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140B1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140B1
KR102305140B1 KR1020190141425A KR20190141425A KR102305140B1 KR 102305140 B1 KR102305140 B1 KR 102305140B1 KR 1020190141425 A KR1020190141425 A KR 1020190141425A KR 20190141425 A KR20190141425 A KR 20190141425A KR 102305140 B1 KR102305140 B1 KR 10230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action tank
unit
chamber
organic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639A (ko
Inventor
신경식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엠코 주식회사
신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코 주식회사, 신경식 filed Critical 엠코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6Conditioning fluids entering or exiting the reaction ves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가 형성되고, 유기성 폐기물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호기성 또는 친수성 미생물과 반응시켜 처리하는 용기인 반응조, 상기 반응조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 상기 반응조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반응조 내부로 설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 상기 공기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로 다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순환부, 상기 반응조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응조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반응조가열부, 상기 교반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날개에 유압을 공급하는 교반날개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Organic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켜 처리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성 폐기물(음식물 쓰레기, 축분, 하수슬러지)은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폐기물로써, 인구증가와 생활의 고급화와 함께 최근 그 발생량이 증가추세이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소각, 매립, 퇴비화, 사료화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 중에서 소각의 경우에는 처리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 소각잔재물로 인해 야기되는 2차적인 환경오염, 인체 유입 시 악영향이 있으며, 매립의 경우에는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에 의해 주변 토양 및 하천이 오염되고, 퇴비화 및 사료화의 방법은 가열건조 처리에 많은 연료 소모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성 폐기물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분해시키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유기성 폐기물 분해 시 발생되는 수분 제거를 위한 가열 공기 공급에 있어서 공기 공급 노즐이 자주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노즐 중 일부 노즐이 막히면 나머지 노즐로 공기가 편중되어 공급되어 공기 공급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공기 공급에 있어 노즐 막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공기 공급에 있어 복수 개의 노즐 중 일부 노즐이 막혀 나머지 노즐로 공기가 편중되어 공급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습기와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조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가 형성되고, 유기성 폐기물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호기성 또는 친수성 미생물과 반응시켜 처리하는 용기인 반응조, 상기 반응조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 상기 반응조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반응조 내부로 설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 상기 공기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로 다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순환부, 상기 반응조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응조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반응조가열부, 상기 교반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날개에 유압을 공급하는 교반날개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반응조에서 상기 교반날개에 인접한 일면에 결합된 에어챔버,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는 공기분사노즐, 상기 에어챔버와 상기 공기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열선이 상기 에어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에어챔버히터 및 상기 에어챔버 또는 상기 에어챔버히터에 설치되는 에어챔버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부는 일단이 상기 공기배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관,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반응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배출부블로워,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블로워 사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배출부블로워 하류 측에 위치되는 응축기,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응축기의 하류 측에 위치되는 수분분리기,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는 하류 측에 설치되는 분사부블로워 및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분사부블로워의 상류 측에 위치되는 탈취부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조가열부는 상기 반응조의 외부 저면에 설치되는 워터챔버, 상기 워터챔버의 저면에 설치되는 워터챔버히터 및 상기 워터챔버 또는 워터챔버히터에 설치되는 워터챔버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구동부는 상기 교반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날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 일단이 상기 유압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모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관, 상기 유압공급관에 설치되어, 오일을 공급되게 하는 유압공급유닛 및 상기 유압공급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오일의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기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열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열 공기 공급에 있어 노즐 막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열 공기 공급에 있어 복수 개의 노즐 중 일부 노즐이 막혀 나머지 노즐로 공기가 편중되어 공급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반응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습기와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반응조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반응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에어챔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분사노즐의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작동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표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반응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에어챔버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공기분사노즐의 구조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10)는 반응조(110), 교반날개(120), 공기분사부(130), 공기순환부(140), 반응조가열부(150), 교반날개구동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반응조(110)는 유기성 폐기물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호기성 또는 친수성 미생물과 반응시켜 처리하는 용기이다. 반응조(110)의 일측에는 공기유입부(110a)가 형성된다. 공기유입부(110a)는 외부 공기가 반응조(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유입부(110a)는 반응조(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분사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 차로 인해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110a)는 반응조(110) 내부에 새로운 외부 공기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반응조(110) 내부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이 호기성 또는 친수성 미생물과 반응하여 처리될 수 있다. 반응조(110)의 일측에는 공기배출부(110b)가 형성된다. 일 예로, 공기배출부(110b)는 반응조(110)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공기유입부(110a)가 형성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110b)는 공기순환부(140)와 연결된다. 공기배출부(110b)는 반응조(1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순환부(140)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유입부(110a)는 외부와의 연통이 폐쇄되고, 반응조(110) 내부의 공기를 유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부(110a)로 유입되는 반응조(110) 내부 공기는 별도로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공기배출부(110b)로 배출될 수 있다. 반응조(110)의 내부 일면에는 온도센서(111)와 수분센서(112)가 설치된다. 온도센서(111)는 반응조(110) 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또한, 수분센서(112)는 반응조(110) 내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함량을 감지한다. 이렇게 온도센서(111)와 수분센서(112)에 의해 감지된 반응조(110) 내의 온도 및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함량 데이터를 토대로 후술하는 제어부(170)가 반응조(110) 내의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교반날개(120)는 반응조(110) 내부에 설치된다. 교반날개(120)는 유기성 폐기물을 호기성 또는 친수성 미생물과 교반시킨다. 교반날개(120)의 회전축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교반날개(120)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교반날개(120)는 각각 회전축이 상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교반날개(120)가 회전되는 궤적은 서로 마주하는 영역이 인접하거나 교차되게 제공될 수 있다.
공기분사부(130)는 반응조(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공기분사부(130)는 반응조(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반응조(110) 내부로 설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한다. 공기분사부(130)는 에어챔버(131), 공기분사노즐(132), 체크밸브(133), 에어챔버히터(134) 및 에어챔버온도센서(135)를 포함한다.
에어챔버(131)는 반응조(110)에서 교반날개(120)와 인접한 일면에 결합된다. 일 예로, 에어챔버(131)는 반응조(110)의 저면과 결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에어챔버(131)는 원통형 등과 같은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에어챔버(131)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반응조(110) 내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에어챔버(131)의 외면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에어챔버(131)는 한 쌍의 교반날개(120)가 서로 마주하는 영역의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챔버(131)는 한 쌍의 교반날개(120)의 회전축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다. 에어챔버(131)는 일측이 공기순환부(140)와 연결된다. 에어챔버(131)에는 공기순환부(14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급된다.
공기분사노즐(132)은 에어챔버(131)와 연결되게 제공된다. 공기분사노즐(132)은 반응조(110) 내부로 노출된 에어챔버(131)의 외면에 형성되거나, 반응조(11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반응조(110)의 외면에 고정된 에어챔버(131)와 연결되게 제공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132)은 교반날개(120)의 궤적이 서로 마주하는 영역의 아래에서 반응조(110)의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분사노즐(132)을 통해 에어챔버(131)에 공급된 공기가 반응조(110) 내부로 분사된다. 공기분사노즐(132)은 교반날개(120)의 축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반응조(110) 내부로 분사된 공기가 한 쌍의 교반날개(120) 사이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호기성 또는 친수성 미생물의 활성화가 더욱더 향상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이 향상된다.
체크밸브(133)는 에어챔버(131)와 공기분사노즐(132) 각각을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된다. 체크밸브(133)는 에어챔버(131) 방향에서 설정 압력이 인가되면 에어챔버(131)에서 공기분사노즐(132) 방향으로 개방되게 제공되어, 에어챔버(131) 내의 공기가 공기분사노즐(132)을 통해 반응조(110) 내부로 분사되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공기가 에어챔버(131)에서 반응조(110) 내부로 분사되는 방향을 정방향, 반대 방향을 역방향이라 하여 설명하면, 체크밸브(133)는 공기가 정방향으로 흐를 때만 개방된다. 체크밸브(133)는 공기가 정방향으로 흐르면,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공기분사노즐(132)을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체크밸브(133)는 공기가 역방향으로 흐르면 폐쇄된다. 이에 따라, 공기분사노즐(132)을 통해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조(110) 내부의 물질이 공기분사노즐(132)로 유입되어 공기분사노즐(13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노즐 막힘 현상이 해결됨으로써, 일부 노즐이 막혀 공기가 편중 공급되는 현상을 해결하여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에어챔버히터(134)는 열선이 에어챔버(131)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게 에어챔버(131)에 결합된다. 에어챔버히터(134)는 에어챔버(131)의 내면 또는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에어챔버히터(134)는 에어챔버(131)에 수용된 공기를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가 바로 반응조(110)로 분사된다. 가열된 공기가 바로 반응조(110)로 분사되기 때문에 에어챔버(131) 외부로 열이 발산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열효율이 증가한다.
에어챔버온도센서(135)는 에어챔버(131) 또는 에어챔버(131)의 내부구성에 설치된다. 에어챔버온도센서(135)는 에어챔버의 내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에어챔버히터(134)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챔버온도센서(135)는 에어챔버(131) 내의 온도 또는 에어챔버히터(134)의 가열 온도를 감지한다. 이렇게 에어챔버온도센서(135)에 의해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토대로 후술하는 제어부(170)가 에어챔버(131) 내의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거나, 에어챔버히터(134)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순환부(140)는 반응조(1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반응조(110)로 다시공급되도록 한다. 반응조(1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순환부(14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다. 공기순환부(140)는 공기배출관(141), 배출부블로워(142), 응축기(143), 수분분리기(144), 분사부블로워(145) 및 탈취부(146)를 포함한다.
공기배출관(141)은 일단이 공기배출부(110b)와 연결된다. 또한, 공기배출관(141)은 타단이 에어챔버(131)와 연결된다. 이하, 공기배출관(141)에 있어 공기배출부(110b)와 연결되는 방향을 상류 측이라 하고, 에어챔버(131)와 연결되는 방향을 하류 측이라 한다.
배출부블로워(142)는 공기배출관(141)에 위치되어, 반응조(110)의 내부 공기가 공기배출관(141)으로 흡입되게 한다. 배출부블로워(142)는 공기배출부(110b)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배출부블로워(142)의 유량은 분사부블로워(145)의 유량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배출관(141)에는 반응조(110)의 내부 공기의 흡입과 함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관(141)의 일 지점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벤트 유로가 분기될 수 있다. 벤트 유로에는 제2배출부블로워(142a)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제2배출부블로워(142a)는 공기배출관(141)으로 흡입된 공기를 일부 공기배출관(14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응축기(143)는 공기배출관(141)에 위치되어, 공기배출부(110b)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응결되도록 한다. 응축기(143)는 공기배출부(110b)와 배출부블로워(142) 사이에 위치되거나, 배출부블로워(142)의 하류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응축기(143)는 생략될 수 있다.
수분분리기(144)는 공기배출관(141)에 위치되어, 응축기(143)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잔여 수분이 공기와 분리되도록 한다. 수분분리기(144)는 응축기(143)의 하류 측에 위치된다. 또한, 응축기(143)가 공기배출관(141)에 설치되지 않을 경우, 수분분리기(144)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분분리기(144)는 공기배출관(141)의 상류 측에 위치되고, 배출부블로워(142)는 별도의 관으로 수분분리기(144)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블로워(142)와 수분분리기(144)가 연결되는 별도의 관에는 별도의 공급조절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분사부블로워(145)는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에어챔버(131)로 공급한다. 분사부블로워(145)는 에어챔버(131)와 연결되는 하류 측 단부에 설치된다. 분사부블로워(145)의 유량은 배출부블로워(142)의 유량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부블로워(145)를 통해 공기분사부(130)로 공급되는 공기량은 반응조(110)에서 공기순환부(140)로 배출되는 공기량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량 차로 인해 반응조(110) 내부에는 음압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공기유입부(110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탈취부(146)는 공기배출관(110b)에 위치되어, 공기순환부(140)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냄새 분자를 효과적으로 흡착하거나 미세분자로 쪼개어 악취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탈취부(146)는 공기배출관(141)에서 분기된 벤트 유로에 위치되어, 제2배출부블로워(142a)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탈취부는 제2배출부블로워(142a)가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배출부블로워(142)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반응조가열부(150)는 반응조(110)의 외부면에 형성된다. 반응조가열부(150)는 반응조(110)의 내부 온도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반응조(110)를 가열한다. 적정 온도는 반응조(110)의 내부에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 처리를 위한 약 40 ~ 60℃이다. 반응조가열부(150)는 워터챔버(151), 워터챔버히터(152), 워터챔버온도센서(153)를 포함한다.
워터챔버(151)는 반응조(110)의 외면에 설치된다. 워터챔버(151)는 한 쌍의 교반날개(120)가 위치하는 부분의 하부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워터챔버(151)는 에어챔버(131)의 양 옆에 설치될 수 있다. 워터챔버(151)에는 물이 충진되어 있다.
워터챔버히터(152)는 워터챔버(151)와 열교환 가능하게 설치된다. 워터챔버히터(152)는 워터챔버(151)에 충진된 물을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된 워터챔버(151)에 의해 반응조(110)의 내부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워터챔버온도센서(153)는 워터챔버(151) 또는 워터챔버(151)의 내부구성에설치된다. 워터챔버온도센서(153)는 워터챔버(151)의 내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워터챔버히터(152)에 설치될 수 있다. 워터챔버온도센서(153)는 워터챔버(151) 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렇게 워터챔버온도센서(153)에 의해 감지된 워터챔버(151) 내의 온도 데이터를 토대로 후술하는 제어부(170)가 워터챔버(151) 내의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교반날개구동부(160)는 교반날개(120)를 구동시킨다. 교반날개구동부(160)는 교반날개(120)가 구동되도록 한다. 교반날개구동부(160)는 유압모터(161), 유압공급관(162), 유압공급유닛(163), 방향조절밸브(164) 및 압력조정밸브(165)를 포함한다.
유압모터(161)는 교반날개(120)와 연결된다. 또한, 유압모터(161)는 감속기(R)와 연결되어, 감속기(R)가 교반날개(120)와 연결될 수 있다. 유압모터(161)은 교반날개(12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유압모터(161)는 유압을 공급받아 교반날개(120)를 회전 구동시킨다.
유압공급관(162)의 일단은 유압모터(161)와 연결된다. 이하, 유압공급관(162)에 있어 유압모터(161)와 연결되는 방향을 하류 측이라 하고, 반대 방향을 상류 측이라 한다.
유압공급유닛(163)은 유압공급관(162)에 위치되어, 오일을 공급되게 한다. 유압공급유닛(163)는 유압공급관(162)의 상류 측에 위치된다.
방향조절밸브(164)는 유압공급관(162)에 위치되어, 유압공급유닛(163)을 통해 공급되는 오일의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교반날개(12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게 된다. 방향조절밸브(164)은 유압공급유닛(163)의 하류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압력조정밸브(165)는 유압공급관(162)에 위치된다. 압력조정밸브(165)는 유압공급유닛(163)와 방향조절밸브(16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압력조정밸브(165)는 교반날개(120)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161)의 부하를 압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압력조정밸브(165)는 오일의 압력이 설정 범위가 되도록 조절한다. 압력조정밸브(165)에는 추가로 압력스위치(166)와 압력계(167)가 설치될 수 있다. 유압모터(161)는 유압공급관(162)의 일단에 위치되어, 교반날개(12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압력스위치(166)가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교반날개(120)를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교반날개(120)가 과부하 상태임을 경고등(미도시)를 통해 알릴 수 있다. 또한, 압력계(167)는 공급되는 오일의 현재 압력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작동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10)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에어챔버온도센서(135), 워터챔버온도센서(135)로부터 에어챔버(131) 내부의 온도 및 워터챔버(151) 내부의 온도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에어챔버히터(134) 및 워터챔버히터(152)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압력조정밸브(165)로부터 교반날개구동부(160)에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부(I)로부터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I)는 사용자가 에어챔버(131), 워터챔버(151)의 설정 온도를 설정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입력부(I)는 사용자가 교반날개구동부(160)에 공급되는 오일의 설정량을 설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부(I)를 통해 작동명령이 입력되면, 교반날개구동부(160)를 통해 교반날개(120)의 구동을 조절한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10a)는 공기순환부(140)가 변형된 실시 예이다. 이 실시 예에서는 배출부블로워(142)가 공기배출관(141)의 상류 측에 공기배출부(110b)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응축기(143)가 배출부블로워(142)의 하류 측에 위치된다. 또한, 수분분리기(144)가 응축기(143)의 하류 측에 위치된다.
공기순환부(140) 외의 구성은 도 1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10b)는 공기순환부(140)가 변형된 실시 예이다. 이 실시 예에서는 응축기(143)가 생략된다. 그리고, 수분분리기(144)가 공기배출관(141)의 상류 측에 공기배출부(110b)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배출부블로워(142)는 수분분리기(144)에서 연결되는 별도의 관에 위치된다. 별도의 관에는 별도의 공급조절밸브가 설치된다.
공기순환부(140) 외의 구성은 도 1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러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 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a, 10b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10 : 반응조 100a : 공기유입부
110b : 공기배출부 111 : 온도센서
112 : 수분센서 120 : 교반날개
130 : 공기분사부 131 : 에어챔버
132 : 공기분사노즐 133 : 체크밸브
134 : 에어챔버히터 135 : 에어챔버온도센서
140 : 공기순환부 141 : 공기배출관
142 : 배출부블로워 142a : 제2배출부블로워
143 : 응축기 144 : 수분분리기
145 : 분사부블로워 146 : 탈취부
150 : 반응조가열부 151 : 워터챔버
152 : 워터챔버히터 153 : 워터챔버온도센서
160 : 교반날개구동부 161 : 유압모터
162 : 유압공급관 163 : 유압공급유닛
164 : 방향조절밸브 165 : 압력조정밸브
166 : 압력스위치 167 : 압력계
170 : 제어부 I : 사용자입력부
R : 감속기

Claims (5)

  1.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가 형성되고, 유기성 폐기물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호기성 또는 친수성 미생물과 반응시켜 처리하는 용기인 반응조;
    상기 반응조 내부에 설치되되, 각각의 회전축이 상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회전되는 궤적은 서로 마주하는 영역이 인접하거나 교차되게 제공되는 한 쌍의 교반날개;
    상기 반응조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반응조 내부로 설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
    상기 공기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로 다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순환부;
    상기 반응조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응조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반응조가열부;
    상기 교반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날개를 구동시키는 교반날개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공기순환부와 연결되고 상기 반응조에서 상기 한 쌍의 교반날개에 인접한 일면에 결합되되,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한 쌍의 교반날개가 서로 마주하는 영역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에어챔버;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교반날개의 궤적이 서로 마주하는 영역의 아래에서 반응조의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교반날개의 축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공기분사노즐;
    상기 에어챔버와 상기 공기분사노즐 각각을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챔버 방향에서 설정 압력이 인가되면 상기 에어챔버에서 상기 공기 분사노즐 방향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
    열선이 상기 에어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에어챔버히터; 및
    상기 에어챔버 또는 상기 에어챔버히터에 설치되는 에어챔버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는
    일단이 상기 공기배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관;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반응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배출부블로워;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블로워 사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배출부블로워의 하류 측에 위치되는 응축기;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응축기의 하류 측에 위치되는 수분분리기;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는 하류 측에 설치되는 분사부블로워; 및
    상기 공기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분사부블로워의 상류 측에 위치되는 탈취부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가열부는
    상기 반응조의 외부 저면에 설치되는 워터챔버;
    상기 워터챔버의 저면에 설치되는 워터챔버히터; 및
    상기 워터챔버 또는 워터챔버히터에 설치되는 워터챔버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구동부는
    상기 교반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날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
    일단이 상기 유압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모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관;
    상기 유압공급관에 설치되어, 오일을 공급되게 하는 유압공급유닛; 및
    상기 유압공급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오일의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190141425A 2019-08-23 2019-11-07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305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3611 2019-08-23
KR1020190103611 2019-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39A KR20210023639A (ko) 2021-03-04
KR102305140B1 true KR102305140B1 (ko) 2021-09-27

Family

ID=7517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425A KR102305140B1 (ko) 2019-08-23 2019-11-07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026A (ko)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64B1 (ko) * 2008-09-12 2009-03-25 정우종 고속 발효장치
KR102014708B1 (ko) * 2018-06-11 2019-08-27 엠코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969B1 (ko) * 2016-04-27 2019-02-08 양회남 슬러지 소멸 및 감량을 위한 미생물 반응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64B1 (ko) * 2008-09-12 2009-03-25 정우종 고속 발효장치
KR102014708B1 (ko) * 2018-06-11 2019-08-27 엠코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39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0355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iosolids
KR101908398B1 (ko) 유기성 폐기물의 감량 및 소멸화 장치
CA2342247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iosolids from wastewater treatment
US7329539B2 (en) Bioreactor for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JP2010000498A (ja) スクリーン処理装置
US6719903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iosolids from wastewater treatment
KR10189826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 처리장치
KR102305140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856387B1 (ko) 폐열 활용가능한 냄새 탈취장치
KR101743564B1 (ko) 슬러지 탈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슬러지 소멸 및 감량장치
KR102213606B1 (ko) 슬러지 감량 처리시스템
CN114082768B (zh) 一种沼渣低碳热循环生物干化系统及处理方法
US6168717B1 (en) Process for controlling foam in a treatment reactor
KR100306224B1 (ko)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19980064984A (ko) 가축의 뇨 처리방법 및 폐수 증발 처리장치
KR20020094230A (ko) 가축분뇨 발효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735544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장치
KR101768466B1 (ko) 터보송풍기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
WO2003089375A1 (en) Apparatus for stock raising
KR102562934B1 (ko) 친환경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515346B1 (ko)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한 유기 폐기물 자동 분해 장치
JP4746790B2 (ja) 汚泥処理装置及び汚泥処理方法
JP2003019473A (ja) しょう油粕の処理方法
KR102539493B1 (ko) 수질 정화용 메디아가 구비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200275551Y1 (ko)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