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687B1 -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687B1
KR101922687B1 KR1020180069491A KR20180069491A KR101922687B1 KR 101922687 B1 KR101922687 B1 KR 101922687B1 KR 1020180069491 A KR1020180069491 A KR 1020180069491A KR 20180069491 A KR20180069491 A KR 20180069491A KR 101922687 B1 KR101922687 B1 KR 101922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coupled
geared motor
uni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걸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변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변종걸 filed Critical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6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위치 및 위험지역에 위치한 구조체에 접근하지 않고도 균일하고 강력한 힘으로 구조체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타격음을 통해 구조체를 검사하기 위한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장봉 단부에 결합된 브라켓부와 기어드 모터, 크랭크 암 및 커넥팅 로드로 구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구조체를 타격하되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에 의해 구조체를 타격시키는 타격부 및 녹화부, 작동부로 이루어져 있어, 연장봉 및 연장봉에 연결된 브라켓부를 통해 높은위치 및 위험지역에 위치한 구조체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검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객관적인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구조체의 타격과정과 검사결과를 고화질의 동영상으로 저장하여 추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으며, 강력한 토크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고탄성의 스프링을 압축시킨 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조체를 강력하게 타격시켜 타격음을 통해 구조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함으로써 컴팩트한 형태로서 저비용으로도 균일하면서 강력함 힘으로 구조체를 타격시킴으로써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Remote hitt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은 높은위치 및 위험지역에 위치한 구조체에 접근하지 않고도 균일하고 강력한 힘으로 구조체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타격음을 통해 구조체를 검사하기 위한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치 등으로 단단한 구조물을 가격할 경우 맑은소리가 나고, 단단하지 않거나 균열이 있는 구조물을 가격할 경우 저음이나 탁한 소리가 난다.
이러한 소리 현상을 활용하여 건설현장, 장비 운용현장, 시설물의 구체 또는 특정부재의 점검에서는 테스트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통상 타음법이라 일컫는 해머 테스트(Hammer Test)를 수행함으로써, 구조물이나 특정 부재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보다 안정되고 효율적인 구조물이나 특정 부재의 점검 및 설비운영을 꾀하고 있다.
특히, 구조물이나 특정 부재의 강도와 손상 상태 및 점검 망치의 형상에 따라 특정한 진동이 강조되는 현상이 있다.
따라서, 구조물이나 특정 부재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테스트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각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점검 망치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해머 테스트는 타격 대상부위에 해머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타격을 가하고, 이때 발생하는 타격음을 청취하여 구조물이나 특정 부재의 강도, 파손 또는 균열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한 해머 테스트는 구조물의 구체 또는 특정 부재의 강도, 파손 및 균열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관련 구성 부품들을 일일이 분해하여 직접 시각적으로 판단하는 수고 없이도 신뢰성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해머 테스트는 무엇보다도 시험 대상부위를 일정한 압력으로 정확하게 타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 인해, 시험 대상부위를 타격하여 발생된 타격음에 따라 구조물이나 특정부재의 강도, 파손 및 균열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해머 테스트는 점검 현장의 소음으로 인해 타격음의 청취가 쉽지 않기 때문에 판단결과에 대한 정확성이 모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해머 테스트는 사람 키 정도의 낮은 높이의 구조물이나 특정 부재에 적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높은 장소의 구조물이나 특정 부재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2017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봉의 단부에 고정 스파이크가 형성된 상부 고정구를 형성하고, 상부 고정구의 일단에는 해머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끈 연결공이 형성된 고정 판재가 장착되는 회전작동구를 구성하며, 상부 고정구의 타단에는 해머의 타격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가 구성되고, 해머를 구조물에 타격시키기 위한 작동 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2는 작업자가 특허문헌 2의 점검용 해머장치를 점검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작동 끈을 잡아당겨 해머를 구조물에 타격하는 방식으로 높은 위치의 구조물을 테스트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20-0369203 Y1 다기능 망치
(특허문헌 2) KR10-1842017 B1 고소 구조물 점검용 해머장치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2는 작업자가 작동 끈을 잡아당기는 힘의 정도에 따라 해머가 구조물을 타격하는 타격 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한 힘으로 가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작동 끈을 잡아당기는 힘으로만 해머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강력함 힘으로 타격할 수 없어 검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는 연장봉, 브라켓부, 동력발생수단, 타격유닛, 녹화부를 통해 높은위치 및 위험지역에 위치한 구조체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타격유닛을 구조체에 타격시켜 원격으로 검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항상 똑같은 힘으로 구조체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타격음으로 구조체를 점검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객관적인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체의 타격과정과 검사결과를 고화질의 동영상으로 저장하여 추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으며,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검사결과를 전송함으로써 현장 작업자 외의 관리자도 작업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력한 토크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고탄성의 스프링을 압축시킨 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조체를 강력하게 타격시켜 발생하는 타격음을 통해 구조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함으로써 컴팩트한 형태로서 저비용으로도 균일하면서 강력함 힘으로 구조체를 타격시킬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연장봉, 브라켓부, 동력발생수단, 타격유닛, 녹화부를 통해 높은위치 및 위험지역에 위치한 구조체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타격유닛을 구조체에 타격시켜 원격으로 검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항상 똑같은 힘으로 구조체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타격음으로 구조체를 점검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객관적인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구조체의 타격과정과 검사결과를 고화질의 동영상으로 저장하여 추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으며,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검사결과를 전송함으로써 현장 작업자 외의 관리자도 작업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강력한 토크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고탄성의 스프링을 압축시킨 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조체를 강력하게 타격시켜 발생하는 타격음을 통해 구조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함으로써 컴팩트한 형태로서 저비용으로도 균일하면서 강력함 힘으로 구조체를 타격시킴으로써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의 제1 작동 상태도.
도 5는 도 4일 때의 동력발생수단과 타격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의 제2 작동 상태도.
도 7은 도 7일 때의 동력발생수단과 타격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동력발생수단의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의 제3 작동 상태도.
도 10은 도 9일 때의 동력발생수단과 타격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의 제4 작동 상태도.
도 12는 도 11일 때의 동력발생수단과 타격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의 제5 작동 상태도.
도 14는 도 13일 때의 동력발생수단과 타격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장봉(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봉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잘 휘어지지 않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브라켓부(20)는 상술한 연장봉(10)의 끝단부에 결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브라켓부(20)는 도 3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제1 타격 샤프트 결합홀(21a)을 포함하는 제1 슬라이드 블럭(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블럭(21)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타격 샤프트 결합홀(22a)을 포함하는 제2 슬라이드 블럭(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2 슬라이드 블럭(21, 22)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1, 2 슬라이드 블럭(21, 22) 및 연장봉(10)과 결합하는 한쌍의 프레임(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연장봉(10)에 결합하는 브라켓부(20)는 연장봉(1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봉(10)의 브라켓부(20)가 결합하는 단부에는 제1 회전홀(11)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브라켓(20)에 형성되는 프레임(23)에는 제2 회전홀(23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2 회전홀(11, 23a)에는 각도조절노브(70)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도조절노브(70)의 체결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브라켓부(2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각도조절노브(70)를 체결하면 브라켓부(20)를 연장봉(10)에서 일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동력발생수단(30)은 상술한 브라켓부(20) 내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동력발생수단(30)은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기어드 모터(31)가 구성되고, 상기 기어드 모터(31)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크랭크 암(32) 및 상기 크랭크 암(32) 중 기어드 모터(31)가 결합된 위치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직선의 동력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커넥팅 로드(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어드 모터(31)와 크랭크 암(32)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이 구성된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은 일반 베어링과 마찬가지로 내륜부(34a)와 외륜부(34b)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의 내륜부(34a)는 기어드 모터(31)와 결합하여 정, 역회전이 가능하게 회전하되 항상 기어드 모터(31)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크랭크 암(32)과 결합하되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외륜부(34b)는 크랭크 암(32)에 결합되되 기어드 모터(31)에 의해서만 회전하는 내륜부(34a)와 다른 속도로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기어드 모터(31)는 강력한 토크력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모터로서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의 내륜부(34a)는 기어드 모터(31)와 제1 키(k1)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의 외륜부(34b)는 크랭크 암(32)과 제2 키(k2)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타격유닛(40)은 상술한 동력발생수단(30)에서 발생한 직선의 동력원을 전달받아 구조체(1)를 타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타격유닛(40)은 동력발생수단(30)의 커넥팅 로드(33)에 결합되되 일측으로는 구조체(1)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41a)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스프링 걸림턱(41b)을 포함하는 타격 샤프트(41)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격 샤프트(41)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타격 샤프트(41)에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일측은 타격 샤프트(41)의 스프링 걸림턱(41b)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제1 슬라이드 블럭(21)과 맞닿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42)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력발생수단(30)를 구성하는 기어드 모터(31)의 회전운동이 커넥팅로드(33)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바뀌면 스프링(42)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타격 샤프트(41)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타격 샤프트(41)의 직선운동에 의해 스프링(42)이 압축되었다가 일정 구간이 지난 후에는 스프링(42)의 압축이 해제되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동력발생수단(30)에 의해 직선운동하던 반대방향으로 타격 샤프트(41)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스프링(42)은 고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녹화부(50)는 브라켓부(20)에 형성되어 타격 샤프트(41)가 구조체(1)를 타격할 때에 타격음을 녹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녹화부(50)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카메라로 이루어져 있어, 타격유닛(40)을 통한 구조체(1) 타격시의 타격음 및 타격영상을 녹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타격음을 듣고 구조체(1)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작동부(60)는 연장봉(10)에 결합하여 동력발생수단(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작동버튼(63)이 형성된 작동본체(61)에 연장봉(10)에 결합되는 연장봉 결합부(62)가 형성되어 고정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작동부(60)에는 휴대용 단말기(T)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70)가 더 포함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녹화부(50)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측정되는 타격음 및 타격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부(20)의 끝단부에 타격점 지지대(9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타격점 지지대(90)는 타격유닛(40)의 구동시 본 발명을 구조체(1)에서 지지시키면서 타격유닛(40)의 타격 샤프트(41)에 형성된 타격부(41a)와 구조체(1)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타격점 지지대(90)는 브라켓부(20)에 결합하는 지지대 브라켓(91)과 상기 지지대 브라켓(91)에 결합하는 제1, 2, 3 지지대(92, 93, 94) 및 상기 제1, 2, 3 지지대(92, 93, 94)를 지지대 브라켓(91)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9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사용하기에 앞서 구조체(1)의 위치에 따라 연장봉(10)에 결합된 브라켓부(20)는 각도조절노브(70)를 이용하여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T)가 있을 경우에는 작동부(60)에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80)에 이를 거치한 후 녹화부(50)와 무선통신을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연장봉(10)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 및 위험지역의 구조체(1)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구조체(1)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타격음을 통해 구초체(1)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준비과정이 끝난 후에는 사용자가 검사하고자 하는 구조체(1)에 타격점 지지대(90)의 제1, 2, 3 지지대(92, 93, 94)가 맞닿도록 배치한다.
이때에, 동력발생수단(30)의 크랭크 암(32)과 커넥팅 로드(33)가 결합된 위치는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약 3시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후, 작동부(60)를 구성하는 작동버튼(63)을 누르게 되면 동력발생수단(30)을 구성하는 기어드 모터(31)의 회전운동에 의해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 및 크랭크 암(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크랭크 암(32)에 결합된 커넥팅 로드(33)는 동력발생수단(30)이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6 내지 7에서와 같이 동력발생수단(30)의 커넥팅 로드(33)에 결합되어 있는 타격유닛(40)을 구성하는 타격 샤프트(41)가 동력발생수단(30)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타격 샤프트(41)의 외주면에 결합된 스프링(42)은 타격 샤프트(41)의 스프링 걸림턱(41b)에 의해 압축된다.
여기서, 상술한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은 도 8에서와 같이 내륜부(34a)는 기어드 모터(31)와 제1 키(k1)에 의해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외륜부(34b)는 크랭크 암(32)과 제2 키(k2)에 의해 결합하되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되 기어드 모터(31)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하는 내륜부(34a)와는 다른게 다른 속도로로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도 6 내지 7에서는 회전력이 기어드 모터(31)에 의해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내륜부(34a)의 속도와 동일하게 외륜부(34b)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동력발생수단(30)을 구성하는 크랭크 암(32)은 기어드 모터(31)가 결합하는 위치와 커넥팅 로드(33)가 결합하는 위치가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크랭크 암(32)의 회전시 커넥팅 로드(33)의 위치가 가변되는데, 특히,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크랭크 암(32)과 커넥팅 로드(33)가 결합된 위치가 3시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동력발생수단(30)의 작동에 의해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회전하다가 도 9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크랭크 암(32)과 커넥팅 로드(33)가 결합된 위치가 9시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타격유닛(40)의 타격 샤프트(41)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42)은 최대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크랭크 암(32)과 커넥팅 로드(33)가 결합된 위치가 9시 방향에 위치한 순간에는 스프링(42)이 최대가 되는 시점이면서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크랭크 암(32)이 회전될 수 없는 시점이기도 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기어드 모터(31)가 회전하여 크랭크 암(32)과 커넥팅 로드(33)가 결합된 위치가 9시 방향을 벗어나게 되면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압축된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타격유닛(40)의 타격 샤프트(41) 및 동력발생수단(30)의 커넥팅 로드(33)가 빠르게 직선이동하게 되고, 이와 결합되어 있던 동력발생수단(30)의 크랭크 암(32)도 빠른 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 암(32)은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의 외주면(34b)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빠른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는 순간에도 기어드 모터(31)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의 내주면(34a)과 함께 천천히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타격유닛(40)을 구성하는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타격 샤프트(41)는 빠른 속도로 직선운동을 하여 도 13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구조체(1)를 타격하게 되고, 이렇게 타격에 의해 발생하는 타격음은 녹화부(50)를 통해 녹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녹화된 내용을 토대로 구조체(1)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100)는 타격유닛(40)의 스프링(42)이 동력발생수단(30)에 의해 압축된 후 압축력이 풀리게 되면서 타격 샤프트(41)가 이동하면서 구조체(1)를 타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항상 똑같은 힘으로 구조체(1)를 타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객관적인 검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작동부(60)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80)를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녹화부(5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할 경우 작업과정과 검사결과를 고화질의 동영상으로 저장하여 추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현장 작업자 외의 관리자도 작업 내용을 실시간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항상 일정한 힘으로 구조체(1)를 타격하여 객관적인 검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위와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해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는 동력원, 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똑같은 힘으로 구조체(1)를 타격할 수 있는 있겠으나 강력함 힘을 형성하여야할 경우 위의 구성들은 유공압의 용량을 늘려야 하기 때문에 비용 및 장비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동력발생수단(30)은 강력한 토크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31)의 회전력을 크랭크 암(32)과 커넥팅 로드(33)로 직선운동으로 변환한 힘을 이용하여 고탄성의 스프링(42)을 압축시킨 후 스프링(4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조체(1)를 강력하게 타격시켜 타격음을 통해 구조체(1)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컴팩트한 형태로서 저비용으로도 균일하면서 강력함 힘으로 구조체(1)를 타격함으로써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 기어드 모터(31)와 결합한 내륜부(34a)와 크랭크 암(32)에 결합된 외륜부(34b)의 속도가 다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에 의해 강력한 타격 이후에도 동력발생수단(30)의 구성요소들이 최초의 자리로 셋팅되어 다음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 : 구조체
T : 휴대용 단말기
10 : 연장봉
11 : 제1 회전홀
20 : 브라켓부
21 : 제1 슬라이드 블럭 21a : 제1 타격 샤프트 결합홀
22 : 제2 슬라이드 블럭 22a : 제2 타격 샤프트 결합홀
23 : 프레임 23a : 제2 회전홀
30 : 동력발생수단
31 : 기어드 모터 32 : 크랭크 암 33 : 커넥팅 로드
34 :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34a : 내륜부 34b : 외륜부
k1 : 제1 키 k2 : 제2 키
40 : 타격유닛
41 : 타격 샤프트 41a : 타격부 41b : 스프링 걸림턱
42 : 스프링
50 : 녹화부
60 : 작동부
61 : 작동본체 62 : 연장봉 결합부 63 : 작동버튼
70 : 각도조절노브
8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90 : 타격점 지지대
91 : 지지대 브라켓 92 : 제1 지지대 93 : 제2 지지대 94 : 제3 지지대
95 : 볼트
100 :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Claims (5)

  1. 연장봉(10);
    연장봉(10)의 끝단부에 결합하는 브라켓부(20);
    브라켓부(20) 내에 고정 결합하는 기어드 모터(31)와 기어드 모터(31)에 일측이 결합되는 크랭크 암(32)과 크랭크 암(32) 중 기어드 모터(31)와 결합된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커넥팅 로드(33) 및 기어드 모터(31)와 크랭크 암(32) 사이에 배치되되, 기어드 모터(31)와 연결되는 내륜부(34a)와 크랭크 암(32)에 결합하는 외륜부(34b)로 구성되어 내륜부(34a)는 기어드 모터(31)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하고, 외륜부(34b)는 한방향으로만 회전하되 내륜부(34a)와 다른 속도로도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34)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수단(30);
    동력발생수단(30)의 커넥팅 로드(33)에 결합하며 전단에 타격부(41a)와 내측의 스프링 걸림턱(41b)을 형성하고 있는 타격 샤프트(41)와 타격 샤프트(41)에 결합하여 동력발생수단(30)의 작동시 타격 샤프트(41)가 직선운동을 할 때에 탄성력을 형성하여 타격 샤프트(41)를 구동시키는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 타격유닛(40);
    브라켓부(20)에 결합하여 타격유닛(40)의 작동시 발생하는 타격음을 녹화하기 위한 녹화부(50);
    동력발생수단(30)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연장봉(10)에서 브라켓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브라켓부(20)와 결합하는 연장봉(10)의 단부에는 제1 회전홀(11)을 더 형성하고 브라켓부(20)에는 제1 회전홀(11)과 대응하는 제2 회전홀(23a)을 더 형성하며, 제1, 2 회전홀(11, 23a)에는 각도조절노브(70)를 더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부(20)는 내측으로 제1 타격 샤프트 결합홀(21a)을 포함하는 제1 슬라이드 블럭(21)과 제1 슬라이드 블럭(21)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제2 타격 샤프트 결합홀(22a)을 포함하고 있는 제2 슬라이드 블럭(22)과 제1, 2 슬라이드 블럭(21, 22)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2 슬라이드 블럭(21, 22) 및 연장봉(10)에 결합하는 한쌍의 프레임(23)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녹화부(50)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카메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동부(60)의 일측으로는 녹화부(50)와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T)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80)가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부(20)의 단부에는 구조체(1)과 맞닿는 타격점 지지대(9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KR1020180069491A 2018-06-18 2018-06-18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KR10192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491A KR101922687B1 (ko) 2018-06-18 2018-06-18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491A KR101922687B1 (ko) 2018-06-18 2018-06-18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687B1 true KR101922687B1 (ko) 2018-11-27

Family

ID=6460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491A KR101922687B1 (ko) 2018-06-18 2018-06-18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68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60B1 (ko) 2019-05-21 2020-08-07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구조물 진단용 타격음 발생 장치
WO2022009853A1 (ja) * 2020-07-10 2022-01-13 株式会社インパクト 打撃装置
KR102385530B1 (ko) 2021-03-04 2022-04-14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구조물의 타음 진단장치
CN114720649A (zh) * 2022-03-25 2022-07-08 凤鸣嘉瑞(山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式水质监测装置及方法
KR20220108381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베스컨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20220124926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KR20220129162A (ko)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구조물의 타음 분석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7515A (en) 1987-07-01 1991-12-31 St Arnauld Ernest E Pulsed, electro-mechanical high-torque mechanism with alternator
JP2001349876A (ja) * 2000-06-09 2001-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構造物打音検査装置およびトンネル用打音検査装置
JP2016109187A (ja) * 2014-12-04 2016-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および車両用動力伝達装置
CN103675105B (zh) 2013-12-24 2016-06-29 湖北省建筑材料节能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铺设瓷砖的空洞检测数据收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7515A (en) 1987-07-01 1991-12-31 St Arnauld Ernest E Pulsed, electro-mechanical high-torque mechanism with alternator
JP2001349876A (ja) * 2000-06-09 2001-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構造物打音検査装置およびトンネル用打音検査装置
CN103675105B (zh) 2013-12-24 2016-06-29 湖北省建筑材料节能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铺设瓷砖的空洞检测数据收集装置
JP2016109187A (ja) * 2014-12-04 2016-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および車両用動力伝達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60B1 (ko) 2019-05-21 2020-08-07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구조물 진단용 타격음 발생 장치
WO2022009853A1 (ja) * 2020-07-10 2022-01-13 株式会社インパクト 打撃装置
JP2022015926A (ja) * 2020-07-10 2022-01-21 株式会社インパクト 打撃装置
KR20220108381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베스컨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WO2022163876A1 (ko) * 2021-01-27 2022-08-04 주식회사 베스컨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2504994B1 (ko) * 2021-01-27 2023-03-02 주식회사 베스컨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2385530B1 (ko) 2021-03-04 2022-04-14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구조물의 타음 진단장치
KR20220124926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KR102485521B1 (ko) * 2021-03-04 2023-01-10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KR20220129162A (ko)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구조물의 타음 분석시스템
CN114720649A (zh) * 2022-03-25 2022-07-08 凤鸣嘉瑞(山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式水质监测装置及方法
CN114720649B (zh) * 2022-03-25 2024-03-19 凤鸣嘉瑞(山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式水质监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687B1 (ko)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KR101514296B1 (ko) 비틀림 스프링 토크 검사장치
CN108344650A (zh) 用于生物材料冲击力学性能测试的电磁式实验装置
KR102142260B1 (ko) 구조물 진단용 타격음 발생 장치
CN110823726A (zh) 一种瓷砖抗裂性能测试设备
CN113168796A (zh) 一种移动终端检测设备
JP6387031B2 (ja) コンクリート打音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点検方法
CN107631945B (zh) 一种小质量力锤多角度冲击试验机
CN219266183U (zh) 一种敲击锤
CN109212029A (zh) 一种适合于冲击回波声频检测的联动激振装置
US4152929A (en) Roof bolt tension determination
CN110568068B (zh) 钢管混凝土柱密实度检测工装
KR101997674B1 (ko) 연직상향 타격 가능 구조를 가지는 드론 방식의 비파괴 콘크리트 강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JP6302105B1 (ja) 打音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点検方法
CN216978589U (zh) 数显回弹仪测试辅助装置
KR102320877B1 (ko) 터널 내부면 비파괴 진단장치
CN209326967U (zh) 按键寿命检测固定装置及按键寿命检测设备
KR20190027077A (ko) 충격량을 이용한 비파괴 강도 현장측정 장치 및 방법
NO336753B1 (no) Anordning for måling av katodisk potensiale på en belagt metallflate
CN206523382U (zh) 一种锤子敲击疲劳试验机
JP7032958B2 (ja) 磁石の吸着力測定装置
CN215525046U (zh) 一种锤子敲击疲劳测试装置
CN218995690U (zh) 一种井下槽波地震勘探的模拟震源装置
JP2001183353A (ja) 音響診断用打撃装置
CN114563480B (zh) 一种道路混凝土结构强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