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969B1 -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 Google Patents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969B1
KR101918969B1 KR1020160051714A KR20160051714A KR101918969B1 KR 101918969 B1 KR101918969 B1 KR 101918969B1 KR 1020160051714 A KR1020160051714 A KR 1020160051714A KR 20160051714 A KR20160051714 A KR 20160051714A KR 101918969 B1 KR101918969 B1 KR 101918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unit
air
sludge
cylindr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565A (ko
Inventor
양회남
Original Assignee
양회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회남 filed Critical 양회남
Priority to KR102016005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96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B01F7/24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10Temperature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 C02F2301/106Thermophil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생물 반응조는 바닥면이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호퍼부를 가지는 탱크부와; 탱크부의 중심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단부과 탱크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의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원통부재와, 상기 가이드원통부재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며 양단부가 탱크부에 지지되는 구동축과, 상기 가이드원통부재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측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탱크부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상하교반부와; 상기 탱크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호퍼부를 감싸는 챔버와,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호퍼부를 가열하여 호퍼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가열유닛과; 상기 반응조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외부 공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부와, 상기 챔버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퍼부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유닛과,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원통부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펄스발생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Bio-Reactor}
본 발명은 미생물 반응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반응조 내부에서의 미생물의 활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기와의 접촉력을 높일 수 있는 미생물 반응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환경오염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배출되는 하수, 폐수, 오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의 처리를 위한 시설 역시 고도화되고 처리비용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완전히 처리되지 않은 하, 폐수 중의 수질오염물질이 하천이나 호소(湖沼)를 비롯한 기타 상수원에 유입됨에 따라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현재 하,폐수의 정화처리기술로는 여과설비, 약품응집, 침전, 산화처리 등의 물리화학적인 방법과, 활성슬러지가 저류된 생물반응조 내에서 미생물의 대사과정을 극대화하여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있는데, 상기 물리화학적인 방법은 기존 처리시설 설비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높은 효율의 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비용대비 처리효율 측면에서 물리.화학적 방법보다 유리하여 중소규모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하.폐수를 처리하는 주 처리공정으로 국내외 대부분의 하.폐수 처리공정에 이용되고 있다.
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중, 기본공법이 되고 있는 표준활성슬러지법은 크게 최초침전지와 폭기조 그리고 최종침전지로 시설을 구성하여 공정을 수행한다. 반면, 하.폐수의 유입-미생물반응-침전-배출공정이 단일 반응조 내에서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회분식 반응조(SBR; sequencing batch reactor)는, 주반응조로 단일 반응조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폐수 처리시설의 부지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침전지를 별도로 수용할 필요가 없고 자동화 시설에 의한 가동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인건비가 절감된다는 장점들로 인하여 현재 중소규모 이상의 하.폐수처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 방법이다. 특히 이러한 하.폐수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미생물을 통하여 감량시키거나 건조 처리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 1097139호에는 섬모볼담체 내장형 혐기/무산소성 미생물 반응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65678호에는 상향류식 혐기성 반응조를 사용하여 혐기성 미생물을 반송함으로써 하수소화 슬리지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306665호에는 미생물 반응조 및 배수처리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미생물 반응조는 대부분 슬러지 전체를 교반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교반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공기와 슬러지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슬러지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접착력으로 교반기 내부에 슬러지가 엉겨붙는 고착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미생물 반응기는 교반기의 외부에 히팅 설비를 설치하여 가열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열에 따른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교반기의 각 부위에서 균일한 미생물 활성도를 얻을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5471 및 공개특허 10-2010-0127984는 하폐수의 질소/인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상향류 생물반응조 및 장방형 상향류 혐기/무산소성 반응조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 1097139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러지를 하부측에서 가열함과 아울러 상하부로 교반시킴으로써 반응조 전 영역에서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슬러지가 반응조 내부에 부착되어 미생물 반응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를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 반응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기와 히터를 이용하여 반응조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도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열에너지를 최대한 이용하여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생물 반응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반을 위한 슬러지의 교반 방향을 미생물 반응이 최적화된 하부에서 상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반효율과 미생물 활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생물 반응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생물 반응조는
바닥면이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호퍼부를 가지는 탱크부와; 탱크부의 중심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단부와 탱크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의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원통부재와, 상기 가이드 원통부재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며 양단부가 탱크부에 지지되는 구동축과, 상기 가이드원통부재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측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스크류 부재와, 상기 탱크부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상하교반부와;
상기 탱크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호퍼부를 감싸는 챔버와,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호퍼부를 가열하여 호퍼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가열유닛과;
상기 반응조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외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부와,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퍼부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유닛과;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원통부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슬러지가 부착 및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펄스 발생유닛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슬러지에 수분이 부족할 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펄스 발생유닛은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와 공급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탱크부의 내부면의 가이드 원통부재, 지지부재 또는 탱크의 내주면과 대응 되도록 설치되는 노즐들과,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여 맥동을 발생시키는 밸브 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챔버의 내부를 경유하여 챔부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반응조는 하부측에서 미생물이 활성화되는 슬러지를 상부측으로 교반시킴으로써 전 영역에서 미생물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탱크부의 내주면 또는 가이드 원통부재, 지지부재의 표면에 슬러지 및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부의 바닥면에 슬러지를 상부측으로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미생물과 슬러지를 투입하여 지속적인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슬러지를 발효건조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조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생물 반응조의 단면도,
본 발명은 축산폐수, 음식물, 각종 산업시설, 오폐수처리장, 화학공장 등에 설치되어 점도가 높은 유기성 슬러지를 미생물과 혼합하여 발효 또는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조의 일부절제 사시도이고, 도 2는 미생물 반응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조(10)는 원통형을 이루며, 바닥면이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호퍼부(12)를 가지는 탱크부(1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부(11)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슬러지를 상.하방향으로 순환 및 교반시키는 상.하교반부(20)를 구비한다.
그리고 미생물 반응조(10)는 상기 탱크부(11)의 하부에 위치되는 호퍼부(12)를 감싸는 챔버(31)와, 챔버(31)의 내부에 설치되어 호퍼부(12)를 가열하여 호퍼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가열유닛(30)과, 상기 탱크부(1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외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부(41)와, 상기 챔내(31)부의 공기를 상기 호퍼부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유닛(40)과, 상기 탱크부(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원통부재(21)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5)에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펄스 발생유닛(5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부(11)상부측에는 슬러지의 상태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수분공급유닛(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조(10)의 탱크(11)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은 중앙부측을 향하여 경사진 호퍼부(hopper,12)를 구비한다. 상기 호퍼부(12)에는 슬러지의 배출을 위한 배출밸브(1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부(11)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상하 교반부(20)는 탱크부(11)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원통부재(21)가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원통부재(21)의 하단부는 상기 탱크부(11)의 하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의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원통부재(21)의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구동축(22)이 회전가능하게 설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원통부재(21)와 대응되는 구동축(22)에는 스크류부재(23)가 설치되는데, 이 스크류부재(23)은 더블스크류 즉, 이중나선을 따라 설치되는 이중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부(11)의 상부측에는 상기 구동축(2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4)가 설치되는데, 이 구동모터(24)는 기어드 모터가 이용된다. 상기 가이드원통부재(21)는 상기 스크류부재(23)과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별도의 지지부(25)에 의해 탱크부(11)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원통부재(21)의 상단부측에는 가이드 원통부재(21)을 통하여 유출되는 슬러지를 가능한 탱크부(11) 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원통부재(21)는 구동축의 회전이 상대적으로 빠른 경우, 구동축(22)와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축(22)의 하단부측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호퍼부(12)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부상시킴과 아울러 슬러지를 가이드원통부재(21)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깃(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유닛(30)는 호퍼부(12)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하부측의 슬러지를 가열함으로써 이에 포함(혼합)된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유닛(30)은 상기 탱크부(11)로부터 연장되어 호퍼부(12)를 감싸는 챔버(31)와, 상기 챔버(31)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히터(32)들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31)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히터(32)는 전열히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챔버(31)의 내부에 설치되어 호퍼부(12)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유닛(40)은 상기 탱크부(11)와 연결되는 배기관(42)와, 상기 배기관(42)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스)와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41)과, 상기 외기를 열교환기(41)를 통하여 상기 챔버(31)에 공급하는 것으로, 블로워(44)가 설치되는 공기공급관(45)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유닛(40)은 상기 챔버(31)의 내부와 호퍼부(12)를 연결하여 상기 블로워(44)로부터 챔버(31)에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호퍼부(12)의 하부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공기공급관(46)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열공기공급관(46)에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와, 슬러지가 역류하는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관(45)과 가열공기공급관(46)의 사이에는 열교환기(41)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외기를 호퍼부(12)에 공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관(47)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펄스발생유닛(50)은 슬러지가 가이드원통부재(21)와 지지부(25) 또는 탱크의 내주면 등에 부착되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펄스발생유닛은 공기 압축기(51)와, 상기 공기 압축기(51)와 공급관(5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탱크부(11)의 내부면의 가이드원통부재(21), 지지부재(25) 또는 탱크부(11)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에어분사노즐(53)들과, 상기 공급관(52)에 설치되어 공기압축기(5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여 맥동을 발생시키는 밸브유닛(54)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분사노즐(53)의 설치위치는 슬러지가 부착되는 성장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유닛(54)은 공기의 흐름의 단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를 짧은 시간내에 분사와 차단을 교번시킬 수 있는 로터리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펄스발생유닛(50)의 공급관(52)은 챔버(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를 경유하거나, 챔버(31)의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챔부(31) 내부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가운 외기 공기가 직접 탱크부(11)의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분공급유닛(70)은 교반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슬러지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측정센서(71)와, 탱크부(1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물 분사노즐(72)과, 상기 물 분사노즐(7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펌프(73)와 펌프와 물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물 공급관(74)과, 상기 수분측정센서(51)에 의해 측정된 수분의 함량과 설정된 수분을 비교하여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물 분사노즐(72)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제어부(7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미생물 반응조는 모든 슬러지 탈수기에 연결되어 1차적으로 탈수된 슬러지를 미생물 반응에 의해 발효 및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탱크부(11)의 내부에 미생물과 슬러지 슬러지(200)가 주입된 상태에서 이를 교반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모터(2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30)의 가열히터(32)에 전원을 공급하여 챔버(31)의 공기를 가열한다. 이와 같이하면, 상기 호퍼부(12)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지(200)가열되어 이와 혼합되어 있는 미생물이 온도(설정된 온도 미생물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가 올라감에 따라 활성화된다.
상기 구동모터(24)가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 원통부재(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축(22)가 회전하게 되고, 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이중나선으로 배열 설치되는 스크류부재(23)에 의해 가이드 원통부재(21)의 하부측 유입구로 유입된 후 가이드 원통부재(21)의 상부측 배출구측으로 배출된다. 상부측 배출구측에는 날개 모양의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상부로 올라온 슬러지가 바로 떨어지지 않고 더 먼 곳에서 떨어지게 하여 공기 접촉을 많이 할 뿐만 아니라 교반 효율도 높이이게 된다. 따라서 탱크부(11)의 내의 슬러지는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교반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호퍼부(12)에 의해 가열된 미생물이 활성화된 슬러지는 상기 상하교반부(20)의 가이드원통부재(21)의 하부측으로 유입된 후 상부측으로 이동됨으로서 미생물이 활성되지 않은 슬러지와 혼합 교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탱트부(11)의 내의 전 영역에서 미생물을 활성화 되는 온도로 슬러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유닛(40)의 블로워(44)가 구동되어 외기를 탱크부(11)로부터 배출된 가스와 열교환시킨 후, 챔버(31)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챔버(31)로 공급된 외기는 챔버(31)의 내부에서 가열된 후 가열공기공급관(46)을 통하여 상기 호퍼부(12)에 공급되어 미생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슬러지의 함유율을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교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탱크부(11)의 내부 또는 가이드원통부(21), 지지부(25)에 슬러지가 부착되어 성장하게 되는데, 상기 펄스발생유닛(50)의 분사노즐(53)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단속적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부착된 슬러지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초기에 슬러지가 부착되어 성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노즐(53)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상기 공급관(52)가 가열된 챔버(31)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외기가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53)을 통하여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교반 및 슬러지의 건조(수분감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함수량이 너무 떨어지는 경우, 수분공급유닛(70)에 의해 일정량의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조는 호퍼부(12)를 미생물의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여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상하교반부를 통하여 슬러지를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교반시킴으로써 탱크부(11)의 전영역에서 슬러지를 감량 또는 발효시키기 위한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외기 공기를 가열하여 탱크부에 공급함으로써 슬러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펄스발생유닛을 통하여 탱크내부의 특정부위에 주기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슬러지가 부착 및 적층되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 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축산폐수, 음식물, 화학공장, 폐수처리장치, 산업기계장치 등의 슬러지 소멸, 감량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4)

  1. 바닥면이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호퍼부(12)를 가지는 탱크부(11)와; 탱크부(11)의 중심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단부과 탱크부(11)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의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원통부재(21)와, 상기 가이드원통부재(21)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며 양단부가 탱크부(11)에 지지되는 구동축(22)과, 상기 가이드원통부재(2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측의 구동축(22)에 설치되는 스크류부재(23)와, 상기 탱크부(1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2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4)를 포함하는 상하교반부(20)와;
    상기 탱크부(11)의 하부에 위치되는 호퍼부(12)를 감싸는 챔버(31)와, 챔버(31)의 내부에 설치되어 호퍼부(12)를 가열하여 호퍼부(12)의 내부에 위치되는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가열유닛(30)과;
    상기 탱크부(11)와 연결되는 배기관(42)와, 상기 배기관(42)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41)와, 외기 공기를 열교환기(41)를 통하여 상기 챔버(31)에 공급하는 것으로, 블로워(44)가 설치되는 공기 공급관(45)과, 상기 챔버(31)의 내부와 호퍼부(12)를 연결하여 상기 블로워(44)로부터 챔버(31)에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호퍼부(12)의 하부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공기 공급관(46)을 구비한 공기공급유닛(40)과:
    상기 탱크부(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원통부재(21)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5)에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펄스발생유닛(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1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슬러지에 수분이 부족할 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7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유닛(50)은 공기 압축기(51)와, 상기 공기 압축기(51)와 공급관(5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탱크부(11)의 내부면의 가이드원통부재(21), 지지부재 또는 탱크부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노즐(53)들과, 상기 공급관(52)에 설치되어 압축기(5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여 맥동을 발생시키는 밸브유닛(5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조.
  4. 삭제
KR1020160051714A 2016-04-27 2016-04-27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KR101918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14A KR101918969B1 (ko) 2016-04-27 2016-04-27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14A KR101918969B1 (ko) 2016-04-27 2016-04-27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65A KR20170122565A (ko) 2017-11-06
KR101918969B1 true KR101918969B1 (ko) 2019-02-08

Family

ID=6038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714A KR101918969B1 (ko) 2016-04-27 2016-04-27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40B1 (ko) * 2019-08-23 2021-09-27 엠코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10671923B (zh) * 2019-09-26 2020-09-18 艾特克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竖式无动力螺旋搅拌生物干化装置及方法
KR102098046B1 (ko) * 2019-12-16 2020-05-26 (주)케이이씨시스템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수직원통형 혐기성 소화장치
KR102663362B1 (ko) * 2023-06-20 2024-05-10 김윤동 자동제어로 슬러지를 소멸시키는 미생물 반응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018B1 (ko) * 2011-12-21 2013-06-07 루센에코로 주식회사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KR101587265B1 (ko) * 2015-06-04 2016-01-21 (주)엔티스 슬러지 교반 및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018B1 (ko) * 2011-12-21 2013-06-07 루센에코로 주식회사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KR101587265B1 (ko) * 2015-06-04 2016-01-21 (주)엔티스 슬러지 교반 및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65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969B1 (ko)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KR101743564B1 (ko) 슬러지 탈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슬러지 소멸 및 감량장치
US7329539B2 (en) Bioreactor for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KR100762919B1 (ko) 하·폐수의 재이용수 고도처리방법 및 장치
US6203701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iosolids from wastewater treatment
US20220064036A1 (en) Control System for Optimizing Mixing and Energy Usage for Mixing Systems
KR102054380B1 (ko)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6719903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iosolids from wastewater treatment
KR100397697B1 (ko) 폐수처리장치용 혐기반응조
KR100453806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정화처리 장치 및 방법
RU2408546C2 (ru) Метантенк для анаэробной обработки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KR101156056B1 (ko) 수처리 장치
KR102213606B1 (ko) 슬러지 감량 처리시스템
KR100498882B1 (ko) 축산폐수 전처리 장치
RU185403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мышлен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шлам-лигнина
KR101310398B1 (ko) 연속회분식 장기폭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ㆍ오수 처리방법
KR100407871B1 (ko) 폐타이어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KR101126619B1 (ko) 폭기.교반.액이송 장치가 구비된 mbr 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공법
KR200456547Y1 (ko)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583166B1 (ko) 소화효율 향상을 위한 혐기성 소화조
KR101205883B1 (ko) 막분리조의 폭기된 공기를 재이용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KR102591658B1 (ko) 유기성폐기물 혐기성소화 시스템
KR102663362B1 (ko) 자동제어로 슬러지를 소멸시키는 미생물 반응조
KR101161165B1 (ko) 고효율 오폐수 처리장치
CN215480018U (zh) 一种新型ao生物反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42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6

Effective date: 201809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