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501B1 -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 Google Patents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501B1
KR101924501B1 KR1020180092806A KR20180092806A KR101924501B1 KR 101924501 B1 KR101924501 B1 KR 101924501B1 KR 1020180092806 A KR1020180092806 A KR 1020180092806A KR 20180092806 A KR20180092806 A KR 20180092806A KR 101924501 B1 KR101924501 B1 KR 10192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moving
rail fixing
fixing block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욱
박경포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9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24Portal grinding machines; Machines having a tool movable in a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 B24B7/18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with disc-type to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미트해머를 통한 콘크리트의 검사시 검사면의 연마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본체부에 결합하여 연마석을 포함하는 연마수단을 동력원 없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연마수단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고정된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피연마물이 불규칙적인 표면을 갖더라도 반발력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연마수단의 이동이 연마수단을 구성하는 연마석의 회전력과 이동수단을 이용해 무동력 방식으로 이루어져 경량화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이동레버를 통해 연마수단을 통한 연마량을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연마면을 가공할 수 있음은 물론, 연질의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를 통해 연마수단을 통한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 및 파편으로부터 작업자 및 보호 및 배터리를 통한 연마수단의 구동으로 인해 작업공간에 구애를 받지않고 연마면을 가공할 수 있는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Friction Reaction Removable Grinding Device for Displaying Hit Points for Schmidt Hammer}
본 발명은 슈미트해머를 통한 콘크리트의 검사시 검사면의 연마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후화된 사회기반시설물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안전한 유지관리와 함께 기존 구조물의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구조물에 대한 비파괴검사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현안이 되고 있다. 또한, 경제성 및 사용성,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을 리모델링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및 철거 시설물에 대한 재활용성 평가 등과 관련하여 비파괴검사가 매우 중요하게 대두 되고 있다 특히, 기존 사회기반시설물의 경우 강재와 콘크리트가 주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건설재료 중 콘크리트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에 대한 비파괴검사가 중요하다.
그런데, 그러한 기존의 콘크리트 시설물에 대한 비파괴검사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슈미트해머법(Schmidt Hammer Test)과 초음파 속도법(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등의 기법은 이미 충분히 많은 실험자료와 적용 실적을 가지고 있어 현장 비파괴검사 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슈미트해머법이나 초음파 속도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라인딩장치를 통해 콘크리트표면을 평탄하게 해주는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그라인딩 작업을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12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원형의 안내레일이 형성된 하우징프레임부에 그라인딩몸체의 하부 접촉면이 모두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 접촉되도록 그라인딩 하부 접촉면을 균일하게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그라인딩시 그랑인딩부재의 하부 중심 부분도 표면에 모두 접촉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대해 균일하게 그라인딩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KR10-1666124 B1 슈미트해머용 타격점표시를 위한 그랑인딩장치
한편, 통상의 연마수단(30)을 구성하는 연마석(33)은 도 1에서와 같이 피연마물(O)과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피연마물(O)의 표면이 평평할 경우에는 연마석(33)과의 고른 마찰력에 의해 연마수단(30)의 회전 중심인 연마석 구동수단(32)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고르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도 2에서와 같이 피연마물(O)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연마석(33)이 피연마물(O)과 평행한 상태를 이루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특정 위치에서 마찰저항이 심해지게 될 경우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위치를 중심축으로 하여 연마석(33)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마수단(30)이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경우에도 피연마물(O)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연마석(33)과 피연마물(O)이 평행하지 않을 경우 연마석(33)의 회전방향으로 그라인딩 장치가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연마수단(30)을 통한 피연마물(O)의 연마는 넓은 면적을 연마하여야 하는데 위와 같은 구성으로는 넓은 면적의 피연마물(O)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일정 면적을 연마한 후 다시 자리를 옮겨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는 피연마물을 연마하는 연마수단을 본체부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수단을 이용해서 연마수단만 이동시키기 때문에 고정된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피연마물이 불규칙적인 표면을 갖더라도 반발력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수단의 이동이 연마수단을 구성하는 연마석의 회전력과 이동수단을 이용해 무동력 방식으로 이루어져 경량화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이동레버를 통해 연마수단을 통한 연마량을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연마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질의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를 통해 연마수단을 통한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 및 파편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통한 연마수단의 구동으로 인해 작업공간에 구애를 받지않고 연마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피연마물을 연마하는 연마수단을 본체부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수단을 이용해서 연마수단만 이동시키기 때문에 고정된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피연마물이 불규칙적인 표면을 갖더라도 반발력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마수단의 이동이 연마수단을 구성하는 연마석의 회전력과 이동수단을 이용해 무동력 방식으로 이루어져 경량화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이동레버를 통해 연마수단을 통한 연마량을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연마면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연질의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를 통해 연마수단을 통한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 및 파편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를 통한 연마수단의 구동으로 인해 작업공간에 구애를 받지않고 연마면을 가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연마수단과 피연마물의 이상적인 연마형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연마수단과 피연마물 간의 특정 위치에서 마찰저항이 높을 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의 셋팅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본체부의 손잡이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의 이동레버를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a)는 본 발명에서 연마수단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측면도.
도 10의 (a)는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0의 (b)는 연마수단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의 (a)는 본 발명에서 연마수단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부(10)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1)와 프레임부(11)에 결합되는 좌, 우측 손잡이(12a, 12b)로 이루어진 손잡이부(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부(11)는 도면에서는 전, 후, 좌, 우면 프레임(11a, 11b, 11c, 11d)이 대략 ㅁ자 형상으로 결합하여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좌, 우면 프레임(11c, 11d)의 상측으로는 상면 프레임(11e)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이동수단(20)은 상술한 본체부(10)에 형성된 프레임부(11)에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수단(20)에는 레일 고정 블럭(21)이 구성된다.
상기 레일 고정 블럭(21)은 전, 후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사각단면을 갖는 블럭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레일 고정 블럭(21)은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1)의 좌면 프레임(11c) 및 우면 프레임(11d)에 각각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힌지(H)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 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H)는 좌, 우면 프레임(11c, 11d)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레일 고정 블럭(21)도 전, 후방향의 중앙에 힌지(H)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수단(20)에는 상술한 레일 고정 블럭(21)의 상측에 복귀 스프링(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22)은 레일 고정 블럭(21)이 힌지(H)를 중심으로 전, 후방으로 회전할 때에 레일 고정 블럭(21)을 최초의 자리로 복귀 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복귀 스프링(22)은 한쌍의 레일 고정 블럭(21)의 전, 후단에 1개소씩 총 2개소가 구성되되, 레일 고정 블럭(21)의 상측면과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1)의 상면 프레임(11e)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레일 고정 블럭(21)을 최초의 자리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수단(20)에는 전, 후방 레일(23, 24)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 후방 레일(23, 24)은 한쌍의 레일 고정 블럭(21)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 고정 블럭(21)들에 의해 고정되며, 전, 후방 레일(23, 24)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동수단(20)에는 한쌍의 이동레버(25)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레버(25)는 작업자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레일 고정 블럭(21)에 고정 결합되어 레일 고정 블럭(21)을 힌지(H)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 후방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 후방 레일(23, 24) 중 어느 하나가 힌지(H)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레버(25)에는 레일 고정 블럭(21)을 회전시키기 위한 좌측 이동레버(25a)와 우측 이동레버(2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20)의 전, 후방 레일(23, 24)의 좌, 우측에는 리미트 스프링(2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마수단(30)은 상술한 이동수단(20)에 결합하여 피연마물(O)을 연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연마수단(30)은 이동수단(20)을 구성하는 전, 후방 레일(23, 24)에 결합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블럭(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블럭(31)의 상측으로는 연마석 구동모터(32)가 구성되고, 슬라이드 블럭(31)의 하측으로는 연마석 구동모터(3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피연마물(O)을 연마하는 연마석(33)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B)는 상술한 연마수단(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1)의 하측면에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연마수단(30)을 통한 피연마물(O)의 연마작업시 발생하는 분진 및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는 상측으로 프레임부(11)의 하측면에 결합하되, 연마수단(30)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41a)를 형성하고 있는 상판(41)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4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전, 후, 좌, 우측의 측판(42)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4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는 작업성을 위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탈,부착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2개소가 분할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높이조절수단(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의 높이와 피가공물(O) 간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1)의 상면 프레임(11e)에 돌출되어 결합되는 볼트 손잡이(51a)와 상면 프레임(11e)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부(51b) 및 볼트부(51b)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피가공물(O)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지지부(51c)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볼트(51)와 상기 높이조절볼트(51)를 구성하는 볼트부(51b)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높이조절용 스프링(52)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높이조절볼트(51)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의 높이를 피연마물(O)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본체부(10)에 힘을 가하면 높이조절수단(50)의 높이조절용 스프링(52)이 압축되면서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이 피연마물(O)과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50)은 4개소가 본체부(10)의 프레임부(11)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의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높이조절수단(50)을 이용하여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의 하측면보다 높이조절볼트(51)의 지지부(51c)의 하측면이 더 아래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의 연마수단(30)을 이용한 피연마물(O)의 연마시 연마석(33)이 공회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남겨두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수단(5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100)를 피연마물(O)의 표면에 배치하여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을 통한 연마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피연마물(O)의 표면에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의 측판(42)의 하측면에 맞닿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마수단(30)의 연마석 구동모터(32)를 구동시키게 되면 연마석(33)이 시계방향으로 공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도 7에서와 같이 좌, 우측 손잡이(12a, 12b)를 피연마물(O)이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의 측판(42)이 가압력에 의해 접히게 되어 높이조절수단(50)의 높이조절볼트(51)의 지지부(51c)가 피가공물(O)과 맞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좌, 우측 손잡이(12a, 12b)를 더 가압하게 되면 높이조절볼트(51)가 눌리면서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이 피연마물(O)의 표면에 맞닿아 연마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피연마물(O)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표면의 조도가 거칠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초에는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지만 일정시간 이후에는 표면의 조도가 매끄러워지면서 반발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 8에서와 같이 좌측 이동레버(25a)를 가압하면, 도 9의 (a)에서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레일 고정 블럭(21)이 회전하게 되어 전방 레일(23)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 레일(24)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그러면, 도 9의 (b)와 같이 전, 후방 레일(23, 24)에 결합되어 있던 연마수단(30)도 기울어지게 되면서 연마석(33)과 피연마물(O)이 특정 위치에서만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연마석(33)은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이동수단(20)에 의해 마찰저항 중심점(F)과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마찰저항 중심점(F)을 중심축으로 하여 연마수단(30)이 회전하려는 2차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연마수단(3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블럭(31)이 이동수단(20)의 전, 후방 레일(23, 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연마수단(30)을 구성하는 연마석(33)은 회전력은 연마수단(30)을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도 10의(a)와 같이 전, 후방 레일(23, 24)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 이동하는 힘은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이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에, 상술한 마찰저항 중심점(F)은 도 10의 (b)와 같이 연마수단(30)의 이동경로를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전, 후방 레일(23, 24)의 좌측 끝단으로 이동시에는 리미트 스프링(26)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어렵게 되며, 작업자가 이동수단(20)의 이동레버(25)에 가했던 가압을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22)에 의해 전, 후방 레일(23, 24)이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연마수단(30)은 이동레버(25)를 해제하였을 때의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본체부(10)의 좌, 우측 손잡이(12a, 12b)에 가했던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높이조절수단(50)의 높이조절볼트(51)는 높이조절용 스프링(52)에 의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게 되고,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의 측판(42)도 최초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또한, 도 11의 (a)와 같이 이동수단(20)을 구성하는 이동레버(25)의 우측 이동레버(25b)를 가압하게 되면 도 11의 (b)와 같이 연마석(33)이 힌지(H)를 중심으로 이동수단(20)의 레일 고정 블럭(21)이 회전하게 되어 전방 레일(23)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 레일(24)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연마석(33)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본체부(10)를 피연마물(O)의 표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연마수단(30)을 구동시킨 후 이동수단(20)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연마수단(30)이 이동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연마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자세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연마수단(3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예상치 못한 반발력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연마수단(30)의 이동이 이루어져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 장치의 경량화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동수단(20)을 구성하는 한쌍의 이동레버(25)를 어느 하나만 작동시키거나 또는 누름량 조절을 통해 연마수단(20)의 이동을 세밀하게 조정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가 낮더라도 일률적인 연마면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연마수단(30)의 동력원으로 배터리(B)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환경에 구애를 받지 않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를 통해 분진이나 파편의 비산 방지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는 2개소로 분할하여 제작함으로써 탈부착이 용이하면서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O : 피연마물
10 : 본체부
11 : 프레임부
11a : 전면 프레임 11b : 후면 프레임 11c : 좌면 프레임
11d : 우면 프레임 11e : 상면 프레임
12 : 손잡이부
12a : 좌측 손잡이 12b : 우측 손잡이
20 : 이동수단
21 : 레일 고정 블럭 22 : 복귀 스프링 23 : 전방 레일 24 : 후방 레일
25 : 이동레버 25a :좌측 이동레버 25b : 우측 이동레버
26 : 리미트 스프링
30 : 연마수단
31 : 슬라이드 블럭 32 : 연마석 구동모터 33 : 연마석
B : 배터리
40 :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
41 : 상판 41a : 이동로 42 : 측판 43 : 공간부
50 : 높이조절수단
51 : 높이조절볼트 51a : 볼트손잡이 51b : 볼트부 51c : 지지부
52 : 높이조절용 스프링
100 :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Claims (5)

  1.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1)와 상기 프레임부(11)에 결합하는 좌, 우측 손잡이(12a, 12b)로 이루어진 손잡이부(12)로 구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1)에 힌지(H)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쌍의 레일 고정 블럭(21)과,
    상기 레일 고정 블럭(21)의 회전시 레일 고정 블럭(21)을 최초의 자리로 복귀시키기 위해 레일 고정 블럭(21) 상측의 전, 후단에 형성되어 프레임부(11)와 맞닿도록 구성되는 복귀 스프링(22)과,
    상기 한쌍의 레일 고정 블럭(21)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 고정 블럭(21)의 전, 후단에 결합하는 전, 후방 레일(23, 24)과,
    상기 레일 고정 블럭(21)과 고정 결합되어 힌지(H)를 중심축으로 하여 레일 고정 블럭(21)을 전, 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좌측 이동레버(25a)와 우측 이동레버(25b)를 형성하고 있는 한쌍의 이동레버(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수단(20);
    상기 이동수단(20)에 형성되어 있는 전, 후방 레일(23, 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블럭(31)과 슬라이드 블럭(31)에 결합하는 연마석 구동모터(32) 및 연마석 구동모터(32)에 의해 회전하는 연마석(33)으로 이루어진 연마수단(30); 및
    연마수단(30)의 연마석 구동모터(32)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이동수단(20)을 구성하는 이동레버(25)의 작동에 의해 전, 후방 레일(23, 24)이 기울어져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이 피연마물(O)과의 마찰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으로 연마수단(30)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20)을 구성하는 전, 후방 레일(23, 24)의 좌, 우측면에는 연마수단(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프링(2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수단(30)을 구성하는 연마석(33)을 통한 피연마물(O)의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 및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10)의 프레임부(11)의 하부에 결합하되 연마수단(30)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41a)를 포함하는 상판(41)과, 전, 후, 좌, 우측의 측판(42)에 의해 내측에 공간부(43)가 형성되는 연질의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및 파편 비산 방지부(40)는 전, 후측 방향으로 분할되어 2개소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에는 연마수단(30)의 연마석(33)의 수평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볼트손잡이(51a)와 볼트부(51b) 및 하측의 지지부(51c)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볼트(51)와 상기 높이조절볼트(51)의 볼트부(51b) 외측에 형성되는 높이조절용 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KR1020180092806A 2018-08-09 2018-08-09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KR10192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806A KR101924501B1 (ko) 2018-08-09 2018-08-09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806A KR101924501B1 (ko) 2018-08-09 2018-08-09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501B1 true KR101924501B1 (ko) 2019-02-27

Family

ID=6556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806A KR101924501B1 (ko) 2018-08-09 2018-08-09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527B1 (ko) * 2019-11-29 2020-03-02 주식회사 한국건설시험연구소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CN111546227A (zh) * 2020-05-16 2020-08-18 开化柚夏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配件去毛刺设备
KR102194140B1 (ko) * 2020-10-21 2020-12-22 김보현 슈미트해머 측점 표시 장치
KR102506058B1 (ko) * 2022-12-27 2023-03-06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KR102514050B1 (ko) * 2022-04-28 2023-03-24 (주)경동엔지니어링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면의 친환경 그라인딩 비산 먼지 방지 덮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2518A2 (en) * 2001-09-10 2003-03-20 Oriol, Inc.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tool, apparatus and method
KR101666124B1 (ko) * 2016-02-25 2016-10-14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슈미트해머용 타격점표시를 위한 그라인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2518A2 (en) * 2001-09-10 2003-03-20 Oriol, Inc.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tool, apparatus and method
KR101666124B1 (ko) * 2016-02-25 2016-10-14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슈미트해머용 타격점표시를 위한 그라인딩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527B1 (ko) * 2019-11-29 2020-03-02 주식회사 한국건설시험연구소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CN111546227A (zh) * 2020-05-16 2020-08-18 开化柚夏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配件去毛刺设备
CN111546227B (zh) * 2020-05-16 2021-05-04 玉环顺捷汽配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零配件去毛刺设备
KR102194140B1 (ko) * 2020-10-21 2020-12-22 김보현 슈미트해머 측점 표시 장치
KR102514050B1 (ko) * 2022-04-28 2023-03-24 (주)경동엔지니어링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면의 친환경 그라인딩 비산 먼지 방지 덮개
KR102506058B1 (ko) * 2022-12-27 2023-03-06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01B1 (ko)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찰 반발에 의한 이동식 그라인딩장치
CA1316079C (en) Soft concrete saw
US107241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non-linear trenches in concrete
US7192339B1 (en) Grinder disc, insert holder and insert assembly
GB2052327A (en) Apparatus for treating a surface
KR20130080532A (ko) 절단 정반 슬래그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제거방법
KR20180074002A (ko)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마운트가 장착된 바닥면 폴리싱 장치 및 폴리싱 공법
KR101883801B1 (ko) 콘크리트 워터젯 치핑장치
JP6355811B1 (ja) 走行式研磨装置
JP6051481B1 (ja) 道路の防水構造層除去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切削機ならびに研磨機
EP0839608B1 (en) A polishing and smoothing machine for slabs, tiles and the like.
JP3226605U (ja) 溶接部研磨機
JP6178369B2 (ja) サイディングボード用研削装置
US113516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ling and grinding surfaces
KR20070091805A (ko) 빌렛 연마기용 스케일 배출장치
CN206744723U (zh) 鞋面磨边机
US3384065A (en) Apparatus for brick cleaning
JPH08187620A (ja) キサゲ面形成装置
KR101962014B1 (ko) 인터록킹 블록용 표면연마장치
CN219853942U (zh) 一种角磨机远程操控支架
CN217413568U (zh) 一种用于花岗岩竖向抛光的磨具
US20230249309A1 (en) Adaptable sanding apparatus and method
CN216029949U (zh) 一种锻件打磨设备
JPH08332629A (ja) 石材の切削方法
CN215201463U (zh) 一种防止大型磨具局部变形的自动定位固定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