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507B1 -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507B1
KR101919507B1 KR1020170046142A KR20170046142A KR101919507B1 KR 101919507 B1 KR101919507 B1 KR 101919507B1 KR 1020170046142 A KR1020170046142 A KR 1020170046142A KR 20170046142 A KR20170046142 A KR 20170046142A KR 101919507 B1 KR101919507 B1 KR 101919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jig
electrodes
coil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420A (ko
Inventor
한기두
한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엠티
Priority to KR102017004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5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제조된 코일의 대량 절단, 납땜 및 포장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생산성을 개선하는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은 상기 코일용 와이어를 와인딩(Winding)하여 상기 코일을 제조하는 와인딩장치, 상단에 상기 코일을 거치하며 상기 코일의 전극 일부를 재단하는 커팅장치, 상기 코일에 남은 전극들의 일부에 금속을 코팅하는 코팅장치 및 상기 코일들을 포장재에 삽입 및 밀봉하는 코일포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장치는 상단에 상기 코일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상기 코일들과 함께 상기 코팅장치로 이송되어 상기 전극들을 코팅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SYSTEM FOR MANUFACTURING COIL}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생산성이 개선된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기술성장으로 소형의 카메라의 성능도 함께 개선되고 있고, 소형의 카메라를 통해 가상현실, 게임 및 사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어 소형 카메라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 카메라의 포커싱을 위해서는 얇은 금속 와이어가 권취된 상태의 소형의 코일 제작이 필요하지만, 충격에 약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하는데 있어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여 제조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3-528854호는 박판으로부터 코일을 제작하는 방법 및 코일을 개시하고 있고,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04-134688호는 보이스 코일과 그 제조 방법 및 보이스 코일을 이용한 스피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코일을 제조하고 포장하기까지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제조된 코일의 대량 절단, 납땜 및 포장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생산성을 개선하는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은 상기 코일용 와이어를 와인딩(Winding)하여 상기 코일을 제조하는 와인딩장치, 상단에 상기 코일을 거치하며 상기 코일의 전극 일부를 재단하는 커팅장치, 상기 코일에 남은 전극들의 일부에 금속을 코팅하는 코팅장치 및 상기 코일들을 포장재에 삽입 및 밀봉하는 코일포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장치는 상단에 상기 코일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상기 코일들과 함께 상기 코팅장치로 이송되어 상기 전극들을 코팅한다.
또한, 상기 커팅장치는 상부에 상기 코일들이 삽입되면, 상기 전극들은 블레이드의 날이 상부로 향하도록 상단에 삽입된 커팅부에 밀착시키고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전극들의 일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장치는 상기 지그부에 삽입된 상기 코일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상기 전극들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지그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지그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은 충격에 약한 소형의 카메라용 코일의 전극을 직접 자르거나 개별적으로 납땜할 필요없이 복수의 코일들을 자르고 납땜하는 공정을 통해 작업생산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팅장치는 상단에 코일들이 거치됨과 동시에 불필요한 전극들을 절단하고, 코일들이 거치된 지그를 분리하여 복수의 코일들의 전극들을 편리하게 납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송트레이에 삽입되는 코일들은 자동으로 코일들을 포장재에 진공흡착방법으로 안착시키고 포장하는 공정을 통해 작업 편의성 및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와인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커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커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코팅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1의 코일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이송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포장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의 구동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100)은 와인딩장치(200), 커팅장치(400, 410), 코팅장치(600) 및 릴포장장치(800)를 포함한다.
와인딩장치(200)는 양측에 배치되는 구동모터들의 구동 및 카메라 코일용 와이어를 공급하는 장치를 통해 카메라 코일용 와이어를 와인딩(Winding)하여 카메라용 코일을 제조한다.
커팅장치(400)는 와인딩장치(200)에서 제조된 상기 코일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삽입되는 이송트레이(4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코일들 각각을 상단에 거치시키고, 동시에 상기 코일의 전극 일부를 재단하도록 형성된다.
코팅장치(600)는 커팅장치(400)에서 전극들이 재단된 상기 코일들에 남은 전극들의 표면을 금속으로 코팅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액체형태의 납을 보관하는 공간에 커팅장치(400)에 거치된 상기 전극들을 납에 디핑(Dipping)시켜 납을 상기 전극들 각각의 표면에 코팅시킨다.
코일포장장치(800)는 코팅장치(600)에서 전극들이 납으로 코팅되고, 이송트레이(40)에 삽입된 코일들을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주기적으로 정지하는 포장재에 자동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포장재의 상부를 밀봉한다.
따라서,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100)은 제조된 코일들 각각을 코팅장치(600)에 필요한 커팅장치(400)의 일부분에 거치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전극들을 제거하여 작업효율성이 증가하고, 이송트레이(40)에 각각 수납된 코일들은 코일포장장치(800)를 통해 자동으로 포장되어 작업생산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후술될 커팅장치(410)는 커팅장치(400)와 다른 실시예로써 커팅장치(400) 대신에 사용될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와인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딩장치(200)는 권취프레임(210), 제1 회전구동부(220), 제2 회전구동부(230), 와이어공급부(240), 코일가이드부(250), 수납부(260) 및 표시부(270)를 포함한다.
제2 회전구동부(230)는 코일권선축(231)을 포함하고, 와이어공급부(240)는 와이어고정유닛(241)을 포함한다.
와인딩장치(200)는 상기 코일용 와이어(11)를 와인딩하여 코일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와이어(11)를 제1 회전구동부(220)와 제2 회전구동부(230)의 사이에 공급하면 와이어(11)가 코일권선축(231)에 권취되고 코일권선축(231)이 제2 회전구동부(230)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코일(10)이 제조된다.
권취프레임(210)은 직육면체 형태에서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제1 회전구동부(220)는 제1 회전유닛(221)이 권취프레임(2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권취프레임(210) 중앙의 홈에 배치된다.
권취프레임(210) 일측 외부에 형성되는 제1 회전구동부(220)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통해 제1 회전유닛(221)을 회전시켜 와이어(11)를 코일권선축(231)에 권취시킨다.
제2 회전구동부(230)는 권취프레임(210)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권취프레임(210) 중앙의 홈에 제2 회전유닛(231)의 일부가 배치되며, 권취프레임(210)의 타측 외부에 형성되는 자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제2 회전유닛(231)을 회전시킨다.
와이어공급부(240)는 코일(10)용 와이어(11)를 제1 회전유닛(221)과 제2 회전유닛(231) 사이에 배치되고, 제작되는 코일(10)의 두께만큼 제1 회전유닛(221)과 제2 회전유닛(231)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2 회전유닛(231)내부에 형성된 코일권선축(231)이 제1 회전유닛(221)의 내부로 삽입된다.
코일권선축(231)은 코일(10)이 거치되는 카메라의 권선축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교체가 가능하며, 원기둥 및 모서리가 라운딩처리된 직육면체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권선축(231)의 상부에는 와이어고정유닛(241)이 와이어공급부(240)에서 공급되는 와이어를 제1 회전유닛(221)에 고정시키고, 제1 회전유닛(221)이 회전하면서 코일권선축(231)의 표면에 코일(10)이 제조된다.
제조된 코일(10)은 코일권선축(231)이 제2 회전유닛(231)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코일권선축(231)에서 분리되고, 코일(10)과 와이어(11)의 연결된 부분은 와이어고정유닛(241)이 제1 회전유닛(221)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회전유닛(221)이 회전을 통해 절단한다.
코일가이드부(250)는 제1 회전유닛(221)과 제2 회전유닛(231)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의 직하방에 형성되고, 양측에는 코일(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격벽들이 형성되며, 격벽들 사이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경사면이 후방 하부를 향해 형성된다.
코일가이드부(250)의 후방 하부에는 수납부(260)가 형성되어 코일권선축(231)에서 분리된 코일(10)들이 코일가이드부(250)를 따라 수납부(260)로 이동하여 수납된다.
표시부(270)는 와인딩장치(200)의 상단에 배치되고, 코일(10)이 권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가 형성되며, 복수의 스위치들을 통해 와인딩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커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장치(400)는 거치부(420), 지그부(440), 커팅부(460) 및 지그커버부(480)를 포함한다.
커팅장치(400)는 코일(10)의 불필요한 전극 부분을 커팅함과 동시에 상단 일부분을 분리시켜 코팅장치(600)로 편리하게 이송하도록 형성된다.
커팅장치(400)는 상부에 코일(10)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삽입되면 코일(10)들 각각의 전극들 일부분은 블레이드의 날이 상부로 향하도록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삽입된 커팅부(460)에 밀착시키고 하부로 이동시켜 전극들의 일부분들을 절단한다.
거치부(420)는 양측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고, 작업자가 위치하는 후방 상부가 계단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상부에는 지그부(440)가 삽입되도록 상부 일부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안착홈이 형성된다.
지그부(440)는 양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 일부는 코일(10)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삽입되는 삽입홈(15)이 형성된다.
커팅부(460)는 상단에 코일(10)의 전극을 절단하기 위한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고,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거치부(420)의 연장방향을 따라 펼쳐지는 형태로 거치부(4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삽입된다.
지그커버부(480)는 지그부(440)의 상부에 삽입되는 코일(10)들 각각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전극들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지그부(44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거치부(420)는 프레임(421), 지지대(422) 및 제1 측벽(423)을 포함한다.
프레임(421)은 양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 상부 배면 일부는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코일(10)의 전극을 하부로 이동하여 절단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지지대(422)는 프레임(421)의 상부 후방의 일부분이 상부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경사면이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커팅부(46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제1 측벽(423)은 지지대(422)의 전방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코일(10)들 각각의 전극들이 삽입되도록 하부를 향해 함몰되는 절단홈(20)들이 형성된다.
제1 측벽(423)의 전면은 거치부(4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부면은 지그부(440)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경우 지그부(440)의 상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10)의 전극들은 절단홈(20)들 각각에 삽입되고, 해당 작업자가 하부를 향해 전극들을 이동시키면, 제1 측벽(423)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지지대(422)에 삽입된 커팅부(460)의 상단의 날이 전극들을 절단한다.
지그부(440)는 지그(441) 및 돌출부(442)를 포함한다.
지그(441)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거치부(420) 상부의 안착홈에 삽입되면 상부면이 제1 측벽(423)의 상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돌출부(442)는 지그(441)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5)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코일(10)들 각각이 삽입되도록 상부를 향해 지그(441)의 상부면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지그커버부(480)의 저면은 지그(441)와 밀착된 상태에서 돌출부(442)의 상부면과 동시에 밀착되며, 이를 통해 지그(441) 및 지그커버부(480)가 밀착된 상태에서 코팅장치(600)로 코일(10)을 이송하는 경우 코일(10)들 각각이 지그(44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커팅부(460)는 블레이드(461)를 포함한다.
블레이드(461)는 상부가 날카로운 날이 형성된 면도날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날카로운 날이 상부를 향하도록 지지대(422)의 절단홈(20)에 삽입된다.
블레이드(461) 상단의 날의 높이는 제1 측벽(423)의 상부면과 절단홈(2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측벽(423)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절단홈(20)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블레이드(461)는 지지대(422)에 형성되는 절단홈(20)의 위치에 따라서 제1 측벽(423)의 배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삽입되므로 해당 작업자가 원하는 코일(10)의 전극 길이에 따라 블레이드(461)의 삽입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절단홈(20)에 삽입되는 블레이드(461)들 각각은 거치부(420)의 길이에 따라서 복수의 블레이드(461)들 양측단이 서로 연결되어 절단홈(20)에 삽입되거나, 거치부(420)가 짧은 경우 단일의 플레이트 형태의 블레이드(461)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거치부(420)의 배면에는 절단홈(20)에 삽입되는 블레이드(461)들 각각을 거치부(420)에 고정하기 위해 배면에서 전방을 향해 절단홈(20)의 내부까지 관통 연장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나사 또는 결합구들을 통해 블레이드(461)들을 거치부(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측벽(423)은 거치면(423a), 제1 경사면(423b) 및 제2 경사면(423c)을 포함한다.
거치면(423a)은 절단홈(20)의 하부에서 하부를 향해 반원형태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461)의 상부 날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형성되며, 블레이드(461)에 의해 절단되고 남아있는 전극이 고정되도록 전극의 양측을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거치면(423a)이 전극의 양측을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지그커버부(480)와 함께 지그부(440)가 코팅장치(600)로 이송되는 동안 납땜을 위해 지그부(44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전극들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균일하게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장점이 있다.
제1 경사면(423b) 및 제2 경사면(423c)들 각각은 거치면(423a)의 상단 양측에서 상부 양측을 향해 서로 이격되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 경사면(423b, 423c)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하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경사면(423b, 423c)들은 제1 및 제2 경사면(423b, 423c)들 사이로 삽입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전극을 거치면(423a)으로 가이드한다.
또한, 블레이드(461)에 의해 전극이 절단되는 높이는 거치면(423a)이 시작되는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므로 거치면(423a)에 의해 코일(10)들 각각의 전극들이 직하방으로 이동하여 절단되어 전극들 각각의 절단면이 균일하고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4의 커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400)는 제2 측벽(424), 전방블레이드(462) 및 커팅부(470)를 제외하면, 도 6 및 7들의 커팅장치(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장치(410)는 거치부(420), 지그부(450) 및 커팅부(470)를 포함한다.
거치부(420)는 제2 측벽(424)을 더 포함한다.
제2 측벽(424)은 거치부(420)의 전면 상부 일부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지그부(4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6)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부면에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 형성되는 절단홈(21)들이 배치된다.
제2 측벽(424)의 상부면의 높이는 거치부(420)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그부(450)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며, 제1 측벽(423)의 상부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측벽(424)과 제1 측벽(423) 사이에는 지그부(450)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지그부(450)의 전면 및 배면 각각은 제2 측벽(424)의 배면 및 제1 측벽(423)의 전면 각각과 밀착된다.
지그부(450)는 지그(451) 및 돌출부(452)를 포함한다.
지그(510)는 양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들 각각은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끝단 일부분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지그(450)는 거치부(420) 상부의 안착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코일(10)이 삽입되도록 환 형태로 하부를 향해 함몰되고,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코일(10)의 전극들 각각이 삽입되도록 지그(451)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을 관통하는 삽입홈(16)이 형성된다.
삽입홈(16)은 지그부(4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삽입홈(16)에 삽입되는 코일(10)의 양쪽 전극들 각각은 지그(45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삽입홈(16)에 삽입된다.
돌출부(452)는 삽입홈(16)에 상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지그(451)의 상부면 중앙에 상부를 향해 삽입홈(16) 측면의 지그(450)의 상부면의 높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그커버부(480)가 지그부(450)와 밀착 결합되면, 지그커버부(480)의 저면은 돌출부(452)의 상부면과 밀착된다.
커팅부(470)는 전방블레이드(462)를 더 포함한다.
전방블레이드(462)는 블레이드(46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프레임(421)의 전면과 제2 측벽(424) 사이에 블레이드(461)와 서로 마주하도록 삽입되고 고정된다.
전방블레이드(462)의 상단 높이는 블레이드(461)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도록 프레임(421)에 삽입되고, 전방블레이드(462)의 상단 높이는 제2 측벽(424)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작업자는 코일(10)의 전극들 각각을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펼친 상태에서 거치부(420)에 삽입된 지그(450)의 삽입홈(16)에 삽입하면서 코일(10)의 전극들을 제2 측벽(424) 및 제1 측벽(230) 각각에 형성된 절단홈(21)들 각각에 삽입하여 코일(10)의 전극들 일부를 전방블레이드(462) 및 블레이드(461)를 통해 절단한다.
또한, 지그부450)에 삽입되고 절단되는 코일(10)들은 지그커버부(480)와 함께 코팅장치(600)로 이송되어 편리하게 전극들을 납땜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코팅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장치(600)는 직육면체 형태의 상자 내부공간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액체상태의 납을 포함하는 액체금속(30)이 배치되어 지그부(440) 및 지그커버부(480)의 일부를 액체금속(30)에 디핑(Dipping)시켜 전극을 납땜할 수 있다.
코팅장치(600)는 커버프레임(610) 및 용융조(620)를 포함한다.
커버프레임(610)은 내부에 배치되는 고온의 액체금속(30)의 열을 단열하기 위해 단열성능이 높고 내열성이 높은 금속, 세라믹 또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자 형태로 형성된다.
용융조(620)는 내부공간에 액체금속(30)이 형성되고, 외측면들은 커버프레임(610)의 내측면들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액체금속(30)의 오염 및 열을 차단한다.
해당 작업자는 코일(10)들이 지그부(440)와 지그커버부(480) 사이에 고정되고 하부를 향해 전극들이 돌출되도록 지그부(440) 및 지그커버부(48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그부(440) 및 지그커버부(480)의 일부를 액체금속(30)에 디핑(Dipping)시켜 전극들을 편리하게 액체금속(30)으로 코팅할 수 있다.
전극들이 액체금속(30)에 의해 코팅되면, 해당 작업자는 지그부(440)를 지면에 밀착되도록 배치하고, 지그커버부(480)를 분리시켜 코일(10)들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외부에 노출된 코일(10)들은 이송트레이(40)를 통해 코일포장장치(800)로 이송되며, 코일포장장치(800)에 이송트레이(40)를 고정시키면 자동으로 코일포장장치(800)는 이송트레이(40)에 삽입된 코일(10)들을 포장재로 이동시켜 포장한다.
도 9는 도 1의 코일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이송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의 포장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11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포장장치(800)는 트레이거치부(810), 이송부(820), 레일부(830), 포장부(840) 및 이송트레이수납부(850)를 포함한다.
코일포장장치(800)는 이송트레이(40)를 통해 이송된 코일(10)들 각각을 일렬로 포장재에 삽입하고, 포장재의 상부를 밀봉하는 구동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트레이거치부(810)는 이송트레이(40)가 거치되도록 이송트레이(4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송트레이(40)를 둘러싸면서 이송트레이(4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송부(820)는 트레이거치부(8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트레이(40)에 격자 형태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코일(10)들을 레일부(830) 상에서 포장부(840)를 향해 주기적으로 정지하고 이동하는 하부포장재(80)로 삽입시킨다.
이송부(820)는 일측의 이송레일(821)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이송레일(821)이 배치된 부분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다시 하부를 향해 절곡 연장되는 이송프레임(822)이 형성된다.
흡착유닛(823)은 이송프레임(822)의 하부를 관통하여 하부 일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는 외부의 공기흡입장치와 튜브(824)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기흡입장치가 구동하면 하부에 배치된 코일(10)이 흡착유닛(823)의 저면으로 흡착된다.
흡착유닛(823)들은 이송트레이(40)에 삽입되는 코일(10)들 각각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송프레임(822)에 정렬 및 고정되고, 이송레일(821) 및 이송프레임(822)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이송트레이(40)로 이동하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여 코일(10)들을 상부를 향해 끌어당긴다.
흡착유닛(823)은 흡착플레이트(824) 및 흡착돌출부(825)를 포함한다.
흡착플레이트(824)는 이송프레임(822)의 하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이송트레이(40)의 상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흡착돌출부(825)는 흡착플레이트(824)의 하부가 이송트레이(40)의 코일(10)의 직상방에 위치한 경우 이송트레이(40)에 삽입된 코일(10)들 각각이 배치되는 위치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흡착플레이트(824)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흡착돌출부(825)는 외부의 공기흡입장치와 튜브(824)를 통해 연결된 흡착유닛(823)과 내부공간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에는 내부공간이 저면을 향해 연결되도록 복수의 흡착통공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진공흡입장치가 구동하면 흡착돌출부(825) 외부의 공기는 흡착통공들을 통해 흡착플레이트(824)를 거쳐 튜브를 타고 진공흡입장치로 이동하며, 코일(10)은 흡착유닛(823)의 흡착력에 의해 흡착돌출부(825)들 각각의 저면에 밀착된다.
이송트레이(40)에서 서로 일렬로 삽입된 코일(10)들 각각이 흡착돌출부(825)에 밀착되면, 이송프레임(822)은 이송레일(821)을 따라서 레일부(830)를 향해 이동하고, 레일(831)상에 배치된 하부포장재(80)의 상부에 흡착돌출부(825)들이 배치된다.
하부포장재(80)의 상부에 흡착돌출부(825)가 배치된 상태에서 이송프레임(822)이 하강하면 흡착돌출부(825)와 하부포장재(80)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진공흡입장치의 구동이 멈추면 코일(10)들 각각이 하부포장재(80)의 홈들 각각에 형성된 돌기에 안착한다.
코일(10)들은 하부포장재(80)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들과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하부포장재(80)의 돌출부들 각각의 주위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흡착돌출부(825)가 하부포장재(80)에 효과적으로 안착할수 있도록 한다.
코일(10)들 각각이 하부포장재(80)의 홈들 각각에 형성된 돌기에 안착되면, 이송프레임(822)은 다시 상부로 이동하고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코일(10)들이 없는 위치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코일(10)들을 레일부(830)로 이송하는 구동을 반복한다.
즉 이송부(820)는 이송트레이(40)에 일렬로 삽입된 코일(10)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레일부(830)로 이송하여 이송트레이(40)에 삽입된 모든 코일(10)들이 레일부(830)에 배치된 하부포장재(80)에 안착하도록 한다.
하부포장재(80)의 돌기들에 안착된 코일(10)들은 레일(831)을 따라 포장부(840)를 향해 이동하고, 포장부(840)에서 하부포장재(80)의 상부가 밀봉된다.
포장부(840)는 포장프레임(841), 압착유닛(842), 밀봉유닛(843), 제1 롤러(844) 및 제2 롤러(845)를 포함한다.
포장프레임(841)은 레일부(830)의 전방에 인접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배치되고, 압착유닛(842)은 포장프레임(841)의 후방에 배치되어 하부포장재(80)가 직하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정지하면 하강하여 일측에서 공급되는 테이프(60)로 포장프레임(841)의 상부를 밀봉한다.
제1 롤러(844)는 압착유닛(84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부에서 공급되는 테이프를 하부로 가이드하고, 제2 롤러(845)는 제1 롤러(844)와 압착유닛(842)을 향해 이동하는 레일(831) 상의 하부포장재(8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부에서 공급되는 테이프(60)는 제1 및 제2 롤러(844, 845)들에 의해 압착유닛(842)의 직하방으로 이동하는 하부포장재(80)의 상부로 이동하고, 하부포장재(80)가 압착유닛(842)의 직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테이프(60)가 공급된다.
하부포장재(80)가 압착유닛(842)의 직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테이프(60)의 공급은 정지하고, 압착유닛(842)이 하강하면 테이프(60)는 하부포장재(80)의 상부를 밀봉한다.
따라서, 코일포장장치(800)는 전극이 코팅된 코일(10)들을 자동으로 하부포장재(80)로 삽입하고, 밀봉하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 생산성을 개선하고, 충격에 약한 전극들의 파손가능성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흡착돌출부(825)는 흡착되는 코일(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깔때기 형태의 고무 격벽이 결합될 수 있고, 탈착하여 흡착통공의 크기가 다른 흡착돌출부로 교체하여 코일(10)의 무게에 따른 흡착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카메라용 코일 제조시스템의 구동순서를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딩장치(200)는 와이어공급부(240)에서 공급되는 와이어를 코일권선축(231)에 와인딩하여 코일(10)을 제조한다(단계 S120).
제조된 코일(10)은 이송트레이(40)를 통해 커팅장치(400)로 이송되고, 코일(10)들 각각은 지그부(440)의 돌출부(442)에 안착됨과 동시에 전극의 일부는 커팅부(460)에 의해 절단된다(단계 S140).
지그부(440)와 지그커버부(480) 사이에 고정되는 코일(10)들 각각은 전극이 하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지그부(440) 및 지그커버부(480)의 일부를 용융조(620)에 디핑시켜 전극들을 납땜한다(단계 S160).
전극이 납땜된 코일(10)들 각각은 이송트레이(40)에 삽입된 상태로 코일포장장치(800)로 이송되고, 이송부(820)를 통해 레일(831) 상의 하부포장재(80)의 홈들에 각각 거치되며, 포장부(840)에서 상부가 밀봉되어 코일(10)들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로 제품이 완성된다(단계 S18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200: 와인딩장치
400, 410: 커팅장치 600: 코팅장치
800: 코일포장장치

Claims (8)

  1.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코일용 와이어를 와인딩하여 상기 코일을 제조하는 와인딩장치;
    상단에 상기 코일을 거치하며 상기 코일의 전극 일부를 재단하는 커팅장치;
    상기 코일에 남은 전극들의 일부에 금속을 코팅하는 코팅장치; 및
    상기 코일들을 포장재에 삽입 및 밀봉하는 코일포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장치는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지그부 및 상기 지그부에 삽입된 상기 코일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상기 전극들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지그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지그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커버부는 상기 지그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부와 함께 고온의 액체금속에 디핑(Dipping)되어 상기 지그커버부 및 지그부의 일방향을 향해 노출된 상기 전극들의 표면을 금속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는,
    상부에 상기 코일들이 삽입되면, 상기 전극들은 블레이드의 날이 상부로 향하도록 상단에 삽입된 커팅부에 밀착시키고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전극들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포장장치는,
    전극들이 코팅된 상기 코일들 각각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이송트레이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트레이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포장장치는,
    상기 이송트레이에 삽입된 상기 코일들을 일측에 배치된 이송레일유닛 상의 하부 포장재들에 형성된 수납홈들 각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포장장치는,
    상기 이송레일유닛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 상기 하부포장재의 상부를 밀봉하는 포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8. 카메라용 코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일용 와이어를 와인딩하여 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일을 커팅장치에 거치하며 상기 코일의 전극 일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코일에 남은 전극들의 일부에 금속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들을 포장재에 삽입 및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장치는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지그부 및 상기 지그부에 삽입된 상기 코일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상기 전극들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지그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지그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커버부는 상기 지그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부와 함께 고온의 액체금속에 디핑(Dipping)되어 상기 지그커버부 및 지그부의 일방향을 향해 노출된 상기 전극들의 표면을 금속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방법.




KR1020170046142A 2017-04-10 2017-04-10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KR101919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42A KR101919507B1 (ko) 2017-04-10 2017-04-10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42A KR101919507B1 (ko) 2017-04-10 2017-04-10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20A KR20180114420A (ko) 2018-10-18
KR101919507B1 true KR101919507B1 (ko) 2018-11-16

Family

ID=6413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42A KR101919507B1 (ko) 2017-04-10 2017-04-10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5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986B1 (ko) * 2006-10-17 2007-11-21 한상수 발진용 배선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062133B1 (ko) * 2008-07-17 2011-09-02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986B1 (ko) * 2006-10-17 2007-11-21 한상수 발진용 배선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062133B1 (ko) * 2008-07-17 2011-09-02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20A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0302B (zh) 零件供给装置
JP6632823B2 (ja) 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
CN104795309B (zh) 薄膜片材切除装置及切除方法
JP2019533456A (ja) 電子タバコ用の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の生産のための製造機械
JP2018147810A (ja) 電線処理装置、電線処理方法、及び電線保持構造体
KR101919507B1 (ko) 카메라용 코일의 제조시스템
KR101831306B1 (ko) 코일 가공 장치
JP6675270B2 (ja) 部品受け渡し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
US10888943B2 (en) Viscous fluid supply device
JP7369007B2 (ja) 実装機及び実装方法
JP2019214409A (ja) 部品封入装置
CN110402182B (zh) 板状焊料的制造装置及其制造方法
CN217125285U (zh) 真空包装装置
JPH1154989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CN214588782U (zh) 全自动插片机
KR102198315B1 (ko) 절연필름 절단 및 모따기 장치
JP2002043338A (ja) 半導体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6301731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CN218619640U (zh) 一种办公设备理线束线机构
JP7426897B2 (ja) 自動配線装置
CN218839938U (zh) 屏蔽袋夹持设备和显示器包装系统
JP2002211637A (ja) 部品梱包用テープ
WO2022239422A1 (ja) 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テーピング方法
KR101644332B1 (ko) 코일 가공 장치
JPS58106895A (ja) プリント回路板の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