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596B1 - 수동형 무인 판매기 - Google Patents

수동형 무인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596B1
KR101918596B1 KR1020160180449A KR20160180449A KR101918596B1 KR 101918596 B1 KR101918596 B1 KR 101918596B1 KR 1020160180449 A KR1020160180449 A KR 1020160180449A KR 20160180449 A KR20160180449 A KR 20160180449A KR 101918596 B1 KR101918596 B1 KR 10191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on
vending machine
passive
revolu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226A (ko
Inventor
박성균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5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hand-operated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설정된 길이방향을 따라서 물품이 내부에 배치되는 배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스 외부에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타측에는 제1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이 회전되면 상기 제1기어도 회전되는 능동조작체;
상기 배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배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물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동 동작체;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동 동작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밀려져서 배치부를 이탈한 물품을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배출구
를 포함하는 수동형 무인 판매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동형 무인 판매기{Passive vending machine}
본 기술은 수동형 무인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무인 판매기의 동작 중 일부는 수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무인 판매기는 다수의 물품이 진열 배치되어 있고, 해당 진열된 물품을 보고 소비자가 구매를 원하고자 하는 물품에 해당되는 금액을 투입하고 해당 물품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해당 물품이 배출구로 이동되는 장치를 의미하다.
넓은 의미에서 동전·지폐·카드 등에 의해 상품·용역 등을 판매하는 기계를 뜻하며, 좁은 의미로는 물품을 자동적으로 판매하는 기계를 말한다.
무인 판매기는 인건비의 상승, 장소의 제한 및 구입의 편리성 등에 따라서 필연적으로 등장한 장치이며, 현대에는 종래와 다르게 음료를 보관하는 캔 이외에도 다양한 물건(예를 들면 인스턴트 라면, 각종 필요 용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다.
도 1a은 종래의 무인 판매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종래의 무인 판매기의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
무인 판매기가 동작되는 것을 보면 화폐인식부에 소비자가 화폐를 인식시키면 진열된 물품 중 해당 인식된 화폐 가치에 대응되는 물품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이 동작예비상태로 되고, 그 후 소비자가 원하는 물품에 대응되는 선택버튼을 동작시키면 진열된 물품의 후방측에 배치된 모터가 동작된다. 여기서, 무인 판매기에 배치된 물품은 모터의 회전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무인 판매기에 배치된 물품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에 형성된 샤프트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물품이동유닛에 배치된다.
따라서 모터의 샤프트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동작되면 물품이동유닛에 배치된 물품은 점진적으로 이동되어 무인 판매기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동되어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원하는 물품을 무인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소비자에게 편리성이 도모될 수 있으나, 무인 판매기를 제작하는 제작자의 입장에서 무인 판매기를 살펴보면, 각각의 무인 판매기에 배치된 위치마다 회전을 수행하는 모터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제조 과정이 복잡하며, 무인 판매기 자체의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16-0015430" "캡슐형상 제품의 자판기(Device of output for capsule)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특허 "10-1542900" "선 자세로 물품을 수취할 수 있는 자판기(VENDING MACHINE THAT IS ABLE TO RECEIVE THE PRODUCTS OF A STANDING)"
본 발명은 제조단가의 절감 및 제조가 용이하도록 무인 판매기의 동작 중 일부분이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는 수동형 무인 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설정된 길이방향을 따라서 물품이 내부에 배치되는 배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스 외부에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타측에는 제1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이 회전되면 상기 제1기어도 회전되는 능동조작체; 상기 배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배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물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동 동작체;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동 동작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밀려져서 배치부를 이탈한 물품을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상기 능동조작체 또는 피동 동작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카운트센서; 기설정된 회전수데이터가 포함되어서 상기 회전카운트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회전수와 회전수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회전수가 상기 회전수데이터에 일치되기 전까지는 제1신호를 출력하고, 일치되는 경우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를 수신받기 전까지는 상기 제1기어와 맞닿지 않으며 상기 제2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닿으며 상기 제1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회전방해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기어에는, 상기 제1기어와 일측이 맞닿으며, 타측은 힌지결합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힌지결합을 축으로 이동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결합을 축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버텨서 상기 제1기어의 타방향 회전을 방해하는 한방향회전방해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되 상기 배치부를 따라서 설치되되 제어부에 의하여 전원인가 시 자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따라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는 플런저이여서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기어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기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기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이동되어 설정된 거리를 왕복하여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제2기어 사이로 이동하여 상기 제1기어의 회전을 상기 제2기어로 연결하여 회전하는 중간기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통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무인 판매기는 동작 중 일부분이 수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하여서 제조단가의 절감 및 제조 과정이 단순하다.
도 1a은 종래의 무인 판매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종래의 무인 판매기의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인 수동형 무인 판매기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도 3a에 따라 수동형 무인 판매기가 동작되어 물품이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회전방해체가 동작되어 제1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회전방해체가 이동되어 제1기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방향회전방해체가 제1기어의 일방향 회전 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방향회전방해체가 제1기어의 타방향 회전 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c)는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를 작동시키는 일부의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c)는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를 작동시키는 일부의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술적 의미단위로 구분하여 설명하겠지만 각각의 실시예들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의 기술적 지식 범주 내에서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인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인 수동형 무인 판매기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도 3a에 따라 수동형 무인 판매기가 동작되어 물품이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기본적으로 케이스(10), 능동조작체(100), 피동 동작체, 배출구(3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으로, 내부에 물품을 저장하고, 물품이 배치되는 배치부가 형성된다. 배치부는 설정된 길이 방향, 즉, 도 3a를 기준으로 살펴볼 때, 가로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농동 조작체는 제1기어(110), 회전봉(120), 그립부(130)를 포함한다. 회전봉(120)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은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봉(120)에는 그립부(1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봉(120)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제1기어(110)는 회전봉(1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그립부(130)를 그립한 후 회전봉(120)을 회전시키면 회전봉(120)의 회전에 따라 제1기어(110)도 회전한다.
피동 동작체는 제2기어(210) 및 스파이럴회전체(220)를 포함한다. 제2기어(210)는 제1기어(110)와 치합되며 제1기어(110)가 회전되는 경우 제2기어(210)도 회전된다. 스파이럴회전체(200)는 제2기어(2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2기어(210)가 회전되는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파이럴회전체(20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해당 나선으로 형성된 부분에 물품이 배치된다. 즉 물품은 배치부에 배치되되 스파이럴회전체(200)의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능동조작체(100)를 조작하면 수동동작체(200)는 이에 따라 회전하여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배출구(300)는 케이스(1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피동 동작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밀려져서 배치부를 이탈한 물품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일예시적으로 배출구(300)는 케이스(10)의 하부에서 배치부와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럴회전체(200)의 회전에 의하여 배치부에서 이탈되는 물품은 배출구(300)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모터의 동작을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어서 판매기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회전방해체가 동작되어 제1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회전방해체가 이동되어 제1기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방향회전방해체가 제1기어의 일방향 회전 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방향회전방해체가 제1기어의 타방향 회전 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화폐가 인식되면 능동조작체(100)가 동작될 수 있어야 하며, 해당 화폐에 해당되는 물품을 소비자가 무인으로 구매할 수 있어야 하므로, 설정된 횟수만큼 턴을 하되, 일방향으로만 회전되어야 하며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어과정이 복잡해지면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능동조작체(100)가 화폐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방해체(600), 한방향회전방해체(170), 회전카운트센서(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방해체(600)는 화폐인식부(20)와 연결된 제어부(500)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회전방해체(600), 한방향회전방해체(170)는 능동조작체(100)의 제1기어(110) 또는 수동동작체(200)의 제2기어(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기어(110)에 전술한 구성이 설치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기어(110)에는 대칭되는 위치에 회전방해체(600) 및 한방향회전방해체(17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방해체(600)는 제1기어(110)와 맞닿아서 제1기어(110)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회전방해체(600)는 전원에 의하여 자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부(800)에 동작되는 플런저이거나 또는 플런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는 솔레노이드부(800)의 동작에 따라 자력을 형성하여 플런저가 설정된 간격만큼 왕복 이동한다. 따라서 회전방해체(600)는 플런저이거나 또는 플런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 솔레노이드부(8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회전방해체(600)는 솔레노이드부(800)에 의하여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제1기어(110)와 맞닿는다. 따라서 제1기어(11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여도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적인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문제되지 않고 제1기어(11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부(800) 및 화폐인식부(2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화폐인식부(20)에 화폐가 인식되면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화폐의 가치에 대응되는 가치를 가지는 물품이 배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러면 해당 전류가 인가된 솔레노이드부(800)에 대응되는 회전방해체(600)는 도 4(a), 4(b)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하여 회전방해체(600)는 더 이상 제1기어(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기어(110)는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방향회전방해체(170)는 제1기어(11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방향회전방해체(170)는 일측이 힌지연결로 연결되어 설정된 방향으로는 힌지연결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로 이동될 수 있지만 설정되지 않은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5(a), 5(b)에서 도시된 내용을 통하여 이를 설명하면 제1기어(1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힌지연결을 기준으로 이동되어 제1기어(110)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제1기어(11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않아 제1기어(110)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는다.
한방향회전방해체(170)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힌지연결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화폐인식부(20), 솔레노이드부(800), 회전카운트센서(400)와 연결되어 있다. 회전카운트센서(400)는 제1기어(110)의 회전수를 센싱하여 센싱데이터를 제어부(500)로 출력한다.
제어부(500)는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데이터만큼 제1기어(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허여한다. 제어부(500)를 통하여 제1기어(110)가 회전됨을 설명하면, 화폐인식부(20)에서 화폐가 인식되면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류공급에 따라 회전방해체(600)는 이동되어 제1기어(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 후 소비자가 그립부(130)를 그립하고 회전을 시키면 제1기어(110) 및 제1기어(110)와 치합된 제2기어(210) 그리고 스파이럴회전체(200)가 회전된다. 여기서, 제어부(500)에는 기설정된 기준회전데이터가 있으며, 회전카운트센서(400)의 센싱데이터와 당해 기준회전데이터를 비교하며 제1기어(110)의 회전을 허용하다가 센싱데이터가 기준회전데이터와 일치되면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는다. 전류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으면 회전방해체(60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어 제1기어(110)의 회전을 방해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을 통하여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인식된 화폐에 해당되는 물품만을 소비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c)는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를 작동시키는 일부의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회전봉(120)이 솔레노이드부(800)에 이동되는 플런저일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가 맞닿지 않다가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가 인가되면 도 6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이동하여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가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b)을 통하여 이를 설명하면 제1기어(110)는 회전봉(120)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봉(120)과 연결될 수 있다.
회전봉(120)의 일측은 그립부(130)가 연결되어 있는데, 회전봉(120)은 평소에는 그립부(130)와 함께 동작되도록 연결되어 있지 않다가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가 인가되어 타측으로 이동될 때 비로소 그립부(130)와 함께 동작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봉(120)은 그립부(13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이동되어야만 그립부(130)와 연결되어 동작될 수 있는데, 여기서, 회전봉(120)과 그립부(130)의 연결은 회전봉(120)의 일측의 외주둘레에 형성된 마찰부(121)와 그립부(130)가 회전봉(120)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마찰부(131)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회전봉(120)에 일측에 형성된 암기어부와 그립부(130)에 상기 기어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기어부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화폐인식부(20), 솔레노이드부(800)와 연결되어 동작된다. 화폐인식에 따라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화폐인식부(20)가 화폐를 인식한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러면 회전봉(120)은 타측으로 이동하고 회전봉(120)이 타측으로 이동되어서야 비로소 그립부(130)와 회전봉(12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후 소비자는 그립부(130)를 허용된 횟수만큼 회전시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배치부에서 이탈시켜 배출구(300)에서 물품을 획득한다.
여기서, 그립부(130)의 설정된 회전횟수는 전술한 회전카운트센서(400)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물품이 배출구(300)로 이동되면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를 더 이상 인가하지 않는다.
그러면 회전봉(120)은 원래 위치로 이동되어 그립부(130)와 함께 동작되도록 연결되지 않으며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도 더 이상 연결되지 않는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의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c)는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형 무인 판매기를 작동시키는 일부의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를 연결해주는 매개기어(9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개기어(900)는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 사이를 연결하여 제1기어(110)의 회전을 제2기어(2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평소에는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를 연결하지 화폐가 인식되면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를 연결한다.
매개기어(900)는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일측으로 이동되고,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면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가 인가되면 매개기어(900)는 일측으로 이동하여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를 연결하고,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면 타측으로 이동되어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를 연결하지 않는다.
제2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자면, 제어부(500)는 화폐인식부(20)와 연결되어 화폐인식여부에 대하여 신호를 받는다. 화폐인식부(20)가 화폐를 인식하여 해당 화폐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500)에 보내면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부(800)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러면 매개기어(900)는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를 연결한다. 그 후에 소비자가 그립부(130)를 통하여 제1기어(110)를 회전시키면 회전카운트센서(400)가 회전수를 카운트한다. 그 후 제어부(500)에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제1기어(110)가 회전되면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부(800)에 인가하였던 전류를 차단한다. 그러면 매개기어(900)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제1기어(110)와 제2기어(210) 사이를 더 이상 연결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케이스 20 : 화폐인식부
100 : 능동조작체 110 : 제1기어
120 : 회전봉 121 : (회전봉의)마찰부
130 : 그립부 131 : (그립부의)마찰부
200 : 수동동작체 210 : 제2기어
200 : 스파이럴회전체 300 : 배출구
400 : 회전카운트센서 500 : 제어부
600 : 회전방해체 700 : 한방향회전방해체
800 : 솔레노이드부 900 : 매개기어

Claims (5)

  1. 설정된 길이방향을 따라서 물품이 내부에 배치되는 배치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스 외부에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타측에는 제1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이 회전되면 상기 제1기어도 회전되는 능동조작체;
    상기 배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배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물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동 동작체;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동 동작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밀려져서 배치부를 이탈한 물품을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되 상기 배치부를 따라서 설치되되 제어부에 의하여 전원인가 시 자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따라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는 플런저이여서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기어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기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그립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 외부에 돌출되는 상기 회전봉의 일단이 상기 회전봉의 이동시 상기 그립부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수동형 무인 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무인 판매기는,
    상기 능동조작체 또는 피동 동작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카운트센서;
    기설정된 회전수데이터가 포함되어서 상기 회전카운트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회전수와 회전수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회전수가 상기 회전수데이터에 일치되기 전까지는 제1신호를 출력하고, 일치되는 경우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를 수신받기 전까지는 상기 제1기어와 맞닿지 않으며 상기 제2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닿으며 상기 제1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회전방해체
    를 포함하는 수동형 무인 판매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에는,
    상기 제1기어와 일측이 맞닿으며, 타측은 힌지결합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힌지결합을 축으로 이동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결합을 축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버텨서 상기 제1기어의 타방향 회전을 방해하는 한방향회전방해체
    를 포함하는 수동형 무인 판매기.
  4. 삭제
  5. 삭제
KR1020160180449A 2016-12-27 2016-12-27 수동형 무인 판매기 KR10191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49A KR101918596B1 (ko) 2016-12-27 2016-12-27 수동형 무인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49A KR101918596B1 (ko) 2016-12-27 2016-12-27 수동형 무인 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26A KR20180076226A (ko) 2018-07-05
KR101918596B1 true KR101918596B1 (ko) 2019-02-08

Family

ID=6292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449A KR101918596B1 (ko) 2016-12-27 2016-12-27 수동형 무인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5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46Y1 (ko) * 2005-03-24 2005-06-03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자동판매기의 제품투출장치
KR200412413Y1 (ko) * 2006-01-12 2006-03-27 고정원 무인판매기
JP6021510B2 (ja) * 2012-08-09 2016-11-09 株式会社東芝 熱中性子吸収膜の被覆装置、その方法及び溶融炉心物の回収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46Y1 (ko) * 2005-03-24 2005-06-03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자동판매기의 제품투출장치
KR200412413Y1 (ko) * 2006-01-12 2006-03-27 고정원 무인판매기
JP6021510B2 (ja) * 2012-08-09 2016-11-09 株式会社東芝 熱中性子吸収膜の被覆装置、その方法及び溶融炉心物の回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26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2908C (zh) 钢筋捆束机、钢丝卷筒以及钢丝卷筒的识别方法
JP6741808B2 (ja) 改良された制御システムを備えるアイスクリーム等の製造および小出し用の機械
JP6729068B2 (ja) 商品収納装置
KR101918596B1 (ko) 수동형 무인 판매기
US20230380565A1 (en) Haircare appliance
JP6515552B2 (ja) 商品収納装置
JP6459560B2 (ja) 商品収納装置
KR20140122659A (ko)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KR2023000403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6023B1 (ko) 멀티자동판매기의 선반정보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WO2017022441A1 (ja) 商品収納装置及び自動販売機
EP3824156B1 (en) A door opening mechanism
KR101786267B1 (ko) 프레임 일체형 자전거 잠금장치
JP2019204303A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CN216286874U (zh) 售货柜
KR19990055546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및 방법
JP3239276U (ja) 商品販売装置
KR102218503B1 (ko) 수동식 판매기용 자동화 키트
JPH0581533A (ja) スパイラル型自動販売機
KR100301622B1 (ko) 자동판매기의 내용물 안전 배출장치
TWI274102B (en) Vending machine locking device
KR200214771Y1 (ko) 자동판매기의 내용물 안전 배출장치
KR101678920B1 (ko) 자동판매기용 코인장치
JP3109560U (ja) 手動式販売装置およびカウント機構
KR20160051101A (ko) 배선용 차단기의 바이메탈 거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