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521B1 -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521B1
KR102485521B1 KR1020210028658A KR20210028658A KR102485521B1 KR 102485521 B1 KR102485521 B1 KR 102485521B1 KR 1020210028658 A KR1020210028658 A KR 1020210028658A KR 20210028658 A KR20210028658 A KR 20210028658A KR 102485521 B1 KR102485521 B1 KR 102485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midt hammer
hammer
guide bars
coup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926A (ko
Inventor
박훈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Priority to KR102021002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5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5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measuring extent of rebound of a striking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3Rebound strike or reflected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는 경도측정면에 밀착되며, 슈미트해머의 선단부에 마련된 타격봉을 경도측정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밀착부재; 밀착부재가 결합되되, 내부에 슈미트해머가 안착되고 경도측정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슈미트해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 및 가이드유닛에 결합되되, 슈미트해머의 후단부에 밀착되어 슈미트해머를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바와 구동바에 연결되어 구동바를 가이드유닛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해머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SCHMIDT HAMMER MOUNTING DEVICE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HIGH-PLACE CONCRETE}
본 발명은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비파괴 검사의 일종인 반발경도법은 콘크리트의 표면을 해머로 타격하여 표면의 복귀정도나 반발경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반발경도법은 경화 콘크리트면을 타격할 때 반발경도와 콘크리트 압축강도 사이에 특정 상관관계가 있다는 실험적 경험을 기초로 한다. 콘크리트의 강도에 따라 반발경도가 변화하는 점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인 슈미트해머는 시험방법이 간편하고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여러 가지 비파괴 시험방법 중에서 시험실 및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력 조사에 효과적이고 간편하면서도 가장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슈미트해머에 의한 시험방법이다.
슈미트해머는 스프링식 해머이고 콘크리트 구조체의 코어(다이아몬드 비트가 달린 회전 전동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강도측정을 위한 공시체를 채취함)를 채취하여 측정하는 대신에 스프링의 반발하는 힘을 해머의 눈금으로부터 직접 알 수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의 강도를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이와 같은 슈미트해머는 콘크리트 표면을 타격할 때 정확한 측정치를 얻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 표면에 가로방향으로 각 3㎝의 간격을 두고 평행한 직선 4개와 이와 직교하도록 세로방향으로 각 3㎝의 간격을 지닌 직선 5개를 그린 다음 그 직교점에 슈미트 해머를 대고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의 강도를 측정한다.
그러나 높은 곳의 교량 바닥판 하면, 건축물 슬래브 하면, 터널의 천장 콘크리트면 등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구조물의 콘크리트면에 대한 반발경도측정을 위해서는 견고한 사다리, 고소점검차 등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보조장치가 다수 필요하므로 작업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748호(2014.02.10.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은 곳에 위치한 구조물의 콘크리트면에 대한 반발경도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경도측정면에 밀착되며, 슈미트해머의 선단부에 마련된 타격봉을 경도측정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가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슈미트해머가 안착되고 경도측정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슈미트해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슈미트해머의 후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슈미트해머를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바와 상기 구동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바를 상기 가이드유닛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해머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슈미트해머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해머 이동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구동바가 관통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슈미트해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바; 및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슈미트해머가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구동바가 관통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바는 끝단에 상기 제2 관통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슈미트해머의 후단부에 밀착되고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해머 이동유닛에 결합되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소켓에 의해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은 일측에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가 결합되고 타측에 복수의 상기 제2 가이드바가 결합되되, 중심부에 상기 구동바가 관통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바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의 전후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슈미트해머가 경도측정면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이 상기 제2 플랜지에 걸리는 경우에 상기 구동바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바는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플랜지의 전후에 배치되며 상기 슈미트해머가 경도측정면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상기 제2 플랜지에 걸리는 경우에 상기 구동바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도측정면의 높이에 따라 길게 배치되어 슈미트해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과 슈미트해머를 가이드유닛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해머 이동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곳에 위치한 구조물의 콘크리트면에 대한 반발경도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소켓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소켓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100)는 경도측정면(C)에 밀착되는 밀착부재(110)와, 밀착부재(110)가 결합되며 슈미트해머(H)가 수용되고 슈미트해머(H)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130)과, 가이드유닛(130)에 결합되며 슈미트해머(H)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해머 이동유닛(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10)는 경도측정면(C)에 밀착되어 경도측정면(C)을 타격하는 슈미트해머(H)의 선단부에 마련된 타격봉(B)이 경도측정면(C)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밀착부재(110)에는 슈미트해머(H)의 타격봉(B)이 관통되는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부재(110)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130)은 내부에 슈미트해머(H)가 안착되며 슈미트해머(H)의 경도측정면(C)에 대한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유닛(130)은 밀착부재(110)에 결합되며 경도측정면(C)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가이드유닛(130)은 밀착부재(110)에 결합되되 내부에 슈미트해머(H)를 수용하는 수용부(131)와, 해머 이동유닛(150)에 결합되고 수용부(131)에 연결되어 수용부(131)를 지지하는 지지부(135)와, 수용부(131)와 지지부(135)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소켓(137)을 포함한다.
수용부(131)는 일측이 밀착부재(110)에 결합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슈미트해머(H)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바(132)와, 복수의 제1 가이드바(132)를 상호 연결하며 슈미트해머(H)가 안착되는 제1 플랜지(1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바(132)들의 일측이 밀착부재(110)에 결합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호 이격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바(132)들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슈미트해머(H)가 수용된다. 슈미트해머(H)는 후술할 해머 이동유닛(150)의 구동바(151)에 의해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1 가이드바(132)가 상호 연결되어 수용부(131)를 형성하도록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바(132)들은 제1 플랜지(13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제1 가이드바(132)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유지된다. 그리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슈미트해머(H)는 제1 플랜지(133)에 안착된다.
지지부(135)는 일측이 해머 이동유닛(150)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용부(131)에 연결된다. 지지부(135)는 일측이 해머 이동유닛(150)에 결합되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2 가이드바(136)를 포함한다.
제1 연결소켓(137)은 수용부(131)와 지지부(135)를 상호 연결한다. 제1 연결소켓(137)은 일측에 제1 가이드바(132)들이 결합되고 타측에 제2 가이드바(136)들이 결합되는 제2 플랜지(138)를 포함한다. 즉, 제2 플랜지(138)의 일측에는 수용부(131)를 구성하는 제1 가이드바(132)들이 결합되고 제2 플랜지(138)의 타측에는 지지부(135)를 구성하는 제2 가이드바(136)들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바(132)들과 제2 가이드바(136)들이 제2 플랜지(138)에 끼움결합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35)를 구성하는 제2 가이드바(136)들의 일측은 해머 이동유닛(150)에 마련된 제2 연결소켓(155)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소켓(155)은 일측이 해머 이동유닛(150)의 몸체에 결합되고 타측에 제2 가이드바(136)들이 결합되는 제3 플랜지(156)를 포함한다. 즉 제3 플랜지(156)의 타측에 제2 가이드바(136)들이 결합되어 지지부(135)가 해머 이동유닛(15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가이드바(136)들이 제3 플랜지(156)의 타측에 끼움결합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머 이동유닛(150)은 가이드유닛(130)에 결합되며 슈미트해머(H)를 가이드유닛(130)을 구성하는 수용부(131)의 내부에서 전후방향 이동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해머 이동유닛(150)은 슈미트해머(H)의 후단부에 밀착되어 슈미트해머(H)를 가이드유닛(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바(151)와, 구동바(151)에 연결되어 구동바(151)를 가이드유닛(13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바(151)는 가이드유닛(13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따라서, 수용부(131)를 구성하는 제1 플랜지(133)의 중심부에는 구동바(151)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134)이 형성되고, 제1 연결소켓(137)을 구성하는 제2 플랜지(138)의 중심부에는 구동바(151)가 관통하는 제3 관통홀(139)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바(151)는 끝단에 제2 관통홀(134)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지지판(152)을 포함한다. 지지판(152)은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슈미트해머(H)의 후단부에 밀착되며, 구동바(15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지지판(152)은 제1 가이드바(132)들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구동부는 구동바(151)에 연결되어 구동바(151)를 가이드유닛(13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 이동가능하게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부에 의한 구동바(151)의 운동은 랙앤피니언 방식에 의해 구동바(151)의 일측에 랙(R)이 형성되고 구동부의 내부에 랙(R)에 결합되는 피니언(미도시)이 마련되어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구동바(151)가 가이드유닛(13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구동바(151)가 슈미트해머(H)의 후단부를 계속하여 미는 경우에 슈미트해머(H)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슈미트해머(H)가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슈미트해머(H)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바(151)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구동바(151)의 최대 이동거리는 슈미트해머(H)를 이용하여 경도측정면(C)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슈미트해머(H)의 이동거리에 대응된다. 슈미트해머(H)의 이동거리는 슈미트해머(H)가 제1 플랜지(133)에 안착된 상태에서 슈미트해머(H)의 타격봉(B)이 경도측정면(C)에 접촉되기 위해 이동한 거리와 슈미트해머(H)의 타격봉(B)이 경도측정면(C)에 접촉된 후 슈미트해머(H)의 내부로 최대로 이동되는 거리의 합이다.
상기와 같이 구동바(151)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바(151)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슈미트해머(H)가 경도측정면(C)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걸림홈(153)을 포함한다. 걸림홈(153)은 제2 플랜지(138)의 전후에 길게 배치되며, 걸림홈(153)의 길이는 슈미트해머(H)의 이동거리에 대응된다. 그리고 걸림홈(153)이 제2 플랜지(138)에 걸리는 경우에 구동바(151)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바(151)는 외주면에 마련되고 슈미트해머(H)가 경도측정면(C)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는 한 쌍의 스토퍼(153a)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스토퍼(153a)는 제2 플랜지(138)의 전후에 배치되며, 한 쌍의 스토퍼(153a) t사이의 간격은 슈미트해머(H)의 이동거리에 대응된다. 한 쌍의 스토퍼(153a)가 제2 플랜지(138)에 걸리는 경우에 구동바(151)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교량 바닥판 하면, 건축물 슬래브 하면, 터널의 천장 콘크리트면 등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구조물의 콘크리트면(경도측정면(C))에 대한 반발경도측정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슈미트해머 거치장치(100)를 수직되게 한 후 밀착부재(110)를 경도측정면(C)에 밀착시킨다. 이때 슈미트해머(H)의 후단부에는 지지판(152)이 밀착된 상태에서 슈미트해머(H)의 후단부는 제1 플랜지(133)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경도측정면(C)에 대한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슈미트해머(H)를 경도측정면(C)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슈미트해머(H)의 이동은 해머 이동유닛(150)의 구동부를 동작시켜 구동바(151)를 경도측정면(C)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킨다. 구동바(151)가 경도측정면(C)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구동바(151)의 끝단에 마련된 지지판(152)이 슈미트해머(H)의 후단부를 밀어 슈미트해머(H)의 타격봉(B)이 경도측정면(C)에 접촉된 후 점차 타격봉(B)이 슈미트해머(H)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슈미트해머(H)의 이동거리는 구동바(151)의 외주면에 마련된 걸림홈(153)(도 3참조) 또는 스토퍼(153a)(도 4참조)에 제2 플랜지(138)가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110: 밀착부재
111: 제1 관통홀 130: 가이드유닛
131: 수용부 132: 제1 가이드바
133: 제1 플랜지 134: 제2 관통홀
135: 지지부 136: 제2 가이드바
137: 제1 연결소켓 138: 제2 플랜지
139: 제3 관통홀 150: 해머 이동유닛
151: 구동바 152: 지지판
153: 걸림홈 153a: 스토퍼
155: 제2 연결소켓 156: 제3 플랜지

Claims (7)

  1. 경도측정면에 밀착되며, 슈미트해머의 선단부에 마련된 타격봉을 경도측정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슈미트해머가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바와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슈미트해머가 안착되며 중심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플랜지를 구비한 수용부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바를 구비한 지지부와, 일측에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가 결합되고 타측에 복수의 상기 제2 가이드바가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3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플랜지를 구비한 연결소켓을 포함하되, 경도측정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슈미트해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바가 결합되되, 상기 제2 관통홀과 상기 제3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되 일측에 랙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관통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슈미트해머의 후단부에 밀착되는 지지판이 형성된 구동바와, 상기 랙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가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바를 상기 가이드유닛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해머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바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의 전후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슈미트해머가 경도측정면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이 상기 제2 플랜지에 걸리는 경우에 상기 구동바의 이동이 제한되는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2. 경도측정면에 밀착되며, 슈미트해머의 선단부에 마련된 타격봉을 경도측정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슈미트해머가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바와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슈미트해머가 안착되며 중심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플랜지를 구비한 수용부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바를 구비한 지지부와, 일측에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바가 결합되고 타측에 복수의 상기 제2 가이드바가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3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플랜지를 구비한 연결소켓을 포함하되, 경도측정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슈미트해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바가 결합되되, 상기 제2 관통홀과 상기 제3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하되 일측에 랙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관통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슈미트해머의 후단부에 밀착되는 지지판이 형성된 구동바와, 상기 랙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가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바를 상기 가이드유닛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해머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바는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플랜지의 전후에 배치되며 상기 슈미트해머가 경도측정면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상기 제2 플랜지에 걸리는 경우에 상기 구동바의 이동이 제한되는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28658A 2021-03-04 2021-03-04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KR102485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658A KR102485521B1 (ko) 2021-03-04 2021-03-04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658A KR102485521B1 (ko) 2021-03-04 2021-03-04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926A KR20220124926A (ko) 2022-09-14
KR102485521B1 true KR102485521B1 (ko) 2023-01-10

Family

ID=8327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658A KR102485521B1 (ko) 2021-03-04 2021-03-04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971B1 (ko) * 2023-06-20 2023-11-01 (주)한국방재기술 슈미트해머 수직도 조절 장치
CN117491203B (zh) * 2024-01-02 2024-03-22 山东佳邦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便携式桥梁检测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983B2 (ja) 1990-11-07 2001-04-23 ファーメンテック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ヒアルロン酸の製造
JP2016050802A (ja) 2014-08-29 2016-04-11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打音検査用打撃装置
KR101842017B1 (ko) 2017-09-08 2018-03-26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고소 구조물 점검용 해머장치
KR101922687B1 (ko) * 2018-06-18 2018-11-27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KR102187015B1 (ko) 2020-06-23 2020-12-04 주식회사 청안아이에스엠 구조물의 안전 진단을 위한 타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983U (ja) * 2010-02-21 2010-06-10 有限会社 ダイヤモンド技建 構造物の点検装置
KR101358748B1 (ko) 2012-07-20 2014-02-10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슈미트 해머용 자동타격점표시 및 수직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983B2 (ja) 1990-11-07 2001-04-23 ファーメンテック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ヒアルロン酸の製造
JP2016050802A (ja) 2014-08-29 2016-04-11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打音検査用打撃装置
KR101842017B1 (ko) 2017-09-08 2018-03-26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고소 구조물 점검용 해머장치
KR101922687B1 (ko) * 2018-06-18 2018-11-27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안전진단용 원격 타격 장치
KR102187015B1 (ko) 2020-06-23 2020-12-04 주식회사 청안아이에스엠 구조물의 안전 진단을 위한 타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926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521B1 (ko) 고소 콘크리트 비파괴점검을 위한 슈미트해머 거치장치
JP6004591B2 (ja) 杭用の測定システム
CN109668775B (zh) 真三轴霍普金森压杆的定位对中系统及方法
CA24278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orienting golf club shaft
JPH08178605A (ja) 物体の寸法を検査するための検査装置
KR102479187B1 (ko)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CN109342235B (zh) 一种混凝土回弹参数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2544121B1 (ko)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해머용 타격점 표시기
WO2019237685A1 (zh) 机床导轨检测装置及机床导轨检测方法
JP2017020289A (ja) アンカーボルトの打込み治具、アンカーボルトの打込み方法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強度検査方法
KR101927688B1 (ko) 슈미트해머용 타격점 표시를 위한 마킹장치
Zhao et al. A portable modular optical sensor capable of measuring complex multi-axis strain fields
JP2006342579A (ja) 動的載荷試験装置を備えた杭打ち機
US6964112B2 (en) Measuring instrument
KR200245797Y1 (ko) 슬라브의 두께 검측 및 철근의 간격표시장치
KR101693181B1 (ko) 건축물의 패널 설치용 수준기
KR102194258B1 (ko) 다기능 검사용 망치
KR102250490B1 (ko) 드론을 활용한 타격장치에 의한 타력측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물성 측정시스템
CN214793220U (zh) 一种钢筋质量检测装置
US6976316B1 (en) Magnetic plumb bob holder
CN210452477U (zh) 一种直角治具
KR200207112Y1 (ko)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KR102046375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탐촉자 보조기구
EP0253422A1 (en) A measuring location sensor for linear measuring devices
CN101639356A (zh) 测量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