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521B1 -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521B1
KR101922521B1 KR1020180078441A KR20180078441A KR101922521B1 KR 101922521 B1 KR101922521 B1 KR 101922521B1 KR 1020180078441 A KR1020180078441 A KR 1020180078441A KR 20180078441 A KR20180078441 A KR 20180078441A KR 101922521 B1 KR101922521 B1 KR 10192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frame
foreign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길
김치현
이효성
Original Assignee
(주)한울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울우드 filed Critical (주)한울우드
Priority to KR102018007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뿌리칩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뿌리칩 이물 제거장치에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부를 이용해 장치의 내부에서 뿌리칩을 회전시키고, 회전력을 이용해 뿌리칩에 부착된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DUST IN WOOD CHIP}
본 발명은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뿌리칩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뿌리칩 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뿌리칩에 부착될 수 있는 흙이나 그밖의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뿌리칩 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목에 의해 발생하는 많은 량의 나무 뿌리는 파쇄 장치를 이용한 파쇄 작업을 통해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칩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뿌리칩들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파쇄된 후에 합판이나 펠릿 등으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나무의 뿌리에는 흙이나 돌과 같은 각종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파쇄작업이 진행되면 이물질이 나무 뿌리와 함께 파쇄되어 추후에 제작된 합판이나 펠릿의 제작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가 어렵다.
또한, 파쇄 장치의 컷터가 이물질과 접촉하여 파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된 컷터기의 일부가 튕겨져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쇄장치와 연계된 이송컨베이어에 무수한 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을 설치하거나 금속 이물질을 자력(磁力)에 의해 선별하기 위한 마그네틱 로울러를 설치하여 뿌리칩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뿌리칩으로부터 이물질을 완벽하게 걸러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뿌리칩이 컨베이어의 벨트 위에 얹혀진 상태로 이동하면서 스크린의 설치 구간을 통과할 이물질들이 뿌리칩들에 의해 가려져서 완벽한 이물질 제거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그리고, 자력을 이용한 마그네틱 로울러들은 금속의 이물질 선별은 가능하지만 돌이나 흙과 같이 자성을 띠지 않는 비자성 이물질들은 선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36698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뿌리칩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뿌리칩의 투입 및 배출이 진행되는 이물분리부와, 상기 이물분리부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분리부는, 전면부의 지름의 크기가 후면부의 지름 보다 큰 원뿔대의 형태를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면부쪽에 형성되는 투입구,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쪽에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메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뿌리칩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후에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로 이동한 후에 상기 투입구로 배출되며, 상기 뿌리칩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메쉬부를 통과해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을 관통한 제1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축의 일단에 장착된 제1기어는 제1벨트를 이용해 모터에 장착된 제3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과 함께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분리부의 하부에는 상기 메쉬부를 통과한 이물질이 이동하는 이물이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이동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면 및 측면이 막혀있고, 폭이 하측을 향할수록 좁아지며, 상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메쉬부와 이어지고, 하부는 관통되어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이동부의 하부와 이어지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면이 관통된 이물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배출부의 타단면을 관통한 제2축의 외측 끝단에는 제4기어가 고정되며, 상기 제4기어는 상기 제1축에 고정되는 제2기어와 제2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제2축의 내측 끝단에는 날개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터의 동작과 함께 상기 날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이물배출부의 관통부를 향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축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제1축에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1회전판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회전판, 상기 제1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이 이어지도록 양 끝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을 관통하여 나사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볼트, 상기 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부를 이용해 장치의 내부에서 뿌리칩을 회전시키고, 뿌리칩의 회전을 통해 뿌리칩에 부착된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와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분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의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의 뿌리칩 및 이물질의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원 발명은 뿌리칩을 후처리하는 과정의 일부로 뿌리칩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위한 장치이다.
하지만, 본원 발명은 뿌리로 제작된 뿌리칩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폐목재로 제작된 모든 종류의 목재칩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1)는, 건조로(미도시)를 통과하여 건조가 완료된 뿌리칩이 본원 발명의 장치에 투입되고, 이물질 제거 과정이 완료된 뿌리칩은 배출장치(2)의 내부로 배출된다.
배출장치(2)는 뿌리칩의 배출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배출된 뿌리칩이 배출장치(2)의 내부에서 배출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이 배출장치(2)의 내부에서 배출부와 먼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출된 후에도 추가적인 이물질의 분리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1)는 크게 이물 분리부(10)와 지지대(20), 이물이동부(21), 이물배출부(22)로 이루어진다.
이물 분리부(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의 지름이 후면부의 지름 보다 큰 원뿔대의 형태를 갖는 프레임(11), 프레임(11)의 후면부쪽 상면에 형성되는 투입구(12), 프레임(11)의 전면부쪽 일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13), 프레임(11)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메쉬부(14)로 이루어지며, 제1축(15)이 프레임(11)의 전면부에서 후면부를 관통하여 지지대(20)의 상단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투입구(12)로 뿌리칩이 투입되면 뿌리칩은 프레임(11)의 후면부에서 하방으로 기울어진 전면부를 향해 이동한다.
이물분리부(10)의 하측에는 이물분리부(1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이물분리부(10)의 메쉬부(14)를 통과해 하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이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폭이 하측을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이물이동부(21), 이물이동부(21)의 하부와 연결되고 프레임(11)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원통형으로 이어지는 이물배출부(22), 지지대(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모터지지부(23)와, 모터지지부(23)의 상측에 고정되는 모터(24)가 장착된다.
이물이동부(21)는, 전후면 및 측면이 막혀있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는 프레임(11)의 하측부인 메쉬부(14)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과 이어지고, 하부는 이물배출부(22)와 이어진다.
이물배출부(22)는 원통형으로, 전면 및 측면은 막혀있고 후면은 관통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물배출부(22)의 후면은 프레임(11)의 후면보다 길게 외부로 노출되며 이물배출부(22)의 후면에 자루 혹은 박스를 연결해 배출되는 이물질(D)을 모을 수 있다. 이물배출부(22)의 상측의 일부분은 관통되어 이물이동부(21)의 하측부와 이어진다.
프레임(11)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1축(15)에는 제1기어(16)와 제2기어(17)가 고정되고, 제1기어(16)는 제1벨트(18)를 이용해 모터(24)에 고정된 제3기어(25)와 연결된다.
또한, 이물배출부(22)의 전면부를 통과하는 제2축(26)의 외부 노출부분에는 제4기어(27)가 고정되고, 제4기어(27)는 제2기어(17)와 제2벨트(28)를 이용해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프레임(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15)에는 회전부(30)가 장착되며, 이물배출부(22)의 내부에 위치한 제2축(26)의 끝단에는 날개부가 장착된다.
회전부(30)는, 제1축(15)이 관통되어 고정되며 양 끝단에 제1회전판 꺾임부(31-1)가 형성되어 ㄷ자의 형상을 갖는 제1회전판(31)과, 제1축(15)이 관통하여 고정되며 양 끝단에 제2회전판 꺾임부(32-1)가 형성되어 ㄷ자의 형상을 갖는 제2회전판(32), 제1회전판 꺾임부(31-1)와 제2회전판 꺾임부(32-1)에 각각 고정되는 제1연결판(33)과 제2연결판(34), 제1연결판(33) 및 제2연결판(34)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볼트(35)와 볼트(35)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36)로 이루어진다.
제1회전판(31)의 길이는 제2회전판(32)의 길이보다 짧고, 제1회전판(31)은 프레임(11)의 내부에서 전면부에 위치하고, 제2회전판(32)은 프레임(11)의 내부에서 후면부에 위치한다.
볼트(35)는 제1연결판(33)과 제2연결판(34)의 내측에 머리부가 위치하고 외측에 나사부가 위치하도록 장착되며, 제1회전판(31) 및 제2회전판(32)은 제1연결판(33) 및 제2연결판(34)과 볼트 혹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부(30)는 프레임(11)의 내부에서 제1축(15)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축(15)이 관통되는 프레임(11)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고정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고, 제2축(26)이 관통되는 이물배출부(22)에도 베어링이 장착된다.
도 7을 참고하여 뿌리칩(C)의 이물질(D)의 분리 과정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모터(24)를 작동시키면 제3기어(25)가 회전하게 되고, 제3기어(25)와 제1벨트(18)로 연결된 제1기어(16)가 함께 회전한다.
제1기어(16)가 회전하면, 제1축(15)과 제1축(15)에 고정된 제2기어(17)가 회전부(30)와 함께 회전한다.
그때 제2기어(17)와 제2벨트(28)로 연결된 제2축(26)이 날개부(29)와 함께 회전하며 이물배출부(22)의 후면을 향한 바람을 발생시킨다.
모터(24)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이물질(D)이 부착된 뿌리칩(C)을 투입구(12)로 투입시키면 프레임(11)의 내부에서 뿌리칩(C)이 회전부(30)에 장착된 볼트(35)와의 간섭이 발생하며 회전하여 이물질(D)의 분리가 진행된다. 회전부(30)의 회전이 진행될수록 뿌리칩(C)은 프레임(11)의 기울어진 측면부를 따라 전면부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후 회전부(30)의 회전력 및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으로 인해 이물질(D)이 분리된 뿌리칩(C)이 배출구(13)로 배출된다.
뿌리칩(C)에서 분리된 이물질(D)은 메쉬부(14)를 통과하여 이물이동부(21)로 이동하고, 이물이동부(21)의 기울어진 측면을 통과해 이물배출부(22)로 이동한다.
이물배출부(22)에는 날개부(29)의 회전을 통해 후방으로 부는 바람이 발생하게 되고, 바람으로 인해 이물질(D)이 이물배출부(22)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이물질 제거장치, 2 : 배출장치, 10 : 이물분리부,
11 : 프레임, 12 : 투입구, 13 : 배출구,
14 : 메쉬부, 15 : 제1축, 16 : 제1기어,
17 : 제2기어, 18 : 제1벨트, 20 : 지지대,
21 : 이물이동부, 22 : 이물배출부, 23 : 모터지지부,
24 : 모터, 25 : 제3기어, 26 : 제2축,
27 : 제4기어, 28 : 제2벨트, 29 : 날개부,
30 : 회전부, 31 : 제1회전판, 31-1 : 제1회전판 꺾임부,
32 : 제2회전판, 32-1 : 제2회전판 꺾임부, 33 : 제1연결판,
34 : 제2연결판, 35 : 볼트, 36 : 너트,
C : 뿌리칩, D : 이물질.

Claims (5)

  1.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뿌리칩의 투입 및 배출이 진행되는 이물분리부와, 상기 이물분리부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분리부는,
    전면부의 지름의 크기가 후면부의 지름 보다 큰 원뿔대의 형태를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면부쪽에 형성되는 투입구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쪽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메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뿌리칩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후에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로 이동한 후에 상기 투입구로 배출되며,
    상기 뿌리칩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메쉬부를 통과해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을 관통한 제1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축의 일단에 장착된 제1기어는 제1벨트를 이용해 모터에 장착된 제3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과 함께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고;

    상기 이물분리부의 하부에는 상기 메쉬부를 통과한 이물질이 이동하는 이물이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이동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면 및 측면이 막혀있고, 폭이 하측을 향할수록 좁아지며, 상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메쉬부와 이어지고, 하부는 관통되어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이물이동부의 하부와 이어지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면이 관통된 이물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배출부의 타단면을 관통한 제2축의 외측 끝단에는 제4기어가 고정되며,
    상기 제4기어는 상기 제1축에 고정되는 제2기어와 제2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제2축의 내측 끝단에는 날개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터의 동작과 함께 상기 날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이물배출부의 관통부를 향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축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제1축에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1회전판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회전판;
    상기 제1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이 이어지도록 양 끝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을 관통하여 나사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볼트;
    상기 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80078441A 2018-07-05 2018-07-05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2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41A KR101922521B1 (ko) 2018-07-05 2018-07-05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41A KR101922521B1 (ko) 2018-07-05 2018-07-05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521B1 true KR101922521B1 (ko) 2018-11-29

Family

ID=6456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441A KR101922521B1 (ko) 2018-07-05 2018-07-05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7104A (en) 1961-02-28 1962-03-27 Newton L Hall Horizontal rotary grinding mill with floating load-partition
JP4699973B2 (ja) 2006-09-28 2011-06-15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廃棄プラスチック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7104A (en) 1961-02-28 1962-03-27 Newton L Hall Horizontal rotary grinding mill with floating load-partition
JP4699973B2 (ja) 2006-09-28 2011-06-15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廃棄プラスチック洗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JP2009535205A (ja) 二重壁分離ドラム
KR10174216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HU223448B1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szívósan rugalmas anyagoknak, mint műanyagoknak és mechanikus igénybevétel hatására szálakra bomló anyagoktól, mint papírtól való szétválasztására
WO2011027255A1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recyclage de déchets de plâtre
US61645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gypsum wallboard
KR101922521B1 (ko) 뿌리칩 이물질 제거장치
EP2393598B1 (de) Vorrichtung zur zerkleinerung von kunststoff
JP2008030364A (ja)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EP0339490B1 (de)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Bauschutt
US6786439B2 (en) Retractable rod screens
KR100740556B1 (ko) 폐비닐의 유화용 전처리장치
KR20140017060A (ko) 목재 파쇄장치
JP2000263028A (ja) 一般ゴミの破砕乾燥選別装置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JP3904878B2 (ja) 樹枝粉砕機
KR100942373B1 (ko) 폐비닐과 이물질 분리장치의 폐비닐 절단기
JPS5855950Y2 (ja) 粉砕機
KR101495279B1 (ko)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77636B1 (ko) 회전식 파쇄날이 장착된 2중 스크린망식 목재 파쇄장치
FI70935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sortera papper
KR200464319Y1 (ko) 재활용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JP3051728B2 (ja) 解体破砕物の分別回収装置
JP2837069B2 (ja) 都市ごみ等の破砕分別装置
KR200242182Y1 (ko) 나무 뿌리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