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51Y1 - 냉각 볼 스크류 - Google Patents

냉각 볼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851Y1
KR200491851Y1 KR2020180002585U KR20180002585U KR200491851Y1 KR 200491851 Y1 KR200491851 Y1 KR 200491851Y1 KR 2020180002585 U KR2020180002585 U KR 2020180002585U KR 20180002585 U KR20180002585 U KR 20180002585U KR 200491851 Y1 KR200491851 Y1 KR 200491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ace
groove
cool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37U (ko
Inventor
유웨이 추앙
Original Assignee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180002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5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냉각 볼 스크류는 스크류, 너트, 복수의 밀봉 캡 및 복수의 밀봉 링을 포함한다. 너트의 제1 및 제2 단부면에는 밀봉 캡으로 밀봉되는 복수의 수용 홈이 제공된다. 또한, 너트와 너트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종래의 누출 방지 가스킷이 필요 없다. 축방향 압축 두께는 감소되고, 복수의 밀봉 링이 밀봉 캡의 환형 홈에 배치되어 너트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이는 결과적으로 너트 스토퍼의 두께와 제조 비용도 감소시킨다. 또한, 이중 너트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누출 방지 테이프로 감싸진 오일 정지 스크류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볼 스크류{COOLING BALL SCREW}
본 고안은 트랜스미션 장치, 특히 너트 스토퍼의 비용 및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냉각 볼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볼 스크류는 최근 정밀 기계 산업에서 중요한 공구들 중 하나이며 스크류 상을 활주하는 너트에 의해 공작 기계의 위치설정 및 측정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됩니다. 스크류와 너트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마찰 과정에서, 격렬한 운동 상태와 운동 시간 연장으로 고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관련 산업은 관련 냉각 구조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동작 중에 스크류와 너트가 냉각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볼 스크류는 여전히 실제 사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만 특허 제I376470호에 개시된 "냉각 채널을 갖는 너트"를 도시하는 도면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너트 스토퍼(1)는 두 개의 밀봉 캡(3) 상으로 누출 방지 가스킷(2)을 압축하고, 누출 방지 가스킷(2)이 밀봉 캡(3)의 주위로 변형되어 밀봉 목적을 달성한다. 그러나, 너트 스토퍼(1)는 너트(4)를 조이는 기능을 가져야 하고, 따라서, 로킹 동안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 스토퍼(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또한 최소 나사 깊이가 10mm인 로킹 구멍(11)을 가져야만 하고, 너트(4)의 길이가 증가된다.
도 1B는 대만 특허 제I392810호에 개시된 "냉각 채널을 갖는 트랜스미션 요소"를 도시하는 설명도인 도 1B를 참조하면, 단부면(5A) 중 하나의 단부면에는 단부면(5A) 중 다른 단부면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축방향 구멍(7A)이 제공된다. 반경방향 표면(6A)에는 두 개의 단부면(5A)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반경방향 구멍(8A)이 제공되어, 너트(4A)의 냉각 채널(9A)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축방향 구멍(7A)과 반경방향 구멍(8A)의 배열은 누출 방지 테이프로 싸여진 복수의 오일 정지 스크류의 사용을 필요로 하여, 현장 조립은 노동력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누출 문제도 발생할 것이다. 또한, 반경방향 구멍(8A)의 설계 때문에 냉각 채널(9A)이 짧아지고, 이는 냉각 효과를 감소시킨다.
본 고안은 상술된 단점들을 없애고 그리고/또는 완화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너트 스토퍼의 비용 및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냉각 볼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중 너트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누출 방지 테이프로 감싸진 오일 정지 스크류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누출을 방지을 방지할 수 있는, 단일 또는 이중 너트 볼 스크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냉각 볼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각 볼 스크류이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크류;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류 상으로 슬리브 결합되고, 제1 단부면과, 상기 제1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과, 상기 제1단부면과 상기 제2단부면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단부면 및 상기 제2 단부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 홈과, 상기 수용 홈을 관통하는 냉각 통로 그룹과, 상기 제2 단부면을 관통하고 상기 냉각 통로 그룹과 연통하는 입력 구멍과, 상기 제2 단부면을 관통하고 상기 냉각 통로 구멍과 연통하는 출력 구멍을 포함하는 너트;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되고 각각 개별 수용 홈의 내부면과 대면하는 환형 홈을 갖는 복수의 밀봉 캡으로서, 상기 밀봉 캡의 각각은 순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냉각 통로 그룹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순환 공간 및 상기 냉각 통로 그룹은 냉각액 순환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밀봉 캡; 및 상기 환형 홈에 배치되고 상기 개별 수용 홈의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밀봉 링;을 포함하고, 상기 각 수용 홈의 내주면 일측에서 상기 수용홈의 중앙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입구보다 안쪽으로 일정깊이 내려앉은 형상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와, 상기 로킹부에 형성되는 로킹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캡의 각각은 상기 환형 홈 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에 접촉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고 상기 로킹 홈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각 로킹 구멍이 해당 로킹 홈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양호하게는, 수용 홈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와 로킹부에 형성되는 로킹 홈을 포함하고, 밀봉 캡의 각각은 환형 홈 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에 접촉되는 고정부와, 고정부를 관통하고 로킹 홈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구멍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제1 단부면 및 제2 단부면의 각각에는 복수의 고정 홈이 제공되고, 냉각 볼 스크류는 수용 홈에 밀봉 캡을 고정할 수 있는 두 개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두 개의 고정 부재는 밀봉 캡의 고정부에 접촉되고, 각각 고정 홈에 정렬되는 복수의 고정 구멍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스크류, 너트, 복수의 밀봉 캡 및 복수의 밀봉 링을 포함하는 냉각 볼 스크류를 제공한다. 너트의 제1 및 제2 단부면에는 밀봉 캡으로 밀봉되는 복수의 수용 홈이 제공된다. 또한, 너트와 너트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종래의 누출 방지 가스킷이 필요 없다. 축방향 압축 두께는 감소되고, 복수의 밀봉 링이 밀봉 캡의 환형 홈에 배치되어 너트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이는 결과적으로 너트 스토퍼의 두께와 제조 비용도 감소시킨다. 또한, 이중 너트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누출 방지 테이프로 감싸진 오일 정지 스크류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과 함께, 본 고안을 특징짓는 신규한 다양한 특징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 후속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될 것이다. 본 고안, 그 작동 장점 및 그 사용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목적들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첨부 도면과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너트 스토퍼의 비용 및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냉각 볼 스크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이중 너트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누출 방지 테이프로 감싸진 오일 정지 스크류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단일 또는 이중 너트 볼 스크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냉각 볼 스크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대만 특허 제I376470호에 개시된 "냉각 채널을 갖는 너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대만 특허 제I392810호에 개시된 "냉각 채널을 갖는 트랜스미션 요소"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의 제1 단부면을 도시하는 본 고안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의 제2 단부면을 도시하는 본 고안의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의 조립도.
도 5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의 밀봉 캡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의 다른 밀봉 캡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의 다른 밀봉 캡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에 고정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하는 분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에 두 개의 너트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도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보았을 때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볼 스크류는 스크류(20), 너트(30), 복수의 밀봉 캡(40) 및 복수의 밀봉 링(50)을 포함한다.
스크류(20)는 길고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나선 형상을 갖는 롤링 홈은 스크류(20)의 외부면 상에 만입되고, 복수의 롤링 요소(A)는 롤링 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너트(30)는 스크류(20)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 구조체이고, 축 방향을 따라 스크류(20) 상으로 슬리브 결합된다. 너트(30)는 롤링 홈(21)과 정렬되고 롤링 요소(A)의 수용을 위해 제공되는 나선형 홈(31)과, 제1 단부면(32')과, 제1 단부면(32')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32")과, 제1 단부면(32') 및 제2 단부면(32")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 홈(33)과, 수용 홈(33)을 관통하는 냉각 통로 그룹(34)과, 제2 단부면(32")을 관통하고 냉각 통로 그룹(34)과 연통하는 입력 구멍(35)과, 제2 단부면(32")을 관통하고 냉각 통로 그룹(34)과 연통하는 출력 구멍(36)을 포함한다. 롤링 홈(21)과 나선형 홈(31)은 롤링 요소(A)를 위한 로드 경로를 형성한다.
복수의 밀봉 캡(40)은 수용 홈(33)에 수용되고 각각 개별 수용 홈(33)의 내부면(331)에 접촉되는 안내부(41)를 갖는다. 안내부(41)에는 개별 수용 홈(33)의 내부면(331)과 대면하는 환형 홈(411)이 제공된다. 각각의 밀봉 캡(40)은 사이에 순환 공간(70)을 형성하도록 냉각 통로 그룹(34)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되고, 순환 공간(70)과 냉각 통로 그룹(34)은 냉각액 순한로를 한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냉각 캡(40)은 로킹 방식으로 수용 홈(33)을 덮고, 각각의 밀봉 캡(40)은 수용 홈(33)의 깊이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순환 공간(70)의 배열에 의해, 냉각 통로 그룹(34)의 냉각 통로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냉각액이 입력 구멍(35)으로 주입될 때, 냉각액은 냉각 통로 그룹(34)과 순환 공간(70) 내부에서 순환하여 냉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밀봉 링(50)은 환형 홈(411)에 배치되고 개별 수용 홈(33)의 내부면(331)에 접촉된다. 이 실시예에서, 밀봉 링(50)은 O링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O링 형태의 밀봉 링(50)은 환형 홈(411)에 배치되고, 압축될 때 외향으로 연장될 것이고, 밀봉 효과에 더하여, 밀봉 링(50)은 밀봉 캡(40)과 너트 스토퍼 사이의 종래의 누출 방지 가스킷의 축방향 압축 두께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O링은 종래의 누출 방지 가스킷과 비교하여 시장에서 쉽게 입수할 수 있고, 본 고안의 밀봉 링(50)은 추가적인 개발, 생산 및 기타 형개에 요구되는 다른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의해 쉬운 조립, 대량 생산 및 전반적인 제조 비용 절감의 효과를 달성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수용 홈(33)은 내부면(33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332)와, 로킹부(332)에 형성되는 로킹 홈(333)을 포함한다. 각각의 밀봉 캡(40)은 환형 홈(411)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332)에 접촉되는 고정부(42)와, 고정부(42)를 관통하고 로킹 홈(333)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구멍(43)을 포함한다. 로킹 홈(333)과 정렬되는 로킹 구멍(43)의 배열은 밀봉 캡(40)이 너트(30)에 로킹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 실시예는, 로킹부(332) 및 두 개의 로킹 구멍(43)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고정부(42)는 안내부(4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부(42)의 배열을 통해, 밀봉 캡(40)의 로킹 위치의 정확성이 달성될 수 있고, 제품의 조립 품질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동시에 부품을 간소화하여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조립 작업 중 편향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냉각 통로 그룹(34)은 제1 냉각 통로(34')와 제1 냉각 통로(34')에 인접한 제2 냉각 통로(3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냉각 통로(34', 34")는 각각 동일한 수용 홈(33)에 연결되는 일단부를 갖고, 상이한 수용 홈(33)에 각각 연결되는 다른 단부를 갖는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밀봉 캡(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여기서 밀봉 캡(40)에는 안내부(41)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42)의 돌출부를 관통하는 하나의 로킹 구멍(43)이 제공되고, 돌출부는 수용 홈(33) 중 대응하는 하나의 수용 홈의 로킹부(332)에 접촉된다. 로킹 홈(333)에 정렬되는 로킹 구멍(43)의 설계는 조립 작업자가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조립시의 편향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조립 편의성 및 조립 효율 향상의 목적을 달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밀봉 캡(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여기서 밀봉 캡(40)에는 안내부(41)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42)의 돌출부를 관통하는 하나의 로킹 구멍(43)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와 기능적으로 유사하고, 차이는 이 실시예의 돌출부가 고정부(42)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는 것이다. 로킹 구멍(43)의 설계는 조립 작업자가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조립시의 편향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조립 편의성 및 조립 효율 향상의 목적을 달성한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밀봉 캡(4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여기서 밀봉 캡(40)에는 두 개의 로킹 구멍(43)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와 기능적으로 유사하고, 차이는 두 개의 로킹 구멍(43)이 돌출부(42) 상에 비대칭으로 배열된다는 것이다. 로킹 구멍(43)의 설계는 조립 작업자가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조립시의 편향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조립 편의성 및 조립 효율 향상의 목적을 달성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단부면(32')과 제2 단부면(32")의 각각에는 복수의 고정 홈(321)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냉각 볼 스크류는 수용 홈(33)에 밀봉 캡(40)을 고정할 수 있는 두 개의 고정 부재(60)를 더 포함한다. 두 개의 고정 부재(60)는 밀봉 캡(40)의 고정부(42)에 접촉되고, 각각 고정 홈(321)에 접촉되는 복수의 고정 구멍(61)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고정 부재(60)는 호형이고, 노치를 포함하고, 두 개의 고정 부재(60)가 수용 홈(33)에 밀봉 캡(40)의 고정부(42)를 고정시켜 밀봉 캡(40)의 고정을 돕는다. 또한, 고정 구멍(61)과 고정 홈(321)의 협동을 통해, 너무 많은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밀봉 캡(40)의 고정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 및 조립 용이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이전의 실시 예와 상이하다. 이 실시예는 이중 너트 볼 스크류이고, 제1 너트 (30A) 및 제2 너트(30B)를 포함한다. 제1 너트(30A)는 복수의 밀봉 캡(40A)에 의해 밀봉되는 복수의 수용 홈(33A)을 포함한다. 각각의 밀봉 캡(40A)에는 개별 수용 홈(33A)의 내부면(331A)과 대면하는 환형 홈(411A)이 제공되고, 밀봉 링 (50A)이 환형 홈(411A)에 배치된다. 제2 너트(30B)는 복수의 밀봉 캡(40B)에 의해 밀봉되는 복수의 수용 홈(33B)을 포함한다. 각각의 밀봉 캡(40B)에는 개별 수용 홈(33B)의 내부면(331B)과 대면하는 환형 홈(411B)이 제공되고, 밀봉 링 (50B)이 환형 홈(411B)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의 나머지 구조, 구성 및 기능은 이전 실시예의 단일 너트 볼 스크류와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고안은 이중 너트 냉각 볼 스크류에 대해 동일한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누출 방지 테이프로 감싸진 오일 정지 스크류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누출을 방지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구조적 구성 및 그들의 연결 관계이며, 본 고안의 사용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본 고안은 스크류(20), 너트(30), 복수의 밀봉 캡(40) 및 복수의 밀봉 링 (50)을 포함하는 냉각 볼 스크류를 제공한다. 너트(30)의 제1 및 제2 단부면(32 ', 32")에는 밀봉 캡(40)에 의해 밀봉되는 복수의 수용 홈(33)이 제공된다. 또한, 너트(30)와 너트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종래의 누출 방지 가스킷이 필요하지 않다. 축방향 압축 두께가 감소되고, 복수의 밀봉 링(50)이 밀봉 캡(40)의 환형 홈(411) 내에 배치되어 너트(30)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너트 스토퍼의 두께 및 제조 비용도 감소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이중 너트 냉각 볼 스크류를 사용하여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누출 방지 테이프로 감싸진 오일 정지 스크류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며, 누출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추가의 실시예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20 : 스크류 30 : 너트
32' : 제1 단부면 32" : 제2 단부면
33 : 수용 홈 34 : 냉각 통로 그룹
35 : 입력 구멍 36 : 출력 구멍
40 : 밀봉 캡 50 : 밀봉 링
70 : 순환 공간 331 : 내부면
411 : 환형 홈

Claims (3)

  1. 냉각 볼 스크류이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크류(20);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류(20) 상으로 슬리브 결합되고, 제1 단부면(32')과, 상기 제1 단부면(32')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32")과, 상기 제1단부면(32‘)과 상기 제2단부면(32”)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단부면(32') 및 상기 제2 단부면(32")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 홈(33)과, 상기 수용 홈(33)을 관통하는 냉각 통로 그룹(34)과, 상기 제2 단부면(32")을 관통하고 상기 냉각 통로 그룹(34)과 연통하는 입력 구멍(35)과, 상기 제2 단부면(32")을 관통하고 상기 냉각 통로 구멍(34)과 연통하는 출력 구멍(36)을 포함하는 너트(30);
    상기 수용 홈(33)에 수용되고 각각 개별 수용 홈(33)의 내부면(331)과 대면하는 환형 홈(411)을 갖는 복수의 밀봉 캡(40)으로서, 상기 밀봉 캡(40)의 각각은 순환 공간(70)을 형성하도록 상기 냉각 통로 그룹(34)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순환 공간(70) 및 상기 냉각 통로 그룹(34)은 냉각액 순환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밀봉 캡(40); 및
    상기 환형 홈(411)에 배치되고 상기 개별 수용 홈(33)의 상기 내부면(331)에 접촉되는 복수의 밀봉 링(50);을 포함하고,
    상기 각 수용 홈(33)의 내주면 일측에서 상기 수용홈(33)의 중앙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3)의 입구보다 안쪽으로 일정깊이 내려앉은 형상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332)와, 상기 로킹부(332)에 형성되는 로킹 홈(333)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캡(40)의 각각은 상기 환형 홈(411) 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332)에 접촉되는 고정부(42)와, 상기 고정부(42)를 관통하고 상기 로킹 홈(333)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구멍(43)을 포함하며, 상기 각 로킹 구멍(43)이 해당 로킹 홈(333)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냉각 볼 스크류.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2585U 2018-06-14 2018-06-14 냉각 볼 스크류 KR200491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85U KR200491851Y1 (ko) 2018-06-14 2018-06-14 냉각 볼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85U KR200491851Y1 (ko) 2018-06-14 2018-06-14 냉각 볼 스크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37U KR20190003137U (ko) 2019-12-24
KR200491851Y1 true KR200491851Y1 (ko) 2020-06-18

Family

ID=6900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585U KR200491851Y1 (ko) 2018-06-14 2018-06-14 냉각 볼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5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7273A1 (en) * 2007-10-31 2009-04-30 Hiwin Technologies Corp. Ball screw device having circulating dev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US20110154924A1 (en) * 2009-12-30 2011-06-30 Hiwin Technologies Corp. Ball screw device having cooling structure
KR101500912B1 (ko) * 2011-08-17 2015-03-09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볼 나사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7273A1 (en) * 2007-10-31 2009-04-30 Hiwin Technologies Corp. Ball screw device having circulating dev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US20110154924A1 (en) * 2009-12-30 2011-06-30 Hiwin Technologies Corp. Ball screw device having cooling structure
KR101500912B1 (ko) * 2011-08-17 2015-03-09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볼 나사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37U (ko)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7729U (ja) 冷却型ボールねじ
US3521910A (en) Tube coupling
US4602791A (en) High pressure seal assembly
US4256313A (en) Universal mechanical seal gland
US5133564A (en) Piston ring assembly for stirling engine
US20070052181A1 (en) Backup ring
KR101876110B1 (ko) 조인트 유닛
EP3450805A1 (en) Mechanical seal
US5401065A (en) Fluid coupling
US20200386356A1 (en)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for connector
KR200491851Y1 (ko) 냉각 볼 스크류
US5265852A (en) Gas spring with gas passageways in the assembly housing and piston rod
US2842284A (en) Cylinder end seal for fluid pressure cylinder
US4415164A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and securing a mechanical seal element and the like on a shaft
US3410566A (en) Sealing member for mechanical seals
US4540186A (en) Anti-rotation device for contracting rod ring seals
CN218626357U (zh) 一种火电厂热工压力表的紧固机构及其密封装置
US4024802A (en) Hydraulic piston and rod assembly
US3293993A (en) Joint between a piston head and a piston rod of a fluid motor
JP2022522947A (ja) 回転ジョイント
TWM565255U (zh) Cooled ball screw
KR101925810B1 (ko) 냉각 통로를 갖는 볼 스크류
JPH063219Y2 (ja) シ−ル部材
US4039198A (en) Packing gland
US3479039A (en) Rotary se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