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880B1 - 소방용 연결송수구 - Google Patents

소방용 연결송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880B1
KR101925880B1 KR1020120108025A KR20120108025A KR101925880B1 KR 101925880 B1 KR101925880 B1 KR 101925880B1 KR 1020120108025 A KR1020120108025 A KR 1020120108025A KR 20120108025 A KR20120108025 A KR 20120108025A KR 101925880 B1 KR101925880 B1 KR 10192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riable
main pipe
mai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085A (ko
Inventor
김정대
송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10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8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메인배관과, 메인배관에 연결되고, 위치가 변경되어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변배관 및 메인배관으로부터 가변배관을 위치변경시켜 고정하는 가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용 연결송수구{FIRE DEPARTMENT CONNECTION}
본 발명은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 내부에 구비되어 필요시에 손쉽게 돌출시켜 사용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화재 진압이 용이한 소방용 연결송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송수구는 노출형, 매립형으로 구분되어 체크밸브가 내장된 타입으로 사용중에도 호스연결이 가능한 구조로서, 건물 외부에 사용목적, 용도에 따라 옥내소화전 송수구, 스프링쿨러 송수구, 연결살수 송수구, 연결송수관 송수구 등으로 명판을 부착하여야 하면 한 장소에 여러 용도의 송수구를 설치할 경우 대형 명판에 용도별로 표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노출형 연결송수구는 구조물의 500~1000mm 높이에 설치하게 되어 있어 차량 충돌 사고로 인명피해가 우려되며, 인도에 설치된 연결송수구는 이륜차, 자전거 등 통행 및 보행자 부주위에 의한 저촉으로 인적, 물적 피해발생의 위험이 있다.
또한, 외부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도시미관 저해 및 장애인 이동시 위험 등 민원발생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809호(등록일:2004.08.24.)에는 "소방용 연결송수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 내부에 구비되어 평상시 충돌, 접촉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손쉽게 돌출시켜 사용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화재 진압이 용이한 소방용 연결송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메인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에 연결되고,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변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상기 가변배관을 위치변경시켜 고정하는 가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배관은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로 수용되어 인출 가능하고,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메인배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배관과 상기 가변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가변배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가변배관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변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숫나사부 및 상기 숫나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배관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배관, 상기 가변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의 이음부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배관의 둘레면에는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회전이 용이하고, 상기 메인배관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파지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레버에는 상기 메인배관으로 상기 가변배관의 삽입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배관에는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인출이 용이하도록 견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메인배관과 상기 가변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가변배관이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가변배관을 입상시킬 수 있는 엘보부재 및 상기 엘보부재에 의해 회동된 상기 가변배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보부재는 유니온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메인배관에 구비되고, 조임나사를 갖는 결속체 및 상기 결속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가변배관에 구비되고, 상기 조임나사와 대응되는 결속홀을 갖는 결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메인배관과 상기 가변배관을 연결하고, 신장가능한 호스배관 및 상기 호스배관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상기 가변배관을 지지고정하는 지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물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배관은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수용시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와 거치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고정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는 구조물 내부에 구비되어 평상시 충돌, 접촉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고, 필요시에 손쉽게 돌출시켜 사용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화재 진압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탈피함으로써, 인도 축소구간 보도 통행로 확보를 통한 보행자 안전 및 장애인 이동권 확보에 효과를 지니며, 소방설비 난립으로 인한 도심미관 저해를 방지하여 깨끗한 도시 이미지 제고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사용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가변고정부의 제1변형예,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가변고정부의 제2변형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제2변형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가변고정부의 제1변형예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가변고정부의 제2변형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제2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100)는 메인배관(110), 가변배관(120) 및 가변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메인배관(110)은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구비된다. 여기서 구조물은 인도의 바닥면, 그레이팅, 건축물 등을 포함한다. 구조물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내부공간은 개폐도어(105)에 의해 개폐된다.
가변배관(120)은 메인배관(110)에 연결되고, 위치가 변경되어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된다. 가변배관(120)은 메인배관(11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메인배관(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메인배관(110)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다. 그리고, 가변배관(120)의 상단부는 일측 절곡 형성된다.
가변고정부(130)는 메인배관(110)으로부터 가변배관(120)을 위치변경시켜 고정한다. 가변고정부(130)는 메인배관(1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메인배관(110)과 가변배관(120)을 연결하는 연결배관(132) 및 메인배관(110)으로부터 인출된 가변배관(120)의 회전에 의해 연결배관(132)과 가변배관(12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135)를 포함한다. 즉, 결합부(135)에 의해 가변배관(120)은 메인배관(110)으로부터 인출된 길이로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35)는 가변배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숫나사부(136) 및 숫나사부(136)에 대응되도록 연결배관(132)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37)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배관(110)으로부터 가변배관(120)을 인출한 상태에서 가변배관(120)을 회전시키면 암나사부(137)와 숫나사부(136)가 상호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가변배관(120)의 둘레면에는 메인배관(110)으로부터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레버(140)가 구비된다. 파지레버(140)는 가변배관(120)의 둘레면에 힌지 연결되어 90°절곡되도록 구성된다. 즉, 파지레버(140)는 가변배관(120)의 길이를 따라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가변배관(120)의 위치고정시 파지레버(140)를 펼쳐 회전시킬 수 있다.
파지레버(140)는 가변배관(120)의 둘레면에 형성되므로, 가변배관(120)이 메인배관(1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파지레버(140)는 메인배관(110)으로 가변배관(120)의 삽입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145)가 구비된다.
완충부재(145)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파지레버(140)의 단부에 구비된다. 이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배관(110)으로 가변배관(120)의 삽입시 완충부재(145)가 연결배관(132)의 상단부에 접촉되므로 충격을 완화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145)가 파지레버(140)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한정한 것이 아니며, 가변관 둘레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메인배관(110)으로 삽입되는 가변배관(1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으며, 플랜지의 저면에 완충부재(145)가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가변배관(120)에는 메인배관(110)으로부터 인출이 용이하도록 견인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견인부재(150)는 본실시예에서 아이볼트로 도시하였지만, 견인부재(150)는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메인배관(110), 가변배관(120) 및 연결배관(132)의 이음부에는 씰링부재(160)가 구비된다. 씰링부재(160)는 연결배관(132)의 상하단 내측면에 구비되는 보조링(164)과 가변배관(1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메인링(162)을 포함한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가변고정부의 제1변형예이다, 도 5는 가변배관(120)이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가변배관(120)이 구조물의 상부로 입상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제1변형예에 따른 가변고정부(230)는 메인배관(110)과 가변배관(120)을 연결하고, 가변배관(120)이 메인배관(110)으로부터 회전되어 가변배관(120)을 입상시킬 수 있는 엘보부재(232) 및 엘보부재(232)에 의해 회동된 가변배관(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235)를 포함한다.
엘보부재(232)는 유니온밸브로 구성된다. 그리고, 위치고정부(235)는 메인배관(110)에 구비되고, 조임나사(237)를 갖는 결속체(236) 및 결속체(236)와 접촉되도록 가변배관(120)에 구비되고, 조임나사(237)와 대응되는 결속홀(239)을 갖는 결속편(2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변배관(120)의 입상시 결속편(238)과 결속체(236)는 상호 접촉되고, 조임나사(237)는 회전에 결속홀(239)에 체결되므로, 가변배관(120)은 입상된 상태로 수압을 지탱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가변고정부의 제2변형예이다. 도 7은 가변배관(120)이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가변배관(120)이 구조물의 상부로 입상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가변배관(120)의 입상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2변형예에 따른 가변고정부(330)는 메인배관(110)과 가변배관(120)을 연결하고, 신장가능한 호스배관(332) 및 호스배관(332)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가변배관(120)을 지지고정하는 지지고정부(335)를 포함한다.
호스배관(332)은 각각의 메인배관(110)과 가변배관(120)에 플랜지 결합되고, 지지고정부(335)는 가변배관(120)의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안착부(336)가 구비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안착부(336)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배관(120)의 직경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수압에 의해 가변배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가변배관(120)의 상단부에 안착홈부가 마련되며, 안착부(336)는 클램프 구조로 이루어져 안착홈부를 감싸므로 가변배관(1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고정부(335)는 별물로 이루어져 구조물의 상단에 형성되는 장착부(340)에 착탈된다. 장착부(340)와 지지고정부(335)는 다각 단면으로 이루어져 지지고정부(335)와 장착부(340)의 결합시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호스배관(332)은 신장 가능하므로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그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는데, 구조물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105)가 구비되고, 가변배관(120)은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수용시 유동을 방지하도록 개폐도어(105)와 거치부재(35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개폐도어(105)의 개방시 거치부재(350)에 의해 연결되는 가변배관(120)은 개폐도어(105)를 따라 일부 인출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송수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경우, 작업자는 구조물의 개폐도어(105)를 개방하고, 견인부재(150)를 파지하여 가변배관(120)을 메인배관(110)으로부터 인출한다. 가변배관(120)의 인출로 인해 가변배관(120)의 선단은 구조물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가변배관(120)에는 견인부재(150)가 구비되어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서 가변배관(120)을 용이하게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가변배관(120)의 둘레면에 힌지 연결되는 파지레버(140)를 펼쳐 파지한 후 가변배관(120)을 메인배관(1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가변배관(120)으로부터 절첩되는 파지레버(140)에 의해 가변배관(120)의 회전이 용이하다.
파지레버(140)에 의해 가변배관(120)이 회전되면, 가변배관(120) 하단부에 형성되는 숫나사부(136)가 연결배관(132)의 암나사부(137)와 치합되므로 숫나사부(136)와 암나사부(137)의 결합에 의해 가변배관(120)은 일정 높이로 고정된다.
상기한 상태로 가변배관(120)에 소방호스를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화재 진압이 완료되면, 가변배관(120)의 선단으로부터 소방호스를 분리한 후, 파지레버(140)를 이용하여 가변배관(120)을 반대반향으로 회전시킨다. 가변배관(120)의 회전에 의해 암나사부(137)와 숫나사부(136)는 결합이 해제되며, 해제된 상태에서 가변배관(120)은 메인배관(11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파지레버(140)는 접어진 상태이며, 가변배관(1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파지레버(140)에 의해 가변배관(120)의 삽입 깊이는 제한된다. 그리고, 파지레버(140)의 단부에는 완충부가 구비되어 가변배관(120)의 삽입시 연결배관(132)과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후, 구조물의 개폐도어(105)를 덮어 본 장치를 보관하면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배관(120)은 메인배관(110)으로부터 엘보부재(232)에 의해 회동되어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엘보부재(232)는 유니온밸브로 이루어져 메인배관(110)으로부터 가변배관(120)이 회동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배관(120)은 평상시에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보관되고, 필요시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배관(120)을 메인배관(11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구조물의 상부로 입상시킬 수 있다. 이때, 가변배관(120)의 회전에 의해 가변배관(120)의 결속편(238)이 메인배관(110)의 결속체(236)와 접촉되고, 조임나사(237)에 의해 상호 결속되므로, 가변배관(120)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압에 의해 가변배관(120)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배관(110)과 가변배관(120)은 신장이 가능한 호스배관(332)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가변배관(120)은 필요시에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호스배관(332)에 의해 가변배관(120)의 기립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데, 별도의 지지고정부(335)를 장착부(340)에 장착하여 가변배관(120)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고정부(335)의 안착부(336)는 클램프방식에 의해 가변배관(120)의 둘레면을 감싸므로 가변배관(120)을 기립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면, 가변배관(120)이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보관되게 되는데, 호스배관(332)에 의해 일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가변배관(120)은 거치부재(350)에 의해 개폐도어(105)에 거치된다. 이로 인해 개폐도어(105)의 개방만으로 가변배관(120)을 일정부분 돌출 시킬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소방용 연결송수구 110 : 메인배관
120 : 가변배관 130 : 가변고정부
132 : 연결배관 135 : 결합부
136 : 숫나사부 137 : 암나사부
140 : 파지레버 145 : 완충부재
150 : 견인부재 160 : 씰링부재
162 : 메인링 164 : 보조링
230 : 가변고정부 232 : 엘보부재
235 : 위치고정부 236 : 결속체
237 : 조임나사 238 : 결속편
239 : 결속홀 330 : 가변고정부
332 : 호스배관 335 : 지지고정부
336 : 안착홈부 340 : 장착부

Claims (12)

  1.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배관에 연결되고,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변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상기 가변배관을 위치변경시켜 고정하는 가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배관은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로 수용되어 인출 가능하고;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메인배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배관과 상기 가변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가변배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가변배관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배관의 둘레면에는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회전이 용이하고, 상기 메인배관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파지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레버에는 상기 메인배관으로 상기 가변배관의 삽입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변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숫나사부; 및
    상기 숫나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배관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 상기 가변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의 이음부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배관에는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인출이 용이하도록 견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메인배관과 상기 가변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가변배관이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가변배관을 입상시킬 수 있는 엘보부재; 및
    상기 엘보부재에 의해 회동된 상기 가변배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메인배관에 구비되고, 조임나사를 갖는 결속체; 및
    상기 결속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가변배관에 구비되고, 상기 조임나사와 대응되는 결속홀을 갖는 결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고정부는 상기 메인배관과 상기 가변배관을 연결하고, 신장가능한 호스배관; 및
    상기 호스배관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상기 가변배관을 지지고정하는 지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배관은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수용시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와 거치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고정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송수구.
KR1020120108025A 2012-09-27 2012-09-27 소방용 연결송수구 KR10192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025A KR101925880B1 (ko) 2012-09-27 2012-09-27 소방용 연결송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025A KR101925880B1 (ko) 2012-09-27 2012-09-27 소방용 연결송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085A KR20140041085A (ko) 2014-04-04
KR101925880B1 true KR101925880B1 (ko) 2018-12-07

Family

ID=5065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025A KR101925880B1 (ko) 2012-09-27 2012-09-27 소방용 연결송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9647A (ja) * 2014-04-24 2015-11-24 ヨネ株式会社 消火栓スタンドパイプ
KR102088432B1 (ko) * 2018-08-06 2020-03-13 정순구 지하매설 소화전용 접이식 토출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076A (ja) * 2004-10-13 2006-04-27 Hazu Kogyo Kk 出没式給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5296U (ko) * 1976-10-14 1978-05-11
JPS639650Y2 (ko) * 1984-09-14 1988-03-22
KR100306974B1 (ko) * 1999-04-01 2001-09-24 이학원 승강식 소화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076A (ja) * 2004-10-13 2006-04-27 Hazu Kogyo Kk 出没式給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085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880B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JP2014217646A (ja) 消火栓装置
US9943193B2 (en) Emergency shower with improved valve actuation
JP5342859B2 (ja) 消火栓装置
JP3181093U (ja) 応急給水栓
JP4271707B2 (ja) 消火装置
CN203297847U (zh) 一种消防水带保护装置
KR101702569B1 (ko) 소방용 소화전 키
JP6888480B2 (ja) 消火器箱
JP7146026B2 (ja) 消火栓装置、及び消火栓設備
US20090133886A1 (en) Disposable fire hose for fighting starting fires
KR200313901Y1 (ko) 소화전의 연결부 돌출구조
KR200432506Y1 (ko) 관창
CN202182253U (zh) 有消防功能的家用水龙头
JP6852954B2 (ja) 消火栓装置及び消火栓設備
CN109603045A (zh) 一种新型远距离喷射式消防用灭火装置
CA3119290A1 (en) Toilet flush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CN214037110U (zh) 一种室内燃气设备管道辅助加强装置
CN208472848U (zh) 一种市政工程用消防栓
KR101022496B1 (ko)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ITBO20000600A1 (it) Dispositivo estensibile per erogare un liquido
CN210684868U (zh) 一种消防栓保护罩
KR200318375Y1 (ko) 지하 매설식 소화전의 급수밸브 개폐장치
KR20220000237U (ko) 소화전용 분리형 개폐기
KR102501445B1 (ko)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