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362B1 -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362B1
KR101922362B1 KR1020177021322A KR20177021322A KR101922362B1 KR 101922362 B1 KR101922362 B1 KR 101922362B1 KR 1020177021322 A KR1020177021322 A KR 1020177021322A KR 20177021322 A KR20177021322 A KR 20177021322A KR 101922362 B1 KR101922362 B1 KR 10192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ray pipe
along
fasten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스기타
데츠 우시쿠
료조 사사키
나오유키 요시즈미
즈요시 미야치
세이지 가가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4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01D53/185Liquid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2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solution or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40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 B01D2251/404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of calc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2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spray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20Sulfur; Compou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수평 방향의 축선(X1)에 따라 연장됨과 함께 선단부가 폐색된 통 형상의 파이프부(21)와, 파이프부(21)의 연직 방향의 상단부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서 파이프부(21)를 수평 방향으로 유통하는 흡수액을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노즐부와, 파이프부(21)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에 배치되어서 수평 방향을 따른 설치면(23a)을 갖는 다리부(23)를 구비하고, 다리부(23)가 설치면(23a)을 흡수탑에 설치되는 파이프 지지대(91)가 갖는 수평 방향을 따른 지지면(91a)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는 스프레이 파이프(2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
본 발명은,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등에 설치되는 보일러 등의 배기 가스 계통에는, 배기 가스로부터 유황 산화물을 제거하는 탈황 장치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대기에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황 산화물을 저감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관(헤더)에 설치된 복수의 노즐로부터 흡수액을 상방으로 토출하고, 연소 배기 가스와 흡수액 사이의 화학 반응으로 연소 배기 가스 중의 유황 산화물을 제거하는 액 기둥식의 탈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225256호 공보 미국 특허 제6613133호 명세서
액 기둥식의 탈황 장치에 있어서, 지관에는 흡수액을 상방으로 토출하는 것에 수반하여 하방을 향한 반력이 가해진다. 또한, 지관에는 상방으로 토출한 흡수액이 낙하해서 지관에 접촉할 때에도 하방을 향한 충격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특허문헌 1(도 1, 도 2 참조)에 있어서는, 흡수액을 토출하는 노즐(6)이 설치된 지관(5)이, 지관(5)에 직교하도록 지관의 하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지지 막대(9)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지관(5)과 지지 막대(9)의 각각은, 외경이 원형이며 또한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접촉하고 있다. 그로 인해, 지관은 지지 막대와 접촉하는 각 위치에서 작용하는 국소적인 힘에 의해 파손(균열의 발생, 국소적인 변형을 포함함)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도 1, 도 3 참조)에 있어서는, 지관(헤더)(14, 15)이, 빔(32)에 상단이 연결되는 U자 형상의 지지 스트랩(34)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그로 인해, 지관(14, 15)은 지지 스트랩(34)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작용하는 국소적인 힘에 의해 파손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이 국소적인 힘이 작용하는 것에 의한 문제는, 지지 스트랩(34)의 내주면의 형상과 지관(14, 15)의 외주면의 형상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히 현저해진다. 또한, 이 문제는 지관(14, 15)이 지지 스트랩(34)에 구속된 직후에 발생할 뿐만 아니라, 탈황 장치의 운전 중의 진동에 의한 피로 파괴에 의해 장기 사용 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수액을 상방으로 토출하는 것에 수반하여 가해지는 반력이나 충격력에 의해 파손에 이르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스프레이 파이프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서 배기 가스의 통로가 되는 흡수탑의 내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수평 방향의 축선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선단부가 폐색된 통 형상의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상단부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서 상기 파이프부를 수평 방향으로 유통하는 흡수액을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노즐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에 배치되어서 수평 방향을 따른 제1 면을 갖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가, 상기 제1 면을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갖는 수평 방향을 따른 제2 면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스프레이 파이프에 의하면,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을 따른 제1 면을 갖는 다리부가 배치된다. 또한, 다리부는 제1 면을 흡수탑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갖는 제2 면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흡수액을 상방으로 토출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프레이 파이프에 가해지는 반력이나 충격력은, 제1 면에서 제2 면으로 전달된다. 그로 인해, 반력이나 충격력이 스프레이 파이프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스프레이 파이프가 파손에 이르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스프레이 파이프에 있어서는, 상기 다리부가, 상기 파이프부의 상기 선단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폐색된 파이프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스프레이 파이프의 하중을 다리부에서 탈황 장치의 지지부로 전달하면서, 또한 선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중간부에 있어서 스프레이 파이프의 하중을 다리부에서 탈황 장치의 지지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중간부에서 스프레이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스프레이 파이프가 자중에 의해 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스프레이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이프부에 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의 부식에 의한 손상이나, 흡수액의 충돌 등에 의해 파이프부가 마모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스프레이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는 기단부에서 상기 선단부까지의 상기 축선에 따른 길이가 3m 이상 또한 15m 이하이고, 외경이 200㎜ 이상 또한 400㎜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길이가 3m 이상 또한 15m 이하이고 외경이 200㎜ 이상 또한 400㎜ 이하인 파이프부를 갖는 스프레이 파이프가 파손에 이르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탈황 장치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서 배기 가스의 통로가 되는 흡수탑과, 상기 흡수탑의 내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스프레이 파이프와,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어서 상기 스프레이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스프레이 파이프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레이 파이프가, 수평 방향의 축선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선단부가 폐색된 통 형상의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상단부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서 상기 파이프부를 수평 방향으로 유통하는 흡수액을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노즐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에 배치되어서 수평 방향을 따른 제1 면을 갖는 다리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가, 수평 방향을 따른 제2 면을 갖고, 상기 스프레이 파이프가, 상기 제1 면을 상기 제2 면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탈황 장치에 의하면, 스프레이 파이프의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을 따른 제1 면을 갖는 다리부가 배치된다. 또한, 다리부는 제1 면을 흡수탑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갖는 제2 면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흡수액을 상방으로 토출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프레이 파이프에 가해지는 반력이나 충격력은, 제1 면에서 제2 면으로 전달된다. 그로 인해, 반력이나 충격력이 스프레이 파이프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스프레이 파이프가 파손에 이르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파이프와 지지부가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므로, 스프레이 파이프에 반력이나 충격력이 가해져도, 스프레이 파이프가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탈황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체결 볼트와 해당 체결 볼트와 체결되는 체결 너트를 갖고,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볼트를 삽입 가능한 절결부를 갖고,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상기 파이프부의 상기 선단부를 향해 상기 절결부가 개구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라도 된다.
스프레이 파이프로부터 토출되는 흡수액의 토출 방향을 연직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스프레이 파이프를 수평면을 따라 정확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때, 다리부와 지지부 사이에 적절한 두께의 판 형상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스프레이 파이프를 수평면을 따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스프레이 파이프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축선을 따라 열 신장한다. 그리고 스프레이 파이프가 열 신장할 때에 다리부와 접촉해서 배치되는 판 형상 부재에는, 폐색된 파이프부의 선단부를 향한 힘이 다리부로부터 가해진다. 여기서, 판 형상 부재는 파이프부의 선단부를 향해 절결부가 개구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판 형상 부재의 절결부가 파이프부의 기단부측에는 개구하고 있지 않다. 그로 인해, 판 형상 부재는 선단부를 향한 힘이 다리부로부터 가해져도, 체결 볼트에 접촉하기 때문에 선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판 형상 부재가 선단부를 향해서 이동해서 지지부로부터 탈락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구멍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도 상기 축선에 따른 방향의 길이가 긴 구성이라도 된다.
스프레이 파이프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축선을 따라 열 신장한다. 그리고 스프레이 파이프가 열 신장할 때에, 스프레이 파이프에 설치되는 다리부가 폐색된 파이프부의 선단부를 향해 이동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삽입 구멍의 축선에 따른 방향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다리부가 열 신장에 의해 이동할 때에 삽입 구멍이 체결 볼트에 접촉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탑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파이프부의 선단부가,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흡수탑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10㎜ 이상 또한 100㎜ 이하의 간극을 마련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이프부가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되어서 열 신장하고, 파이프부의 선단부가 흡수탑의 내주면과 접촉해 버리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액을 상방으로 토출하는 것에 수반하여 가해지는 반력이나 충격력에 의해 파손에 이르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탈황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의 스프레이 파이프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상단의 스프레이 파이프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의 스프레이 파이프 부분의 I-I 화살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노즐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의 스프레이 파이프 부분의 Ⅱ-Ⅱ 화살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탈황 장치의 스프레이 파이프 부분의 Ⅲ-Ⅲ 화살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의 스프레이 파이프 부분의 Ⅳ-Ⅳ 화살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탈황 장치의 스프레이 파이프 부분의 V-V 화살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다리부의 Ⅵ-Ⅵ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판 형상 부재의 Ⅵ-Ⅵ 화살표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의 스프레이 파이프의 설치 플랜지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탈황 장치(1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탈황 장치(100)는 흡수탑(10)과, 스프레이 파이프(20)와, 데미스터(30)와, 순환 펌프(40)를 구비한다.
흡수탑(10)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배기 가스의 통로가 되는 통 형상의 케이싱이다. 흡수탑(10)은 측면에 형성된 배기 가스 도입부(11)로부터 도입된 유황 산화물을 함유하는 배기 가스를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유도한다. 또한, 흡수탑(10)은 연직 방향의 상방에 형성된 배기 가스 배출부(12)로부터 배출한다.
스프레이 파이프(20)는, 흡수탑(10)의 내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통 형상 부재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파이프(20)는, 흡수액을 연직 방향의 상방을 향해 토출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11)로부터 도입된 배기 가스와 흡수액을 기액 접촉시킨다. 여기서, 흡수액은 석회를 함유하는 액체이며, 석회 석고법에 의해,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유황 산화물이 제거된다. 스프레이 파이프(20)로부터 토출된 흡수액은, 흡수탑(10)의 저부(13)에 고인다. 저부(13)에 고인 흡수액은, 순환 펌프(40)에 의해 스프레이 파이프(20)에 공급된다.
데미스터(30)는, 예를 들어 꺾임판형 데미스터이며, 흡수탑(10)의 내부에서 발생한 흡수액의 미스트를 물리적 충돌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탈황 장치(100)가 구비하는 스프레이 파이프(20) 및 그 주변 부분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100)의 스프레이 파이프(20)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황 장치(100)에는, 복수의 스프레이 파이프(20)가 흡수탑(10)의 외부에서 흡수탑(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탈황 장치(100)에는, 연직 방향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5개의 스프레이 파이프(20)가 수평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탈황 장치(100)가 구비하는 스프레이 파이프(20)의 개수는 흡수탑(10)의 크기 등에 의해 5개 이외의 임의의 개수로 해도 된다. 또한, 스프레이 파이프(20)는, 연직 방향이 다른 위치에 각각 복수개씩 복수단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파이프(20)에는, 설치 플랜지(24)와 공급구(25)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 플랜지(24)는, 스프레이 파이프(20)를 흡수탑(10)에 형성된 개구부(14)에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설치 플랜지(24)는, 복수의 체결구(도시 생략)에 의해 흡수탑(10)의 개구부(14)(도 4 참조)에 설치된다.
흡수탑(10)의 측면에는, 작업자가 빠져나가기 위한 맨홀(15)이 설치되어 있다. 맨홀(15)은, 흡수탑(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보수용 부품 등을 가져올 경우나, 흡수탑(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다 사용한 부품 등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이용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5개의 스프레이 파이프(20)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100)의 스프레이 파이프(20) 부분의 I-I 화살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파이프(20)는 파이프부(21)와, 복수의 노즐부(22)와, 복수의 다리부(23)를 갖는다.
파이프부(21)는, 수평 방향의 축선(X1)에 따라 기단부(21b)로부터 선단부(21a)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됨과 함께 선단부(21a)가 폐색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파이프부(21)의 기단부(21b)에는, 순환 펌프(40)로부터 흡수액이 공급되는 공급구(25)가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가 폐색되어 있으므로, 공급구(25)로부터 파이프부(21)의 내부로 공급된 흡수액은, 복수의 노즐부(22)로 유도된다. 파이프부(21)의 축선(X1)에 따른 기단부(21b)로부터 선단부(21a)까지의 길이는, 3m 이상 또한 15m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부(21)의 외경은, 200㎜ 이상 또한 400㎜ 이하로 되어 있다.
복수의 노즐부(22)는, 파이프부(21)의 연직 방향의 상단부(21c)의 복수 개소에 축선(X1)에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노즐부(2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부(22)는 스프레이 노즐(22a)과, 노즐 홀더(22b)와, 가스킷(22c)을 갖는다.
스프레이 노즐(22a)은, 파이프부(21)를 축선(X1)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유통하는 흡수액을 축선(X2)에 따라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유도하는 부재이다. 스프레이 노즐(22a)은, 순환 펌프(40)로부터 공급된 흡수액을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토출하고, 흡수탑(10)의 내부에서 배기 가스와 흡수액을 기액 접촉시킨다. 스프레이 노즐(22a)은, 예를 들어 SiC(실리콘 카바이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노즐 홀더(22b)는, 파이프부(21)의 상단부(21c)에 설치되고, 연직 방향의 축선(X2)에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홀더(22b)의 내부에는, 스프레이 노즐(22a)의 하단부측이 삽입되어 있는 노즐 홀더(22b)의 상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레이 노즐(22a)에는, 노즐 홀더(22b)의 플랜지와 동일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노즐(22a)의 플랜지와 노즐 홀더(22b)의 플랜지는, 링 형상의 가스킷(22c)(예를 들어, 부틸 고무제)을 끼운 상태에서, 복수의 체결구(도시 생략)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복수의 다리부(2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21)의 하단부(21d)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다리부(23)는,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를 포함하는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다리부(23)는, 파이프부(21)의 하중을 흡수탑(10)에 설치되는 파이프 지지대(지지부)(91), 지지 빔(지지부)(92) 및 지지 빔(지지부)(93)에 전달한다.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및 지지 빔(93)은, 흡수탑(10)에 설치되어서 스프레이 파이프(2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파이프부(21)에 가해지는 흡수액을 토출할 때의 반력이나 흡수액이 낙하해서 접촉하는 것에 의한 충격력은, 복수의 다리부(23)를 통해 흡수탑(10)에 전달된다.
여기서,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에 배치되는 다리부(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100)의 스프레이 파이프(20) 부분의 Ⅱ-Ⅱ 화살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탈황 장치(100)의 스프레이 파이프(20) 부분의 Ⅲ-Ⅲ 화살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다리부(23)는,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의 하단부(21d)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의 상단부는 파이프부(2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3)는, 그 하단부에, 설치면(제1 면)(23a)을 갖는다. 설치면(23a)은, 수평면에 따른 평탄한 설치면이지만, 다른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설치면(23a)은 축선(X1)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또는 원호형이라도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탑(10)의 내벽면에는, 금속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는 파이프 지지대(91)가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 지지대(91)는, 그 상단부에, 지지면(제2 면)(91a)을 갖는다. 지지면(91a)은, 수평면에 따른 평탄한 설치면이지만, 다른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지지면(91a)은 축선(X1)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또는 원호형이라도 된다. 지지면(91a)의 상면은, 지지면(91a)을 부식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지로 된 라이닝으로 피막되게 해도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의 하단부 설치면(23a)과 파이프 지지대(91)의 상단부 지지면(91a) 사이에는, 심 플레이트(shim plate; 판 형상 부재)(99)가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는 설치면(23a)을 지지면(91a)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심 플레이트(99)는 파이프부(21)를 수평 방향을 따라서 설치하기 위해서, 지지면(91a)에 대한 설치면(23a)의 연직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부재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설치면(23a)과 지지면(91a) 사이에 심 플레이트(99)가 배치되어 있지만, 파이프부(21)를 수평 방향을 따라서 설치하기 위해서 불필요하면, 심 플레이트(99)를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설치면(23a)과 지지면(91a)이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심 플레이트(99)는 파이프부(21)를 수평 방향을 따라서 설치하기 위해서, 연직 방향으로 적절한 두께를 가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매의 심 플레이트(99)를 겹쳐 배치해도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와 파이프 지지대(91)와 심 플레이트(99)는, 파이프 지지대(91)의 하방으로부터 축부가 삽입되는 체결 볼트(체결부)(95)와, 축부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체결부)(96, 97)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체결 너트(체결부)(97)와 다리부(23) 사이에는, 와셔(98)가 배치되어 있다.
체결 볼트(95)의 축부에 2개의 체결 너트(96, 97)를 체결하고 있는 것은, 체결 너트(97)의 하방에 간극을 마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체결 너트(97)의 하방에 간극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 다리부(23)와 파이프 지지대(91)와 심 플레이트(99)가 견고하게 연결되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다리부(23)와 파이프 지지대(91)와 심 플레이트(99)가 견고하게 연결되면, 파이프부(21)가 열 팽창에 의해 변형될 경우에, 체결 부분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결 너트(97)의 하방에 간극을 마련한 상태로 하고, 그 상태에서 체결 너트(96)를 체결함으로써, 또는 체결 너트(97)를 조인 후에 체결 너트(96)를 조이고, 다시 체결 너트(97)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체결 너트(96)와 체결 너트(97)가 연직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체결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부(21)가 열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이며, 체결 부분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와 기단부(21b)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다리부(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100)의 스프레이 파이프(20) 부분의 Ⅳ-Ⅳ 화살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탈황 장치(100)의 스프레이 파이프(20) 부분의 V-V 화살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다리부(23)는,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와 기단부(21b) 사이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의 상단부는 파이프부(2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3)는, 그 하단부에, 설치면(제1 면)(23a)을 갖는다. 설치면(23a)은, 수평면에 따른 평탄한 설치면이지만, 다른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설치면(23a)은 축선(X1)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또는 원호형이라도 된다.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탑(10)에는 금속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빔(92) 및 지지 빔(9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빔(92)은, 그 상단부에 지지면(제2 면)(92a)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지지 빔(93)은, 그 상단부에 지지면(제2 면)(93a)을 갖는다.
지지면(92a, 93a)은, 수평면에 따른 평탄한 설치면이지만, 다른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지지면(92a, 93a)은 축선(X1)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또는 원호형이라도 된다. 지지면(92a, 93a)의 상면은, 지지면(92a, 93a)을 부식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지로 된 라이닝으로 피막되게 해도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의 하단부 설치면(23a)과 지지 빔(92, 93)의 상단부 지지면(92a, 93a) 사이에는, 심 플레이트(99)가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는 설치면(23a)을 지지면(92a, 93a)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심 플레이트(99)는 파이프부(21)를 수평 방향을 따라서 설치하기 위해서, 지지면(92a, 93a)에 대한 설치면(23a)의 연직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부재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설치면(23a)과 지지면(92a, 93a) 사이에 심 플레이트(99)가 배치되어 있지만, 파이프부(21)를 수평 방향을 따라서 설치하기 위해서 불필요하면, 심 플레이트(99)를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설치면(23a)과 지지면(92a, 93a)이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심 플레이트(99)는, 파이프부(21)를 수평 방향을 따라서 설치하기 위해서, 연직 방향으로 적절한 두께를 가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매의 심 플레이트(99)를 겹쳐서 배치해도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와 지지 빔(92, 93)과 심 플레이트(99)는, 지지 빔(92, 93)의 하방으로부터 축부가 삽입되는 체결 볼트(95)와, 축부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96, 97)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체결 너트(97)와 다리부(23) 사이에는, 와셔(9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체결 볼트(95)의 축부에 2개의 체결 너트(96, 97)를 체결하고 있는 것은, 체결 너트(97)의 하방에 간극을 마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스프레이 파이프(2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스프레이 파이프(20)는, 파이프부(21)와, 노즐부(22)의 노즐 홀더(22b)와, 다리부(23)를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한편, 노즐 홀더(22b)에 설치되는 스프레이 노즐(22a)은, 예를 들어 SiC(실리콘 카바이드)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스프레이 파이프(20)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의해 파이프부(21)와, 노즐부(22)의 노즐 홀더(22b)와, 다리부(23)를 일체로 성형한 후, 노즐 홀더(22b)에 스프레이 노즐(22a)을 설치함으로써 제조된다. 스프레이 파이프(20)는, 상방으로 토출한 흡수액의 충돌 등에 의해 마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레이 파이프(20)에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마모에 대한 내성이 높다. 또한, 부식에 대한 내성도 높다.
또한, 스프레이 파이프(20)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 대신에 금속 재료(예를 들어, UNS S31254나 하스텔로이 C-276)를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다리부(23)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23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다리부(23)의 Ⅵ-Ⅵ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3)의 설치면(23a)에는, 체결 볼트(95)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23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23b)은, 축선(X1)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L1보다도 축선(X1)에 따른 방향의 길이 L2가 길다. 삽입 구멍(23b)을 긴 구멍으로 하고 있는 것은, 스프레이 파이프(20)가 열 신장해서 다리부(23)가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를 향해 이동할 때에, 삽입 구멍(23b)이 체결 볼트(95)에 접촉하는 문제를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리부(23)의 설치면(23a)에 설치되는 삽입 구멍(23b)을 긴 구멍으로 하고,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93)에 설치되는 삽입 구멍(도시 생략)을 원형의 둥근 구멍으로 하는 것이지만, 다른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다리부(23)의 설치면(23a)에 설치되는 삽입 구멍(23b)을 원형의 둥근 구멍으로 하고,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93)에 설치되는 삽입 구멍을 축선(X1)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L1보다도 축선(X1)에 따른 방향의 길이 L2가 긴 긴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는, 다리부(23)의 설치면(23a)에 설치되는 삽입 구멍(23b)과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93)에 설치되는 삽입 구멍의 양쪽을 긴 구멍으로 해도 된다.
이어서, 심 플레이트(99)에 형성되는 절결부(99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판 형상 부재의 Ⅵ-Ⅵ 화살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 플레이트(99)에는, 일단부를 향해 개구하는 절결부(99a)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99a)는, 다리부(23)의 설치면(23a)과 지지 빔(92, 93)의 지지면(92a, 93a)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95)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또한, 절결부(99a)는 다리부(23)의 설치면(23a)과 파이프 지지대(91)의 지지면(91a) 사이에 배치된 상태(도 7 참조)에서 체결 볼트(95)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심 플레이트(99)는, 절결부(99a)를 갖기 때문에, 체결 볼트(95)를 제거하는 일 없이, 다리부(23)의 설치면(23a)과 파이프 지지대(91)의 지지면(91a)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 플레이트(99)는 절결부(99a)를 갖기 때문에, 체결 볼트(95)를 제거하는 일 없이, 다리부(23)의 설치면(23a)과 지지 빔(92, 93)의 지지면(92a, 93a)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레이 파이프(20)가 구비하는 다리부(23)를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93)에 설치할 때에, 적당한 개소에 심 플레이트(99)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레이 파이프(2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심 플레이트(99)는, 축선(X1)에 따라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를 향해 개구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심 플레이트(99)의 절결부(99a)가 파이프부(21)의 기단부(21b) 측에는 개구하고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심 플레이트(99)는 선단부(21a)를 향한 힘이 다리부(23)로부터 가해져도, 체결 볼트(95)에 접촉하기 때문에 선단부(21a)를 향해 이동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심 플레이트(99)가 선단부(21a)를 향해 이동해서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93)으로부터 탈락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스프레이 파이프(20)의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와 흡수탑(10)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CL)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와 흡수탑(10)의 내벽면 사이에는, 간극(CL)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CL)은,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가 흡수탑(10)의 내벽면과 접촉하지 않기 위해서 필요한 간격이다. 또한, 스프레이 파이프(20)는 고온의 배기 가스에 의해 열 팽창한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파이프부(21)는, 배기 가스에 의해 스프레이 파이프(20)가 가열된 상태에 있어서도, 간극(CL)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파이프부(21)는, 스프레이 파이프(20)를 설치하는 상태(대기 온도와 동일한 상태)에 있어서, 열 신장이 발생했다고 해도 간극(CL)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와 흡수탑(10)의 내벽면과의 간극(CL)이, 10㎜ 이상 또한 100㎜ 이하로 되어 있다.
이어서, 스프레이 파이프(20)의 설치 플랜지(24)를 흡수탑(10)의 개구부(14)에 설치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도 4에 도시하는 탈황 장치(100)의 스프레이 파이프(20)의 설치 플랜지(24)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탑(10)의 개구부(14)는, 축선(X1)에 따라 연장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4)의 단부에는, 플랜지(14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4a)의 내주면에는 플랜지(14a)를 배기 가스에 의한 부식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지로 된 라이닝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4)의 플랜지(14a)에는, 가스킷(14c)(예를 들어, 부틸 고무제)을 끼운 상태에서, 스프레이 파이프(20)의 설치 플랜지(24)가 복수의 체결구(도시 생략)에 의해 설치된다. 여기서, 개구부(14)의 단부면이 연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있는 경우, 개구부(14)에 설치되는 스프레이 파이프(20)가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개구부(14)의 단부면이 연직 방향과 일치하도록, 라이닝부(14b)의 설치 플랜지(24)와 끼워지는 부분의 두께가 적절하게 조정된다. 또한, 개구부(14)의 단부면이 연직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 플랜지(24)와 가스킷(14c) 사이에 실링재를 도포해도 된다. 또한, 실링재의 도포는 라이닝부(14b)의 두께를 조정하는 대신에 행해도 되고, 라이닝부(14b)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에 추가해서 행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탈황 장치(100)가 발휘하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탈황 장치(100)가 구비하는 스프레이 파이프(20)에 의하면, 파이프부(21)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21d)의 복수 개소에 수평 방향을 따른 설치면(23a)을 갖는 다리부(23)가 배치된다. 또한, 다리부(23)는 설치면(23a)을 흡수탑(10)에 설치되는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지지 빔(93)이 갖는 지지면(91a, 92a, 93a)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흡수액을 상방으로 토출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프레이 파이프(20)에 가해지는 반력이나 충격력은, 설치면(23a)에서 지지면(91a, 92a, 93a)으로 전달된다. 그로 인해, 반력이나 충격력이 스프레이 파이프(20)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스프레이 파이프(20)가 파손에 이르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프레이 파이프(20)에 있어서는, 다리부(23)가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를 포함하는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선단부(21a)에 있어서 스프레이 파이프(20)의 하중을 다리부(23)에서 탈황 장치(100)의 파이프 지지대(91)로 전달하면서, 또한 기단부(21b)에서 선단부(21a)에 이르기까지의 중간부에 있어서 스프레이 파이프(20)의 하중을 다리부(23)에서 지지 빔(92, 93)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중간부에서 스프레이 파이프(20)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스프레이 파이프(20)가 자중에 의해 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탈황 장치(100)는, 설치면(23a)과 지지면(91a, 92a, 93a) 사이에 배치되는 심 플레이트(99)를 구비한다. 또한, 심 플레이트(99)는 체결 볼트(95)를 삽입 가능한 절결부(99a)를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를 향해 개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스프레이 파이프(20)로부터 토출되는 흡수액의 토출 방향을 연직 방향과 일치시키는 데에는, 스프레이 파이프(20)를 수평면을 따라 정확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때, 다리부(23)와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93) 사이에 적절한 두께의 심 플레이트(99)를 배치함으로써 스프레이 파이프(20)를 수평면을 따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스프레이 파이프(20)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축선(X1)에 따라 열 신장한다. 그리고 스프레이 파이프(20)가 열 신장할 때에 다리부(23)와 접촉해서 배치되는 심 플레이트(99)에는,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를 향한 힘이 다리부(23)로부터 가해진다. 여기서, 심 플레이트(99)는, 절결부(99a)가 파이프부(21)의 기단부(21b) 측에는 개구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배치된다. 그로 인해, 심 플레이트(99)는, 선단부(21a)를 향한 힘이 다리부(23)로부터 가해져도, 체결 볼트(95)에 접촉하기 때문에, 선단부(21a)를 향해 이동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심 플레이트(99)가 선단부(21a)를 향해 이동해서 파이프 지지대(91), 지지 빔(92, 93)으로부터 탈락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탈황 장치(100)에 있어서, 다리부(23)의 설치면(23a)에는, 체결 볼트(95)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23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23b)은, 축선(X1)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L1보다도 축선(X1)에 따른 방향의 길이 L2가 길다.
스프레이 파이프(20)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축선(X1)에 따라 열 신장한다. 그리고 스프레이 파이프(20)가 열 신장할 때에, 스프레이 파이프(20)에 설치되는 다리부(23)가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를 향해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삽입 구멍(23b)의 축선(X1)에 따른 방향의 길이 L2가 길기 때문에, 다리부(23)가 열 신장에 의해 이동할 때에 삽입 구멍(23b)이 체결 볼트(95)에 접촉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탈황 장치(100)에 있어서, 파이프부(21)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흡수탑(10)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이프부(21)가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되어서 열 신장하고, 파이프부(21)의 선단부(21a)가 흡수탑(10)의 내주면과 접촉해 버리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탈황 장치(100)는 석회를 함유하는 흡수액을 배기 가스와 기액 접촉시켜서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유황 산화물을 제거하는 석회 석고법을 이용한 장치이었지만, 다른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알칼리 성분을 함유하는 해수를 흡수액으로서 사용하는 해수 탈황법을 이용한 탈황 장치라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흡수탑(10)의 개구부(14)의 플랜지(14a)에 스프레이 파이프(20)의 설치 플랜지(24)를 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다른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흡수탑(10)의 개구부(14)에 플랜지(14a)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체결구를 사용하여, 흡수탑(10)의 측벽에 설치 플랜지(24)를 직접적으로 설치하게 해도 된다.
10 : 흡수탑
11 : 배기 가스 도입부
12 : 배기 가스 배출부
13 : 저부
14 : 개구부
14a : 플랜지
14b : 라이닝부
14c : 가스킷
15 : 맨홀
20 : 스프레이 파이프
21 : 파이프부
21a : 선단부
21b : 기단부
21c : 상단부
21d : 하단부
22 : 노즐부
22a : 스프레이 노즐
22b : 노즐 홀더
22c : 가스킷
23 : 다리부
23a : 설치면(제1 면)
23b : 삽입 구멍
24 : 설치 플랜지
25 : 공급구
30 : 데미스터
40 : 순환 펌프
91 : 파이프 지지대(지지부)
91a : 지지면(제2 면)
92, 93 : 지지 빔(지지부)
92a, 93a : 지지면(제2 면)
95 : 체결 볼트(체결부)
96 : 체결 너트(체결부)
97 : 체결 너트(체결부)
98 : 와셔
99 : 심 플레이트(판 형상 부재)
99a : 절결부
100 : 탈황 장치
CL : 간극
X1, X2 : 축선

Claims (11)

  1. 연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서 배기 가스의 통로가 되는 흡수탑의 내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스프레이 파이프이며,
    수평 방향의 축선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선단부가 폐색된 통 형상의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상단부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서 상기 파이프부를 수평 방향으로 유통하는 흡수액을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노즐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제1 면을 갖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가, 상기 제1 면을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갖는 제2 면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다리부의 제1 면에, 상기 다리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스프레이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수평방향을 따르는 면을 갖는, 스프레이 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상기 파이프부의 상기 선단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레이 파이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프레이 파이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는 기단부로부터 상기 선단부까지의 상기 축선에 따른 길이가 3m 이상 또한 15m 이하이고, 외경이 200㎜ 이상 또한 400㎜ 이하로 되어 있는, 스프레이 파이프.
  6. 연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서 배기 가스의 통로가 되는 흡수탑과,
    상기 흡수탑의 내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스프레이 파이프와,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어서 상기 스프레이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레이 파이프가,
    수평 방향의 축선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선단부가 폐색된 통 형상의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상단부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서 상기 파이프부를 수평 방향으로 유통하는 흡수액을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노즐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제1 면을 갖는 다리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가, 제2 면을 갖는 탈황 장치이며,
    상기 다리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프레이 파이프가, 상기 제1 면을 상기 제2 면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상기 지지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어 있는, 탈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수평 방향을 따르는 면을 갖는, 탈황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체결 볼트와 해당 체결 볼트와 체결되는 체결 너트를 갖고,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볼트를 삽입 가능한 절결부를 갖고,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상기 파이프부의 상기 선단부를 향해 상기 절결부가 개구된 상태로 배치되는, 탈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구멍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도 상기 축선에 따른 방향의 길이가 긴, 탈황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의 상기 선단부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탑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탈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의 상기 선단부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흡수탑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10㎜ 이상 또한 100㎜ 이하의 간극을 마련해서 배치되어 있는, 탈황 장치.
KR1020177021322A 2017-06-09 2017-06-22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 KR101922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4704 2017-06-09
JP2017114704A JP6215503B1 (ja) 2017-06-09 2017-06-09 スプレイパイ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脱硫装置
PCT/JP2017/023108 WO2018225273A1 (ja) 2017-06-09 2017-06-22 スプレイパイ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脱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362B1 true KR101922362B1 (ko) 2018-11-26

Family

ID=6010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322A KR101922362B1 (ko) 2017-06-09 2017-06-22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94186A1 (ko)
EP (1) EP3636334A4 (ko)
JP (1) JP6215503B1 (ko)
KR (1) KR101922362B1 (ko)
CN (1) CN109414644A (ko)
MY (1) MY196258A (ko)
WO (1) WO2018225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1483B2 (ja) 2017-07-14 2020-02-1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プレイパイプの設置方法
JP6878709B1 (ja) * 2019-10-25 2021-06-02 三菱パワー株式会社 排煙脱硫装置
CN111701416A (zh) * 2020-06-11 2020-09-25 浙江菲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脱硫喷淋管固定装置
WO2022044296A1 (ja) * 2020-08-28 2022-03-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煙脱硫装置のスプレ管支持構造
CN112354291A (zh) * 2020-11-17 2021-02-12 庄伙金 一种工业废气高温净化设备
CN114797386A (zh) * 2022-05-26 2022-07-29 清远市邦丽特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铝板带印刷加工的废气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6430A (ja) * 2005-05-24 2006-12-07 Kawasaki Plant Systems Ltd 排煙脱硫装置の吸収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8083A (ja) * 1985-10-25 1987-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管の支持具
JPS62274183A (ja) * 1986-05-21 1987-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管の支持具
JP2948851B2 (ja) * 1990-02-21 1999-09-13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ダクト内注入ノズルの支持構造物
JPH0630283Y2 (ja) * 1990-03-17 1994-08-17 株式会社丸山製作所 ノズル装置
US5271873A (en) * 1992-05-21 1993-12-2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upport of interspaced, opposed feed headers for FGD systems
DE4224691C2 (de) * 1992-07-25 1995-02-23 Gewerk Keramchemie Aufnahmevorrichtung für Spritzrohre
JPH09225256A (ja) 1996-02-21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煙脱硫装置
JPH11104449A (ja) * 1997-10-03 1999-04-20 Babcock Hitachi Kk スプレ式吸収塔と該吸収塔を備えた湿式排煙脱硫装置
JP3373412B2 (ja) * 1997-11-04 2003-02-04 栗本化成工業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製サドルプレート
JPH11141746A (ja) * 1997-11-13 1999-05-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支持装置
JPH11190466A (ja) * 1997-12-25 1999-07-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低温配管支持装置
JP2001082634A (ja) * 1999-09-09 2001-03-30 Nichias Corp 低温流体輸送配管の断熱支持装置
JP4657481B2 (ja) * 2001-03-29 2011-03-23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配管支持具
US6613133B2 (en) * 2001-10-01 2003-09-02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ingle spray level for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with internal main feed headers
US7730908B2 (en) * 2006-03-24 2010-06-08 Babcock & Wilcox Power Generation Group, Inc. Self supporting reinforced header
JP5520525B2 (ja) * 2009-06-19 2014-06-11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脱硫装置および排ガスの冷却方法
CN204768240U (zh) * 2015-03-20 2015-11-18 湖南凌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脱硫喷管
CN105169915A (zh) * 2015-09-18 2015-12-23 江苏华星电力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脱硫吸收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6430A (ja) * 2005-05-24 2006-12-07 Kawasaki Plant Systems Ltd 排煙脱硫装置の吸収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6334A4 (en) 2021-03-03
WO2018225273A1 (ja) 2018-12-13
JP6215503B1 (ja) 2017-10-18
MY196258A (en) 2023-03-24
US20200094186A1 (en) 2020-03-26
JP2019000758A (ja) 2019-01-10
EP3636334A1 (en) 2020-04-15
CN109414644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362B1 (ko) 스프레이 파이프 및 그것을 구비한 탈황 장치
KR20130031913A (ko) 배연 탈질 장치
US11364467B2 (en) Desulfurization device
US10953363B2 (en) Method for installing spray pipe
US5997822A (en) Ammonia injection device for use in exhaust gas denitration systems
JP5021041B2 (ja) 管継手の構造一体性を確保するための機械的アセンブリ
KR101271366B1 (ko) 산업용 고무 익스펜션 조인트
JP4585414B2 (ja) 振動防止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交換器
JP7043276B2 (ja) スプレイパイプ及び脱硫装置
RU2753702C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трубное крепление
JP2010126979A (ja) 垂直式の水冷ダクト内部の作業用の足場設置機構
CN111902688B (zh) 热交换装置
FI110206B (fi) Lauhdutin
WO2019013150A1 (ja) ボイラ炉壁の交換工法及びボイラ炉壁の仮保持構造
JP2023063078A (ja) 断熱部材の取付け方法
KR20040100363A (ko) 안전 밸브의 출구배관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