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067B1 -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067B1
KR101920067B1 KR1020180011372A KR20180011372A KR101920067B1 KR 101920067 B1 KR101920067 B1 KR 101920067B1 KR 1020180011372 A KR1020180011372 A KR 1020180011372A KR 20180011372 A KR20180011372 A KR 20180011372A KR 101920067 B1 KR101920067 B1 KR 101920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inlet
outlet
upper frame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권
Original Assignee
하이에어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에어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에어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 F28D7/02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the conduits of only one medium being helically coiled tubes, the coils having a cylindrical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4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polygonal, e.g. rectangular
    • F28F1/045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polygonal, e.g. rectangular with assemblies of stack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48Arrangements for sealing connectors to header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부프레임 및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인 코일형상의 전열관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는 전열관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출·입구 및 유체가 몸체의 내부로 출입하는 유체입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블록구조타입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는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어, 분할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블록을 적층하여 접합한 것이 특징인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는 몸체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선택하여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전열관의 형상도 나선형으로 주름지게 형성함으로써 냉매와 유체의 열교환 효율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부를 흐르는 냉매에 선회특성을 부여하고, 단면적을 좁혀 유속을 증가시키며, 증발시 발생하는 냉매의 기포가 접촉하는 튜브의 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액 냉매가 전열관의 넓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Shell and spiral coil type heat exchanger of assembly block structure type for sea water}
본 발명은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몸체가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어, 필요한 용량 및 사이즈에 맞추어 블록을 복수 개로 적층하여 조립제작하는 것이 특징인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고온유체와 저온유체를 열전도성의 격벽을 통해 서로 열전달이 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유체의 냉각 또는 저온유체의 가열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특히, 쉘 앤 튜브 타입(Shell and tube type) 또는 셀 앤 코일타입(Shell and coil type)의 열교환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내부에 냉매가 내부로 이동하는 코일형상의 전열관이 장착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는 몸체의 내부로 유체가 출입하도록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어 전열관의 내부로 이동하는 냉매와 유체가 서로 열교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쉘 앤 코일타입 열교환기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363545호에 쉘과; 상기 쉘 내부로 제 1 유체를 안내하는 제 1 배관과; 상기 제 1 유체와 열교환되는 제 2 유체가 통과하는 튜브와; 상기 제 1 유체가 상기 쉘 외부로 안내되는 제 2 배관과; 상기 쉘이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를 받치는 지지부를 갖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배관과 상기 제 2 배관과 튜브가 관통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커버에는 제 1 배관이 관통되는 제 1 배관 관통공과, 제 2 배관이 관통되는 제 2 배관 관통공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튜브가 관통되는 튜브공과, 상기 제 1 배관과 제 2 배관이 함께 관통되는 배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관 관통공과 상기 제 2 배관 관통공은 상기 배관공 상측에 위치되는 열교환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쉘 앤 코일타입 열교환기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82580호에 쉘과; 상기 쉘 내부에 위치되는 나선관부와 상기 쉘을 관통하는 제 1, 2 쉘 관통관부를 각각 갖는 복수개 냉매튜브와; 상기 쉘 내부로 열원수를 입수 안내하는 입수관과; 상기 쉘 내부에 위치되는 이너 출수관과; 상기 이너 출수관 내부의 열원수가 출수 안내되는 아우터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 각각은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며, 상기 복수개 냉매 튜브 중 어느 하나의 나선관부는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의 내둘레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복수개 냉매 튜브 중 다른 하나의 나선관부는 상기 복수개 냉매 튜브 중 어느 하나의 나선관부와 상기 쉘의 내둘레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가 직관부를 갖고,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가 나선형으로 감긴 이너 나선관부를 갖으며, 상기 이너 나선관부는 상기 직관부의 외둘레면과 상기 이너 출수관의 내둘레면 사이에 위치하는 열교환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쉘 앤 코일타입 열교환기는 용량에 따라 몸체의 크기가 일괄 제작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전열관은 몸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정해져 생산되기에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설비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전열관의 형상도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매와 유체의 열교환 측면에서도 열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몸체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선택하여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전열관의 형상도 나선형으로 주름지게 형성함으로써 냉매와 유체의 열교환 효율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부를 흐르는 냉매에 선회특성을 부여하고, 단면적을 좁혀 유속을 증가시키며, 증발시 발생하는 냉매의 기포가 접촉하는 튜브의 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액 냉매가 전열관의 넓은 표면에 접촉하도록 한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는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부프레임 및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인 코일형상의 전열관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는 전열관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출·입구 및 유체가 몸체의 내부로 출입하는 유체입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어, 분할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블록을 적층하여 접합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는 몸체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선택하여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전열관의 형상도 나선형으로 주름지게 형성함으로써 냉매와 유체의 열교환 효율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부를 흐르는 냉매에 선회특성을 부여하고, 단면적을 좁혀 유속을 증가시키며, 증발시 발생하는 냉매의 기포가 접촉하는 튜브의 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액 냉매가 전열관의 넓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쉘 앤 코일타입 열교환기 사진.
도 2는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전열관 사진.
도 5는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패킹부재 사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내부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측 일부분 확대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상부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부프레임(120) 및 베이스(1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인 코일형상의 전열관(140)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에는 전열관(140)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출·입구(121, 131) 및 유체가 몸체(110)의 내부로 출입하는 유체입출수구(122, 132)가 형성되어 있는 쉘 앤 나선형코일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복수 개의 블록(111)으로 분할되어 있어, 분할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블록(111)을 적층하여 접합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전열관(140)은 전열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나선형 주름형상으로 형성하되, 양단부는 직선부(141)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출구(121)와 베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131)에는 전열관(140)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전열관(140)과 출구(121) 및 전열관(140)과 입구(131) 사이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패킹수단(150)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쉘 앤 튜브 열교환기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쉘 앤 코일타입 열교환기(100)는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부프레임(120) 및 베이스(13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인 코일형상의 전열관(140)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에는 전열관(140)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출·입구(121, 131) 및 유체가 몸체(110)의 내부로 출입하는 유체입수구(122)와 유체출수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전열관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기(100)의 몸체(110)는 복수 개의 블록(111)으로 분할되어 있어, 분할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블록(111)을 적층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블록(111)을 적층하고, 적층된 부분에는 열융착으로 인해 서로 접착하는 것이다.
별도로 블록(111)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는 블록(11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돌기부(도면부호 미도시)를 형성하고,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돌기부에 대응하는 삽입홈(도면부호 미도시)을 형성하면 더욱 견고한 결합관계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열관(140)은 전열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나선형 주름형상으로 형성하되, 양단부는 매끈한 직선부(141)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열관(140)은 티타늄으로 제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출구(121)와 베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131)에는 전열관(140)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전열관(140)과 출구(121) 및 전열관(140)과 입구(131) 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패킹수단(150)이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패킹수단(150)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패킹부재 사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관(140)의 양단이 돌출되는 입구(131)와 출구(121)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을 형성되어 있기에 패킹수단(150)은 직선부(141)가 형성되어 있는 전열관(140)의 양단부가 관통하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내주연에는 상기 입구(131)와 출구(121)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캡(151)과, 상기 입구(131)와 출구(121)의 내부에 삽입되되, 전열관(140)의 직선부(141)가 관통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패킹부재(152)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캡(151)의 내주연은 전열관(140)의 직선부(141)가 내부로 관통하는 패킹부재(152)의 외부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부는 패킹부재(152)는 이탈되지 않으면서 전열관(140)의 직선부(141)는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패킹부재(152)의 내부 중공홀로 전열관(140)의 직선부(141)가 관통되도록 하여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에 각각 형성된 출구(121) 및 입구(131)에 삽입하게 되면, 패킹부재(152)는 출구(121) 및 입구(131)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에, 캡(151)의 개구측으로 전열관(140)의 직선부(141)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 측으로 진행시켜 캡(151)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을 결합시키게 되면 패킹부재(152)는 캡(151)과 함께 몸체(110)로 진행하게 되면서 수밀구조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의 내부측에 패킹부재(152)의 진행을 스톱핑하는 스토퍼(도면 미도시)를 형성하거나,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의 내주연이 몸체(110)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고, 패킹부재(152)의 외주연도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의 내주연에 대응하도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수밀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152)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유체입수구(122)와 유체출수구(132)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기밀구조를 지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내부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측 일부분 확대개요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11)의 개수를 많이 하여 적층하여 몸체(110)를 형성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몸체(110)의 내부로 설치되는 코일형상의 전열관(140)의 크기도 따라 크게 제작되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이에, 전열관(140)의 크기는 일정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적층된 블록(111) 사이에 입구(161)와 출구(162)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프레임(160)이 장착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110)의 내부에 한 쌍의 전열관(140)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베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131)를 통해 적층되어 있는 한 쌍의 전열관(140) 중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열관(140)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하고, 전열관(140)의 타단은 중간프레임(160)의 측면에 형성된 출구(16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열관(140)의 일단은 중간프레임(16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16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유체는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유체입수구(122)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로 입수되어 몸체(110)의 내부에서 전열관(140)의 내부로 이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베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유체출수구(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20), 중간프레임(160) 및 베이스(130)에 전열관이 돌출되는 여분의 관통공이나 유체가 출입되는 여분의 관통공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덮개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하거나, 금형제작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주문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의 상부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20)의 내부 천장면에 상부프레임(120)의 동심원상에 있도록 안착부(17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70)에 파이프(180)의 일단을 접촉시킨 후, 파이프(180)를 접착하도록 한다.
이는. 몸체(110)의 내부 공간을 인위적으로 줄여주게 됨으로써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부(170)는 상부프레임(120)의 천장면에 링형상으로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링형상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는 몸체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선택하여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전열관의 형상도 나선형으로 주름지게 형성함으로써 냉매와 유체의 열교환 효율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부를 흐르는 냉매에 선회특성을 부여하고, 단면적을 좁혀 유속을 증가시키며, 증발시 발생하는 냉매의 기포가 접촉하는 튜브의 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액 냉매가 전열관의 넓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열교환기
110. 몸체 111. 블록
120. 상부프레임 121. 출구 122. 유체입수구
130. 베이스 131. 입구 132. 유체출수구
140. 전열관
150. 패킹수단 151. 캡 152. 패킹부재
160. 중간프레임 161. 입구 162. 출구
170. 안착부
180. 파이프

Claims (3)

  1.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부프레임(120) 및 베이스(1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인 코일형상의 전열관(140)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에는 전열관(140)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출·입구(121, 131) 및 유체가 몸체(110)의 내부로 출입하는 유체입출수구(122, 132)가 형성되어 있는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복수 개의 블록(111)으로 분할되어 있어, 분할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블록(111)을 적층하여 접합한 것이며,
    상기 전열관(140)은 전열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나선형 주름형상으로 형성하되, 양단부는 직선부(141)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출구(121)와 베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131)에는 전열관(140)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전열관(140)과 출구(121) 및 전열관(140)과 입구(131) 사이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패킹수단(150)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전열관(140)의 양단이 돌출되는 입구(131)와 출구(121)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을 형성되어 있기에 패킹수단(150)은 직선부(141)가 형성되어 있는 전열관(140)의 양단부가 관통하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내주연에는 상기 입구(131)와 출구(121)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캡(151)과, 상기 입구(131)와 출구(121)의 내부에 삽입되되, 전열관(140)의 직선부(141)가 관통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패킹부재(152)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캡(151)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주연은 전열관(140)의 직선부(141)가 내부로 관통하는 패킹부재(152)의 외부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부는 패킹부재(152)는 이탈되지 않으면서 전열관(140)의 직선부(141)는 통과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패킹부재(152)의 내부 중공홀로 전열관(140)의 직선부(141)가 관통되도록 하여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에 각각 형성된 출구(121) 및 입구(131)에 삽입하게 되면, 패킹부재(152)는 출구(121) 및 입구(131)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캡(151)의 개구측으로 전열관(140)의 직선부(141)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 측으로 진행시켜 캡(151)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을 결합시키게 되면 패킹부재(152)는 캡(151)과 함께 몸체(110)로 진행하게 되면서 수밀구조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의 내부측에 패킹부재(152)의 진행을 스톱핑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며,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의 내주연이 몸체(110)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고, 패킹부재(152)의 외주연도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베이스(130)의 출구(121)와 입구(131)의 내주연에 대응하도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수밀구조를 이루게되는 것이며,
    상기 패킹부재(152)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제작되는 것이며,
    상기 전열관(140)은 복수 개로 적층된 블록(111) 사이에 입구(161)와 출구(162)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프레임(160)이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한 쌍의 전열관(140)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베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131)를 통해 적층되어 있는 한 쌍의 전열관(140) 중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열관(140)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하고, 전열관(140)의 타단은 중간프레임(160)의 측면에 형성된 출구(16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전열관(140)의 일단은 중간프레임(16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16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유체는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유체입수구(122)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로 입수되어 몸체(110)의 내부에서 전열관(140)의 내부로 이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베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유체출수구(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프레임(120), 중간프레임(160) 및 베이스(130)에 전열관이 돌출되는 여분의 관통공이나 유체가 출입되는 여분의 관통공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덮개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하거나, 금형제작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내부 천장면에 상부프레임(120)의 동심원상에 있도록 안착부(17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70)에 파이프(180)의 일단을 접촉시킨 후, 파이프(180)를 접착하도록 함에 따라, 몸체(110)의 내부 공간을 인위적으로 줄여주게 됨으로써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기 안착부(170)는 상부프레임(120)의 천장면에 링형상으로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링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조립블록구조의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1372A 2018-01-30 2018-01-30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 KR10192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72A KR101920067B1 (ko) 2018-01-30 2018-01-30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72A KR101920067B1 (ko) 2018-01-30 2018-01-30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067B1 true KR101920067B1 (ko) 2019-02-08

Family

ID=6536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72A KR101920067B1 (ko) 2018-01-30 2018-01-30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043A (zh) * 2019-03-14 2019-12-2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塑料管收紧的装置
CN110958814A (zh) * 2019-12-09 2020-04-03 华南理工大学 一种服务器用柔性相变传热降温器
CN110975311A (zh) * 2019-12-17 2020-04-10 萧县沃德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型浓缩罐
RU221693U1 (ru) * 2023-08-24 2023-11-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азГАСУ) Тепл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с двойными теплообменными трубам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62B1 (ko) * 2006-09-07 2007-07-20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냉각기용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62B1 (ko) * 2006-09-07 2007-07-20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냉각기용 열교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043A (zh) * 2019-03-14 2019-12-2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塑料管收紧的装置
CN110958814A (zh) * 2019-12-09 2020-04-03 华南理工大学 一种服务器用柔性相变传热降温器
CN110958814B (zh) * 2019-12-09 2024-05-03 广州智冷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服务器用柔性相变传热降温器
CN110975311A (zh) * 2019-12-17 2020-04-10 萧县沃德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型浓缩罐
RU221693U1 (ru) * 2023-08-24 2023-11-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азГАСУ) Тепл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с двойными теплообменными трубам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67B1 (ko) 조립블록구조의 해수용 쉘 앤 나선형코일타입 열교환기
US10119765B2 (en) Arc-shaped plate heat exchanger
KR100248615B1 (ko) 열교환기
JP2005527768A (ja) 流れ分散撹拌器を有する熱交換器吸込み管
CN208859893U (zh) 水路连接装置和热水器系统
EP3467420A1 (en) Arc-shaped plate heat exchanger
CN203518710U (zh) 一种具有内凸肋换热管螺旋逆流换热装置
KR20190097672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냉각배관 및 이를 구비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US1673918A (en) Heat exchanger
JP2020024080A (ja) 熱交換器のヘッダタンク
KR101733926B1 (ko) 해수용 만액식 열교환기
CN106091485A (zh) 单流程方壳体干式蒸发器
JP6409147B1 (ja) 多重コイル型熱交換器
JPS603157B2 (ja) 熱交換器
KR102455968B1 (ko) 관체형의 열교환기
KR20210112871A (ko) 핀과 격벽이 형성된 열전발전용 고온부 열교환기
JP2010071583A (ja) 熱交換器及びこれを備えた給湯器
US20240051813A1 (en) Cold-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comprising same
CN207963564U (zh) 一种套管换热器
CN219869249U (zh) 一种换热装置
KR20110138319A (ko) 이중관 파이프
CN214666214U (zh) 一种方形壳管式换热器
CN108266642A (zh) 一种基于强化管的中间介质换热器
JPS5812042Y2 (ja) ネツコウカンキ
JP7227756B2 (ja) 熱交換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