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277B1 -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277B1
KR101919277B1 KR1020180040704A KR20180040704A KR101919277B1 KR 101919277 B1 KR101919277 B1 KR 101919277B1 KR 1020180040704 A KR1020180040704 A KR 1020180040704A KR 20180040704 A KR20180040704 A KR 20180040704A KR 101919277 B1 KR101919277 B1 KR 10191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r
switchboard
do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덕
Original Assignee
박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덕 filed Critical 박재덕
Priority to KR102018004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이 구비되며,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주배전반도어 및 주배전반도어 타측 방향으로 부속배전반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 및 부속배전반도어 사이 후방에 주배전반도어 및 부속배전반도어와 이격되어 평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 및 부속배전반도어를 구획 짓도록 형성된 판형의 지지대가 구비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지지대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와, 상기 걸림바케이스 한 쌍의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상으로 삽입 구비되며, 양측에는 각각 베어링이 구비되고, 일측에서 이격된 외주연에는 관통공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고정구를 갖는 환봉 형상의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의 외주연에 축 상으로 결합 됨과 아울러 고정구 타측 및 걸림바케이스가 마주하는 측 사이에 구비되어 걸림바에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주배전반도어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걸림바의 일측이 닿아 걸림바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부속배전반도어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걸림바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바케이스와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바케이스의 상하부 및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슬라이딩판 및 걸림판 각각에 슬라이딩판 및 걸림판이 마주하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판 및 걸림판 각각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지지판 및 걸림지지판과, 상기 걸림바케이스 한 쌍의 각각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바케이스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지지판과, 상기 고정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걸림바가 통공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 됨과 아울러 각각은 마주하는 반대 측이 걸림바케이스에 고정되고, 걸림바케이스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판형의 지지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Sequence open apparatus of multiple door for switch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도어가 어느 일 방향으로 순차적 열림 가능하도록 하는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로서,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목적으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그 용도에 따라 하나의 도어 또는 다수개의 도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수개의 도어를 갖는 배전반은 통상적으로 가장자리 일측에 위치한 도어에 주 배전반을 배치하고, 주 배전반의 타측으로 다수개의 부속 배전반을 배치하게 되며, 이때 주 배전반 및 다수개의 부속 배전반에는 각각 도어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등록특허공보 제10-1397963호에서와 같이 별도의 도어 잠금장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전반은 주 배전반 및 부속 배전반의 도어가 각각 별도로 잠금 및 개폐되므로 외부인이 주 배전반에 있는 차단기를 제어하여 전기를 차단 제어하지 아니한 상태로 부속 배전반의 도어를 선개방 조작함에 따라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다수개의 도어에 각각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다수개의 도어를 별도로 잠금 및 개폐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979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배전반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도어가 어느 일 방향으로 순차적 열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수개의 도어 중 주 배전반에 해당되는 도어를 선개방하여 차단기를 제어한 후 부속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도어를 잠금 또는 개폐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이 구비되며,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주배전반도어 및 주배전반도어 타측 방향으로 부속배전반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 및 부속배전반도어 사이 후방에 주배전반도어 및 부속배전반도어와 이격되어 평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 및 부속배전반도어를 구획 짓도록 형성된 판형의 지지대가 구비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지지대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와, 상기 걸림바케이스 한 쌍의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상으로 삽입 구비되며, 양측에는 각각 베어링이 구비되고, 일측에서 이격된 외주연에는 관통공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고정구를 갖는 환봉 형상의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의 외주연에 축 상으로 결합 됨과 아울러 고정구 타측 및 걸림바케이스가 마주하는 측 사이에 구비되어 걸림바에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주배전반도어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걸림바의 일측이 닿아 걸림바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부속배전반도어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걸림바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바케이스와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바케이스의 상하부 및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슬라이딩판 및 걸림판 각각에 슬라이딩판 및 걸림판이 마주하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판 및 걸림판 각각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지지판 및 걸림지지판과, 상기 걸림바케이스 한 쌍의 각각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바케이스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지지판과, 상기 고정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걸림바가 통공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 됨과 아울러 각각은 마주하는 반대 측이 걸림바케이스에 고정되고, 걸림바케이스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판형의 지지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는 걸림바케이스, 걸림바, 스프링, 슬라이딩판 및 걸림판으로 인해 다수개의 도어가 어느 일 방향으로 순차적 열림 가능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우선 개방되는 도어를 지정하여 차단기를 제어한 후 나머지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것이 방지되며, 도어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의 필수 수량도 적어짐과 아울러 다수개의 도어를 잠금 또는 개폐하는 시간 또한 절약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정면 개략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는 내측에 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이 구비되며,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주배전반도어(10) 및 주배전반도어(10) 타측 방향으로 부속배전반도어(12)가 구비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 사이 후방에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와 이격되어 평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를 구획 짓도록 형성된 판형의 지지대(14)가 구비되는 배전반(2)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2)의 지지대(14)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내측에는 관통공(16)이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18)와, 상기 걸림바케이스(18) 한 쌍의 관통공(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상으로 삽입 구비되며, 일측에서 이격된 외주연에는 관통공(16)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고정구(20)를 갖는 환봉 형상의 걸림바(22)와, 상기 걸림바(22)의 외주연에 축 상으로 결합 됨과 아울러 고정구(20) 타측 및 걸림바케이스(18)가 마주하는 측 사이에 구비되어 걸림바(22)에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4)과, 상기 주배전반도어(10)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걸림바(22)의 일측이 닿아 걸림바(2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판(26)과, 상기 부속배전반도어(12)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걸림바(22)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장공(28)이 형성되는 걸림판(30)과, 상기 걸림바케이스(18)와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바케이스(18)의 상하부 및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32)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배전반(2)의 내측에는 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전반(2)의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주배전반도어(10) 및 주배전반도어(10) 타측 방향으로 부속배전반도어(12)가 구비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 사이 후방에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와 이격되어 평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를 구획 짓도록 형성된 판형의 지지대(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서의 배전반(2)에 구비되는 주배전반도어(10), 부속배전반도어(12) 및 지지대(14)는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나 다수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며, 다수개가 형성될 시에는 배전반(2)에 부속배전반도어(12) 및 지지대(14)만이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배전반(2)의 지지대(14)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내측에는 관통공(16)이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바케이스(18) 한 쌍의 각각에는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바케이스(18)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지지판(3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바케이스지지판(38)은 걸림바케이스(18)가 지지대(14)에 용이하게 결합 됨과 아울러 걸림바케이스(18)가 충격에 의해 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후술되는 케이스(32)가 걸림바케이스(18) 및 걸림바케이스지지판(38)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바케이스(18) 한 쌍의 관통공(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상으로 삽입 구비되며, 일측에서 이격된 외주연에는 관통공(16)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고정구(20)를 갖는 환봉 형상의 걸림바(2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걸림바(22)의 양측은 후술되는 슬라이딩판(26) 및 걸림판(30) 상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단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베어링이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각각 통공(40)이 형성되어 걸림바(22)가 통공(4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 됨과 아울러 각각은 마주하는 반대 측이 걸림바케이스(18)에 고정되는 판형의 지지구(4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구(42)는 통상적으로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18)가 걸림바(22), 고정구(20) 또는 후술되는 스프링(24)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걸림바케이스(18)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어 손상을 방지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걸림바(22)의 외주연에 축 상으로 결합 됨과 아울러 고정구(20) 타측 및 걸림바케이스(18)가 마주하는 측 사이에 구비되어 걸림바(22)에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4)이 구비된다.
상기 주배전반도어(10)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걸림바(22)의 일측이 닿아 걸림바(2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판(2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판(26)에는 슬라이딩판(26) 일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판(26)을 지지하는 슬라이딩지지판(34)이 형성됨으로써 판형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판(26)이 주배전반도어(10) 상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부속배전반도어(12)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걸림바(22)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장공(28)이 형성되는 걸림판(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판(30)에 형성되는 장공(28)은 전후방으로 길게 관통 형성됨으로써 걸림바(22)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판(30)에는 걸림판(30)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걸림판(30)을 지지하는 걸림지지판(36)이 형성됨으로써 판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판(30)이 부속주배전반도어(12) 상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바케이스(18)와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바케이스(18)의 상하부 및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2)는 작업자가 스프링(24)에 끼이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바케이스(18) 및 걸림바케이스지지판(38)이 충격에 의해 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4)의 작동 순서 및 작동 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를 열기 위해서는 먼저, 주배전반도어(10)를 작업자가 열면 도 2에서와 같이 걸림바(22)가 스프링(24)의 장력에 의해 슬라이딩판(26)에서 슬라이딩 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걸림바(22)의 이동에 의해 걸림판(30)의 장공(28)에서 걸림바(22)가 빠져나가 부속배전반도어(12)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4)는 걸림바케이스(18), 걸림바(22), 스프링(24), 슬라이딩판(26) 및 걸림판(30)으로 인해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가 순차적 열림 가능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우선 개방되는 주배전반도어(10)를 지정하여 차단기를 제어한 후 나머지 도어인 부속배전반도어(1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것이 방지되며, 도어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도 주배전반도어(10)에만 필요한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잠금장치가 줄어듬으로 도어를 잠금 또는 개폐하는 시간 또한 절약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배전반 4 : 순차오픈장치
10 : 주배전반도어 12 : 부속배전반도어
14 : 지지대 16 : 관통공
18 : 걸림바케이스 20 : 고정구
22 : 걸림바 24 : 스프링
26 : 슬라이딩판 28 : 장공
30 : 걸림판 32 : 케이스
34 : 슬라이딩지지판 36 : 걸림지지판
38 : 걸림바케이스지지판 40 : 통공
42 : 지지구

Claims (5)

  1. 내측에 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이 구비되며,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주배전반도어(10) 및 주배전반도어(10) 타측 방향으로 부속배전반도어(12)가 구비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 사이 후방에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와 이격되어 평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주배전반도어(10) 및 부속배전반도어(12)를 구획 짓도록 형성된 판형의 지지대(14)가 구비되는 배전반(2)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2)의 지지대(14)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내측에는 관통공(16)이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18);
    상기 걸림바케이스(18) 한 쌍의 관통공(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상으로 삽입 구비되며, 양측에는 각각 베어링이 구비되고, 일측에서 이격된 외주연에는 관통공(16)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고정구(20)를 갖는 환봉 형상의 걸림바(22);
    상기 걸림바(22)의 외주연에 축 상으로 결합 됨과 아울러 고정구(20) 타측 및 걸림바케이스(18)가 마주하는 측 사이에 구비되어 걸림바(22)에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4);
    상기 주배전반도어(10)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걸림바(22)의 일측이 닿아 걸림바(2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판(26);
    상기 부속배전반도어(12)의 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걸림바(22)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장공(28)이 형성되는 걸림판(30);
    상기 걸림바케이스(18)와 결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바케이스(18)의 상하부 및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32);
    상기 슬라이딩판(26) 및 걸림판(30) 각각에 슬라이딩판(26) 및 걸림판(30)이 마주하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판(26) 및 걸림판(30) 각각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지지판(34) 및 걸림지지판(36);
    상기 걸림바케이스(18) 한 쌍의 각각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바케이스(18)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바케이스지지판(38);
    상기 고정구(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각각 통공(40)이 형성되어 걸림바(22)가 통공(4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 됨과 아울러 각각은 마주하는 반대 측이 걸림바케이스(18)에 고정되고, 걸림바케이스(18)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판형의 지지구(4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0704A 2018-04-07 2018-04-07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 KR10191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704A KR101919277B1 (ko) 2018-04-07 2018-04-07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704A KR101919277B1 (ko) 2018-04-07 2018-04-07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277B1 true KR101919277B1 (ko) 2018-11-15

Family

ID=6436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704A KR101919277B1 (ko) 2018-04-07 2018-04-07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203A (ko) 2018-11-19 2020-05-27 (주)오리엔탈정공 전기함 도어용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69Y1 (ko) * 2002-03-30 2002-07-13 엘지산전 주식회사 열반형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장치
KR101598422B1 (ko) * 2014-12-03 2016-02-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원방 핸들 조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69Y1 (ko) * 2002-03-30 2002-07-13 엘지산전 주식회사 열반형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장치
KR101598422B1 (ko) * 2014-12-03 2016-02-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원방 핸들 조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203A (ko) 2018-11-19 2020-05-27 (주)오리엔탈정공 전기함 도어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8052B1 (en) Electrical cabinet assembly and seal assembly therefor
KR102099072B1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US7724507B2 (en) Arc flash enclosure
US20150263492A1 (en) Electrical enclosure including an integrated dead front and door
KR101919277B1 (ko) 배전반용 다중 도어의 순차오픈장치
KR200485961Y1 (ko) 배전반 함체 도어 고정장치
DE102010025240A1 (d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Schaltschranktür
EP3919709B1 (en) Panel door lockout
EP2843781B1 (en) Door locking means for an electrical switchboard cabinet
JP2010252561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N103515845B (zh) 用于将电气设备锁定在导轨上的装置以及电气开关设备
JP2018057062A (ja) スイッチギヤ
KR20150096878A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20150089777A (ko) 배전반
JP3455074B2 (ja) 配電盤用引出形接地装置
JP6434831B2 (ja) スイッチギヤ用絶縁バリア
JP3477998B2 (ja) 分電盤
JPH0730511U (ja) 電気操作盤
CN210925902U (zh) 用于空气断路器的ip罩及空气断路器
GB2080383A (en) Vandal-resistant Control Box
KR101689951B1 (ko) 셔터 및 푸시 타입 도어를 구비한 배전반
JP3591276B2 (ja) 分電盤
JPH083302Y2 (ja) 机における配線ダクトの支持構造
CN210244551U (zh) 一种具有防盗装置的电气控制柜
JP5302580B2 (ja) 厨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