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749B1 -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749B1
KR101924749B1 KR1020177037020A KR20177037020A KR101924749B1 KR 101924749 B1 KR101924749 B1 KR 101924749B1 KR 1020177037020 A KR1020177037020 A KR 1020177037020A KR 20177037020 A KR20177037020 A KR 20177037020A KR 101924749 B1 KR101924749 B1 KR 101924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tact
substrate
key body
butt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359A (ko
Inventor
마사유키 이토
사토루 키타자와
켄이치 미야지마
카즈노부 요코야마
타다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9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ontacts, e.g. interspersed fingers or hel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01H13/6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the operating member having only two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과제> 소형이며 높은 하중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높은 스트로크 및 높은 클릭 감촉을 실현하기 쉬운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은, 돔 형상의 가동 접점(20)과, 그 가동 접점(20)의 돌출측에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10)를 구비하고, 조작 키(10)를 가동 접점(20)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가동 접점(20)을 기판(40) 상의 적어도 2개의 접점(41, 42)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로서, 조작 키(10)는, 키 본체(11)와 그 키 본체(11)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키 본체(11)의 기판(40)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돔부(12)와, 그 돔부(12)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기판(40) 상에 고정되는 족부(14)를 구비하고, 가동 접점(20)은, 키 본체(11)의 직하 부위와 이간하여 배치되고, 키 본체(11)의 밀어넣음에 의해 접점(42)과 접촉하는 상측 접촉부(21)와, 상측 접촉부(21) 혹은 그것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키 본체(1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25)를 구비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출원관련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5년 6월 25일에 일본에 있어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5-127348 및 2016년 3월 24일에 일본에 있어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6-59707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당해 출원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또, 본 출원에 있어서 인용한 특허, 특허출원 및 문헌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메탈 돔(metal dome)의 외측으로부터 그 중앙 정상 부위에 대해서 압압을 가하고, 메탈 돔의 변형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온(on)시키는 푸시버튼(pushbutton) 스위치용 부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최근에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조립해 넣은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키(key)의 소형화 및 키 사이의 협소화가 진행되는 중, 각 키와 메탈 돔과의 고정밀도의 위치 맞춤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키의 압압 위치와 메탈 돔의 중앙 정상 부위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면, 양호한 클릭(click)감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키의 직하에 메탈 돔의 중앙 정상 부위를 접착시킨 형태를 가지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키의 직하에 메탈 돔을 접속하면, 키와 메탈 돔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항상 메탈 돔의 중앙 정상 부위에 대해서 압압할 수가 있어 양호한 클릭감이 얻어진다고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회로 기판측에, 메탈 돔의 중앙에 접촉 가능한 제1 고정 접점과, 메탈 돔의 외주위에 접촉 가능한 제2 고정 접점을 형성하고, 메탈 돔을 회로 기판으로부터 부양시킨 상태로 키에 접속하면, 키로부터의 메탈 돔의 눌러내림에 의해 제2 고정 접점과 메탈 돔의 외주위가 접촉하여 스위치를 온시키고, 이어서 메탈 돔의 중앙부와 제1 고정 접점이 접촉하여 스위치를 온시키는 2단 스위치를 실현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1998-18872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7-52962호 공보 국제공개 WO2012/153587호 공보
그러나, 종래로부터 공지의 상술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는, 메탈 돔 단체를 압압(押壓)하는 경우, 압압 개시부터 피크(peak) 하중에 이를 때까지의 스트로크(stroke)가 짧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결과, 인간공학적으로 자연스러운 조작감이 얻어지지 못하여 조작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쉽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는, 또한 높은 하중 대응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메탈 돔 단체에서 높은 하중의 스위치를 실현하려면, 메탈 돔의 시트의 두께, 직경 혹은 곡률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반복의 변형에 대한 내구성이 낮아지게 되고, 또한 스위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있어서, 메탈 돔의 상방에 러버(rubber) 스위치를 배치하면, 상기의 문제는 작아지지만, 러버 스위치의 하면의 플런저(plunger)와 메탈 돔 정부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당해 위치 어긋남은, 조작 감촉의 악화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러버 스위치의 직하 위치에 있는 플런저와 메탈 돔의 정부를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과 같은 위치 어긋남의 문제는 없지만, 접착제의 존재에 기인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그것은 접착제의 두께의 불균일에 의해 압압 방향의 치수 공차가 크고, 양호한 조작 감촉을 보증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접착제의 존재 영역에서는, 메탈 돔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메탈 돔 본래의 높은 클릭감이 얻어지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이며 높은 하중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높은 스트로크 및 높은 클릭 감촉을 실현하기 쉬운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과, 그 가동 접점의 돌출측에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를 구비하고, 조작 키를 가동 접점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가동 접점을 기판 상의 적어도 2개의 접점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로서, 조작 키에, 키 본체와, 그 키 본체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키 본체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돔부(dome part)와, 그 돔부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기판 상에 고정되는 족부를 구비하고, 가동 접점에는, 키 본체의 직하 부위와 이간하여 배치되고, 키 본체의 밀어넣음에 의해 접점과 접촉하는 상측 접촉부와, 상측 접촉부 혹은 그것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조작 키의 키 본체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한 가동 접점에, 상측 접촉부보다도 가동 접점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키 본체의 밀어넣음에 의해, 상측 접촉부가 접하는 접점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다른 접점에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다른 접점과 접촉 혹은 비접촉 상태로 대향시켜 배치되는 외측 접촉부를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 조작 키에, 돔부와 족부의 사이에 기판과 간극을 두고서 대향하는 1 또는 2이상의 중간부를 구비하고, 가동 접점이 외측 고정부를 중간부에 고정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 외측 고정부를 조작 키의 돔부에 고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 가동 접점의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제1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조작 키의 밀어넣음에 의해 제1 관통공의 주위에서 키 본체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한 기판에 있어서의 접점의 직경 방향 내측에 구비하는 조광 수단으로부터 제1 관통공을 통해서 투광 가능하게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한 조작 키에는, 키 본체의 하부에, 키 본체 하동(下動)에 의해 조광 수단을 수납 가능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를 투광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 조작 키의 키 본체에, 그 외측으로부터 가동 접점을 향해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을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한 제2 관통공에, 그 길이 방향의 일부 혹은 전부에 걸쳐 투광성의 재료를 매설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 조작 키를 투광성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한 키 본체의 적어도 천면(天面)에, 그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층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 키 본체를 그 천면측과 가동 접점측을 경도가 다른 재료로 구성하는 다층 구조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이며 높은 하중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높은 스트로크 및 높은 클릭 감촉을 실현하기 쉬운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조작 키의 투과 평면도(1A)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A-A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A-A선 단면도(1B)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의 평면도(2A) 및 당해 평면도 내의 B-B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B-B선 단면도(2B)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조작 키의 하부에 도 2의 돔 형상의 가동 접점을 고정한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회로 기판 상에 배치한 상태의 투과 평면도,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C-C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C-C선 단면도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D-D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D-D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뒤편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이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기판 및 그 각종 변형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투과 평면도(6A)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E-E선(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중앙 부분에서 절곡되는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E-E선 단면도(6B)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뒤편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이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주로 조작 키)의 여러 가지 변형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이어 도 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주로 조작 키)의 여러 가지 변형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이어 도 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주로 조작 키)의 여러 가지 변형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3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11A) 및 그 변형예(11B)의 도 3의 C-C선 단면도와 마찬가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투과 평면도(12A)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F-F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F-F선 단면도(12B)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은 제5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투과 평면도(13A)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G-G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G-G선 단면도(13B)를 각각 나타낸다.
도 14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하중-변위 곡선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3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복수개 장착한 다중(multi) 조작 키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로서, 자동차의 핸들에 다중 조작 키를 조립해 넣은 상태의 정면도(15A), 다중 조작 키의 겉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15B) 및 다중 조작 키의 (15A)에 있어서의 H-H선 단면도(15C)를 각각 나타낸다.
도 16은 제6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조작 키의 투과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A-A선 단면도 및 일부 B의 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8은 도 1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제7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조작 키의 투과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9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A-A선 단면도 및 일부 B의 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1은 도 19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제8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조작 키의 투과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도 22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A-A선 단면도 및 일부 B의 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4는 도 22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제6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각 변형예로서 조작 키의 족부의 형태를 바꾼 2개의 예에 있어서의 도 17과 마찬가지의 일부 B의 확대 단면도(25A, 25B)를 나타낸다.
도 26은 가동 접점의 각종 변형예(26A~26F)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푸시버튼(pushbutton) 스위치용 부재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와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 각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되고 있는 모든 요소 및 그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이다고는 할 수 없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조작 키의 투과 평면도(1A)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A-A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A-A선 단면도(1B)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의 평면도(2A) 및 당해 평면도 내의 B-B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B-B선 단면도(2B)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조작 키의 하부에 도 2의 돔 형상의 가동 접점을 고정한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회로 기판 상에 배치한 상태의 투과 평면도,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C-C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C-C선 단면도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D-D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D-D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뒤편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이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후, 「상」, 「상방」 혹은 「상측」은, 기판으로부터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하」, 「하방」혹은 「하측」은,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로부터 기판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 「직경 방향 외측」은, 특정의 대상물의 평면시에서 중심으로부터 가상원을 그렸을 때의 가상원의 확경(擴徑) 방향을 의미한다. 「직경 방향 내측」은, 상술의 가상원의 축경(縮徑) 방향을 의미한다. 「평면시에서」란, 기판에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배치한 측의 면을 상으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이후, 단지, 「가동 접점」이라고 한다.)(20)과, 가동 접점(20)의 돌출측에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10)를 구비하고, 조작 키(10)를 가동 접점(20)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가동 접점(20)을 기판(회로 기판이라고도 한다.)(40) 상의 적어도 2개의 접점(41, 42)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이다.
(1) 조작 키
조작 키(10)는, 키 본체(11)와, 키 본체(11)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이 키 본체(11)의 기판(40)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돔부(12)와, 돔부(12)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기판(40) 상에 고정되는 족부(14)를 구비한다. 또, 조작 키(10)는,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내듯이, 돔부(12)와 족부(14)의 사이에, 기판(40)과 간극을 개재(介在)하여 대향하는 2개의 중간부(13)를 구비한다. 2개의 중간부(13)는, 조작 키(10)의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사이에 두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20)의 접속 부위에 상당한다. 조작 키(10)는, 중간부(13)의 상방에, 하방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부(13)는, 족부(14)의 상하 방향의 길이(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에 대응하는 중간부(13)는, 가동 접점(20)에 있어서의 후술의 띠부(25)의 접착 개소로 된다. 조작 키(10)를 압압 조작하면, 돔부(12)가 점차 변형하고, 이에 수반하여 하부 변형력과, 족부(14)가 XY방향의 외측으로 힘이 작용하여 변형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중간부(13)를 얇게 하여 작은 힘으로 뻗기 쉽게 변형함으로써, 가동 접점(20)의 고정부와 관련되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가 있고, 그 결과, 가동 접점(20)의 하방으로의 응력과 외측으로 인장되는 방향으로의 힘을 놓아 줄 수가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오목부(15)를 설치함으로써 중간부(13)를 박형화 하고 있고, 가동 접점의 띠부(25)와 족부(14)의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중간부(13)의 박막부)도 설치하고 있다. 다만, 오목부(15)는, 필수의 구성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가동 접점(20)을 압압 변형시키는 것보다도 큰 하중으로 스위치를 넣도록 하는 용도의 경우, 돔부(dome part)(12)의 두께를 변경하는 등의 다른 수단을 강구하여 당해 용도에 합치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를 제작하기 위해서, 돔부(12)의 두께의 변경과 오목부(15)의 형성, 돔부(12)의 두께의 변형과 오목부(15)의 비형성, 혹은 돔부(12)의 두께의 비변경과 오목부(15)의 비형성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가 있다.
키 본체(11)는,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기판(40)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돔부(12)에 지지되어 있다. 키 본체(11)는, 평면시에서 대략 중앙 하측에, 기판(40)을 향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플런저(16)를 구비한다. 또, 조작 키(10)는, 키 본체(11)의 하부(플런저(16)의 위치)에, 키 본체(11)의 하동(下動)에 의해, 후술하는 조광 수단을 수납 가능한 오목부(17)를 구비한다. 오목부(17)는, 플런저(16)의 하면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움푹 패인다. 오목부(17)의 면적은, 플런저(16)의 하면의 면적보다 작다. 오목부(17)는, 그 저면을 키 본체(11)의 상면 근방까지 도달시키고 있지만, 키 본체(11)를 관통하고 있지는 않다. 돔부(12)는, 각통(角筒) 형상을 가지고, 키 본체(11)측으로부터 기판(40)측으로 관통하고, 또한 기판(40)측을 향해 확경(擴徑)하는 부재이다. 돔부(12)는, 키 본체(11)를 기판(40)의 방향으로 눌러내리면, 그 도중에 돔부(12)가 변형하고, 그 후에 눌러내림을 해제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도록 설계된 얇은 형상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돔부(12)를 포함하는 조작 키(10) 전체를 탄성 재료로 구성하지만, 돔부(12)만을 탄성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족부(14)는,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정사각형도 포함한다.)의 박판(薄板)이며, 중간부(13) 이외의 부위를 기판(40)에 접촉시키는 형상을 가진다.
조작 키(10)는, 그 구성 재료로서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천연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혹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의 열경화성 엘라스토머 ;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스티렌계, 올레핀계, 부타디엔계 혹은 불소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혹은 이들의 복합물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외의 조작 키(10)의 구성 재료로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혹은 니트릴 고무(NBR)를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 구성 재료에, 산화 티타늄, 카본 블랙(carbon black)으로 대표되는 필러(filler)를 혼합해도 좋다. 기판(40) 상의 LED(조광 수단의 일례)(50)로부터 발하는 광을 조작 키(10)의 외방향으로 투광하는 데는, 조작 키(10)의 적어도 일부를 투광성으로 한다. 조작 키(10) 전체를 실리콘 고무 등의 투광성 재료로 구성하면, LED(50)로부터 조작 키(10)의 임의의 장소를 통해서 발광 가능하다. 한편, 조작 키(10)의 구성 재료에 투광성이 낮은 재료를 이용한 경우라도, 오목부(17)의 저면과 키 본체(11)의 상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 LED(50)로부터 오목부(17)의 방향으로만 투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2) 가동 접점
가동 접점(20)은,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며, 대향하는 2변으로부터 띠모양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延出)하는 띠부(25)를 구비한다. 또, 가동 접점(20)은, 평면시에서 대략 중앙 부분을 키 본체(11)측으로 돌출시킨 돔 형상을 가진다. 가동 접점(20)은, 그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원형의 제1 관통공(22)을 가진다. 제1 관통공(22)은, 플런저(16)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키(10)를 기판(40)측에 밀어넣으면, 키 본체(11)의 하측에 위치하는 플런저(16)는, 제1 관통공(22)의 주위에 접촉할 수 있고, 가동 접점(20)의 제1 관통공(22) 주변을 기판(40) 방향으로 눌러내릴 수가 있다. 또한, 제1 관통공(22)은, 가동 접점(20)의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한, 제1 관통공(22)의 중심과 가동 접점(20)의 중앙부를 일치시키도록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이후, 다른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가동 접점(20)은, 제1 관통공(22)의 주위에 있어 원환 형상 또한 돔 형상의 상측 접촉부(21)와, 상측 접촉부(21)의 외주위에 평면시에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방으로 급각도로 구부러지는 단차부(23)와, 단차부(2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연접하는 자락 판부(24)를 구비한다. 상술의 띠부(25)는, 자락 판부(24)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延出)하고 있고, 상측 접촉부(21)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조작 키(10)의 키 본체(1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에 상당한다. 띠부(25)는, 조작 키(10)의 중간부(13)에 고정 가능하게 가동 접점(20)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20)과 조작 키(10)의 접속부는, 가동 접점(20)의 띠부(25)뿐이다. 상측 접촉부(21)는, 조작 키(10)의 하방에 가동 접점(20)을 고정했을 때에, 키 본체(11)의 직하 부위(플런저(16)의 위치)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부위에서, 키 본체(11)의 밀어넣음에 의해 접점(제2 접점이라고 한다.)(42)과 접촉할 수가 있다. 또, 가동 접점(20)이 압압되어 반전했을 때에, 가동 접점(20)의 단부의 진동이 당해 단부와 접하는 탄성 부재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20)의 조작음이 작아지고, 따라서 뛰어난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이 이후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지만,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 때에 단차부(23)는, 상측 접촉부(21)의 휨 변형의 지점(支點)으로 될 수 있다.
가동 접점(20)은, 상측 접촉부(21)보다도 가동 접점(2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키 본체(11)의 밀어넣음에 의해, 상측 접촉부(21)가 접하는 제2 접점(42)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다른 접점(제1 접점이라고 한다.)(41)에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제1 접점(41)과 비접촉 상태로 대향시켜 배치되는 외측 접촉부(2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접촉부(26)와 제1 접점(41)의 간극은, 조작 키(10)의 기판(40) 방향으로의 눌러넣음 때에 외측 접촉부(26)와 제1 접점(41)이 접촉 가능하면, 특히 제약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접촉부(26)와 제1 접점(41)의 간극을 0.03~0.1㎜의 범위 내로 하고 있다. 또한, 외측 접촉부(26)는, 제1 접점(41)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외측 접촉부(26)는 도 2에 나타내듯이, 가동 접점(20)의 자락 판부(24)를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하여 형성되는 컵(cup) 형상 부위이다. 외측 접촉부(26)는, 자락 판부(24)의 4개의 모서리에 1개씩, 합계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키 본체(11)의 밀어넣음 때에, 가동 접점(20)은, 4개소에서 제1 접점(41)과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외측 접촉부(26)의 수는, 1개 이상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 접점(20)과 제1 접점(41)의 접촉시에, 가동 접점(20)이 기울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외측 접촉부(26)를 가동 접점(20)의 중앙을 사이에 두어 대향하는 위치에 2개 1조로, 1조 혹은 2조 이상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접촉부(26)를 구비하지 않고, 상측 접촉부(21) 등의 다른 부위를 제1 접점(41)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가동 접점(20)은, 그 구성 재료로서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예시적인 금속재료로서는,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탄소강, 동, 동합금(청동, 인청동, 황동, 백동, 양은 등), 은 혹은 상기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2이상의 합금을 들 수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금속재료는 SUS301이지만, SUS301 이외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혹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혹은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계 스테인레스강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 가동 접점(20)을 수지 베이스의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투명한 수지의 일면에, 카본, 은 혹은 동의 막을 형성하여, 역완(逆椀) 형상으로 성형 가공을 하여 가동 접점(20)을 제조할 수도 있다. 가동 접점(20)을 금속 혹은 수지의 어느 것으로 구성하는 경우라도, 가동 접점(20)의 적어도 고정 전극 접촉면측의 표면을 내식성, 내진성 혹은 도전성의 안정화를 위해서, 도금이나 증착 등의 표면 처리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당해 표면 처리로서는, 금도금(두께 : 약 0.05㎛)과 봉공(封孔) 처리의 병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금도금의 두께는, 내식성의 관점에 있어서는, 이론적으로는 두꺼울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비용의 관점에서 제약되고, 0.01㎛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0.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30㎛ 이하이다. 상기 이외의 예시적인 표면 처리로서는, 금도금, 니켈 도금과 금도금과 봉공 처리, 니켈 도금과 금도금, 니켈 도금, 은도금, 니켈 도금과 은도금, 은도금과 봉공 처리(황화 방지 처리(=변색 방지 처리)), 니켈 도금과 은도금과 봉공 처리(황화 방지 처리(=변색 방지 처리)), 카본계 도전 잉크 혹은 카본계 도전 도료의 도포를 들 수가 있다. 또, 표면 처리에, 금 합금, 은합금, 팔라듐(palladium), 팔라듐 합금, 텅스텐 혹은 텅스텐 합금을 이용해도 좋다.
(3) 기판
도 3에 나타내듯이, 기판(40)은, 바람직하게는, 가동 접점(20)의 제1 관통공(22)의 직하 위치에, 조광 수단으로서의 LED(50)를 고정한다. 기판(40)은, LED(50)의 외주위에 제2 접점(42)을, 그 제2 접점(42)의 외주위에 제1 접점(41)을 각각 구비한다. 제1 접점(41)은, 키 본체(11)의 눌러내림에 의해 하강하는 외측 접촉부(26)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다. 제2 접점(42)은, 제1 접점(41)과 이간하여 배치되고, 키 본체(11)의 눌러내림에 의해 하강하는 상측 접촉부(21)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점(41) 및 제2 접점(42)의 양쪽 모두를 닫은 원환 형상의 접점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20)의 외측 접촉부(26)가 제1 접점(41)과 접촉해도 스위치는 온(on)으로 되지 않는다. 가동 접점(20)의 상측 접촉부(21)가 제2 접점(42)과 접촉했을 때에, 제1 접점(41)과 제2 접점(42)을 가동 접점(20)이 연결하도록 회로가 형성되고, 이 결과, 스위치를 온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제1 접점(41) 및 제2 접점(42)의 형상, 또 이들의 유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 대표적인 변형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접점(41) 및 제2 접점(42)은, 그 표면을 기판(40)으로부터 노출한 상태에서 기판(40)의 하방에 일부를 매설하도록 기판(40)에 형성되어 있지만, 기판(4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기판(40)의 하방에 매설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 LED(50)는, 기판(40)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지만, 그 일부가 기판(40)의 하방에 매설되어 있어도 좋다. 키 본체(11)를 눌러내렸을 때에, LED(50)와 플런저(16)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서, 키 본체(11)에 오목부(17)를 형성하고 있지만, LED(50)를 기판(40)에 매설하는 등을 하여, 상기 접촉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는, 오목부(17)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제1 접점(41) 및 제2 접점(42)은, 금속 중에서도 비교적 도전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금, 은, 동, 알루미늄 청동, 알루미늄 합금 혹은 이들의 2이상의 합금으로부터 매우 적합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접점(41) 및 제2 접점(42)은, 이들의 표면을 내식성이나 도전성의 안정화를 위해서, 도금을 단층 혹은 복층으로 실시해도 좋다. 도금으로서는, 금, 은, 니켈 등의 도금, 혹은 이들의 1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도금을 예시할 수 있다. 또, LED(50) 이외의 조광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필라멘트(filament) 가열형의 전구를 들 수가 있다.
도 5는 도 3의 기판 및 그 각종 변형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5A)의 기판(4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판이다. 이 이외에, (5B)에 나타내듯이, 반나누기 원환 형상의 2개의 접점(41a, 41b)의 내측에, 반나누기 원환 형상의 2개의 접점(42a, 42a)을 배치하고, 또한 그 내측에 LED(50)를 배치한 기판(40)을 이용해도 좋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20)의 외측 접촉부(26)가 제1 접점(41a, 41a)과 접촉했을 때에, 제1 접점(41a, 41a)의 사이를 가동 접점(20)이 연결하도록 회로가 형성되고, 이 결과, 1단째의 스위치를 온(on)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가동 접점(20)의 상측 접촉부(21)가 제2 접점(42a, 42a)과 접촉했을 때에, 제2 접점(42a, 42a)의 사이를 가동 접점(20)이 연결하도록 회로가 형성되어 2단째의 스위치를 온으로 할 수 있다.
또, LED(50)는, 이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에 있어 필수의 구성부는 아니다. 이 때문에 LED(50)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5C), (5D) 또는 (5E)에 나타내는 기판(40)을 이용할 수가 있다. (5C)의 기판(40)은, 원환 형상의 제1 접점(41)의 내측에, 원형의 제2 접점(42b)을 배치하는 기판이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20)의 외측 접촉부(26)가 제1 접점(41)과 접촉해도 스위치는 온(on)으로 되지 않는다. 가동 접점(20)의 상측 접촉부(21)가 제2 접점(42b)과 접촉했을 때에, 제1 접점(41)과 제2 접점(42b)을 가동 접점(20)이 연결하도록 회로가 형성되고, 이 결과, 스위치를 온으로 할 수 있다. (5D)의 기판(40)은, 반나누기 원환 형상의 2개의 제1 접점(41a, 41a)의 내측에, 반원 형상의 제2 접점(42c, 42c)을 배치하는 기판이다. 이 때문에 (5B)의 기판(40)과 마찬가지의 2단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 (5E)의 기판(40)은, 반나누기 원환 형상의 2개의 제1 접점(41a, 41a)의 내측에, 반원 빗살모양의 2개의 접점(42d, 42d)을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로 이간 배치한다. 반원 빗살모양의 제2 접점(42d, 42d)을 배치하면, 제2 접점(42d, 42d)을 보다 확실하게 도통할 수 있다. 또, (5B)의 기판(40)과 마찬가지의 2단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20)의 상측 접촉부(21)를 기판(40) 상의 접점에 접촉시키는 것뿐이라면, (5F)의 기판(40)을 이용해도 좋다. 이 기판(40)은, 반원 빗살모양의 2개의 제1 접점(41b, 41b)을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로 이간 배치한다. 외측 접촉부(26)는, 제1 접점(41b, 41b)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도통 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가동 접점(20)의 상측 접촉부(21)가 제1 접점(41b, 41b)과 접촉했을 때에, 제1 접점(41b, 41b)을 가동 접점(20)이 연결하도록 회로가 형성되고, 이 결과, 스위치를 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판(40)은,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어 있어도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2의 실시 형태)
다음에,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또한 그 구성 혹은 동작에 대해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투과 평면도(6A)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E-E선(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중앙 부분에서 절곡되는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E-E선 단면도(6B)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뒤편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이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70)과, 가동 접점(70)의 돌출측에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60)를 구비하고, 조작 키(60)를 가동 접점(70)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가동 접점(70)을 기판(40) 상의 적어도 2개의 접점(제1 접점(41), 제2 접점(42))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이다.
(1) 조작 키
조작 키(60)는, 키 본체(61)와, 키 본체(61)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이 키 본체(61)의 기판(40)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돔부(62)와, 돔부(62)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기판(40) 상에 고정되는 족부(64)를 구비한다. 또, 조작 키(60)는,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나타내듯이, 돔부(62)와 족부(64)의 사이에, 기판(40)과 간극을 개재(介在)하여 대향하는 2개의 중간부(63)를 구비한다. 2개의 중간부(63)는, 조작 키(60)의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사이에 두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70)의 접속 부위에 상당한다. 조작 키(60)는, 중간부(63)의 상방에, 하방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6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부(63)는, 족부(64)의 상하 방향의 길이(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5)는, 제1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 오목부(15)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목부(15)와 마찬가지로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키 본체(6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기판(40)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돔부(62)에 지지되어 있다. 키 본체(61)는, 평면시에서 대략 중앙 하측에, 기판(40)을 향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플런저(66)를 구비한다. 또, 조작 키(60)는, 키 본체(61)의 대략 중앙부에, 그 외측으로부터 가동 접점(70)을 향해 상하로 관통하는 제2 관통공(67)을 구비한다. 제2 관통공(67)은, 키 본체(61)의 하동에 의해, 조광 수단으로서의 LED(50)를 수납 가능한 부위이다. 제2 관통공(67)의 면적은, 플런저(66)의 하면의 면적보다 작다. 돔부(62)는, 대략 원통의 스커트 형상을 가지고 있고, 키 본체(61)측으로부터 기판(40)측으로 관통하고, 또한 기판(40)측을 향해 확경(擴徑)하는 부재이다. 돔부(62)는, 키 본체(61)를 기판(40)의 방향으로 눌러내리면, 그 도중에 돔부(62)가 변형하고, 그 후에 눌러내림을 해제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도록 설계된 얇은 형상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돔부(62)를 포함하는 조작 키(60) 전체를 탄성 재료로 구성하지만, 돔부(62)만을 탄성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족부(64)는,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정사각형도 포함한다.)의 박판(薄板)이며, 중간부(63) 이외의 부위를 기판(40)에 접촉시키는 형상을 가진다. 조작 키(60)의 구성 재료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조작 키(10)와 같다. 조작 키(60)는, 제2 관통공(67)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성이 아니어도 좋다.
(2) 가동 접점
가동 접점(70)은, 평면시에서 원형이며,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띠모양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延出)하는 띠부(75)를 구비한다. 또, 가동 접점(70)은, 평면시에서 대략 중앙 부분을 키 본체(61)측으로 돌출시킨 돔 형상을 가진다. 가동 접점(70)은, 그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원형의 제1 관통공(72)을 가진다. 제1 관통공(72)은, 플런저(66)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키(60)를 기판(40)측에 밀어넣으면, 키 본체(61)의 하측에 위치하는 플런저(66)는, 제1 관통공(72)의 주위에 접촉할 수 있고, 가동 접점(70)의 제1 관통공(72) 주변을 기판(40) 방향으로 눌러내릴 수가 있다.
가동 접점(70)은, 제1 관통공(72)의 주위에 있어 원환 형상 또한 돔 형상의 상측 접촉부(71)와, 상측 접촉부(71)의 외주위에 평면시에서 원형 모양의 굴곡부(73)를 구비한다. 상술의 띠부(75)는, 굴곡부(73)의 일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하고 있고, 상측 접촉부(71)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조작 키(60)의 키 본체(6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에 상당한다. 띠부(75)는, 조작 키(60)의 중간부(63)에 고정 가능하게 가동 접점(70)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70)과 조작 키(60)의 접속부는, 가동 접점(70)의 띠부(75)뿐이다. 상측 접촉부(71)는, 조작 키(60)의 하방에 가동 접점(70)을 고정했을 때에, 키 본체(61)의 직하 부위(플런저(66)의 위치)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부위에서, 키 본체(61)의 밀어넣음에 의해 제2 접점(42)과 접촉할 수가 있다. 이 때에 굴곡부(73)는, 상측 접촉부(71)의 휨 변형의 지점(支點)으로 될 수 있다.
가동 접점(70)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와 달리 외측 접촉부(26)를 구비하지 않았다. 상측 접촉부(71)의 평면시에서 외측 부분은, 제1 접점(41)에 접촉 가능한 부분이다. 상측 접촉부(71)의 상기 외측 부분과 제1 접점(41)의 간극은, 조작 키(60)의 기판(40) 방향으로의 눌러넣음 때에 상측 접촉부(71)와 제1 접점(41)이 접촉 가능하면, 특히 제약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접촉부(71)의 외측 부분과 제1 접점(41)의 간극을 0.03~0.1㎜의 범위 내로 하고 있다. 또한, 상측 접촉부(71)는, 제1 접점(41)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가동 접점(70)의 구성 재료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동 접점(20)과 마찬가지이다.
(3) 기판
기판(40)은, 제1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지만, 도 5의 (5B)~(5F)에 나타내는 다른 형태의 기판(40)을 이용해도 좋다. 또, 기판(40)은,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의 구성 요소라도, 혹은 구성 요소가 아니어도 좋다.
(4)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변형예
도 8,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주로 조작 키)의 여러 가지 변형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8A)에 나타내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제2 관통공(67)에 있어서의 키 본체(61)의 상면측에,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뚜껑부(91)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LED(50)로부터 뚜껑부(91)를 통해 외부로 발광 가능하다. 뚜껑부(91)의 재료로서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투광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 아크릴 수지로 대표되는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 유리 혹은 투광성의 세라믹스를 예시할 수 있다.
(8B)에 나타내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제2 관통공(67)을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충전부(92)에 의해 충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LED(50)는, 기판(40) 내부에 매설되고, 기판(4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충전부(92)와 LED(50)의 접촉 방지의 관점에서 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LED(50)로부터 충전부(92)를 통해 외부로 발광 가능하다. 충전부(92)의 구성 재료로서는, 상기 뚜껑부(91)와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8C)에 나타내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제2 관통공(67)의 길이 방향의 도중에,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뚜껑부(91)를 구비한다. 뚜껑부(91)의 상방은 오목부(68)이다. 또한, LED(50)는, 기판(40) 내부에 매설되고, 기판(4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지만, 뚜껑부(91)의 하방에 충분한 오목부 공간이 있으면, LED(50)를 기판(40)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LED(50)로부터 뚜껑부(91)를 통해 외부로 발광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키 본체(61)의 압압시에 손가락으로 확인하기 쉬워진다.
(9A)에 나타내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제2 관통공(67)의 길이 방향의 하방 영역에,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충전부(92)를 구비한다. 충전부(92)의 상방은 오목부(68)이다. LED(50)는, 기판(40) 내부에 매설되고, 기판(4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8C)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9B)에 나타내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제2 관통공(67)에 있어서의 플런저(66)의 하면측에,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뚜껑부(91)를 구비한다. LED(50)는, 기판(40) 내부에 매설되고, 기판(4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8C)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제2 관통공(67)에, 그 길이 방향의 일부 혹은 전부에 걸쳐 투광성의 재료(뚜껑부(91), 충전부(92) 등)를 매설함으로써, 조작 키(60) 자체에 투광성이 없는 경우라도, LED(50)로부터 밖으로 발광할 수 있고, 또한 밖으로부터 티끌이나 먼지도 들어가기 어렵다.
또, (9C)에 나타내듯이, 조작 키(60) 자체를 투광성이 뛰어난 재료로 구성하면, 제2 관통공(67)을 키 본체(61)에 형성하지 않아도, LED(50)로부터 키 본체(61)의 외측을 향해 발광시킬 수가 있다.
또, (9D)에 나타내듯이, LED(50)를 기판(40)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 키(60) 자체를 투광성이 없는 재료로 구성하고, 가동 접점(70)에 상술의 제1 관통공(72)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10A)에 나타내듯이, 조작 키(60) 자체를 투광성이 뛰어난 재료로 구성하고, 또한 키 본체(61)의 적어도 천면(상면)에, 그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층(69)을 형성하면, LED(50)로부터의 광을 차광층(69)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차광층(69)은, 키 본체(61)의 측면, 돔부(62) 등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 (10B) 혹은 (10C)에 나타내듯이, 키 본체(61)의 구조를, 그 천면(상면)측과 가동 접점(70)측을 경도가 다른 재료로 구성하는 다층 구조로 해도 좋다. (10B)에 나타내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키 본체(61)의 상면측을 수지층(91), 가동 접점(70)측을 당해 수지층(91)보다 경도가 낮은 고무층(92)으로 한다.
또, (10C)에 나타내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키 본체(61)의 상면측을 고무층(92), 가동 접점(70)측을 당해 고무층(92)보다 경도가 높은 수지층(91)으로 한다. 수지층(91)과 고무층(92)은 모두 투광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 관통공(67)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지층(91)과 고무층(92)의 적어도 어느 일방은 투광성을 가지지 않아도 좋다.
(제3의 실시 형태)
다음에, 제3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술의 각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또한 그 구성 혹은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제3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11A) 및 그 변형예(11B)의 도 3의 C-C선 단면도와 마찬가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1A)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110)는, 조작 키(100)와, 그 하방에 고정되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20)을 구비한다. 가동 접점(20)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동 접점(20)과 달리, 띠부(25)를 구비하지 않았다. 그 나머지의 구조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된다. 조작 키(100)는, 키 본체(101)와, 키 본체(101)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이 키 본체(101)의 기판(40)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돔부(102)와, 돔부(102)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기판(40) 상에 고정되는 족부(104)를 구비한다. 돔부(102)의 상측에는, 링 형상의 홈(groove)(105)이 형성되고, 돔부(102)를 얇게 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키 본체(101)는, 평면시에서 중앙부에, 상면으로부터 가동 접점(20)을 향해 상하 관통하는 제2 관통공(107)을 구비한다.
가동 접점(20)의 상측 접촉부(21)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는 단차부(23) 또는/및 자락 판부(24)는, 그 일부를 돔부(102)의 하측과 접착된다. 이 때문에 단차부(23) 또는/및 자락 판부(24)는, 상측 접촉부(21)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조작 키(100)의 키 본체(10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에 상당한다. 돔부(102)로 가동 접점(20)의 접착 개소는, 돔부(102)의 둘레를 따른 링 형상이라도 좋고, 혹은 돔부(102)의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뿐이라도 좋다.
(11B)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140)는, 조작 키(120)와, 그 하방에 고정되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130)을 구비한다. 가동 접점(130)은,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동 접점(7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지만, 가동 접점(70)과 달리, 띠부(75)를 구비하지 않았다. 가동 접점(130)은, 접시를 덮은 형상, 이른바 거꾸로 한 접시 형상이며, 그 중심에 제1 관통공(132)을 구비한다. 제1 관통공(132)의 직경 방향 외측은, 링 형상의 상측 접촉부(131)이다. 상측 접촉부(131)의 평면시에서 외측 부분은, 제1 접점(41)에 접촉 가능한 부분이다. 상측 접촉부(131)의 상기 외측 부분과 제1 접점(41)의 간극은, 조작 키(120)의 기판(40) 방향으로의 눌러넣음 때에 상측 접촉부(131)와 제1 접점(41)이 접촉 가능하면, 특히 제약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접촉부(131)의 외측 부분과 제1 접점(41)의 간극을 0.03~0.1㎜의 범위 내로 하고 있다. 또한, 상측 접촉부(131)는, 제1 접점(41)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상측 접촉부(131)에 있어서의 제1 관통공(132)의 주변 부분은, 키 본체(121)를 가동 접점(130)을 향해 눌러내렸을 때에, 제2 접점(42)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가동 접점(130)의 구성 재료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동 접점(20)과 마찬가지이다.
조작 키(120)는, 상술의 조작 키(100)와 유사하여, 키 본체(121)와, 키 본체(121)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이 키 본체(121)의 기판(40)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돔부(122)와, 돔부(122)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기판(40) 상에 고정되는 족부(124)를 구비한다. 돔부(122)의 상측에는, 링 형상의 홈(groove)(125)이 형성되고, 돔부(122)를 얇게 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키 본체(121)는, 평면시에서 중앙부에, 상면으로부터 가동 접점(130)을 향해 상하 관통하는 제2 관통공(127)을 구비한다.
가동 접점(130)의 상측 접촉부(131)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은, 적어도 그 일부를 돔부(122)의 하측과 접착하고, 상측 접촉부(131)에 있어, 조작 키(120)의 키 본체(12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에 상당한다. 돔부(122)과 가동 접점(130)의 접착 개소는, 돔부(122)의 둘레를 따른 링 형상이라도 좋고, 혹은 돔부(122)의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뿐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조작 키(100, 120)의 돔부(102, 122)에 가동 접점(20, 130)을 고정하면, 돔부(102, 122)의 상측 접촉부(21, 131)가 제1 접점(41)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돔부(102, 122)의 존재에 의해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당해 접촉시의 소리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고무상 탄성체로 구성되는 돔부(102, 122)가 충격 완충재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제4의 실시 형태)
다음에, 제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제4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술의 각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또한 그 구성 혹은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제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투과 평면도(12A)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F-F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F-F선 단면도(12B)를 각각 나타낸다.
제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170)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160)과, 가동 접점(160)의 돌출측에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150)를 구비하고, 조작 키(150)를 가동 접점(160)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가동 접점(160)을 기판(40) 상의 적어도 2개의 접점(제1 접점(41), 제2 접점(42))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이다.
(1) 조작 키
조작 키(150)는, 키 본체(151)와, 키 본체(151)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이 키 본체(151)의 기판(40)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돔부(152)와, 돔부(152)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기판(40) 상에 고정되는 족부(154)를 구비한다. 돔부(152)의 상측에는, 직사각형 링 형상의 홈(155)이 형성되고, 돔부(152)를 얇게 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키 본체(151)는, 평면시에서 중앙부에, 상면으로부터 가동 접점(160)을 향해 상하 관통하는 제2 관통공(157)을 구비한다. 키 본체(15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있고, 기판(40)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돔부(152)에 지지되어 있다. 키 본체(151)는, 평면시에서 대략 중앙 하측에, 기판(40)을 향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플런저(156)를 구비한다. 족부(154)는, 바람직하게는, 그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을 기판(40)에 접하지 않는 오목부 영역(159)으로 한다. 또, 족부(154)는, 그 둘레 형상에 1 또는 2이상의 공기류로(158)를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키(150)는, 그 중심을 사이에 두어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공기류로(158)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2 관통공(157)을 투광성의 재료로 막은 경우라도, 조작 키(150)의 상하에 응하여, 조작 키(150)에 둘러싸인 공간과 그 외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정밀도가 높은 압압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관통공(157)은, 키 본체(151)의 하동에 의해, LED(50)를 수납 가능한 부위이다. 제2 관통공(157)의 면적은, 플런저(156)의 하면의 면적보다 작다. 돔부(152)는, 대략 각통(角筒)의 스커트 형상을 가지고 있고, 키 본체(151)측으로부터 기판(40)측으로 관통하고, 또한 기판(40)측을 향해 확경(擴徑)하는 부재이다. 돔부(152)는, 키 본체(151)를 기판(40)의 방향으로 눌러내리면, 그 도중에 돔부(152)가 변형하고, 그 후에 눌러내림을 해제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도록 설계된 얇은 형상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족부(154)는,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의 판이다. 조작 키(150)의 구성 재료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조작 키(10)와 같다. 조작 키(150)는, 제2 관통공(157)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성이 아니어도 좋다.
(2) 가동 접점
가동 접점(160)은,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다. 또, 가동 접점(160)은, 평면시에서 대략 중앙 부분을 키 본체(151)측으로 돌출시킨 돔 형상을 가진다. 가동 접점(160)은, 그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원형의 제1 관통공(162)을 가진다. 제1 관통공(162)은, 플런저(156)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키(150)를 기판(40)측에 밀어넣으면, 키 본체(151)의 하측에 위치하는 플런저(156)는, 제1 관통공(162)의 주위에 접촉할 수 있고, 가동 접점(160)의 제1 관통공(162) 주변을 기판(40) 방향으로 눌러내릴 수가 있다.
가동 접점(160)은, 제1 관통공(162)의 주위에 있어 원환 형상 또한 돔 형상의 상측 접촉부(161)와, 상측 접촉부(161)의 외주위에 평면시에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방으로 급각도로 구부러지는 단차부(163)와, 단차부(16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연접하는 자락 판부(164)를 구비한다. 자락 판부(164)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자락 판부(24)에 비해 폭넓게, 족부(154)의 내측에 형성된 오목부 영역(159)에까지 연출한다. 자락 판부(164)는, 단차부(16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직사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모서리부에 있어서 조작 키(150)의 오목부 영역(159)에 접착되어 있다(12a 및 12b의 접착 부위 X 참조). 접착 부위 X는, 4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2개소라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락 판부(164)는, 조작 키(150)의 키 본체(15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에 상당한다. 가동 접점(160)과 조작 키(150)의 접속부는, 자락 판부(164)의 접착 부위 X뿐이다. 상측 접촉부(161)는, 조작 키(150)의 하방에 가동 접점(160)을 고정했을 때에, 키 본체(151)의 직하 부위(플런저(156)의 위치)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부위에서, 키 본체(151)의 밀어넣음에 의해 제2 접점(42)과 접촉할 수가 있다. 이 때에 단차부(163)는, 상측 접촉부(161)의 휨 변형의 지점(支點)으로 될 수 있다.
가동 접점(160)은, 단차부(163)보다도 가동 접점(16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키 본체(151)의 밀어넣음에 의해 제1 접점(41)에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제1 접점(41)과 비접촉 상태로 대향시켜 배치되는 외측 접촉부(16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접촉부(166)와 제1 접점(41)의 간극은, 조작 키(150)의 기판(40) 방향으로의 눌러넣음 때에 외측 접촉부(166)와 제1 접점(41)이 접촉 가능하면, 특히 제약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접촉부(166)와 제1 접점(41)의 간극을 0.03~0.1㎜의 범위 내로 하고 있다. 또한, 외측 접촉부(166)는, 제1 접점(41)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외측 접촉부(166)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외측 접촉부(26)와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160)의 자락 판부(164)를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하여 형성되는 컵(cup) 형상 부위이다. 외측 접촉부(166)는, 자락 판부(164)의 4개의 모서리에 1개씩, 합계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키 본체(151)의 밀어넣음 때에, 가동 접점(160)은, 4개소에서 제1 접점(41)과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외측 접촉부(166)의 수는, 전술의 외측 접촉부(26)와 마찬가지로, 1개 이상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또 외측 접촉부(166)를 가동 접점(160)의 중앙을 사이에 두어 대향하는 위치에 2개 1조로, 1조 혹은 2조 이상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동 접점(160)의 구성 재료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동 접점(20)과 마찬가지이다.
(제5의 실시 형태)
다음에, 제5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제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술의 각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또한 그 구성 혹은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제5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투과 평면도(13A) 및 당해 투과 평면도 내의 G-G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G-G선 단면도(13B)를 각각 나타낸다.
제5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200)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190)과, 가동 접점(190)의 돌출측에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180)를 구비하고, 조작 키(180)를 가동 접점(190)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가동 접점(190)을 기판(40) 상의 적어도 2개의 접점(제1 접점(41), 제2 접점(42))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이다.
(1) 조작 키
조작 키(180)는, 키 본체(181)와, 키 본체(181)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이 키 본체(181)의 기판(40)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돔부(182)와, 돔부(182)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기판(40) 상에 고정되는 족부(184)를 구비한다. 돔부(182)의 상측에는, 링 형상의 홈(groove)(185)이 형성되고, 돔부(182)를 얇게 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키 본체(181)는, 평면시에서 중앙부에, 상면으로부터 가동 접점(190)을 향해 상하 관통하는 제2 관통공(187)을 구비한다. 키 본체(18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기판(40)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돔부(182)에 지지되어 있다. 키 본체(181)는, 평면시에서 대략 중앙 하측에, 기판(40)을 향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플런저(186)를 구비한다. 족부(184)는, 바람직하게는, 그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을 기판(40)에 접하지 않는 오목부 영역(189)으로 한다.
제2 관통공(187)은, 키 본체(181)의 하동에 의해, LED(50)를 수납 가능한 부위이다. 제2 관통공(187)의 면적은, 플런저(186)의 하면의 면적보다 작다. 돔부(182)는, 대략 원통의 스커트 형상을 가지고 있고, 키 본체(181)측으로부터 기판(40)측으로 관통하고, 또한 기판(40)측을 향해 확경(擴徑)하는 부재이다. 돔부(182)는, 키 본체(181)를 기판(40)의 방향으로 눌러내리면, 그 도중에 돔부(182)가 변형하고, 그 후에 눌러내림을 해제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도록 설계된 얇은 형상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족부(184)는,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의 판이다. 조작 키(180)의 구성 재료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조작 키(10)와 같다. 조작 키(180)는, 제2 관통공(187)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성이 아니어도 좋다.
(2) 가동 접점
가동 접점(190)은, 평면시에서 원형이며, 그 중심 부분을 키 본체(181)측으로 돌출시킨 돔 형상을 가진다. 가동 접점(190)은, 그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원형의 제1 관통공(192)을 가진다. 제1 관통공(192)은, 플런저(186)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키(180)를 기판(40)측에 밀어넣으면, 키 본체(181)의 하측에 위치하는 플런저(186)는, 제1 관통공(192)의 주위에 접촉할 수 있고, 가동 접점(190)의 제1 관통공(192) 주변을 기판(40) 방향으로 눌러내릴 수가 있다.
가동 접점(190)은, 제1 관통공(192)의 주위에 있어 원환 형상 또한 돔 형상의 상측 접촉부(191)와, 상측 접촉부(191)의 외주위에 평면시에서 원환 형상의 굴곡부(193)와, 굴곡부(193)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하는 자락 판부(194)를 구비한다. 자락 판부(194)는,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외부 고정부(75)를 원환 형상으로 하여 굴곡부(193)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한 부위에서, 족부(184)의 내측에 형성된 오목부 영역(189)에까지 연출한다. 자락 판부(194)는, 그 둘레 형상에 등간격으로 4개의 접착 부위 X에서, 조작 키(180)의 오목부 영역(189)에 접착되어 있다(13a 및 13b의 접착 부위 X 참조). 접착 부위 X는, 4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2개소라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락 판부(194)는, 조작 키(180)의 키 본체(18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에 상당한다. 가동 접점(190)과 조작 키(180)의 접속부는, 자락 판부(194)의 접착 부위 X뿐이다. 상측 접촉부(191)는, 조작 키(180)의 하방에 가동 접점(190)을 고정했을 때에, 키 본체(181)의 직하 부위(플런저(186)의 위치)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부위에서, 키 본체(181)의 밀어넣음에 의해 제2 접점(42)과 접촉할 수가 있다. 이 때에 굴곡부(193)는, 상측 접촉부(191)의 휨 변형의 지점(支點)으로 될 수 있다.
가동 접점(190)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와 달리 외측 접촉부(26)를 구비하지 않았다. 상측 접촉부(191)의 평면시에서 외측 부분 또는/및 자락 판부(194)는, 제1 접점(41)에 접촉 가능한 부분이다. 자락 판부(194)와 제1 접점(41)의 간극은, 조작 키(180)의 기판(40) 방향으로의 눌러넣음 때에 상측 접촉부(191)와 제1 접점(41)이 접촉 가능하면, 특히 제약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락 판부(194)와 제1 접점(41)의 간극을 0.03~0.1㎜의 범위 내로 하고 있다. 또한, 자락 판부(194)는, 제1 접점(41)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가동 접점(190)의 구성 재료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동 접점(20)과 마찬가지이다.
(하중-변위 곡선의 일례)
도 14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하중-변위 곡선을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곡선은, 조작 키(10)의 키 본체(11)에 하중을 가하고 나서 가동 접점(20)이 제2 접점(42)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넣기, 그 후, 키 본체(11)의 밀어넣음을 해제할 때까지의 왕복의 변위를 나타낸다. 점 A는, 플런저(16)과 가동 접점(20)의 상측 접촉부(21)가 접촉한 점이다. 점 B는, 가동 접점(20)의 변형 개시점(피크 하중점)이다. 점 C는, 가동 접점(20)의 상측 접촉부(21)가 제2 접점(42)에 접한 점이다. 점 D는, 키 본체(11)에의 압압을 해제한 점이다.
하중의 개시부터 점 A까지의 스트로크(L1)는, 약 0.5㎜ 이다. 이 길이는, 가동 접점(20) 단독으로는 실현될 수 없을 만큼 충분히 긴 스트로크이다. 점 A로부터 점 D까지의 하중 곡선(H)은, 가동 접점(20) 단독과 마찬가지로, 기울기가 큰 곡선이다. 점 B로부터 점 C까지의 스트로크(L2)는, 약 0.1㎜ 이다. 이 길이는, 인간공학적으로 자연스러운 스위치 조작이라고 느끼는데 충분히 긴 스트로크이다. 점 I는, 약 5N이다. 이 피크 하중은, 가동 접점(20) 단독의 피크 하중(약 3.5N)보다 크고, 조작 키(10)의 변형에 필요로 하는 하중을 가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충분히 높은 하중 대응이 가능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사용예)
도 15는 도 3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복수개 장착한 다중 조작 키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로서, 자동차의 핸들에 다중 조작 키를 조립해 넣은 상태의 정면도(15A), 다중 조작 키의 겉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15B) 및 다중 조작 키의 (15A)에 있어서의 H-H선 단면도(15C)를 각각 나타낸다.
도 15의 (15A)에 나타내듯이,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를 복수개(여기에서는, 5개) 장착한 다중 조작 키(301)는, 자동차의 핸들(300)에 조립되어 넣어져 있다. 다중 조작 키(301)는, 중앙 키(310)의 주위 4방향에 대략 등각도로, 외주 키(311, 312, 313, 314)를 구비한다. 다중 조작 키(301)는, 그 겉 커버를 제외하면, (15B)에 나타내듯이 겉으로 노출하는 스위치부(320)를 구비한다. 스위치부(320)는, 각 키(310, 311, 312, 313, 314)에 대응하여, 각 1개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를 구비한다. 족부(14)는, 각 키(310, 311, 312, 313, 314)에 공통되는 족부이다.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는, 제4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공기류로(158)를 가지고 있고, 조작시의 공기 저항을 경감하도록 하고 있다.
각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는, 그 상방에, 겉 커버를 구성하는 천판(天板)(310, 312, 313)을 각각 구비한다. 천판(310, 312, 313)은, 각각 독립하여 상하 가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천판(310) 등은, 또한 외주위를 케이스(315)에 의해 둘러싸고 있다. 또,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의 집합체는, 그 외주위를 측벽(330)으로 둘러싸고 있다. 각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는, 기판(4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기판(40)은, 뒷판(rear plate)(340) 상에 고정되고, 그 외측부의 상방 부분을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의 족부(14)에 의해 덮고 있다. 뒷판(340)은, 기판(40)에 이르는 관통공(341)을 구비한다. 기판(40) 상의 각 접점(제1 접점(41) 등, 제2 접점(42) 등) 및 LED(50)는, 관통공(341)을 통해서, 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전기 배선(342)과 접속한다.
이와 같이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 혹은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80, 110, 140, 170, 200)는, 자동차의 핸들(300)에 조립되어 넣어지는 것에 의해, 자동차의 운전의 방해가 되지 않게 여러 가지의 조작을 실현 가능하여 높은 스트로크 및 높은 클릭 감촉을 가지는 스위치가 된다. 이에 더하여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 80, 110, 140, 170, 200)는, 뛰어난 소음 효과도 발휘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매우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띠부(25),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띠부(75),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차부(23), 자락 판부(板部)(24) 및 상측 접촉부(131)의 직경 방향 외측의 부위, 제4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락 판부(164), 제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락 판부(194)라고 하는 외측 고정부와 조작 키(10, 60, 100, 120, 150, 180)의 고정 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한 고정,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고정, 감합에 의한 고정, 조작 키(10) 등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외측 고정부를 삽입하는 고정 등의 어떤 방법이라도 좋다.
또, 가동 접점(20, 70, 130, 160, 190)과 조작 키(10, 60, 100, 120, 150, 180)의 고정 위치는, 가동 접점(20) 등의 돔 정상 및 그 근방에서 가장 내측의 접점(예를 들면, 제2 접점(42))과 접촉하는 위치보다도 가동 접점(20) 등의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이면,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측 접촉부(131)의 직경 방향 외측의 부위, 혹은 제1~제5의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듯이, 상측 접촉부(21) 등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연접하는 부위라도 좋다.
중간부(13, 63)는, 조작 키(10, 60)의 둘레를 따라 3개 이상 구비해도 좋다. 그 경우, 띠부(25, 75)도 중간부(13, 63)의 수에 맞추어 3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도 4의 각종 기판(40)은, 제1의 실시 형태뿐만 아니라, 제2~제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선택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 8~도 10의 각종 조작 키(60)는, 제1 혹은 제3~제5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선택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기판(40)측에 돌출하는 외측 접촉부(26, 166)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중간부(13, 63)도 이와 같이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LED(50)로 대표되는 조광 수단을 가동 접점(20) 등의 내측에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관통공(22, 72, 132, 162, 192)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또, 제1의 실시 형태를 예로 들면, LED(50)와 플런저(16)가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 본체(11)에 오목부(17)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 적어도 2개의 접점은, 제1 접점(41)과 제2 접점(42)을 포함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접점(42a, 42a)만, 혹은 제1 접점(41b, 41b)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가동 접점(20) 등과 접점(41, 42)의 접촉 회수가 2회라도, 접점의 형태에 응하여, 도통 회수를 1회 혹은 2회로 해도 좋다.
제1~제5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30, 80, 110, 140, 170, 200)의 각종 구성 요소는, 조합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 서로 임의로 조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실시 형태 및 제2의 실시 형태의 각 구조를 조합하여,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의 조작 키(10)에, 평면시에서 원형의 가동 접점(70)을 고정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4의 실시 형태 및 제5의 실시 형태의 각 구조를 조합하여,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의 조작 키(150)에, 평면시에서 원형의 가동 접점(190)을 고정해도 좋다. 또, 제4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류로(158)는, 제1~제3 또는 제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형성되어도 좋다.
(제6~8의 각 실시 형태)
종래로부터 메탈 돔의 중앙 정상 부위에 대해서 압압을 가하고, 메탈 돔의 변형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온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1998-188728호 공보를 참조. 이후, 특허 문헌 4라고 한다.). 또, 최근에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조립해 넣은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키의 소형화 및 키 사이의 협소화가 진행되는 중, 각 키와 메탈 돔과의 고정밀도의 위치 맞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키의 압압 위치와 메탈 돔의 중앙 정상 부위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면, 양호한 클릭감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하여, 키의 직하에 메탈 돔의 중앙 정상 부위를 접착시킨 형태를 가지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국제공개 WO2012/153587호 공보를 참조. 이후, 특허 문헌 5라고 한다.). 키의 직하에 메탈 돔을 접착하면, 키와 메탈 돔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항상 메탈 돔의 중앙 정상 부위를 압압할 수가 있어 양호한 클릭감이 얻어진다.
특히, 회로 기판측에, 메탈 돔의 중앙에 접촉 가능한 제1 고정 접점과, 메탈 돔의 외주위에 접촉 가능한 제2 고정 접점을 형성하고, 메탈 돔을 회로 기판으로부터 부양시킨 상태로 키에 접속하면, 키로부터의 메탈 돔의 눌러내림에 의해 제2 고정 접점과 메탈 돔의 외주위가 접촉하여 스위치를 온시키고, 이어서 메탈 돔의 중앙부와 제1 고정 접점이 접촉하여 스위치를 온시키는 2단 스위치를 실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서는, 메탈 돔의 상방에 러버 스위치를 배치할뿐이므로, 러버(rubber) 스위치와 메탈 돔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압압 개시부터 메탈 돔이 변형하여 스위치가 들어갈 때까지의 스트로크가 짧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어긋남 및 짧은 스트로크는 조작 감촉의 악화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특허 문헌 5에 개시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조작 키의 직하 위치에 있는 플런저와 메탈 돔의 정부를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과 같은 위치 어긋남의 문제는 없지만, 접착에 이용한 접착제에 기인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그것은 접착제의 두께의 불균일에 의해 압압 방향의 치수 공차가 크고, 양호한 조작 감촉을 보증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접착제의 존재 영역에서는, 메탈 돔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메탈 돔 본래의 높은 클릭감이 얻어지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 조작 키의 직하에 있는 플런저와 메탈 돔 등의 역완 형상의 가동 접점의 정부(頂部)를 이간시키고, 가동 접점의 외주위를 조작 키에 있어서의 플런저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개발하였다. 이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플런저가 메탈 돔의 정부에 접촉하는 만큼의 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압압 개시부터 스위치를 입력할 때까지의 스트로크를 벌 수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 스트로크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조작 키의 압압에 의해 메탈 돔이 접점에 접속할 때까지의 하중을 보다 부드럽게 상승하도록 하여, 보다 높은 클릭 감촉을 실현할 수가 있다.
그러나, 더 고성능인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개의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았다. 그 하나는, 키와 메탈 돔과의 접착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으로는 충분한 접착력이 얻어지지 않아, 키와 메탈 돔이 벗겨지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또 하나는, 접착제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접착 영역의 일부에 있어서 충분한 접착력이 얻어지지 않는 개소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또 더 하나는, 키와 메탈 돔의 사이로부터 접착제가 초과하기 쉽고, 이에 의해 메탈 돔의 변형이 저해되어 스위치 감촉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이하의 각 실시의 형태의 목적은, 본 발명자 등이 먼저 개발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새로운 고성능화를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높은 스트로크 및 돔 형상의 가동 접점 본래의 높은 클릭 감촉을 실현하기 쉽고, 더 나아가, 돔 형상의 가동 접점과 키의 접착력의 새로운 향상 및 스위치 감촉의 새로운 향상을 실현 가능한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역완 형상으로 돌출하는 역완 형상부와, 그 직경 방향 외측의 외연부를 구비하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과, 그 가동 접점의 돌출측에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를 구비하고, 조작 키를 가동 접점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가동 접점의 압압 방향에 배치되는 기판 상의 접점에 가동 접점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로서, 조작 키는, 키 본체와, 키 본체보다 그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기판 상에 고정되는 족부를 접속하여 구비하고,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을 덮고,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와 족부를 고정하는 고정 시트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서는, 또한 조작 키는, 키 본체와 족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키 본체의 기판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돔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서는, 또 고정 시트는, 절연성 기재와, 그 절연성 기재의 일방의 면에 구비되는 접착층을 가지고, 고정 시트는, 접착층이 외연부의 표면으로부터 족부를 덮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서는, 또 족부는, 기판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움푹 패인 제1 오목부를 구비하고,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오목부에 배치되고, 고정 시트는, 외연부의 표면으로부터 덮도록 족부에 고정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서는, 또 외연부는, 역완 형상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평탄하게 펼쳐지는 평탄부와, 그 평탄부의 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하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연출부는, 평탄부로부터 제1 오목부에 도달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서는, 제1 오목부는, 또한 기판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움푹 패인 제2 오목부를 구비하고, 연출부는 제2 오목부에 수납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서는, 또 고정 시트는, 외연부와 반대측의 면을 기판에 접하도록 해도 좋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서는, 또 가동 접점은, 그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제1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조작 키의 밀어넣음에 의해 제1 관통공의 주위에서 키 본체와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한 기판에 있어서의 접점의 직경 방향 내측에 구비하는 조광 수단으로부터 제1 관통공을 통해서 투광 가능해도 좋다.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 가동 접점은, 기판 상의 접점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와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 각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되고 있는 모든 요소 및 그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이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이후, 「직경 방향 외측」은, 특정의 대상물의 평면시에서 중심으로부터 가상원을 그렸을 때의 가상원의 확경 방향을 의미한다. 「직경 방향 내측」은, 상술의 가상원의 축경(縮徑) 방향을 의미한다. 「평면시에서」란, 기판에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배치한 측의 면을 상으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제6의 실시 형태)
도 16은 제6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조작 키의 투과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A-A선 단면도 및 일부 B의 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8은 도 16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에서는, 각 구성 부재는, 검은 굵은 화살표의 방향으로 겹쳐진다. 이것은, 후에 나타내는 도 21 및 도 2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6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이후, 단지, 「가동 접점」이라고 한다.)(420)과, 가동 접점(420)의 돌출측에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410)를 구비하고, 조작 키(410)를 가동 접점(420)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가동 접점(420)의 압압 방향에 배치되는 기판(「회로 기판」이라고도 말한다.)(440) 상의 접점(442, 442)(또, 접점(441, 441)도 포함한다.)에 가동 접점(420)을 접촉시키고, 접점(442, 442) 등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이다.
(1) 조작 키
조작 키(410)는, 키 본체(411)와, 키 본체(411)보다 그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기판(440) 상에 고정되는 족부(413)를 접속하여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키(410)는, 바람직하게는, 키 본체(411)와 족부(413)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재이며 키 본체(411)의 기판(440)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돔부(412)를 더 구비한다. 키 본체(411), 돔부(412) 및 족부(413)의 각 형상은, 도 16에 나타내듯이, 평면시에서 대략 사각형이다. 족부(413)는, 평면시에서 외주 가장자리를 기판(440)에 접촉시키고, 당해 외주 가장자리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의 영역이, 기판(440)으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 기판(44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족부(413)가 기판(440)으로부터 부상한 영역을 기판(440)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움푹 패인 제1 오목부(414)로 칭한다. 제1 오목부(414)는, 후술의 가동 접점(420)의 외연부의 일부 혹은 전부를 고정 가능한 부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 오목부(414)에, 또한 기판(440)으로부터 떨어진 방향(도 17에서는 상방향)으로 움푹 패인 제2 오목부(415)를 구비한다. 제2 오목부(415)는, 후술하는 가동 접점(420)의 연출부를 수납하는 부위이다. 여기서, 수납은, 매우 적합하게는, 연출부를 제2 오목부(415) 내에, 연출부의 두께 방향으로 가라앉히는 상태를 포함하도록 해석된다. 이와 같이 족부(413)는, 기판(440)과 멀리하도록 족부(413)의 내방으로 움푹 패인 제1 오목부(414)와, 제1 오목부(414)로부터 더 내방으로 움푹 패인 제2 오목부(415)를 구비하고, 2단계로 오목부를 구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키 본체(411)는, 가동 접점(420)과 대향하는 저면으로 되는 압압부(416)를 구비한다. 압압부(416)의 형상은, 평면시에서 대략 원형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부(416)는, 조작 키(410)를 가동 접점(420)을 향해 압압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420)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다만, 동일한 상태에 있어서, 압압부(416)는, 가동 접점(420)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다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부(416)는, 가동 접점(420)과 고정되어 있지 않다. 키 본체(411)는, 그 천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공(417)을 구비한다. 관통공(417)의 형상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시에서 대략 원형이다. 관통공(417)은, 후술하는 조광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키 본체(411)의 상방으로 투광시키는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기판(440)을 향해 키 본체(411)를 밀어넣었을 때에, 조광 수단과 압압부(416)가 접촉하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만, 관통공(417)에 대신하여, 투광성이 뛰어난 투광 부재를 배치하고, 조광 수단과의 접촉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접촉 방지에 최저한 필요한 오목부를 키 본체(411)의 저면으로부터 내방을 향해 형성해도 좋다.
조작 키(410)는, 그 구성 재료로서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천연 고무 혹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등의 열경화성 엘라스토머 ;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스티렌계, 올레핀계, 부타디엔계 혹은 불소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혹은 이들의 복합물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외의 조작 키(410)의 구성 재료로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혹은 니트릴 고무(NBR)를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 구성 재료에, 산화 티타늄, 카본 블랙(carbon black)으로 대표되는 필러(filler)나 착색제를 혼합해도 좋다.
(2) 가동 접점
가동 접점(420)은,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며, 역완 형상으로 돌출하는 역완 형상부(421)와, 그 직경 방향 외측의 외연부(外延部)를 구비하는 돔 형상의 접점이다. 역완 형상부(421)는, 키 본체(411)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기판(440)측을 움푹 패이게 한 두께가 얇은 형상의 부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역완 형상부(421)의 형상은, 평면시에서 대략 원형이다. 역완 형상부(421)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 영역에, 평면시에서 대략 원형의 제1 관통공(426)을 구비한다. 키 본체(411)를 기판(440)을 향해 압압하면, 키 본체(411)의 압압부(416)는, 역완 형상부(421)에 접촉하여, 가동 접점(420)을 변형시킨다. 그 결과, 역완 형상부(421)의 제1 관통공(426)의 외주 가장자리 영역이 기판(440) 상의 접점(442, 442)과 접촉한다. 가동 접점(420)은, 그것까지 서로 도통하고 있지 않았던 2개의 접점(442)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결과, 2개의 접점(442, 442)을 도통 상태로 한다. 또한, 접점(442, 442)은, 서로 도통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기판(44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어떤 형상의 접점이라도 좋다. 접점(442)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반환형상, 환형상, 빗살 형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가동 접점(420)은, 역완 형상부(421)의 직경 방향 외측에 단차부(422)를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422)는, 평면시에서 대략 원형의 부위이다. 단차부(422)는, 그 직경 방향 외측의 외연부와 접속되어 있다. 단차부(422)는, 역완 형상부(421)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기판(440)의 방향에서, 또한 당해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하는 부위이며, 역완 형상부(421)와, 역완 형상부(421)보다도 기판(440)에 가까운 외연부를 연결하고 있다. 키 본체(411)를 기판(440)을 향해 압압하여, 가동 접점(420)의 역완 형상부(421)에 기판(440)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역완 형상부(421)는, 단차부(422)의 위치로부터 변형한다.
외연부는, 그 적어도 일부가 제1 오목부(414)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연부는, 역완 형상부(42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평탄하게 펼쳐지는 평탄부(423)와, 평탄부(423)의 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하는 연출부(424)를 구비한다. 평탄부(423)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422)에 접속되는 평면시에서 대략 사각형의 판 모양 부재이다. 연출부(424)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평탄부(423)의 1조의 대향 2변에 구비되는 합계 2개의 판 모양 부재이다. 연출부(424)는, 당해 대향 2변으로부터, 외방향을 향해 띠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뻗은 띠모양부라고도 칭할 수가 있다. 연출부(424)는, 평탄부(423)로부터, 족부(413)의 제1 오목부(414)에 도달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더 상세하게는, 제2 오목부(415)에 수납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연출부(424)의 형태는, 제2 오목부(415)의 외방향 선단까지 도달하지 않는 길이라도 좋다. 또, 연출부(424)의 형태는, 제2 오목부(415)의 홈의 깊이에 비해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출부(424)를 제2 오목부(415)에 수납한 상태에서, 연출부(424)의 기판(440)측의 면과 제1 오목부(414)의 기판(440)측의 면을 하나의 면으로 하도록 제2 오목부(415)의 깊이를 설정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후술의 고정 시트(430)를 조작 키(410)의 제1 오목부(414)에 붙였을 때에, 연출부(424)와 제1 오목부(414)를 대략 평탄하게 단차가 없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정은, 가동 접점(420)을 조작 키(410)에 강고하게 고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평탄부(423)는, 평면시에서 대략 4개의 모서리의 위치에서 기판(440)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기판(440)을 향해 돌출하는 4개의 볼록부(425)를 구비한다. 이들 볼록부(425)는, 기판(440) 상의 접점(442, 442)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접점(441, 44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키 본체(411)를 기판(440)을 향해 압압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420)의 볼록부(425)는, 접점(441, 441)과 비접촉 상태이다. 키 본체(411)를 기판(440)을 향해 압압하면, 4개의 볼록부(425)는, 접점(441, 441)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접점(441, 441)은, 가동 접점(420)을 통해서 도통 가능하게 된다. 또한, 키 본체(411)를 기판(440)을 향해 밀어넣으면, 역완 형상부(421)의 제1 관통공(426)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접점(442, 442)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키 본체(411)를 기판(440)측을 향해 밀어넣는 거리에 응하여, 2단계의 스위치의 온 혹은 오프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려면, 4개의 볼록부(425)와 접점(441, 441)이 최초로 접촉하고, 다음에 역완 형상부(421)와 접점(442, 442)이 접촉하도록, 볼록부(425)와 접점(441)의 사이의 거리를 제1 관통공(426)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접점(442)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점(441, 441)은, 서로 도통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기판(44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어떤 형상의 접점이라도 좋다. 접점(441)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반환형상, 환형상, 빗살 형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역완 형상부(421)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역완 형상부(421)의 돌출 영역에, 평면시에서 대략 원형의 제1 관통공(426)을 구비한다. 따라서, 가동 접점(420)은, 그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제1 관통공(426)을 가지고 있고, 조작 키(410)의 밀어넣음에 의해 제1 관통공(426)의 주위에서 키 본체(411)와 접촉할 수가 있다. 제1 관통공(426)은, 기판(440)에 대해 접점(442, 442)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광 수단의 일례인 LED(443)로부터의 광을 가동 접점(420)으로부터 키 본체(411)의 관통공(417)을 빠져나와 외방향에 도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가동 접점(420)은, 기판(440)에 있어서의 접점(441, 4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구비하는 LED(443)로부터 제1 관통공(426)을 통해 투광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제1 관통공(426)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키 본체(411)의 관통공(417)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제1 관통공(426)은, 관통공(417)보다 작은 직경 혹은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제1 관통공(426)을 관통공(417)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압압부(416)가 조광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가동 접점(420)은, 바람직하게는, 전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20)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구성하고, 또 마찬가지의 도금이나 증착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가동 접점(420)은, 평탄부(423)에 구비하는 4개의 볼록부(425)를 접점(441, 441)과 비접촉 상태로 하고, 또한 역완 형상부(421)의 제1 관통공(426)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접점(442, 442)에 비접촉 상태로 하도록, 연출부(424)가 조작 키(410)의 족부(413)에 고정된다.
(3) 고정 시트
고정 시트(430)는, 가동 접점(420)의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연출부(424))의 표면을 덮고,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와 족부(413)를 고정하는 시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시트(430)는, 연출부(424)의 기판(440)측의 면을 포함하여 제1 오목부(414)의 저면을 덮고, 더 단차부(422)의 도중까지 덮는 형태를 가진다. 고정 시트(430)는 도 18에 나타내듯이, 그 대략 중앙에 평면시에서 대략 원형의 큰 관통공(431)과, 큰 관통공(431)의 주위에 4개의 작은 관통공(432)을 구비한다. 큰 관통공(431)은, 가동 접점(420)의 역완 형상부(421)의 띠부분을 노출시키는 크기를 가진다. 4개의 작은 관통공(432)은, 가동 접점(420)의 4개의 볼록부(425)의 위치에 있어, 이들 볼록부(425)를 관통시키는 크기를 가진다.
고정 시트(430)는 도 17에 나타내듯이, 절연성 기재(433)와, 절연성 기재(433)의 일방의 면에 구비되는 접착층(434)을 가진다. 고정 시트(430)는, 접착층(434)이 가동 접점(420)의 외연부의 상으로부터 족부(413)를 덮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시트(430)는, 바람직하게는, 제1 오목부(414)에 접하는 외연부의 상으로부터 덮도록 족부(413)에 고정된다. 고정 시트(430)는, 바람직하게는, 외연부와 반대측의 면(즉, 절연성 기재(433)측의 면)을 기판(440)에 접하도록, 족부(413)의 제1 오목부(414)에 붙여져 있다. 이 결과, 조작 키(410)의 압압의 반복에 의해, 제2 오목부(415)에 수납되어 있는 연출부(424)가 제2 오목부(415)로부터 탈락하여 기판(440)측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접착층(434)은, 기판(440)측에 부분적으로 돌출하지 않고 대략 평탄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420)의 연출부(424)의 두께를 제2 오목부(415)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시트(430)를 제1 오목부(414)에 붙였을 때에, 연출부(424)와 제1 오목부(414)를 대략 평탄하게 단차가 없는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연출부(424)의 주위에 공기를 넣지 않고, 고정 시트(430)의 접착층(434)과 연출부(424)를 밀착시킬 수가 있다. 또, 접착제에 의해 기판(440)을 오염시켜 도전성을 해치거나 스트로크가 설정보다 길어져 스위치 감촉이나 내구성이 악화되는 것을 피할 수도 있다.
절연성 기재(433)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불소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아크릴 수지 등의 각종 수지로 매우 적합하게 구성된다. 접착층(434)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층뿐만 아니라,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다. 고정 시트(430)의 두께는, 특히 제약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15~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0㎛, 더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00㎛이다. 가동 접점(420)에 평탄부(423)를 구비하지 않고 , 역완 형상부(421)로부터 단차부(422)를 거쳐 연출부(424)에 접속되는 형태의 가동 접점(42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정 시트(430)의 두께를 200㎛ 이하, 또 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의 입력 특성 및 고정 시트(430)의 내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다.
고정 시트(430)는, 소망의 절연성 기재(433)와 접착층(434)을 조합하여 제조하는 것 이외에, 시판의 점착제 부착 필름 혹은 시판의 접착제 부착 필름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실리콘계 점착제(혹은 접착제) 부착 PET 필름, 실리콘계 점착제(혹은 접착제) 부착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필름, 실리콘계 점착제(혹은 접착제) 부착 폴리이미드 필름, 실리콘계 점착제(혹은 접착제) 부착 불소 수지 필름, 아크릴계 점착제(혹은 접착제) 부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시장에서 입수 가능하다. 내열성 혹은 내약품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절연성 기재(433)에,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불소 수지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이외의 점착제(혹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층(434)을 가지는 고정 시트(430)를 이용하려면, 조작 키(410)의 고정을 높일 수 있도록, 적어도 족부(413)에 있어서의 고정 시트(430)의 접착면에, 우레탄 코트(coat) 처리, 표면 개질 처리(자외선 조사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조사 처리, 프레임 처리 혹은 이트로(itro) 처리 등)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출부(424) 혹은 연출부(424)를 포함하는 평탄부(423)를, 족부(413)의 제1 오목부(414) 및 제2 오목부(415)와 고정 시트(430)의 사이에 끼워 넣어 고정함으로써, 접착제가 초과하는 위험 혹은 접착제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조작 키(410) 및 가동 접점(420)의 각 형상에 기인하여, 양자(410, 420)의 접착 면적이 작아지지 않을 수 없는 것 같은 경우라도, 연출부(424) 등을 제2 오목부(415)와 고정 시트(430)의 사이에 끼워 넣는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가동 접점(420)이 조작 키(410)로부터 탈락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가동 접점(420)을 조작 키(410)의 족부(413)의 이면(기판(440)의 대향면)에 고정함으로써, 가동 접점(420)의 형상상의 제약에 수반하는 접착 강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4) 기판
기판(440)은, 그 표면에, 접점(441, 441)과 접점(442, 442)(접점의 일례)을 배치하고 있다. 기판(440)은, 절연성이 뛰어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일례로서 종이 기재를 페놀 수지로 굳힌 종이 페놀 기판, 종이 기재를 에폭시 수지로 굳힌 종이 에폭시 기판, 유리 섬유로 짠 직물을 에폭시 수지로 굳힌 유리 에폭시 기판, 종이와 유리 기재를 혼합하여 굳힌 유리 컴포지트(composite) 기판 이외, 알루미나 등의 절연성이 높은 세라믹스로 형성된 세라믹스 기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성이 높은 수지로 형성된 수지 기판을 매우 적합하게 들 수가 있다.
접점(441, 441)은, 도 17에서는, 2개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볼록부(425)와 같은 수(즉 4개)라도 좋다. 접점(442, 442)은, 최저한 2개 존재하면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도 17에 있어서의 접점(441, 441) 및 접점(442, 442)의 수 혹은 형태 등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각각, 볼록부(425)의 접촉 및 제1 관통공(426)의 외주 가장자리부와의 접촉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되는 접점이면 어떤 수나 형태 등이라도 좋다. 또, 접점(441, 441)을 기판(440)의 내부에 표면 노출 상태로 매설하고, 접점(442, 442)을 기판(440) 상에 붙이고 있지만, 그 역의 형태로 하거나 모든 접점을 기판(440) 상에 붙이거나 혹은 모든 접점을 기판(440)의 내부에 표면 노출 상태로 매설해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점(441, 441) 및 접점(442, 442)의 양쪽 모두를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일단 스위치의 경우에는, 접점(441, 441) 혹은 접점(442, 442)의 어느 1조의 접점만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접점(420)의 제1 관통공(426)에 대향하는 기판(440) 상의 소정 위치에, 조광 수단의 일례로서의 LED(443)를 구비한다. LED(443)의 발광면은, 제1 관통공(426)의 방향에 있다. LED(443) 이외의 조광 수단으로서 열(熱) 필라멘트(filament)를 구비한 전구, 유기 EL 혹은 무기 EL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 접점(441) 혹은 접점(442)과 마찬가지로, LED(443) 등의 조광 수단을 기판(440)의 표면이 아니라 기판(440)에 매설해도 좋다.
(제7의 실시 형태)
다음에, 제7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6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문언 및/또는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제7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조작 키의 투과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9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A-A선 단면도 및 일부 B의 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1은 도 19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7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a)는, 제6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와 가동 접점(420a) 및 고정 시트(430a)의 형태를 달리한다. 또, 당해 형태의 상위에 부수하여 기판(440) 상에 접점(441, 441)을 설치하지 않았다. 이하의 제7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제6의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제6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대용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반복의 설명을 생략한다.
(1) 가동 접점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a)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420a)은, 제6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역완 형상부(421)의 외주 가장자리에 있는 단차부(422)의 직경 방향 외측에, 단차부(422)와 대략 동심원 형상의 평탄부(423)를 구비한다. 2개의 연출부(424)는, 평탄부(423)의 외방향으로 연출하는 부재이며, 평탄부(423)의 직경 방향의 연출선 상에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420a)은, 제6의 실시 형태와 달리, 볼록부(425)를 구비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조작 키(410)의 압압 조작에 의해, 제1 관통공(426)의 외주 가장자리만이 기판(440) 상의 접점(442, 442)과 접촉한다. 즉,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a)는 일단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2) 고정 시트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a)에 구비하는 고정 시트(430a)는, 제6의 실시 형태와 달리, 볼록부(425)를 관통시키는 작은 관통공(432)을 구비하지 않고, 큰 관통공(431)만을 구비하고 있다. 또, 고정 시트(430a)는, 절연성 기재(433)를 기판(440)으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 족부(413)의 제1 오목부(414)와 제2 오목부(415)에 수납된 연출부(424)의 각 표면을 덮고 있다. 즉, 고정 시트(430a)와 기판(440)의 사이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것 같은 간극(Gap)가 존재한다. 이러한 간극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 시트(430a)가 족부(413)로부터 벗겨지기 어려운 경우에는 간극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8의 실시 형태)
다음에, 제8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8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먼저 설명한 각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문언 및/또는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먼저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제8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조작 키의 투과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도 22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A-A선 단면도 및 일부 B의 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4는 도 22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8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b)는, 제6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와, 조작 키(410b), 가동 접점(420b) 및 고정 시트(430b)의 각 형태를 달리한다. 또, 당해 형태의 상위에 부수하여 기판(440) 상에 접점(441, 441)을 설치하지 않고, 또한 접점(442, 442)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고 있다. 이하의 제8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제6의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제6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대용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반복의 설명을 생략한다.
(1) 조작 키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b)에 구비하는 조작 키(410b)는, 제6의 실시 형태와 달리, 키 본체(411)를 관통하는 관통공(417)을 구비하지 않았다. 이것은 기판(440)에 조광 수단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기판(440)측으로부터 광을 투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점 이외의 구성은 제6의 실시 형태와 공통된다.
(2) 가동 접점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b)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420b)은, 제6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역완 형상부(421)의 외주 가장자리에 있는 단차부(422)의 직경 방향 외측에, 단차부(422)와 대략 동심원 형상의 평탄부(423)를 구비한다. 2개의 연출부(424)는, 평탄부(423)의 외방향으로 연출하는 부재이며, 평탄부(423)의 직경 방향의 연출선 상에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420b)은, 제6의 실시 형태와 달리, 볼록부(425) 및 제1 관통공(426)을 함께 구비하지 않았다. 이것은 제6의 실시 형태와 달리, 기판(440)에 조광 수단 및 접점(441, 441)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볼록부(425) 및 제1 관통공(426)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가동 접점(420b)은, 제6 및 제7의 각 실시 형태와 달리, 역완 형상부(421)의 오목면측의 저부(즉, 돌출 정면(頂面)의 반대측의 위치)에, 기판(440) 상의 접점(442, 442)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427)를 구비한다. 접점(442, 442)은, 서로 도통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기판(440)에 형성되어 있다. 접점(442, 442) 사이의 거리는, 돌출부(427)의 접촉에 의해 도통 가능한 정도로 작다. 조작 키(410b)의 압압 조작에 의해, 키 본체(411)의 압압부(416)는, 가동 접점(420b)의 역완 형상부(421)의 정부를 기판(440)측에 밀어넣는다. 그 결과, 가동 접점(420b)의 역완 형상부(421)는, 단차부(422)로부터 변형하여, 기판(440) 상의 접점(442, 442)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b)는, 제7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일단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3) 고정 시트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b)에 구비하는 고정 시트(430b)는, 제6의 실시 형태와 달리, 볼록부(425)를 관통시키는 작은 관통공(432)을 구비하지 않고, 큰 관통공(431)만을 구비하고 있다. 또, 고정 시트(430b)는, 절연성 기재(433)를 기판(440)에 접촉 가능한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제7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 같은 간극(Gap)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매우 적합한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다.
도 25는 제6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각 변형예로서 조작 키의 족부의 형태를 바꾼 2개의 예에 있어서의 도 17과 마찬가지의 일부 B의 확대 단면도(25A, 25B)를 나타낸다.
이들 변형예에서는, 조작 키(410)의 족부(413)는, 제6의 실시 형태와 달리, 제2 오목부(415)를 구비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420)의 연출부(424)는, 족부(413)의 제1 오목부(414)로부터 기판(440)측에, 연출부(424)의 두께만큼 돌출하고 있다. 고정 시트(430)는, 연출부(424)의 표면으로부터 제1 오목부(414)에 고정되어 있다. 연출부(424)가 제1 오목부(414)로부터 기판(440)측에 도출하고 있는 분만큼, 고정 시트(430)의 접착층(434)은 부분적으로 절연성 기재(433)측에 밀어넣어져 있다. 다만, (25A)의 예는, (25B)와 달리, 절연성 기재(433)가 기판(440)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연출부(424)가 제1 오목부(414)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25B)의 예에서는, 절연성 기재(433)가 기판(440)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25A)의 예에 비하면, 연출부(424)가 제1 오목부(414)로부터 탈락하기 쉽다. 이에 반해 제6의 실시 형태는, 제2 오목부(415)가 연출부(424)를 수납하고 있으므로, 연출부(424)의 탈락의 위험은 낮다. 이상으로부터 제2 오목부(415)의 형성 및 고정 시트(430)와 기판(440)의 접촉의 양쪽 구성을 구비하지 않은 형태보다, 양쪽 구성 중의 일방만을 구비하는 형태가 바람직하고, 양쪽 구성을 구비하는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도 26은 가동 접점의 각종 변형예(26A~26F)를 나타낸다.
(26A)는, 제6의 실시 형태에 구비하는 가동 접점(420)에, 더 더하여 2개의 연출부(424)를 대향 배치시킨 가동 접점(420c)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26B)는, (26A)의 가동 접점(420c)의 연출부(424)에 대신하여, 평탄부(42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연출부(424d)를 구비한 가동 접점(420d)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26C)는, (26A)의 가동 접점(420c)의 4개의 연출부(424)를 제외하고, 평탄부(423e)를 원환 형상으로 형성한 가동 접점(420e)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26D)는, (26C)의 가동 접점(420e)의 평탄부(423e)를 제외하고, 4방향으로 각각 연출하는 연출부(424f)를 단차부(422)에 접속하고, 각 연출부(424f)에 1개의 볼록부(425)를 형성한 가동 접점(420f)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26E)는, (26D)의 가동 접점(420f)의 4개의 연출부(424f)를 3개의 연출부(424g)로 바꾼 가동 접점(420g)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26F)는, (26A)의 가동 접점(420c)의 제1 관통공(426)을 설치하지 않는 가동 접점(420h)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상기의 각종 변형예와 같이 평탄부(423)의 형상 및 그 형성 유무, 또 연출부(424)의 수나 형상, 볼록부(425)의 수나 형성 위치, 제1 관통공(426)의 유무 등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도 26의 예시 형태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6C)의 가동 접점(420e)의 평탄부(423e)를 평면시에서 대략 사각형으로 해도 좋다. 또, (26D)의 가동 접점(420f)에 있어서, 제1 관통공(426)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 고정 시트(430, 430a, 430b)(고정 시트(430) 등이라고 한다.)는, 가동 접점(420, 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 420h)(가동 접점(420) 등이라고 한다.)의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을 덮고 있는 한, 연출부(424, 424d, 424f, 424g)(연출부(424) 등이라고 한다.)의 기판(440)과 대향하는 면의 일부 혹은 전면을 덮고 있어도 좋다. 또, 족부(413)에 제1 오목부(414)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가동 접점(420) 등의 외연부를 족부(413)의 저면(기판(440)과 대향하는 면)에 겹쳐서, 그 표면에 고정 시트(430) 등을 붙여도 좋다. 또한, 제1 오목부(414)에 제2 오목부(415)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내는 형태에서, 고정 시트(430) 등을 붙여도 좋다.
또, 조작 키(410)는, 돔부(412)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키 본체(411)와 족부(413)의 사이에, 돔부(412)에 대신하여, 키 본체(411)의 상하동을 가능하게 하는 얇은 연결부를 구비해도 좋다. 고정 시트(430) 등은, 절연성 기재(433)의 양면에 접착층(434)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족부(413)의 이면(제1 오목부(414), 제2 오목부(415)가 존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묻지 않는다.)과 외연부와의 사이에 고정 시트(430) 등을 사이에 두어, 족부(413)에 외연부(外延部)를 고정해도 좋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401, 401a, 401b)의 각종 구성 요소는, 조합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 서로 임의로 조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6의 실시 형태 및 제7의 실시 형태의 각 구조를 조합하여, 가동 접점(420)에 볼록부(425)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 제6의 실시 형태 및 제8의 실시 형태의 각 구조를 조합하여, LED(443)를 기판(440)에 구비하면서, 돌출부(427)에 상당하는 돌출부를 가동 접점(420)에 구비해도 좋다. 그 경우, 돌출부를 원통형으로 하고, 원통 내에 LED(443)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가동 접점(420)을 기판(440)을 향해 밀어넣으면, 원통 형상의 돌출부가 LED(443)를 둘러싸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접점(442, 442)에 접촉할 수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과 관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예를 들면 휴대 통신 기기, PC, 카메라, 차재용 전자기기, 가정용 오디오 기기, 가정용 전자제품 등의 조작 키를 구비하는 각종 기기에 이용할 수가 있다.
10, 60, 100, 120, 150, 180 조작 키
11, 61, 101, 121, 151, 181 키 본체
12, 62, 102, 122, 152, 182 돔부(dome part) 13, 63 중간부
14, 64, 104, 124, 154, 184 족부(足部) 17 오목부
20, 70, 130, 160, 190 가동 접점
21, 71, 161, 191 상측 접촉부
22, 72, 162, 192 제1 관통공
23 단차부(외측 고정부의 일례)
24, 164, 194 자락 판부(板部)(외측 고정부의 일례)
25, 75 띠(band)부(외측 고정부의 일례)
26, 166 외측 접촉부
30, 80, 110, 140, 170, 200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40 기판
41, 41a, 41b 제1 접점(접점의 일례)
42, 42a, 42b, 42c, 42d 제2 접점(접점의 일례)
50 LED(조광 수단의 일례)
67, 157, 187 제2 관통공 69 차광층
91 뚜껑부(투광성의 재료의 일례)
92 충전부(투광성의 재료의 일례)
131 상측 접촉부(그 직경 방향 외측 부분은, 외측 고정부의 일례)

Claims (12)

  1. 돔 형상의 가동 접점과, 그 가동 접점의 돌출측에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는 조작 키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키를 상기 가동 접점의 방향으로 압압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기판 상의 적어도 2개의 접점을 도통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로서,
    상기 조작 키는,
    키 본체와, 그 키 본체의 외주위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키 본체의 상기 기판측으로의 압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돔부와, 그 돔부의 외주위에 접속되고, 상기 기판 상에 고정되는 족부와,
    상기 돔부와 상기 족부의 사이에, 상기 기판과 간극을 두고서 대향하는 1 또는 2 이상의 중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키 본체의 직하 부위와 이간하여 배치되고, 상기 키 본체의 밀어넣음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접촉하는 상측 접촉부와, 상기 상측 접촉부 혹은 그 상측 접촉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상기 조작 키의 상기 키 본체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고정부를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중간부에 고정하여 배치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상측 접촉부보다 상기 가동 접점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 상기 키 본체의 밀어넣음에 의해, 상기 상측 접촉부가 접하는 상기 접점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다른 접점에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다른 접점과 접촉 혹은 비접촉 상태로 대향시켜 배치되는 외측 접촉부를 더 구비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그 가동 접점의 평면시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제1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작 키의 밀어넣음에 의해 상기 제1 관통공의 주위에서 상기 키 본체와 접촉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접점의 직경 방향 내측에 구비하는 조광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서 투광 가능하게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키는, 상기 키 본체의 하부에, 상기 키 본체 하동에 의해 상기 조광 수단을 수납 가능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를 투광성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키는, 상기 키 본체에, 그 키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가동 접점을 향해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은, 그 제2 관통공의 길이 방향의 일부 혹은 전부에 걸쳐 투광성의 재료를 매설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키는,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 본체의 천면에, 그 천면의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층을 형성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본체를 그 키 본체의 천면측과 가동 접점측을 경도가 다른 재료로 구성하는 다층 구조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11. 삭제
  12. 삭제
KR1020177037020A 2015-06-25 2016-06-17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KR101924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7348 2015-06-25
JPJP-P-2015-127348 2015-06-25
JPJP-P-2016-059707 2016-03-24
JP2016059707 2016-03-24
PCT/JP2016/068034 WO2016208499A1 (ja) 2015-06-25 2016-06-17 押釦スイッチ用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359A KR20180009359A (ko) 2018-01-26
KR101924749B1 true KR101924749B1 (ko) 2018-12-03

Family

ID=5758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020A KR101924749B1 (ko) 2015-06-25 2016-06-17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03451B2 (ko)
EP (1) EP3316271B1 (ko)
JP (1) JP6769958B2 (ko)
KR (1) KR101924749B1 (ko)
CN (1) CN107735848B (ko)
TW (1) TWI685867B (ko)
WO (1) WO2016208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1193B2 (ja) * 2016-03-02 2020-02-0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照光式押釦スイッチ部材
CN109964296B (zh) * 2016-12-22 2021-11-12 信越聚合物株式会社 按钮开关用部件
TWI702626B (zh) * 2018-03-30 2020-08-21 英屬開曼群島商康而富控股股份有限公司 具有較佳按壓手感的觸控按鍵
JP7111953B2 (ja) * 2018-04-26 2022-08-0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
US20220214026A1 (en) * 2019-04-16 2022-07-07 Alphatheta Corporation Self-illuminating manipulation element
EP3823305A1 (en) 2019-11-15 2021-05-19 GN Hearing A/S Compact, watertight and acoustically-tight button structure
TWI749840B (zh) * 2020-10-30 2021-12-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橡膠圓頂以及應用此橡膠圓頂的按鍵
US20230178309A1 (en) * 2022-12-16 2023-06-08 INJECTION PRECISION RUBBER (SUZHOU) Co.,Ltd. Compoisite rubber dome and mold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036B2 (ja) * 1996-10-14 2001-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032705A (ja) * 2003-06-16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06120397A (ja) * 2004-10-20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10146737A (ja) * 2008-12-16 2010-07-01 Fuji Denshi Kogyo Kk 2段クリック付き接点ばね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7616A (ja) 1990-06-11 1992-02-17 Fujitsu Ltd スイッチ素子
JPH0533422U (ja) 1991-10-04 1993-04-30 日通工株式会社 照光式文字ボタン
JPH08298043A (ja) 1995-04-27 1996-11-12 Oki Electric Ind Co Ltd 透光部付き押しボ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3391172B2 (ja) * 1995-11-28 2003-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3988203B2 (ja) 1996-10-22 2007-10-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ネルスイッチ用可動接点体
JPH11339593A (ja) 1998-05-29 1999-12-10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装置
JP2002352657A (ja) * 2001-05-25 2002-12-06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4039030B2 (ja) 2001-10-29 2008-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FR2846143B1 (fr) * 2002-10-16 2005-01-07 Dav Commutateur electrique a actionnement par pression de type cloqu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02004040395A1 (de) 2003-08-23 2005-03-24 Marquardt Gmbh Elektrisches Bauelement, insbesondere elektrischer Schalter
CN2697809Y (zh) * 2004-03-29 2005-05-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带可动接点的薄板及使用该薄板的开关
JP4513688B2 (ja) * 2005-08-17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TWM302109U (en) * 2006-05-10 2006-12-01 Can Technology Co Ltd The improved structure of the key of keyboard
WO2012153587A1 (ja) 2011-05-10 2012-11-15 株式会社コバック 2段式スイッチ
JP3179036U (ja) * 2012-08-01 2012-10-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6107039B2 (ja) 2012-10-04 2017-04-0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036B2 (ja) * 1996-10-14 2001-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032705A (ja) * 2003-06-16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06120397A (ja) * 2004-10-20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10146737A (ja) * 2008-12-16 2010-07-01 Fuji Denshi Kogyo Kk 2段クリック付き接点ば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6271A4 (en) 2019-01-16
CN107735848B (zh) 2020-03-17
EP3316271A1 (en) 2018-05-02
TWI685867B (zh) 2020-02-21
EP3316271B1 (en) 2021-05-26
JP6769958B2 (ja) 2020-10-14
US20180190445A1 (en) 2018-07-05
JPWO2016208499A1 (ja) 2018-04-12
CN107735848A (zh) 2018-02-23
TW201709243A (zh) 2017-03-01
US10403451B2 (en) 2019-09-03
WO2016208499A1 (ja) 2016-12-29
KR20180009359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749B1 (ko)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KR20180030969A (ko)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CN109964296B (zh) 按钮开关用部件
CN212625301U (zh) 按钮开关用构件
KR20060061889A (ko) 클릭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JP2008243655A (ja) 可動接点体およびそれを用いて構成した照光式パネルスイッチ
CA2719332C (en) Keypad structure
JP2005018989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5619369B2 (ja) シートスイッチ
JP2006344516A (ja) キートップ板
JP2004247160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
JP2023058761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8177006A (ja) 可動接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