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059B1 -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059B1
KR101917059B1 KR1020180039813A KR20180039813A KR101917059B1 KR 101917059 B1 KR101917059 B1 KR 101917059B1 KR 1020180039813 A KR1020180039813 A KR 1020180039813A KR 20180039813 A KR20180039813 A KR 20180039813A KR 101917059 B1 KR101917059 B1 KR 101917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container
storage container
food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기
Original Assignee
김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기 filed Critical 김재기
Priority to KR102018003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사하게는 젓갈 등과 같이 액상의 내용물이 포함되어 있는 음식물을 판매하는 용기로 바닥과 주둥이가 넓은 용기의 캡에 상기 액상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나사결합하는 캡부로 구성되어 판매용 음식물을 포장하는 음식물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주둥이와 대면하는 2줄의 가압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가압돌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LEAKAGE PREVENTION STRUCTURE OF FOOD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사하게는 젓갈 등과 같이 액상의 내용물이 포함되어 있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용기로, 바닥과 주둥이가 넓은 용기의 캡에 상기 액상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적용한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오늘날에는 다수의 음료나 음식물 등이 플라스틱용기에 저장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용기는 저장하는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용기 중에 특히 액상으로 구성되거나 액상의 내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는 저장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가장 대표적인 용기로는 콜라와 사이다 등과 같은 음료수를 저장하는 병 형태의 용기가 있다. 음료수 용기의 뚜껑은 이미 오래전부터 액상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음료수 용기의 뚜껑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89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155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60021호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의 기술들은 구체적인 형상에서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뚜껑의 내측면에 용기의 주둥이에 억지끼움이 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뚜껑을 용기의 주둥이에 장착하면 상기 돌기가 주둥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외에도 뚜껑의 내측면으로 용기의 주둥이와 맞닿는 부위에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와 같은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실링부재가 주둥이와 밀착하면서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료용기의 구성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식물 용기에 적용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음료수의 경우에 내용물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으며, 용기의 디자인이나 브랜드가치 등이 판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용기의 고급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용기뚜껑을 견고한 구조로 만들고, 실링부의 정밀도나 완성도에 추가적인 비용을 투자할 여력이 된다. 실제로 일부 음료용기(맥주패트병)는 국내제작이 어려워 해외에서 제작하여 들여오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정밀하고 견고한 고가의 제품이 사용된다. 따라서 금형의 정밀도에서 용기 또는 용기 캡의 재질의 정밀화와 고급화가 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음식물을 저장하는 용기는 내용물과 제조회사의 이미지가 제품판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용기의 디자인은 대부분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음식물 저장용기는 대부분 원가절감을 위하여 저렴한 제품이 사용되며, 얇고 내구성이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음료수의 용기처럼 고급스러운 씰링구조나 소재를 사용하기가 어렵다.
둘째로, 음료용기는 입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주둥이와 뚜껑의 직경이 작은 편이다. 따라서 두께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두껍게 하는 것만으로도 넓이방향의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서 간단한 실링부재만 적용하여도 내용물의 누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음식물 저장용기는 젓가락이나 수저 등으로 음식물을 쉽게 꺼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주둥이와 뚜껑의 넓이가 사실상 용기의 넓이와 유사할 정도로 매우 넓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넓은 면적의 뚜껑이 저렴하고 얇은 구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넓이방향의 변형이나 휘어짐 현상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용기에 뚜껑이 강하게 장착되어도 틈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음식물 저장용기는 뚜껑의 내측면에 피폼지를 장착하고, 주둥이에는 실링지로 밀봉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셋째로, 음료용기는 대부분의 경우에 한번 개방을 하면 몇 분이나 몇 시간 내에 내용물을 소비하고 버려지게 된다. 따라서 뚜껑을 용기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장착하는 횟수도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뚜껑의 내측면에 주둥이의 내면에 억지끼움이 되는 구조를 적용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음식물 용기는 한번 개방하고 나서도 수일에서 수개월까지 사용되며, 열었다 닫았다 하는 횟수도 매우 많다. 따라서 음료용기처럼 주둥이 내측면에 억지끼움이 되는 돌기구조를 적용하여 장시간 무수히 사용하다 보면 돌기와 주둥이가 닿는 부분이 마모되어 음식물에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넷째, 가장 큰 이유는 음료용기와 같은 실링구조는 피폼지와 실링지가 사용되는 음식물 용기에 적용하기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음료용기와 같이 주둥이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음식물 용기에 적용하면 주둥이와 뚜껑에 구비되는 피폼지나 실링지가 손상되기 때문에 오히려 기밀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실링지의 파편이 음식물에 섞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음료용기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기밀성이 가장 궁극적이고 유일한 목적이지만 음식물, 특히 발효 음식물을 저장하는 용기는 기밀성이 유지되면서 내용물이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는 숨쉬는 용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음료용기처럼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와 같은 재질로 완벽하게 기밀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없다. 음식물 저장용기의 캡부를 완벽하게 기밀성을 가지도록 하면 유통과정 또는 사용과정에서 내용물이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하여 용기자체 또는 캡부가 부풀어 올라서 파손되거나 뚜껑이 열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저장용기에는 음료용기와는 전혀 다른 기술요건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음료용기와 같은 실링구조는 음식물 용기에는 적용하기 어려움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대부분의 음식물 용기는 액상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지와 피폼지만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젓갈이나 김치 등과 같이 발효식품이 발달하였고 이러한 음식물이 다양한 용기에 저장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는데, 발효 음식은 그 자체에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냄새가 심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유출되는 경우에 소비자 불만이 커지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저장 용기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부착되는 실링지(13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를 막는 캡부(170)와 상기 캡부(170)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식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폼지(150)로 구성된다.
용기본체(100)는 젓갈, 고추장 등과 같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곳으로, 음식물 저장용 용기는 음료용기 등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바닥에 안정적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이 넓고 상기 바닥면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형태로 사용된다. 그리고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둥이가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주둥이의 외측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지(130)는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용기본체(100)에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밀착시켜 가볍게 가열하면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융착되게 된다. 음식물을 저장하는 플라스틱 용기는 대부분 실링지(130)가 부착된 상태로 판매되어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비자가 구매한 후에는 상기 실링지(130)를 제거하고 사용하게 된다. 즉, 실링지(130)는 유통과정에서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보호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고 나서는 그 기능을 다하여 버려지게 된다.
캡부(170)는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측벽의 내측에는 주둥이(103)의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음식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음식, 예를 들어 젓갈 등의 경우에, 소비자가 구매하여 캡부(170)를 열어서 주둥이(103)에 부착된 실링지(130)를 때어 내고 내용물을 일부 들어서 사용한 후에는 다시 캡부(170)를 닫아서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실링지(130)를 때어낸 후에도 사용과정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캡부(170)의 내측면에는 피폼지(150)가 장착된다. 피폼지(150)는 얇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다공질로 구성되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되면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음식물 포장용기의 주둥이 실링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용기는 유통과정에서는 실링지(130)와 피폼지(150)에 의하여 기밀성이 유지되지만, 사용과정에서는 실링지(130)가 제거되어 피폼지(150)에 의해서만 기밀성이 유지된다. 그런데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음식물 용기는 원가절감을 위하여 얇고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 지는 경우가 많으며, 주둥이와 뚜껑은 넓기 때문에 휘거나 변형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피폼지(150)를 장착하더라도 여전히 일부 용기는 음식물의 액상이 유출되어 소비자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피폼지(150)는 다공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발효가스가 배출되기에는 용이하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음식물이 스며들어 지저분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0-0030416 A KR 2000-0003889 U KR 20-0265060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결합되는 캡부의 내측면에 주둥이와 대면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돌기와 주둥이가 피폼지 없이도 서로 압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발효가스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나사결합하는 캡부로 구성되어 판매용 음식물을 포장하는 음식물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주둥이와 대면하는 2줄의 가압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가압돌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는 양 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돌기의 경사면 중 어느 한 부분이 상기 주둥이의 경사부에 맞닿으면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압돌기는 제1 가압돌기와 제2 가압돌기 및 제3 가압돌기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3 가압돌기는 상기 제1 가압돌기와 제2 가압돌기 사이의 간격보다는 좁게 상기 제2 가압돌기의 내측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압돌기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형 또는 라운드형 또는 마름모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는 기존의 얇고 유연한 저렴한 용기와 캡부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상기 캡부에 가압돌기만 추가로 구비하여 기밀성을 향상하여 원가를 높이지 않으면서 실링기능을 향상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의 음식물이 발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배출되면서 액상의 내용물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의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는 음식물을 저장하며 주둥이(103)의 외측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결합하며 내측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가압돌기(190)가 형성되어 있는 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식물을 저장하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테이블이나 식탁 등에서 적치하기 용이하고 사용중에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이 넓게 형성되고, 젓가락 등으로 음식물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주둥이(103)는 넓으며 용기본체(100)는 낮게 형성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발효 음식 문화가 발달하여 젓갈이나 김치 등과 같은 음식물을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저장용기에 담아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 가정에서도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음식물 저장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물을 보관하고 있다.
음식물을 저장하는 용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저장된 내용물을 모두 먹고 난 후에는 버려지는 용기(이하 '포장용저장용기'라 함)와 가정에서 한 음식 등을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용기(이하 '재사용저장용기'라 함)가 있다.
재사용저장용기는 주로 내용물이 없는 상태로 판매되어 가정에서 원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기본체가 유리나 강화플라스틱 등과 같은 내구성이 우수한 고급재질로 구성되며, 용기의 캡부도 금속재질이나 견고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어 내측면에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실링부재가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맞닿으면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재사용저장용기는 자주 사용하는 음식물을 임시로 저장한다는 점과 발표음식 외에 다양한 음식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기밀성이 완벽한 실링부재나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재사용저장용기는 용기본체와 캡부의 내구성이 뛰어나고 견고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실링기능도 우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경우가 적다.
반면, 포장용저장용기는 주로 식품회사 등에서 음식물을 판매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모두 소비한 후에는 그 목적이 완성되어 버려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포장용저장용기는 용기본체(100)와 캡부(170)가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며, 주로 중소기업에 의하여 저렴한 단가로 재조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장용저장용기가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둥이에 실링지(130)를 부착하여 완전히 밀폐한 상태로 판매되며, 사용과정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부(170)의 내측에 피폼지(150)를 장착하였다.
그러나 포장용저장용기는 내용물을 모두 소비하고 나서는 버려지는 것을 전제로 제작되기 때문에 원가절감을 위하여 용기본체는 물론 캡부도 비교적 얇고 내구성이 약하게 구성되어 캡부에 피폼지를 부착하더라도 내용물이 유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음식물 저장용기와 같이 주둥이가 본체의 넓이와 크게 차이가 없도록 넓게 만들어지는 저장용기는 주둥이나 캡부에 휨이나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여 소비자의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피폼지(150)는 발효가스가 배출되면서 숨쉬는 저장용기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피폼지에 음식물이 스며들어 얼룩이 지게 되어 외관상으로나 위생상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포장용저장용기가 주로 젖갈이나 김치 등과 같은 발효성 음식에 주로 많이 사용된다는 점에서 상기와 같은 단점은 큰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장용저장용기에 적용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용기본체(100)와 피폼지(150)가 구비된 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용저장용기를 대체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종래에 피폼지(150) 및/또는 실링지가 적용되는 포장용저장용기에서 상기 피폼지(150)가 없어도 기밀성과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기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포장용저장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용기본체(100)는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는 외측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식물 저장용 용기본체(100)는 주둥이(103)가 용기본체(100)의 넓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구성되는 등 주둥이(103)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식탁 등에 올려 놓고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고, 수저 등을 이용하여 용기본체로부터 음식물을 들어내기 용이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음식물 저장용기가 유사한 형태인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 용기본체(100)는 주둥이(103)의 상단 양측에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0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라운드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경사부(105)의 역할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캡부(170)는 측벽의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전술하여 설명한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는 캡부(170)의 내측면으로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압돌기(190)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190)는 캡부(170)를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주둥이(103)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돌기(190)와 주둥이(103)가 서로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가압돌기(1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단면의 형상이 역삼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압돌기(190)와 주둥이(103)의 접촉면적을 좁게 하여 일정수준 이상 가압되는 경우에 모든 면이 골고루 접촉되고, 제조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표면거칠기나 오차에 의하여 접촉면에 발생하는 틈으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가압돌기(190)의 다른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며, 이하에서는 역삼각형 구조를 예시로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압돌기(190)는 2줄 또는 3줄로 구성된다. 가압돌기(19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가압돌기(190)가 2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꼭지부분이 각각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10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한다. 즉, 가압돌기(190)의 꼭지점이 경사부(105)의 상단 시작점 또는 상기 경사부(105)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위치에 대면하도록 구성 된다. 그리고 가압돌기(190)가 3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2개의 가압돌기(19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부(105)의 상단 시작점 또는 상기 경사부(105)의 범위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나머지 하나는 내측 가압돌기(190)의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외측(좌측)의 가압돌기(190)를 제1 가압돌기라고 하고, 내측으로 가면서 각각 제2 가압돌기와 제3 가압돌기라고 할 경우에, 상기 제1 가압돌기와 제2 가압돌기는 각각 경사부(105)의 상단이 시작되는 위치 또는 상기 경사부(105)의 범위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3 가압돌기는 제2 가압돌기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3 가압돌기는 제2 가압돌기의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이때, 제2 가압돌기와 제3 가압돌기 사이의 간격은 최소한 제1 가압돌기와 제2 가압돌기 사이의 간격보다는 좁게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음식물 저정용기의 주둥이(103)는 본원발명과 같이 양측 상단에 의식적으로 경사부(105)가 형성되지는 않는다. 즉, 금형의 제작과정에서 우연히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구성될 수는 있지만, 특정한 목적이나 기능을 위하여 경사부가 형성되지는 않는다. 그런데, 본원발명에 대한 테스트 경과 주둥이(103)의 양측을 경사지게 구성하고 가압돌기(190)도 상기 경사부(105)와 맞닿는 경사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결합할 때 누수현상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둥이(103)를 각지게 하는 경우에 미세하게 돌출되어 틈새가 발생하여 오차가 생기거나 가압돌기(190)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경사부(105)가 상기 가압돌기(190)와 맞물리는 구조가 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 가압돌기(190)는 반드시 끝단이 주둥이(103)의 경사부(105)에 일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캡부(170)가 주둥이(103)와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190)의 끝단이나 측면이 경사부(105)에 맞닿는 구조이면 충분히다. 따라서 가압돌기(190)를 하부로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로 하는 경우에 끝단이 경사부(105)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다소 엇나가 있는 경우에도 캡부(170)가 나사결합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압돌기(190)의 끝단 또는 측면 중에 어느 한 부분이 경사부(105)와 접촉하게 된다.
테스트 결과 가압돌기(190)를 역삼각형 또는 이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경우에 압착부위가 집중되어서 액상이 누설되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 들었다. 따라서 본원발명과 같이 주둥이(103)의 상부 양측에 경사부(105)를 형성하고, 가압돌기(190)를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하면 전술하여 설명한 피폼지(150)가 없더라도 누수현상이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제조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오차나 표면거칠기에 의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는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3 가압돌기는 제2 가압돌기의 내측에 인접하게 별개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3 가압돌기는 주둥이(103)의 두께오차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음식물 저장용기는 일반적으로 여러 업체의 중소기업에서 개별적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주둥이(103)의 크기나 외측면은 캡부(17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하게 제작되지만 상기 주둥이(103)의 두께는 업체마다 다소 상이한 경우가 많다. 이처럼 주둥이가 두꺼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주둥이(103)가 제1 가압돌기와 제2 가압돌기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2 가압돌기는 주둥이의 상부면에 맞닿고, 제3 가압돌기가 내측 경사부에 맞닿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는 지름이 크면서 얇고 비교적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캡부(170)와 용기본체의 주둥이(103)가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캡부(170)가 미세하게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 가압돌기가 주둥이(103)의 상부면에 위치하더라도 제1 가압돌기는 캡부(170)가 일부 휘어지면서 하부로 더 내려와서 경사면(105)에 맞닿게 되고, 제3 가압돌기는 내측 경사면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3개의 가압돌기 중 어느 하나가 기밀성이 약해지더라도 3개 중 최소한 2개의 가압돌기(190)가 주둥이(103)의 상부면 또는 양측면의 경사부(105)에 맞닿으면서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는 용기본체(100)에 음식물을 저장한 후에 실링지(13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를 밀폐한다. 실링지(130)는 용기본체(100)의 주둥이(103)에 밀착시킨 후에 가볍게 가열하면 견고하게 융착된다. 실링지(130)를 융착하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음식물이 저장된 용기는 상기와 같은 상태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데, 유통과정에서는 실링지(130)에 의하여 견고하게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이 누설될 염려가 없다.
한편, 소비자들이 용기에 저장된 음식물을 구매하면 상기 실링지(130)를 제거하고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실링지(130)를 제거하면 캡부(170)의 가압돌기(190)ㅇ. 즉,와k기(190)가 상기 주둥이(103)와 대면하게 된다. 따라서 캡부(170)를 닫으 주둥이(105)가 맞닿으면서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가압돌기(190)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주둥이(105)의 양측면에는 경사부(10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부(170)가 주둥이(103)에 나사결합하면서 압착되면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190)의 경사면이 주둥이(105)의 경사부(105)와 맞닿으면서 기밀성이 유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상세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가압돌기(190)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둥글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가압돌기(190)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라운드구조 외에도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마름모꼴 구조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가압돌기(190)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면 캡부(170)가 주둥이(103)에 나사결합하면서 압착될 때 측면 중 어느 한 부분이 주둥이(103)의 상부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된 경사부(105)와 맞닿으면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용기본체
103: 주둥이
105: 경사부
170: 캡부
190: 가압돌기

Claims (4)

  1.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나사결합하는 캡부로 구성되어 판매용 음식물을 포장하는 음식물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주둥이와 대면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가압돌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제1 가압돌기와 제2 가압돌기 및 제3 가압돌기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3 가압돌기는 상기 제1 가압돌기와 제2 가압돌기 사이의 간격보다는 좁게 상기 제2 가압돌기의 내측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음식물 저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는 양 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돌기의 경사면 중 어느 한 부분이 상기 주둥이의 경사부에 맞닿으면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저장용기.




  3. 삭제
  4. 삭제
KR1020180039813A 2018-04-05 2018-04-05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KR10191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813A KR101917059B1 (ko) 2018-04-05 2018-04-05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813A KR101917059B1 (ko) 2018-04-05 2018-04-05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059B1 true KR101917059B1 (ko) 2018-11-08

Family

ID=6432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813A KR101917059B1 (ko) 2018-04-05 2018-04-05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56B1 (ko) 2019-11-21 2020-09-21 김재기 분리 제거형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KR102155147B1 (ko) 2019-11-21 2020-09-21 김재기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JP2021084662A (ja) * 2019-11-28 2021-06-03 株式会社クレハ 樹脂製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07A (ja) 2001-03-21 2002-10-03 Japan Crown Cork Co Ltd 打栓式キャップ
US20100193464A1 (en) 2007-02-13 2010-08-05 Crealise Conditionnement Inc. Cap without additional seal
JP2014125250A (ja) * 2012-12-27 2014-07-07 Kao Corp キャップの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07A (ja) 2001-03-21 2002-10-03 Japan Crown Cork Co Ltd 打栓式キャップ
US20100193464A1 (en) 2007-02-13 2010-08-05 Crealise Conditionnement Inc. Cap without additional seal
JP2014125250A (ja) * 2012-12-27 2014-07-07 Kao Corp キャップのシール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56B1 (ko) 2019-11-21 2020-09-21 김재기 분리 제거형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KR102155147B1 (ko) 2019-11-21 2020-09-21 김재기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JP2021084662A (ja) * 2019-11-28 2021-06-03 株式会社クレハ 樹脂製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059B1 (ko)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US20200216238A1 (en) Sift-resistant dispensing closure
KR102016771B1 (ko) 음료수 글라스 및 음료수 글라스 조립체
US20050155973A1 (en) Lid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5536705A (ja) 飲料冷却ホルダー
US20050211713A1 (en) Disposable container with deformable brim
US11472611B1 (en) Jar lid with internal screw pour spout
KR101944214B1 (ko)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KR101848214B1 (ko)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KR20130061060A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101486078B1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JPH0880959A (ja) 密閉蓋付容器
KR20170000149A (ko) 1회 용기 밀폐구조
JP2007216976A (ja) 包装用容器
KR102155147B1 (ko)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KR101643341B1 (ko) 누출방지용 중공부가 구비된 캡슐캡
US20070007163A1 (en) Container and a lock therefor
KR200389341Y1 (ko) 용기의 압축 진공용 밀폐뚜껑
KR102155156B1 (ko) 분리 제거형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KR101252781B1 (ko)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KR100405964B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KR200172402Y1 (ko) 숨쉬는 발효용 뚜껑
JP7303934B1 (ja) 容器に缶詰の内容物を移し替える方法
KR200213445Y1 (ko) 식품용기용 뚜껑
KR101169961B1 (ko) 음식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