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673B1 -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673B1
KR101918673B1 KR1020170114460A KR20170114460A KR101918673B1 KR 101918673 B1 KR101918673 B1 KR 101918673B1 KR 1020170114460 A KR1020170114460 A KR 1020170114460A KR 20170114460 A KR20170114460 A KR 20170114460A KR 101918673 B1 KR101918673 B1 KR 10191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fermented product
product
myrionectae
marital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735A (ko
Inventor
구창섭
서수경
김대현
장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콧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콧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콧데
Publication of KR2018011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제주 약용식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발효물은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성 chemokines(TARC, MDC)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증성 및 항아토피성의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A novel marine-derived bacterium, and cosmetic composition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태양광의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멜라닌은 피부 세포의 일종인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되고, 피부 표면에 분포되어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연적인 스크리닝 능력을 가지고 있다. 멜라닌 생성 기저에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가 있는데, 티로시나아제는 티로신이라는 아미노산을 기질로 하여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도파퀴논으로부터 여러 단계의 산화 축합 반응으로 흑색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미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및 일부의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미백화장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하이드로퀴논은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며, 코지산과 아스코르빈산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로서, 소량 함유한 화장료를 실온에서 수주일간 보관하면 갈변 현상이 발생한다. 알부틴도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등 안전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미백 화장료들은 안정성이 좋지 못해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 발생, 생체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생체레벨과 유사한 멜라노마 세포(Melanoma cell) 배양에 의한 저해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염증은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인자를 활성화 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현재까지 항염제로 이용되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폐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 등록특허 10-1583541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등이 있다. 그 외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있으나, 이들 모두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천연물들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천연 유래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에 존재하는 피부의 미백, 항염증 및 항아토피의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백, 항염증 및 항아토피의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제주용암해수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 및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항염증, 항아토피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제주 용암 해수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제공한다.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이용하여 황칠나무, 비파엽, 동백겨우살이, 상황버섯, 야관문(비수리), 번행초(갯상추), 줄풀-뿌리, 자소엽, 부처손(권백), 가신새뿌리, 하늘타리뿌리, 까마중, 목통(으름덩쿨), 산뽕나무, 접골목, 개나무, 호랑가시나무, 석창포, 석위초, 구아바, 예덕나무 및 돌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황칠나무 발효물, 비파엽 발효물, 동백겨우살이 발효물, 상황버섯 발효물, 야관문(비수리) 발효물, 번행초(갯상추) 발효물, 줄풀-뿌리 발효물, 자소엽 발효물, 부처손(권백) 발효물, 가신새뿌리 발효물, 하늘타리뿌리 발효물, 까마중 발효물, 목통(으름덩쿨) 발효물, 산뽕나무 발효물, 접골목 발효물, 개나무 발효물, 호랑가시나무 발효물, 석창포 발효물, 석위초 발효물, 구아바 발효물, 예덕나무 발효물 및 돌외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물 중에서 석창포 발효물, 비파엽 발효물, 석위초 발효물, 구아바 발효물, 상황버섯 발효물, 야관문(비수리) 발효물, 예덕나무 발효물, 접골목 발효물, 개나무 발효물 및 호랑가시나무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미백 효과가 증진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물 중에서 석위초 발효물, 구아바 발효물, 예덕나무 발효물, 접골목 발효물, 개나무 발효물, 황칠나무 발효물 및 돌외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염 효과에 의한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제주 약용식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성 chemokines(TARC, MDC)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증성 및 항아토피성의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 Maritalea myrionectae 균주의 배양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제주해양심층수 유래 해양미생물 5의 16S rRNA phylogenetic tree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종에 대한 esculin 발효실험 결과로서, 5번 균주에서 positive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Maritalea myrionectae)에 대한 esculin 발효실험에 따른 HPLC 크로마토그램상에서의 성분변화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Maritalea myrionectae)에 대한 제주약용식물 49종을 나타낸다.
도 6은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Maritalea myrionectae)에 대한 제주약용식물 49종의 발효실험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제주약용식물 49종 중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Maritalea myrionectae)에 대한 발효 전후의 pH변화가 현저한 17종을 나타낸다.
도 8은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Maritalea myrionectae)에 의한 제주약용식물 발효물의 미백 효능 평가를 위한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은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Maritalea myrionectae)에 의한 제주약용식물 발효물의 항아토피 효능 평가를 위한 TARC 억제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Maritalea myrionectae)에 의한 제주약용식물 발효물의 항아토피 효능 평가를 위한 MDC 억제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제주 용암 해수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제공하며, 이 균주를 이용하여 황칠나무, 비파엽, 동백겨우살이, 상황버섯, 야관문(비수리), 번행초(갯상추), 줄풀-뿌리, 자소엽, 부처손(권백), 가신새뿌리, 하늘타리뿌리, 까마중, 목통(으름덩쿨), 산뽕나무, 접골목, 개나무, 호랑가시나무, 석창포, 석위초, 구아바, 예덕나무 및 돌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 및 이 발효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석창포 발효물, 비파엽 발효물, 석위초 발효물, 구아바 발효물, 상황버섯 발효물, 야관문(비수리) 발효물, 예덕나무 발효물, 접골목 발효물, 개나무 발효물 및 호랑가시나무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또한, 석위초 발효물, 구아바 발효물, 예덕나무 발효물, 접골목 발효물, 개나무 발효물, 황칠나무 발효물 및 돌외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은 항염 효과에 의한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상기 제주 약용식물의 발효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해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 접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추출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서, 열수 추출, 에탄올 등의 유기 용매 추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추출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는 상기의 발효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화장료 배합 성분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주 약용식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염증 및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미스트,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 에센스, 오일, 도포제,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실시예 1: 신규 균주의 분리 동정
본 발명자들은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 가능한 새로운 균주를 발굴하기 위해 제주용암해수에서 다양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주용암해수를 0.2μm filter에 여과하여 (5L) membrane을 오려내어 50mL tube에 넣은 후, 미생물 보존을 위해 다시 해양심층수로 1mL 정도 적셔주고,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에 보내어 바닷물 조건의 배지인 marine agar 에서 4℃, 30℃, 37℃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 다른 양상의 7개의 colony를 확인하였으며, 7개의 colony에 대하여 염이 없는 배지인 Nutrient agar에서 배양하여 안정화한 후 잘 자라는 colony와 잘 자라지 않는 colony를 구분하여 해양 미생물의 확률을 높이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7개의 colony 중에서 5개의 colony가 NA agar에서 자라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5개의 colony에 대하여 해양 미생물일 수 있다는 확률을 가지고 균주로부터 16S rDNA를 분리하여, 이에 대한 핵산 서열을 결정하였고, 해당 서열과 종래의 알려진 서열과의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5개의 colony 모두 해양 미생물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5개의 해양 미생물 중 5번 해양 미생물(도 1 참조)이 Maritalea myrionectae 균주와 99%의 상동성을 가진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이 5번 해양 미생물을 2017년 8월 17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수탁하였으며, 그 수탁번호는 KCTC13309BP이다(도 2 참조).
실시예 2: 발효실험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종에 대하여 발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Esculin 시험을 통해 당가수분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종의 해양 미생물 1: Oceanicola flagellatus(도 3의 1번째), 2: Marinobacter algicola(도 3의 2번째), 3: Marixanthomonas ophiurae(도 3의 3번째), 4: Oceanicola flagellatus(도 3의 4번째), 5: Maritalea myrionectae(도 3의 5번째) 중 5번 균주인 Maritalea myrionectae 에서 발효가 잘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1: 제주 용암 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 Maritalea myrionectae )에 대한 esculin 발효실험
50ml Marine broth에 5번 균주 2.5ml을 접종하여 30oC, 150rpm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하기의 조건에서의 HPLC 크로마토그램상에서의 성분변화를 확인하였다(표 1, 도 4 참조).
Sample A : 50ml Marine broth + Esculin 0.1% + 균주배양액 0.5% seeding
Sample B : 50ml Marine broth + Esculin 0.05% + 균주배양액 0.5% seeding
Sample C : 50ml Marine broth + Esculin 0.025% + 균주배양액 0.5% seeding
반응시간 Sample A Sample B Sample C
0 6.28 6.36 6.43
24 6.30 6.35 6.42
48 6.32 6.58 6.68
72 7.33 7.29 7.44
96 7.92 7.76 7.93
168 8.27 8.12 8.20
실험결과, 제주용암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Maritalea myrionectae)은 발효율이 100%임을 확인하였다.
2-2: 제주 용암 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 Maritalea myrionectae )에 의한 제주 약용식물 49종의 발효실험
도 5와 같이 제주약용식물 49종에 대해서 도 6과 같은 실험과정으로 해양 미생물 Maritalea myrionectae의 발효실험을 수행하였다.
액비 : 10 (3g/30ml), 추출온도 : Autoclave (121oC, 15min)의 조건으로 제주약용식물을 추출한 후, Marine broth 40ml에 상기 추출물 10ml을 혼합하고, Maritalea myrionectae 0.5ml을 접종하여 30oC, 150rpm의 조건하에 96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후, Maritalea myrionectae 발효 전과 후를 HPLC 분석하여 Bioconversion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제주 약용 식물 49종 중 황칠나무, 비파엽, 동백겨우살이, 상황버섯, 야관문(비수리), 번행초(갯상추), 줄풀-뿌리, 자소엽, 부처손(권백), 가신새뿌리, 하늘타리뿌리, 까마중, 목통(으름덩쿨), 산뽕나무, 접골목, 개나무 및 호랑가시나무 17종에서 pH 변화가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H 에서는 현저한 변화가 없었으며 미백 활성, 항염 활성, 항아토피 활성의 증가를 보인 것으로는 석창포, 석위초, 구아바, 예덕나무, 돌외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제주 용암 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 Maritalea myrionectae )에 의한 제주 약용식물 발효물의 미백 효능 평가
1) 세포배양
Melanoma cell line인 B16F10 cell을 한국 세포주 은행 (Korean Cell Line Bank)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1% antibiotic (Gibco, USA)과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USA)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2)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 측정
DMEM 배지로 배양된 B16F10 세포를 24 well plate에 2.0X104 cells/well로 접종한다.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 후 시료를 농도별로 준비한다. 각각의 농도별 시료와 cell에 자극하기 위하여 자극제인 a-MSH를 200nM로 혼합하여 첨가한다. 37℃, 5%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배양액을 제거한 후 인산완충액(pH 7.4)으로 각 well을 세척한다. 1N NaOH를 100ul씩 가하여 cell을 떼어낸 후 1.5ml tube에 옮겨준다. 80℃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melanin 생합성 저해는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16F10 cell에 a-MSH 200ng으로 자극함과 동시에 Maritalea myrionectae와 제주 약용식물을 동시 배양하여 배양 전과 후의 배양액 샘플에 대하여 5%의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여 melanin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rbutin을 사용하였다. melanin 생합성률(%)은 a-MSH 단독 처리군 대비로 계산하여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석창포와 비파엽, 석위초, 구아바, 상황버섯, 야관문(비수리), 예덕나무잎, 접골목, 개나무, 호랑가시나무에서 배양 전과 배양 후를 비교했을 때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 효과가 배양전보다 배양 후에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제주 용암 해수 유래 해양미생물 5번( Maritalea myrionectae )에 의한 제주 약용식물 17종 발효물의 항아토피 효능 평가
1) 세포배양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cell을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1% antibiotic과 10%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으며, 3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2) 염증성 chemokines (TARC, MDC) 생성 억제 활성 측정
HaCaT cell을 3.0X105 cells/mL로 24 well plate에 18시간 전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준비한 후 준비된 시료에 IFN-γ 와 TNF-a 를 각각 10ng/mL 농도로 혼합하여 cell에 동시에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다. 이후 배양액을 1.5ml tube에 옮겨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chemonkines 합성량을 측정한다. 모든 시료는 정량 전까지 냉동보관 한다. 염증성 chemokines는 Human enzyme-linked immnunosorbent assay (ELISA) kit (R&D Systems)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standard에 대한 표준곡선의 r 2 값은 0.99 이상이었다.
- TARC 억제 활성 측정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HaCaT cell에 TNFa 10ng/ml과 IFNγ 10 ng/ml로 자극함과 동시에 Maritalea myrionectae와 제주약용식물 27종을 동시 배양하여 배양 전과 후의 배양액 샘플에 대하여 5 %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TARC 발현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석위초와 구아바, 예덕나무, 접골목, 개나무에서 배양 전과 배양 후를 비교했을 때 TARC 발현 억제 활성 효과가 배양 전 보다 배양 후에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DC 억제 활성 측정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HaCaT cell에 TNFa 10ng/ml과 IFNγ 10 ng/ml로 자극함과 동시에 Maritalea myrionectae와 제주 약용식물 27종을 동시 배양하여 배양 전과 후의 배양액 샘플에 대하여 5%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MDC 발현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황칠나무와 돌외, 석위초, 구아바, 예덕나무, 접골목, 개나무에서 배양 전과 배양 후를 비교했을 때 MDC 발현 억제 활성 효과가 배양 전 보다 배양 후에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309BP 20170817

Claims (5)

  1.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제주 용암 해수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
  2.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황칠나무 발효물, 비파엽 발효물, 동백겨우살이 발효물, 상황버섯 발효물, 야관문(비수리) 발효물, 번행초(갯상추) 발효물, 줄풀-뿌리 발효물, 자소엽 발효물, 부처손(권백) 발효물, 가신새뿌리 발효물, 하늘타리뿌리 발효물, 까마중 발효물, 목통(으름덩쿨) 발효물, 산뽕나무 발효물, 접골목 발효물, 개나무 발효물, 호랑가시나무 발효물, 석창포 발효물, 석위초 발효물, 구아바 발효물, 예덕나무 발효물 및 돌외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물 중에서 석창포 발효물, 비파엽 발효물, 석위초 발효물, 구아바 발효물, 상황버섯 발효물, 야관문(비수리) 발효물, 예덕나무 발효물, 접골목 발효물, 개나무 발효물 및 호랑가시나무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미백 효과가 증진된 화장품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탁번호 KCTC13309BP로 수탁된 해양 유래 신규 Maritalea myrionectae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물 중에서 석위초 발효물, 구아바 발효물, 예덕나무 발효물, 접골목 발효물, 개나무 발효물, 황칠나무 발효물 및 돌외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염 효과에 의한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5. 삭제
KR1020170114460A 2017-04-17 2017-09-07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1918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35 2017-04-17
KR20170049035 2017-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35A KR20180116735A (ko) 2018-10-25
KR101918673B1 true KR101918673B1 (ko) 2018-11-14

Family

ID=6385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60A KR101918673B1 (ko) 2017-04-17 2017-09-07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8673B1 (ko)
WO (1) WO20181943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579A1 (ko) * 2019-04-05 2020-10-08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용암해수 유래 미네랄과 더마바이오틱스 유래 뉴클레오티드의 결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더마바이오틱스 화장품 조성물
KR102262791B1 (ko) * 2019-09-20 2021-06-08 김학기 한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284168B1 (ko) * 2019-10-31 2021-07-30 코스맥스 주식회사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렌티스페라 아라네오사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72B1 (ko) 2015-03-24 2016-10-05 상황미인(주)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US20160348087A1 (en) 2015-05-27 2016-12-01 Lanzatech New Zealand Limited Genetically engineered microorganisms for the production of chorismate-derived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1052B2 (ja) * 2012-05-09 2016-11-02 国立研究開発法人水産研究・教育機構 ノリの発育を促進する細菌を添加したノリ培養法
KR101440469B1 (ko) * 2012-07-27 2014-09-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균주를 이용한 산삼배양근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83541B1 (ko) * 2013-12-27 2016-01-1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해양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의 화장품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72B1 (ko) 2015-03-24 2016-10-05 상황미인(주)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US20160348087A1 (en) 2015-05-27 2016-12-01 Lanzatech New Zealand Limited Genetically engineered microorganisms for the production of chorismate-derived product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2009), 59, 609~614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2012), 62, 43~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4327A2 (ko) 2018-10-25
KR20180116735A (ko) 2018-10-25
WO2018194327A3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770140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튬 hk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라케케 발효 추출물
KR20120061733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8673B1 (ko)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1785954B1 (ko)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5420132B (zh) 一种酿酒酵母及其在制备皮肤外用剂中的应用
KR100438009B1 (ko) 잎새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014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k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라타 발효 추출물
KR20160074116A (ko)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9695A (ko) 해방풍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194226B1 (ko) 파프리카 효모발효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187B1 (ko) 락토바실러스 이너스 ahc2030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물
KR20190023496A (ko) 후코스(fucose)를 함유하는 해조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6494B1 (ko)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gfc lp 균주
KR101173993B1 (ko) 군소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4053A (ko) 대황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미생물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제
KR101825713B1 (ko) 아레카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571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당근 발효물 제조방법
KR20190037436A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2026656B1 (ko) 스핑고모나스 인술래 GFC-GNSeE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물
KR101694500B1 (ko) 벼뿌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9000B1 (ko) 발효 식이유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미백 및 항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