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810B1 -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 Google Patents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810B1
KR101925810B1 KR1020170145769A KR20170145769A KR101925810B1 KR 101925810 B1 KR101925810 B1 KR 101925810B1 KR 1020170145769 A KR1020170145769 A KR 1020170145769A KR 20170145769 A KR20170145769 A KR 20170145769A KR 101925810 B1 KR101925810 B1 KR 101925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nut
radial
guide groov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신 팽
유웨이 추앙
셍하오 홍
Original Assignee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4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7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4Lubricant guiding means in the wall of or integrated with the casing, e.g. grooves, channels,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는 볼 스크류, 너트 및 밀봉 유닛을 포함한다. 너트에는 축에 평행한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이 제공되고, 축방향 평탄면에는 안내 홈이 제공된다. 제1 반경방향 구멍 및 제2 반경방향 구멍이 안내 홈과 입력 냉각 구멍과 출력 냉각 구멍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다음에 밀봉 유닛이 안내 홈을 밀봉하여, 냉각 통로를 형성한다. 안내 홈, 제1 반경방향 구멍 및 제2 반경방향 구멍 모두는 너트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냉각 통로는 간단히 밀봉 유닛으로 안내 홈을 밀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조립 공정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조립 비용을 저감시킨다.

Description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BALL SCREW WITH A COOLING PASSAGE}
본 발명은 볼 스크류, 특히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대만 특허 출원 제090106417호에 개시된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의 도면들 중 하나이고, 여기서 두 개의 단부 캡(12)은 너트(11)의 두 개의 단부에 배치되고, 두 개의 단부 캡(12)의 각각에는 너트(11)에 형성되는 복수의 냉각 구멍(111)과 연통하는 복수의 홈(121)이 제공되어, 냉각 매체의 순환을 위한 냉각 통로를 형성한다. 냉각 매체는 입력 구멍을 통해 냉각 통로에 공급되어 소정 온도로 너트(11)를 냉각시키고, 이어서 열 에너지를 흡수한 냉각 매체는 출력 구멍을 거쳐 냉각 통로로부터 배출된다. 그러나, 이 특허에는 너트(11)의 두 개의 단부에 두 개의 단부 캡(12)이 제공되어야만 하고, 냉각 매체의 순환을 위한 냉각 통로를 형성하도록 두 개의 단부 캡(12)의 각각에는 너트(11)의 복수의 냉각 구멍(111)과 연통하는 복수의 홈(121)이 제공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그 결과, 너트(11)의 축방향 길이는 너무 길게 되고, 이는 너트(11)의 유효 주행 길이를 감소시킬 것이다.
도 1B는 대만 특허 출원 제094114025호에 개시된 "냉각 장치를 갖는 너트"의 도면들 중 하나이고, 여기서 연속적으로 만곡된 순환 홈(141)이 너트(14)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너트(14)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커버(15)가 순환 홈(141)을 덮어서 냉각 통로를 형성한다. 그러나, 커버(15)는 순환 홈(141)을 밀폐된 냉각 통로로 만들기 위해 납땜에 의해 너트(14)에 고정되고, 이는 처리 및 유지 보수의 불편함을 강조한다. 또한, 커버(15)가 너트(14)에 납땜된 후에 연마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시간 소모적이다.
도 1C는 대만 특허 제10211596호에 개시된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의 도면들 중 하나이고, 여기서 너트(17)는 두 개의 단부면(171) 및 반경방향면(172)을 포함한다. 복수의 축방향 구멍(173)이 일 단부면(171)에 형성되고 타 단부면(171)을 향해 연장되고, 축방향 구멍(173)은 너트(17)의 중심 구멍(174) 주위에 배열된다. 반경방향면(172)에 그리고 두 개의 단부면(171)에 인접하여 축방향 구멍(173)과 연통하는 두 개의 반경방향 구멍(175)이 형성되어 S자형 냉각 통로를 형성한다. 그러나, 독립적인 구멍(173)이 너트(17)의 타 단부면(171)을 향해 일 단부면(171)에 형성되고, 각각의 축방향 구멍(173)은 원추형 스크류(176) 및 누출 방지 쿠션으로 밀봉되어야만 하고, 이는 조립 작업을 어렵게 하고 시간 소모적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단점들을 없애고 그리고/또는 완화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조립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 통로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는, 축과, 축을 둘러싸는 환형면과, 축을 둘러싸고 환형면에 형성되는 외부 나선형 홈을 포함하는 스크류와; 스크류 상으로 축을 따라 슬리브 결합되는 너트로서, 축을 둘러싸고 너트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내부 나선형 홈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반경방향 단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평탄면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에 형성되고 제2 반경방향 단부면을 향해 연장되는 입력 냉각 구멍 및 출력 냉각 구멍과, 축방향 평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과,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 및 입력 냉각 구멍과 연통하는 제1 반경방향 구멍과,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 및 출력 냉각 구멍과 연통하는 제2 반경방향 구멍을 포함하고, 내부 나선형 홈은 복수의 볼을 수용하기 위한 로드 경로를 형성하도록 외부 나선형 홈과 협동하는, 너트와; 너트의 축방향 평탄면 상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밀봉하기 위한 평탄 밀봉면을 포함하고, 냉각 통로를 형성하도록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이 제1 반경방향 구멍,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 및 제2 반경방향 구멍과 협동하는, 밀봉 유닛을 포함한다.
너트에는 축에 평행한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이 제공되고, 축방향 평탄면에는 안내 홈이 제공된다. 제1 반경방향 구멍 및 제2 반경방향 구멍이 안내 홈과 입력 냉각 구멍과 출력 냉각 구멍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다음에 밀봉 유닛이 안내 홈을 밀봉하여, 냉각 통로를 형성한다. 안내 홈, 제1 반경방향 구멍 및 제2 반경방향 구멍 모두는 너트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냉각 통로는 밀봉 유닛으로 안내 홈을 밀봉함으로써 간단히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조립 공정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조립 비용을 저감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는, 축과, 축을 둘러싸는 환형면과, 축을 둘러싸고 환형면에 형성되는 외부 나선형 홈을 포함하는 스크류와; 스크류 상으로 축을 따라 슬리브 결합되는 너트로서, 축을 둘러싸고 너트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내부 나선형 홈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반경방향 단부면과, 제1 축방향 평탄면과, 제2 축방향 평탄면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에 형성되고 제2 반경방향 단부면을 향해 연장되는 입력 냉각 구멍 및 출력 냉각 구멍과, 제1 축방향 평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과, 제2 축방향 평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과,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 및 입력 냉각 구멍과 연통하는 제1 반경방향 구멍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 및 출력 냉각 구멍과 연통하는 제2 반경방향 구멍과, 제1 및 제2 안내 홈과 연통하는 제3 반경방향 구멍을 포함하고, 내부 나선형 홈은 복수의 볼을 수용하기 위한 로드 경로를 형성하도록 외부 나선형 홈과 협동하는, 너트와; 너트의 제1 및 제2 축방향 평탄면 상에 각각 장착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을 밀봉하기 위한 평탄 밀봉면을 포함하고, 냉각 통로를 형성하도록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이 제1 반경방향 구멍,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 및 제2 반경방향 구멍과 협동하는, 밀봉 유닛을 포함한다.
이들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함께, 본 발명을 특징짓는 신규한 다양한 특징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 후속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될 것이다. 본 발명, 그 작동 장점 및 그 사용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목적들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첨부 도면과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통로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대만 특허 출원 제090106417호에 개시된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의 도면들 중 하나의 도면.
도 1B는 대만 특허 출원 제094114025호에 개시된 "냉각 장치를 갖는 너트"의 도면들 중 하나의 도면.
도 1C는 대만 특허 제10211596호에 개시된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의 도면들 중 하나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의 조립도.
도 4는 도 3의 선4-4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5-5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너트의 단면도.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도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보았을 때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는 스크류(20)와, 스크류(20) 상으로 슬리브 결합되는 너트(30)와, 스크류(20)와 너트(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50)과, 너트(30) 상에 장착되는 두 개의 밀봉 유닛(40)을 포함한다.
스크류(20)는 축(21)과, 축(21)을 둘러싸는 환형면(22)과, 축(21)을 둘러싸고 환형면(22)에 형성되는 외부 나선형 홈(23)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너트(30)는 축(21)을 따라 스크류(20) 상으로 슬리브 결합되고, 축(21)을 둘러싸고 너트(3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내부 나선형 홈(31)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에 대향하는 제2 반경방향 단부면(33)과, 축(21)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및 제2 반경방향 단부면(32, 33)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축방향 평탄면(34) 및 제2 축방향 평탄면(35)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에 형성되고 제2 반경방향 단부면(33)을 향해 연장되는 입력 냉각 구멍(36) 및 출력 냉각 구멍(37)과, 제1 축방향 평탄면(34)에 형성되는 세 개의 평행한 제1 안내 홈(38)과, 제2 축방향 평탄면(35)에 형성되는 세 개의 평행한 제2 안내 홈(39)과, 제1 안내 홈(38) 및 입력 냉각 구멍(36)과 연통하는 세 개의 제1 반경방향 구멍(310)과, 제2 안내 홈(39) 및 출력 냉각 구멍(37)과 연통하는 제2 반경방향 구멍(311)과,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과 연통하는 제3 반경방향 구멍(312)을 포함한다. 내부 나선형 홈(31)은 외부 나선형 홈(23)과 협동하여 복수의 볼(50)을 수용하기 위한 로드 경로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안내 홈(38)은 제1 환형 견부(381)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안내 홈(39)은 제2 환형 견부(391)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밀봉 유닛(40)은 세 개의 긴 누출방지 부재(41), 사각형 누출방지편(42), 및 호형 커버(43)를 포함한다. 각각의 누출방지 부재(41)는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411)와, 제1 및 제2 환형 견부(381, 391)와 맞대기 위한 맞댐부(412)를 포함한다. 각각의 누출방지편(42)은 너트(30) 상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과 누출방지 부재(41)를 밀봉하기 위한 평탄 밀봉면(421)을 포함한다. 각각의 커버(43)는 접시머리 스크류(44)에 의해 제1 및 제2 축방향 평탄면(34, 35)에 고정되어 누출방지편(42)을 가압하고,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36, 37)은 각각의 제1 반경방향 구멍(310), 제1 안내 홈(38), 제3 반경방향 구멍(312), 제2 안내 홈(39), 제2 반경방향 구멍(311)과 협동하여 냉각 통로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가 누출방지편(42)을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과 누출방지 부재(41)를 효과적으로 밀봉하기 위해서, 너트(30)의 제1 및 제2 축방향 평탄면(34, 35)에 스레드 구멍(341, 351)이 형성되고, 누출방지편(42)에 스레드 구멍(341, 351)과 정렬되는 관통 구멍(422)이 형성되고, 커버에는 각각 접시머리 스크류(44)의 삽입을 위해 스레드 구멍(341, 351)과 정렬되는 접시머리 구멍(431)이 형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제1 실시예의 주요 구성부품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것이고, 냉각액이 입력 냉각 구멍(36)으로 공급되고, 제1 반경방향 구멍(310), 제1 안내 홈(38), 제3 반경방향 구멍(312), 제2 안내 홈(39), 및 제2 반경방향 구멍(311)을 통해 유동하고, 최종적으로 출력 냉각 구멍(37)으로부터 배출되고, 이는 냉각 경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장점을 갖는다.
첫째, 조립 비용을 감소시킨다. 너트(30)에는 축(21)에 평행한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36, 37)이 제공되고, 제1 축방향 평탄면(34)에는 세 개의 평행한 제1 안내 홈(38)이 제공되고, 제2 축방향 평탄면(35)에는 세 개의 평행한 제2 안내 홈(39)이 제공된다. 제1 안내 홈(38)은 제1 반경방향 구멍(310)을 거쳐 입력 냉각 구멍(36)에 연결되고, 제2 안내 홈(39)은 제2 반경방향 구멍(311)을 거쳐 출력 냉각 구멍(37)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은 제3 반경방향 구멍(31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어서 밀봉 유닛(40)으로 밀봉되고, 입력 냉각 구멍(36) 및 출력 냉각 구멍(37)은 각각의 제1 반경방향 구멍(310), 제1 안내 홈(38), 제3 반경방향 구멍(312), 제2 안내 홈(39), 및 제2 반경방향 구멍(311)에 연결될 수 있고 냉각 통로를 형성한다. 냉각 통로가 너트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고, 너트의 축 방향으로 냉각 통로가 없다는 것을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 통로를 밀봉하기 위해서 원추형 스크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는 스크류의 사용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입력 냉각 구멍(36) 및 출력 냉각 구멍(37)의 기계가공 후에, 제1 반경방향 구멍(310), 제1 안내 홈(38), 제3 반경방향 구멍(312), 제2 안내 홈(39), 및 제2 반경방향 구멍(311)이 마무리되고,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는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을 밀봉하도록 로킹 작업을 통해 너트(30)에 밀봉 유닛(40)을 로킹함으로써 간단히 완성될 수 있고, 이는 조립 단계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조립 비용을 저감시키다.
둘째, 냉각 통로의 밀봉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냉각 통로는 입력 냉각 구멍(36) 및 출력 냉각 구멍(37), 제1 반경방향 구멍(310), 제1 안내 홈(38), 제3 반경방향 구멍(312), 제2 안내 홈(39), 및 제2 반경방향 구멍(311)에 의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만이 밀봉될 필요가 있다. 각각의 밀봉 유닛(40)은 누출방지 부재(41), 사각형 누출방지편(42), 및 호형 커버(43)를 갖도록 특별히 설계되고, 누출방지 부재(41)는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을 위한 밀봉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을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이어서 누출방지편(42)은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과 누출방지 부재(48)를 동시에 밀봉하여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의 제2 밀봉 구조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커버(43)는 접시머리 스크류(44)에 의해 너트(30)에 고정되고 각각의 누출방지편(42)을 가압하고,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의 제3 밀봉 구조체를 형성한다. 명백하게는, 밀봉 작업을 필요로 하는 냉각 통로의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이 밀봉 유닛(40) 및 세 개의 밀봉 구조체로 밀봉되고, 이는 확실히 냉각 통로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너트의 유효 주행 길이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너트(30)는 축(21)에 평행한 입력 냉각 구멍(36) 및 출력 냉각 구멍(37)을 갖도록 설계되고, 세 개의 평행한 제1 안내 홈(38)이 제1 축방향 평탄면(34)에 형성되고, 세 개의 평행한 제2 안내 홈(39)이 제2 축방향 평탄면(35)에 형성되고, 이어서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이 제1, 제2 및 제3 반경방향 구멍(310,311, 312)을 거쳐 서로 연통한다. 마지막으로, 밀봉 유닛(40)이 너트(30)에 고정되어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을 밀봉하고, 따라서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가 완성된다. 본 발명이 반경방향 직각 설계를 채용하고, 너트의 축 방향으로 냉각 통로가 없다는 것을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방향 블럭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는 결과적으로 너트(30)의 축방향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을 것이고, 너트(30)의 유효 주행 길이는 유지될 수 있다.
넷째, 높은 적용성이다. 너트(30)의 축 방향으로는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36, 37)만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은 큰 부속 공간을 가지며, 플랜지 오일 구멍과 와이퍼 스크류의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는 스크류(20)와, 스크류(20) 상으로 슬리브 결합되는 너트(30)와, 스크류(20)와 너트(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50)과, 너트(30) 상에 장착되는 밀봉 유닛(4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는 이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너트(30)에는 단지 하나의 축방향 평탄면(313)과, 축방향 평탄면(313)의 세 개의 안내 홈(314)과, 안내 홈(314) 및 입력 냉각 구멍(36)과 연통하는 세 개의 제1 반경방향 구멍(310)과, 안내 홈(314) 및 출력 냉각 구멍(37)과 연통하는 제2 반경방향 구멍(311)이 제공된다. 유사하게는, 밀봉 유닛(40)은 너트(30)의 축방향 평탄면(313) 상에 장착되어 각각의 안내 홈(314)을 밀봉하고, 입력 냉각 구멍(36), 제1 반경방향 구멍(310), 안내 홈(314), 제2 반경방향 구멍(311) 및 출력 냉각 구멍(37)은 냉각 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추가의 실시예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20 : 스크류 21 : 축
22 : 환형면 23 : 외부 나선형 홈
30 : 너트 31 : 내부 나선형 홈
32 : 제1 반경방향 단부면 33 : 제2 반경방향 단부면
34 : 제1 축방향 평탄면 35 : 제2 축방향 평탄면
36 : 입력 냉각 구멍 37 : 출력 냉각 구멍
38 : 제1 안내 홈 39 : 제2 안내 홈
40 : 밀봉 유닛 41 : 누출방지 부재
42 : 누출방지편 43 : 커버
44 : 접시머리 스크류 50 : 볼
310 : 제1 반경방향 구멍 311 : 제2 반경방향 구멍
312 : 제3 반경방향 구멍 313 : 축방향 평탄면
314 : 안내 홈 341, 351 : 스레드 구멍
381 : 제1 환형 견부 391 : 제2 환형 견부
411 : 밀봉부 412 : 맞댐부
421 : 평탄 밀봉면 422 : 관통 구멍
431 : 접시머리 구멍

Claims (3)

  1.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이며,
    축(21)과, 상기 축(21)을 둘러싸는 환형면(22)과, 상기 축(21)을 둘러싸고 상기 환형면(22)에 형성되는 외부 나선형 홈(23)을 포함하는 스크류(20)와;
    상기 스크류(20) 상으로 상기 축(21)을 따라 슬리브 결합되는 너트(30)로서, 상기 축(21)을 둘러싸고 상기 너트(3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내부 나선형 홈(31)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과, 상기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에 대향하는 제2 반경방향 단부면(33)과,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평탄면(313)과, 상기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반경방향 단부면(33)을 향해 연장되는 입력 냉각 구멍(36) 및 출력 냉각 구멍(37)과, 상기 축방향 평탄면(313)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314)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314) 및 상기 입력 냉각 구멍(36)과 연통하는 제1 반경방향 구멍(31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314) 및 상기 출력 냉각 구멍(37)과 연통하는 제2 반경방향 구멍(311)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나선형 홈(31)은 복수의 볼(50)을 수용하기 위한 로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나선형 홈(23)과 협동하는, 너트(30)와;
    상기 너트(30)의 상기 축방향 평탄면(313)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314)을 밀봉하기 위한 평탄 밀봉면(421)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36, 37)이 상기 제1 반경방향 구멍(3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314), 및 상기 제2 반경방향 구멍(311)과 협동하는, 밀봉 유닛(40)
    을 포함하는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2.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이며,
    축(21)과, 상기 축(21)을 둘러싸는 환형면(22)과, 상기 축(21)을 둘러싸고 상기 환형면(22)에 형성되는 외부 나선형 홈(23)을 포함하는 스크류(20)와;
    상기 스크류(20) 상으로 상기 축(21)을 따라 슬리브 결합되는 너트(30)로서, 상기 축(21)을 둘러싸고 상기 너트(3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내부 나선형 홈(31)과,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과, 상기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에 대향하는 제2 반경방향 단부면(33)과, 제1 축방향 평탄면(34)과, 제2 축방향 평탄면(35)과, 상기 제1 반경방향 단부면(32)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반경방향 단부면(33)을 향해 연장되는 입력 냉각 구멍(36) 및 출력 냉각 구멍(37)과, 상기 제1 축방향 평탄면(34)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38)과, 상기 제2 축방향 평탄면(3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39)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38) 및 상기 입력 냉각 구멍(36)과 연통하는 제1 반경방향 구멍(31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39) 및 상기 출력 냉각 구멍(37)과 연통하는 제2 반경방향 구멍(311)과, 상기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과 연통하는 제3 반경방향 구멍(312)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나선형 홈(31)은 복수의 볼(50)을 수용하기 위한 로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나선형 홈(23)과 협동하는, 너트(30)와;
    상기 너트(30)의 상기 제1 및 제2 축방향 평탄면(34, 35) 상에 각각 장착되고,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38)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39)을 밀봉하기 위한 평탄 밀봉면(421)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입력 및 출력 냉각 구멍(36, 37)이 상기 제1 반경방향 구멍(3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38),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39), 및 상기 제2 반경방향 구멍(311)과 협동하는, 밀봉 유닛(40)
    을 포함하는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3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홈(38)은 제1 환형 견부(38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3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홈(39)은 제2 환형 견부(391)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밀봉 유닛(40)은 적어도 하나의 누출방지 부재(41), 누출방지편(42), 및 커버(43)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누출방지 부재(41)는 상기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411)와 상기 제1 및 제2 환형 견부(381, 391)와 맞대기 위한 맞댐부(412)를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편(42)은 상기 너트(30) 상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안내 홈(38, 39)과 상기 누출방지 부재(41)의 대응하는 하나를 밀봉하기 위한 상기 평탄 밀봉면(421)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43)는 상기 제1 및 제2 축방향 평탄면(34, 35)에 고정되고 상기 누출방지편(42)을 가압하는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KR1020170145769A 2017-11-03 2017-11-03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KR101925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69A KR101925810B1 (ko) 2017-11-03 2017-11-03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69A KR101925810B1 (ko) 2017-11-03 2017-11-03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810B1 true KR101925810B1 (ko) 2019-02-26

Family

ID=6556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769A KR101925810B1 (ko) 2017-11-03 2017-11-03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7129A (zh) * 2022-10-27 2022-12-23 唐山科达鑫道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球齿型联轴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7351A (ja) * 2004-05-26 2005-12-08 Nsk Ltd ボールねじ装置
US20110154924A1 (en) * 2009-12-30 2011-06-30 Hiwin Technologies Corp. Ball screw device having cooling structure
WO2013024575A1 (ja) * 2011-08-17 2013-02-21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140033847A1 (en) * 2011-10-01 2014-02-06 Hiwin Technologies Corp. Motion transmission module with a cool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7351A (ja) * 2004-05-26 2005-12-08 Nsk Ltd ボールねじ装置
US20110154924A1 (en) * 2009-12-30 2011-06-30 Hiwin Technologies Corp. Ball screw device having cooling structure
WO2013024575A1 (ja) * 2011-08-17 2013-02-21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140033847A1 (en) * 2011-10-01 2014-02-06 Hiwin Technologies Corp. Motion transmission module with a cool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7129A (zh) * 2022-10-27 2022-12-23 唐山科达鑫道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球齿型联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912B1 (ko) 볼 나사 및 그 조립방법
JP4598067B2 (ja) 内燃機関用の複合式のピストン
JP3217729U (ja) 冷却型ボールねじ
DE112013005256T5 (de) Lagerstruktur für einen Turbolader
KR101925810B1 (ko)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AU2016333343A1 (en) Gear with helical toothing, and segment for a gear
KR20150100878A (ko) 볼 나사 장치
US20190113105A1 (en) Cycloidal reducer
US20230246512A1 (en) Electrical machine with bypass cooling duct
US10428930B2 (en) Ball screw with a cooling passage
US20020153773A1 (en) Track roller
US20100139433A1 (en) Ball screw with a circulation member
KR200488986Y1 (ko) 순환 윤활식 스플라인 장치
CN106931122B (zh) 双螺帽冷却式滚珠螺杆
TWM565255U (zh) Cooled ball screw
KR20020079410A (ko) 축구멍부재의 키맞물림부의 형성방법 및 키맞물림부의 구조
KR200491851Y1 (ko) 냉각 볼 스크류
JP3165323U (ja) 冷却流通路を有する伝動コンポーネント
TWI432661B (zh) A drive element with a double nut assembly
KR101273802B1 (ko) 접선 외순환식 볼스크류
JP2020070883A (ja) ボールねじ装置
JP3238897U (ja) リニアトランスミッションデバイス、及びリニアトランスミッションデバイスコンポーネント
TWM493619U (zh) 滾珠螺桿裝置
KR200491302Y1 (ko) 안전 보호 기능이 구비된 볼 스크류
JP4935520B2 (ja) ボールねじ用シール装置およびボールね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