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547Y1 -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547Y1
KR200456547Y1 KR2020090013837U KR20090013837U KR200456547Y1 KR 200456547 Y1 KR200456547 Y1 KR 200456547Y1 KR 2020090013837 U KR2020090013837 U KR 2020090013837U KR 20090013837 U KR20090013837 U KR 20090013837U KR 200456547 Y1 KR200456547 Y1 KR 200456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oxygen
waste water
pipe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265U (ko
Inventor
연기능
Original Assignee
연기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기능 filed Critical 연기능
Priority to KR2020090013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4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처리조 내부에 잔류하는 미생물의 이화 및 동화작용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함과 아울러 처리조 내부에 있는 물질이 혼합되도록 교반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산소의 공급과 함께 무기응집제를 주입할 수 있어 생물학적으로 처리가 어려운 총인의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초기 투자비용이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전력사용을 감소시켜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고, 처리조의 깊이를 깊게 형성함으로써, 단일 처리조 내에서 호기 무산소 혐기 영역이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순환되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지의 사용 면적이 적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가 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오폐수가 상부로 유입되어 채워지고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용기형상의 처리조와, 처리조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 내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부와, 오폐수유입부와 연결되고 오폐수를 순환시키면서 외부에서 주입되는 산소 및 약품을 오폐수에 혼합시키는 순환혼합부와, 순환혼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순환혼합부를 통해 안내된 오폐수와 산소 및 약품을 교반하는 교반부 및, 처리조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 내의 수심에 관계없이 교반부가 수면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순환혼합부를 부상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DEVICE USING AIR BUOYANCY}
본 고안은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인구 증가로 인해 수질의 오염이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하천 및 호수에는 질소와 인 등의 영양염류의 유입이 증가되면서 상수원이 급속하게 오염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가정 등에서 발생되는 하수, 오수, 분뇨 및 쓰레기 침출수 등과 같은 폐수는 공기를 분산 배출하는 포기장치가 설치된 포기조에 유입되어 분산 배출되는 공기를 받아서 성장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기물덩어리와 정화되는 물로 분리된다.
그런데, 종래 포기장치는 생물 반응조 내부에 별도의 산기관을 설치하고, 산기관에 의해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나, 산기 방식에 따라 산소의 전달효율이 각각 다르게 되고 반응조 수심에 제한이 있으며 산기관 고장 시 산기관 교체에 위 해 생물 반응조를 비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터빈의 회전에 의한 산소전달 효율이 높은 표면포기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산소전달 효율에 비하여 많은 동력을 소모하고 수심이 깊을수록 교반능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총인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기응집제를 효율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방안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처리조 내부에 잔류하는 미생물의 이화 및 동화작용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함과 아울러 처리조 내부에 있는 물질이 혼합되도록 교반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산소의 공급과 함께 무기응집제를 주입할 수 있어 생물학적으로 처리가 어려운 총인의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초기 투자비용이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전력사용을 감소시켜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고, 처리조의 깊이를 깊게 형성함으로써, 단일 처리조 내에서 호기 무산소 혐기 영역이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순환되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지의 사용 면적이 적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오폐수가 상부로 유입되어 채워지고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용기형상의 처 리조와, 처리조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 내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부와, 오폐수유입부와 연결되고 오폐수를 순환시키면서 외부에서 주입되는 산소 및 약품을 오폐수에 혼합시키는 순환혼합부와, 순환혼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순환혼합부를 통해 안내된 오폐수와 산소 및 약품을 교반하는 교반부 및, 처리조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 내의 수심에 관계없이 교반부가 수면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순환혼합부를 부상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오폐수유입부는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는 처리조 내의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처리조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오폐수유입관을 구비하고,
순환혼합부는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 내측이 오폐수유입관의 상부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순환안내관과,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제 1 순환안내관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순환안내관과, 제 1 순환안내관과 제 2 순환안내관 사이에 배치되는 약품유입관, 산소유입관 및 혼합유입관을 구비하며, 약품유입관은 제 1 순환안내관의 상부에 배치되고, 산소유입관은 약품유입관의 상부에 배치되며, 혼합유입관은 산소유입관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순환안내관, 약품유입관, 산소유입관 및 혼합유입관의 하부는 통상의 플랜지형 관 이음방법을 통해 연결되며, 혼합유입관의 상부 및 제 2 순환안내관의 하부는 용접을 통해 연결되고, 약품유입관의 방사상 일측에는 처리조의 외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약품주입관의 연장단부가 연결 장착되며, 산소유입관의 방사상 일측에는 처리조의 외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산소주입관의 연장단부가 연결 장착되고,
교반부는 제 2 순환안내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순환혼합부를 통해 안내되는 오폐수와 산소, 그리고 약품을 교반하는 터빈과, 제 2 순환안내관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는 터빈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지지부는 처리조의 수심에 관계없이 교반부가 수면과 이격되게 할 수 있도록 제 2 순환안내관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는 공기탱크를 구비하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지의 사용면적이 적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여 운영비가 적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처리조 내부에 잔류하는 미생물의 이화 및 동화작용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함과 아울러 처리조 내부에 있는 물질이 혼합되도록 교반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산소의 공급과 함께 무기응집제를 주입할 수 있어 생물학적으로 처리가 어려운 총인의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는, 오폐수가 상부로 유입되어 채워지고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용기형상의 처리조(110)와, 처리조(110)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110) 내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부(120)와, 오폐수유입부(120)와 연결되고 오폐수를 순환시키면서 외부에서 주입되는 산소 및 약품을 오폐수에 혼합시키는 순환혼합부(130)와, 순환혼합부(1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순환혼합부(130)를 통해 안내된 오폐수와 산소 및 약품을 교반하는 교반부(150) 및, 처리조(110) 내에 배치되고, 처리조(110) 내의 수심에 관계없이 교반부(150)가 수면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순환혼합부(130)를 부상되게 지지하는 지지부(180)로 이루어진다.
먼저, 오폐수유입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는 오폐수유입관(122)을 구비한다. 오폐수유입관(122)의 하부는 처리조(110) 내의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처리조(1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처리조(110)의 바닥면 상에는 지지원판(112)이 마련되고, 오폐수유입관(122)의 하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지지원판(112)과 마주보는 제 1 플랜지(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원판(112)과 제 1 플랜지(124) 사이에는 지지원판(112)과 제 1 플랜지(124)의 간격을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통상의 스테이볼트(126)가 체결된다. 즉 처리조(110) 내부의 오폐수는 지지원판(112)과 제 1 플랜지(124) 사이를 통해 오폐수유입관(122)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오폐수유입관(122)에는 순환혼합부(130)가 배치된다.
순환혼합부(130)는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 내측이 오폐수유입관(122)의 상부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순환안내관(132)과,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제 1 순환안내관(132)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순환안내관(134)을 구비한다. 또한 순환혼합부(130)는 제 1 순환안내관(132)과 제 2 순환안내관(134) 사이에 배치되는 약품유입관(136), 산소유입관(138) 및 혼합유입관(140)을 더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유입관(136)은 제 1 순환안내관(132)의 상부에 배치되고, 산소유입관(138)은 약품유입관(136)의 상부에 배치되며, 혼합유입관(140)은 산소유입관(138)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제 1 순환안내관(132), 약품유입관(136) 및 산소유입관(138) 및 혼합유입관(140)의 하부는 통상의 플랜지형 관 이음방법을 통해 연결되며, 혼합유입관(140)의 상부 및 제 2 순환안내관(134)의 하부는 용접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약품유입관(136) 및 산소유입관(138)의 내주면에는 약품유입관(136) 및 산소유입관(138)의 내주면 하부에서 내주면 상부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되는 제 1 이젝터(142) 및 제 2 이젝터(144)가 제공되며, 혼합유입관(140)은 오폐수, 산소 및 약품의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한편, 약품유입관(136)의 방사상 일측에는 처리조(110)의 외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약품주입관(146)의 연장단부가 연결 장착되고, 산소유입관(138)의 방사상 일측에는 처리조(110)의 외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산소주입관(148)의 연장단부가 연결 장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부를 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반부(150)는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순환혼합부(130)를 통해 안내되는 오폐수와 산소, 그리고 약품을 교반하는 터빈(166)과,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는 터빈(166)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케이스(152)를 구비한다.
케이스(152)는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에 연결되는 유체배출관(154) 및 유체배출관(154)의 상부를 덮는 덮개판(156)을 구비한다. 유체배출관(154)의 하부는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와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제 2 플랜지(158)가 형성되고 유체배출관(154)의 하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제 2 플랜지(158)와 나사 결합되는 제 3 플랜지(1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체배출관(154)의 상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덮개판(156)이 나사 결합되는 제 4 플랜지(162)가 형성되는데, 제 4 플랜지(162)와 덮개판(156) 사이에는 터빈(166)에 의해서 교반된 유체를 충돌되어 확산되게 하는 다수의 배출블록(164)이 등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다수의 배출블록(164)은 덮개판(156)과 제 4 플랜지(162)를 결합시키는 나사에 의해서 덮개판(156)과 제 4 플랜지(162) 사이에 고정 장착된다.
한편, 터빈(166)은 유체배출관(154)의 내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터빈몸체(168)와, 터빈몸체(168)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터빈날개(170)로 이루어진다.
터빈몸체(168)는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 대략 "∨"자 형상 을 가지는데, 터빈몸체(168)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체배출관(154)의 내주면도 대략 "∨"자 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유체배출관(154)의 내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터빈몸체(168)의 상부에는 덮개판(156)의 중심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회전핀(172)이 끼워진다. 한편,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터빈날개(170)는 터빈몸체(168)의 하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서 터빈몸체(168)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는데, 이러한 터빈날개(170)는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점점 넓어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나선형의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부(180)는 처리조(110)의 수심에 관계없이 교반부(150)가 수면과 이격되게 하는 공기탱크(182)를 구비한다. 공기탱크(182)는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공기탱크(182)의 상부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부력조정물주입구(184)가 형성되며, 부력조정물주입구(184)는 뚜껑(186)에 의해서 마감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탱크(182)는 지지구조체(188)에 의해 지지되는데, 지지구조체(188)는 처리조(110)의 내주면 상부에서 내주면 하부 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한 환봉 형상의 4개의 가이드레일(190)과, 가이드레일(190)을 감싸면서 가이드레일(190)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블록(192)과, 가이드블록(192)과 공기탱크(18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194)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레일(190) 및 브라켓(194)은 약품주입관(146) 및 산소주입관(148)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처리조(110) 내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하거나 또는, 처리수의 배출로 수위가 내려가더라도 교반부(150)는 공기탱크(182)의 부력에 의해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즉 처리조(110) 내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의해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순환혼합부(130) 및 교반부(150)는 공기탱크(182)의 부력에 의해 가이드레일(190)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수위가 내려가면, 순환혼합부(130) 및 교반부(150)는 공기탱크(182)의 부력에 의해 가이드레일(190)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처리조(11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더라도 순환혼합부(130)의 제 1 순환안내관(132)은 오폐수유입관(12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처리조(110) 내에 오폐수가 유입되면, 처리조(110) 내의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산소주입관(148)을 통해 산소를 주입하게 된다. 산소가 산소주입관(148) 측으로 주입되면, 산소량에 비례하여 부력이 발생되는데, 그 결과 주입된 산소는 산소유입관(138), 제 2 순환안내관(134) 내의 오폐수를 교반부(150) 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약품주입관(146)을 통해 약품이 유입됨과 아울러 오폐수유입관(122)을 통해 처리조(110) 내의 오폐수가 유입되어 연속적으로 순화하게 된다.
한편, 산소가 유입되면, 오폐수와 산소 및 약품은 순간적으로 혼합된 후 터빈(166)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터빈(166) 측으로 안내된 혼합유체는 처리조(110) 내로 배출되면서 터빈(166) 및 배출블록(164)에 의해 흐름이 변경되어 난 류를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난류는 산소와 원활하게 접촉하여 단단한 응집 플록이 만들어지게 한다.
전술한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가 지속적으로 운전이 이루어지면 처리조(110) 내의 오폐수는 순환되어 균등화되고, 그로 인하여 최적의 처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심을 깊게 하고 산소 유입량을 조절하면 단일 처리조(110) 내에서 호기, 무산소, 혐기 영역을 형성할 수 있어 단일 처리조(110)로 높은 고도처리 효율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총인을 제거하기 위해 주입되는 약품과 효과적인 교반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부를 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110 : 처리조
120 : 오폐수유입부 122 : 오폐수유입관
130 : 순환혼합부 132 : 제 1 순환안내관
134 : 제 2 순환안내관 136 : 약품유입관
138 : 산소유입관 150 : 교반부
152 : 케이스 166 : 터빈
180 : 지지부 182 : 공기탱크

Claims (5)

  1. 오폐수가 상부로 유입되어 채워지고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용기형상의 처리조(110)와, 상기 처리조(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조(110) 내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부(120)와, 상기 오폐수유입부(120)와 연결되고 오폐수를 순환시키면서 외부에서 주입되는 산소 및 약품을 오폐수에 혼합시키는 순환혼합부(130)와, 상기 순환혼합부(1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혼합부(130)를 통해 안내된 오폐수와 산소 및 약품을 교반하는 교반부(150) 및, 상기 처리조(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조(110) 내의 수심에 관계없이 상기 교반부(150)가 수면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순환혼합부(130)를 부상되게 지지하는 지지부(180)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폐수유입부(120)는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는 상기 처리조(110) 내의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조(1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오폐수유입관(122)을 구비하고,
    상기 순환혼합부(130)는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 내측이 상기 오폐수유입관(122)의 상부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순환안내관(132)과,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상기 제 1 순환안내관(132)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순환안내관(134)과, 상기 제 1 순환안내관(132)과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 사이에 배치되는 약품유입관(136), 산소유입관(138) 및 혼합유입관(140)을 구비하며, 상기 약품유입관(136)은 상기 제 1 순환안내관(13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산소유입관(138)은 상기 약품유입관(136)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유입관(140)은 상기 산소유입관(138)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순환안내관(132), 상기 약품유입관(136) 및 상기 산소유입관(138) 및 상기 혼합유입관(140)의 하부는 통상의 플랜지형 관 이음방법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혼합유입관(140)의 상부 및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의 하부는 용접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약품유입관(136)의 방사상 일측에는 상기 처리조(110)의 외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약품주입관(146)의 연장단부가 연결 장착되며, 상기 산소유입관(138)의 방사상 일측에는 상기 처리조(110)의 외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산소주입관(148)의 연장단부가 연결 장착되고,
    상기 교반부(150)는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순환혼합부(130)를 통해 안내되는 오폐수와 산소, 그리고 약품을 교반하는 터빈(166)과,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는 터빈(166)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케이스(152)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180)는 상기 처리조(110)의 수심에 관계없이 상기 교반부(150)가 수면과 이격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는 공기탱크(1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110)의 바닥면 상에는 지지원판(112)이 마련되고, 상기 오폐수유입관(122)의 하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상기 지지원판(112) 과 마주보는 제 1 플랜지(12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원판(112)과 상기 제 1 플랜지(124)에는 상기 지지원판(112)과 상기 제 1 플랜지(124)의 간격을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통상의 스테이볼트(126)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유입관(136) 및 상기 산소유입관(138)의 내주면에는 상기 약품유입관(136) 및 상기 산소유입관(138)의 내주면 하부에서 내주면 상부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되는 제 1 이젝터(142) 및 제 2 이젝터(144)가 제공되며, 상기 혼합유입관(140)은 오폐수, 산소 및 약품의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52)는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에 연결되는 유체배출관(154) 및 상기 유체배출관(154)의 상부를 덮는 덮개판(156)을 구비하며, 상기 유체배출관(154)의 하부는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와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상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제 2 플랜지(158)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배출관(154)의 하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상기 제 2 플랜지(158)와 나사 결합되는 제 3 플랜지(160)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배출관(154)의 상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상기 덮개판(156)이 나사 결합되는 제 4 플랜지(162)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플랜지(162)와 상기 덮개판(156) 사이에 는 상기 터빈(166)에 의해서 교반된 유체를 충돌되어 확산되게 하는 다수의 배출블록(164)이 등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다수의 상기 배출블록(164)은 상기 덮개판(156)과 상기 제 4 플랜지(162)를 결합시키는 나사에 의해서 상기 덮개판(156)과 상기 제 4 플랜지(162) 사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터빈(166)은 상기 유체배출관(154)의 내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터빈몸체(168)와, 상기 터빈몸체(168)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터빈날개(170)로 이루어지며, 상기 터빈몸체(168)는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탱크(182)는 상기 제 2 순환안내관(134)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기탱크(182)의 상부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부력조정물주입구(184)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조정물주입구(184)는 뚜껑(186)에 의해서 마감되고, 상기 공기탱크(182)는 지지구조체(188)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지지구조체(188)는 상기 처리조(110)의 내주면 상부에서 내주면 하부 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한 환봉 형상의 4개의 가이드레일(190)과, 상기 가이드레일(190)을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90)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블록(192)과, 상기 가이드블록(192)과 공기탱크(18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19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2020090013837U 2009-10-23 2009-10-23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200456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837U KR200456547Y1 (ko) 2009-10-23 2009-10-23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837U KR200456547Y1 (ko) 2009-10-23 2009-10-23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65U KR20110004265U (ko) 2011-04-29
KR200456547Y1 true KR200456547Y1 (ko) 2011-11-07

Family

ID=4421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837U KR200456547Y1 (ko) 2009-10-23 2009-10-23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76463B (zh) * 2024-02-26 2024-05-28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一种港口码头含油污水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199B1 (ko) 2003-04-29 2006-01-26 (주)에코데이 기체의 용해 및 혼합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199B1 (ko) 2003-04-29 2006-01-26 (주)에코데이 기체의 용해 및 혼합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65U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0327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biological activity in waste treatment in bodies of water
KR100512089B1 (ko)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US82984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llution in a body of water
KR100971998B1 (ko) 혐기성 소화조 장치
KR20060049219A (ko) 수처리 공정 및 장치
CN102180560B (zh) 一种城市污水连续生物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02161554A (zh) 一种厌氧水解酸化和ao-sbr一体化污水处理反应池
KR101012273B1 (ko) 고효율의 선회와류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6071997B2 (ja) 微生物反応槽および排水処理方法
CN101445298A (zh) 改进的uct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918969B1 (ko)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JP6071998B2 (ja) 微生物反応槽
JP5968420B2 (ja) 活性汚泥処理方法および該方法を用いる既存排水処理設備の改修方法
CN102010062B (zh) 双环沟mbr废水处理系统
KR101750449B1 (ko) 고정형 속도가변식 표면포기장치와 부유식 배출장치를 이용한 sbr공법의 소규모 하 폐수 처리장치 및 공정
KR200456547Y1 (ko) 공기부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N201999835U (zh) 一种厌氧水解酸化和ao-sbr一体化污水处理反应池
CN207811353U (zh) 一种节能型曝气池装置
KR100882818B1 (ko) 폭기조
KR200364601Y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CN202912764U (zh) 一种厌氧气搅拌的生物污水处理装置
CN201240940Y (zh) 侧沟式一体化生物反应废水处理装置
JP2010022946A (ja) 汚水処理装置
KR20040092843A (ko) 기체의 용해 및 혼합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CN113461157A (zh) 一种活性污泥导流筒、导流机构及污水处理强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