 방진부재(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진부재(20) 위에는 지지대(30)가 접촉 상태로 지지되고 있어서, 권상기(8)의 동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벽면(W)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H빔으로 만들어지는 지지대(30)의 중간수직벽(38)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접촉플레이트(32)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지지대(30)의 중간수직벽(38)에 고정되는 접촉플레이트(32)는 지지대(30)에서 외측으로 약간 돌출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접촉플레이트(32)는 상술한 지지브라켓(10)의 경사면(16)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촉플레이트(32)의 외측면(34)이 상술한 경사면(16)에 접촉하는데, 양자는 서로 면접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3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외측면(34)이 경사면(16)에 접촉하기 위해서는, 외측면(34)이 경사면(16)과 반대방향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성형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접촉플레이트(32)의 외측면은, 지지대(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사면(15)과 면접촉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경사면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촉플레이트(32)의 외측면(34)은 상단부가 외측으로 더 돌출하는 방향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다음에는 도 2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에서 힘의 분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권상기(8)가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3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브라켓(10)에 지지되어야 한다. 여기서, 지지대(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플레이트(32)의 경사진 외측면(34)은 지지브라켓(10)의 경사면(16)에 접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지지대(30)의 저면은 방진부재(20)에 접촉하면서 지지되고 있기도 하다.
지지브라켓(10)의 경사면(16)에 접촉플레이트(32)의 경사진 외측면(34)이 면접촉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권상기(8) 및 지지대(30)의 하중이 분산되면서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벡터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권상기(8) 및 지지대(30)의 하중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 방향의 하중 성분은, 경사면(16)과 평행한 방향의 제1분력과 경사면(16)에 직각을 이루면서 외측을 향하는 제2분력으로 나누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8) 및 지지대(30)에 의한 수직 하중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지지브라켓(10)의 외측으로 향하는 분력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권상기 및 지지대의 모든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서 수직 방향으로 지지브라켓(10)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하중의 크기는 명백히 작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의 작용과 같이, 지지대(30)의 양측 하단부는 방진부재(2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방진부재(20)가 설치되어 있는 방진돌출부(14)에도 권상기(8) 및 지지대(30)에 기인하는 약간의 하중이 걸릴 수도 있고, 이는 허용 오차 및 설계 조건에 따라서 약간의 변화는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각 부재의 치수 설계 조건 및 공차 등에 따라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권상기 및 지지대의 하중이 방진부재(20)를 통하여 방진돌출부(14)에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방진부재(20)가 접촉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권상기(8)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하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대(30)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0)은, 벽면(W)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2)에 다수의 볼트로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지지브라켓(10)은 직접 벽면에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간접적으로 벽면(W)에 지지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지지대(30)의 외측에 별도의 접촉플레이트(32)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그 외측면(34)이 경사면(16)과 면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지지대(30)의 외측면에 직접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러한 경사면이 지지브라켓(10)의 경사면(16)과 면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8 ..... 권상기
10 ..... 지지브라켓
12 ..... 베이스플레이트
14 ..... 방진돌출부
16 ..... 경사면
16a ..... 가이드턱
20 ..... 방진부재
22 ..... 고정브라켓
30 ..... 지지대
32 ..... 접촉플레이트
34 ..... 외측면
38 ..... 중간 수직벽

Claims (3)

  1.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상부에 고정하고 있는 지지대(30)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의 양측의 측벽(W)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대(30)의 양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10)을 포함하고;
    서로 대향하는 지지브라켓(10)은 하방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성형되는 경사면(16)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 단부는 상기 경사면에 면접촉하는 경사를 가지는 외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경사면(16)은 한 쌍의 가이드턱(16a) 사이에 성형되고, 지지대(30)의 외측단부에서 일정 간격 돌출한 상태로 고정되는 접촉플레이트(32)의 외측면(34)이 경사면으로 성형되어 상기 경사면(16)과 면접촉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에는 방진돌출부가 내측으로 돌출 성형되고, 방진돌출부의 상부에는 지지대(30)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재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KR1020170081216A 2017-06-27 2017-06-27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KR10192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16A KR101927423B1 (ko) 2017-06-27 2017-06-27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16A KR101927423B1 (ko) 2017-06-27 2017-06-27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93A Division KR101961287B1 (ko) 2018-06-11 2018-06-11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423B1 true KR101927423B1 (ko) 2018-12-10

Family

ID=6467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216A KR101927423B1 (ko) 2017-06-27 2017-06-27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42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237B1 (ko) 현수식 엘리베이터
RU2279584C1 (ru) Резинов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KR20150121405A (ko) 수변전 및 배전설비용 내진장치
KR20070053137A (ko) 진동 차단 지지 구조체
JP2015229570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JP4957386B2 (ja) 天井防振吊り具
KR101927423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KR101961287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지지장치
KR101898080B1 (ko) 2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 스토퍼 및 그것이 적용된 내진 발전기
JP6797100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KR20190136598A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WO2005121012A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JP6345374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733926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
JP2002274769A (ja) エレベーターかご
KR20180082245A (ko)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지지장치
JP5175454B2 (ja) エレベータの防振装置
KR102353424B1 (ko) 방진구
JP6738764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並びに巻上機の防振機構部と転倒防止機構部の組立方法
JP2008094517A (ja) エレベータ防振構造
KR20210017872A (ko) 가변구조 내진스토퍼
JPH0441385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耐震装置
JP2013166616A (ja) エレベーター
WO2023021644A1 (ja) 乗りかご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2012097500A (ja) 免震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