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147B1 -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 Google Patents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147B1
KR102155147B1 KR1020190150668A KR20190150668A KR102155147B1 KR 102155147 B1 KR102155147 B1 KR 102155147B1 KR 1020190150668 A KR1020190150668 A KR 1020190150668A KR 20190150668 A KR20190150668 A KR 20190150668A KR 102155147 B1 KR102155147 B1 KR 10215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member
cap
spout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기
Original Assignee
김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기 filed Critical 김재기
Priority to KR102019015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용기입구에 부착된 형태의 씰링지 대신에 용기캡의 가장자리에 씰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캡을 씰링지 없이도 누수방지가 가능한 구조로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장착되는 용기캡으로 구성되는 음식물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의 상부 내측면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의 상부면에 대면하는 부위에 최소한 2개 이상의 기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캡의 가장자리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용기캡의 가장자리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점접 되어 결합되며, 상기 씰링부재의 내측에는 걸림턱이 구비되되 상기 걸림턱은 하부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면서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씰링부재의 내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 외측으로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하부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상부가 상기 용기본체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돌기기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LEAKAGE PREVENTION CAP OF FOOD STORAGE CONTAINER WITH SEALING PART}
본 발명은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용기입구에 부착된 형태의 씰링지 대신에 용기캡의 가장자리에 씰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캡을 씰링지 없이도 누수방지가 가능한 구조로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에 관한 기술이다.
반찬문화와 발효음식 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에 반찬을 용기에 저장하여 판매하는 상품이 많다. 이러한 음식물 저장용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 진다는 점에서 일반 음료용기와 유사하지만, 음식물의 경우에 큰 덩어리의 내용물이 저장되고 수저나 숫가락 등으로 빼내가 용이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기 자체는 물론 상기 용기의 주둥이도 넓게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용기에 저장되는 음식물에는 다량의 액상의 내용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의 주둥이에 씰링지를 융착방식으로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씰링지를 음식물이 채워진 용기의 주둥이에 부착하는 방식은 값비싼 씰링지와 상기 씰링지를 용기 주둥이에 융착하기 위한 고가의 융착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융착과정에서 내용물에 악영향을 주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214호, 제10-1944214호, 제10-1917059호 등의 특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음식물 저장용기의 주둥이와 맞닿는 캡부에 돌기를 구비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 저장용기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주둥이와 용기의 캡이 넓기 때문에 음료용기와는 차이가 있으며, 일반 음료용기의 누수방지구조가 그대로 적용되기 어려웠으나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하여 피폼지나 씰링부재 없이도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는 구조를 개발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음식물 저장용기는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는 확실한 효과가 있으나 씰링지의 또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씰링부재는 음식물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개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의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등록된 특허들은 씰링부재가 없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뚜껑이 열렸어도 그 사실을 알 방법이 없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자들은 음식물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소비자들에게 보상을 해 주는 기준으로 씰링지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데,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등록된 특허는 씰링지가 없기 때문에 용기가 소비자의 손에 들어가기 전에 개봉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씰링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씰링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KR 10-1848214 B1 KR 10-1944214 B1 KR 10-191705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캡의 가장자리에 씰링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캡을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용기캡의 뜯겨지도록 하여 음식물 저장용기의 용기캡이 개방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장착되는 용기캡으로 구성되는 음식물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의 상부 내측면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의 상부면에 대면하는 부위에 최소한 2개 이상의 기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캡의 가장자리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용기캡의 가장자리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점접 되어 결합되며, 상기 씰링부재의 내측에는 걸림턱이 구비되되 상기 걸림턱은 하부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면서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씰링부재의 내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 외측으로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하부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상부가 상기 용기본체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돌기기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씰링부재의 하부면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도록 구성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의 하부에는 보조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걸림돌기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보조돌기의 상부는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크지도록 보조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보조경사면에는 스탑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스탑블록은 상부면이 용기의 주둥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외측은 상기 용기 주둥이와 나란한 방향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용기본체 주둥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는 전부나 일부 상이하도록 곡선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은 용기캡을 개방하기 전에는 씰링부재가 용기캡에 붙어 있고, 상기 용기캡을 개방하여 상기 씰링부재가 상기 용기캡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음식물 저장용기의 개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저장용기와 같이 주둥이가 큰 용기에서 씰링부재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씰링부재(130)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요기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에 장착되는 용기캡(110) 및 상기 용기캡(1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씰링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식물 저장용기는 김치나 젓갈과 같은 발효음식은 물론 다양한 음식을 저장용하는 용기로서 주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다. 음식물 저장용기가 다른 용기들과 구별되는 점은 용기본체(100)가 넓고 낮으며, 주둥이가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음식물을 쉽게 저장하거나 들어낼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의 외측에는 제1 나사산(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캡(110)의 내측벽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제1 나사산(105)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113)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와 용기캡(110)이 나사결합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음식물 저장용기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구성이다.
젓갈이나 김치 등과 같은 발효음식이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에 이러한 음식물을 도 1에 도시된 저장용기에 포장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음식물은 포장하여 유통하는 과정에서 국물이나 냄새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소비자의 손에 도달하기 전에는 용기캡(110)이 분리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하여 분리된 용기캡(110)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캡(110)의 내부에 피폼지를 장착하고, 주둥이에는 씰링지(미도시)를 융착방식으로 부착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후에 상기 실링지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음식물 저장용기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가 넓고 주둥이가 넓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은 방식으로는 액상이나 냄새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는 음식물 저장용기와 이를 제조하는 산업의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즉, 음식물 저장용기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주둥이와 용기캡(110)이 넓기 때문에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와 용기캡(110)이 정확하고 균일하게 맞닿게 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설령 정확하게 제조된다고 하더라도 쉽게 휘거나 변형되는 용기본체(100) 및 용기캡(110)의 특성상 완벽한 기밀성을 확보하는 조립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음식물 저장용기와 용기캡(110)은 비교적 유연하고 변형이 쉬운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재질로 대면적의 주둥이와 용기캡(110)을 만드는 경우에 약간의 휨이나 비틀림에도 기밀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와 용기캡(110)이 하나의 넓은 면적으로 대면하기 때문에 모든 접촉면이 골고루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약간의 오차에도 음식물에 포함된 액상의 국물 등이 누설되게 된다.
더구나 음식물 저장용기의 경우에 음료용기와는 달리 가격이 저렴하고 영세한 중소기업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음료용기와 같은 고가의 소재나 정밀금형을 사용하기 어렵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기존의 재료와 방식으로 용기캡(11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214호, 제10-1944214호, 제10-1917059호 등으로 등록하였다. 상기 등록특허는 용기캡(110)의 상부 내측면에 최소한 2개 이상 복수의 기밀돌기(115)를 형성하여 상기 기밀돌기(115)가 용기본체(100)의 주둥이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켰다. 용기캡(110)의 상부 내측면에 복수의 기밀돌기(115)를 주둥이의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구비하면 평면이 대면하는 경우보다 접촉면적어 설령 용기캡(110)과 주둥이의 정밀도가 일부 떨어지더라도 접촉면적이 좁은 기밀돌기(115)가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모든 부위가 접촉되록 하며, 복수의 기밀돌기(115)에 의하여 2중 또는 3중으로 차단벽이 생겨서 틈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음식물 저장용기와 같은 넓은 주둥이를 가지는 용기의 기밀을 유지하는데 특히 유리한 하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등록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피폼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기밀성이 유지되며, 피폼지를 사용할 경우에도 종래보다 우수한 기밀성이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씰링지 주둥이를 융착하여 밀봉하지 않더라도 냄새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그런데, 씰링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음식물을 저장한 용기가 유통되는 과정에서 용기캡(110)이 개방되어도 소비자나 사용자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음식물 저장용기가 유통과정에서 융창하여 부착된 씰링지가 제거되면 제조사 또는 유통사가 책임을 지고, 일단 소비자에게 전달된 후에 씰링지가 제거된 상품에 대해서는 제조사나 유통사가 책임을 지지 않는 관행이 있었는데, 본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된 기밀돌기(115)가 구비된 용기캡(110)의 경우에 유통과정에서 상기 용기캡(110)이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서 제조사(용기와 용기캡(110)을 납품받아서 음식물 포장에 사용하는 제조사)가 사용에 난색을 표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캡(110)의 가장자리에 씰링부재(130)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캡(11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씰링부재(130)를 제거하여야만 하도록 하여 유통과정에서 기밀성이 유지된 제품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씰링부재(130)는 용기캡(110)의 가장자리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점접(120)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장자리란 제2 나사산(113)이 형성되어 있는 측벽의 하부 끝단을 말한다.
씰링부재(130)의 내측에는 걸림턱(13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31)은 하부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면서(걸림턱(131)이 길어지면서)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씰링부재(130)의 내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걸림턱(131)은 씰링부재(130)의 내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주둥이 외측으로 걸림턱(13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걸림돌기(150)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150)는 하부가 상기 용기본체(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고, 상부는 용기본체(100)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용기캡(110)을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에 장착하면 씰링부재(130)의 걸림턱(131)이 용기본체(100)의 걸림돌기(150)에 걸리는 구조로 결합된다.
걸림턱(131)과 걸림돌기(150)는 결합되는 방향이 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캡(110)을 장착하는 방향으로는 상기 걸림턱(131)이 걸림돌기(150)를 쉽게 넘어가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캡(110)을 분리할 때는 걸림턱(131)과 걸림돌기(150)의 서로 맞닿는 면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턱(131)이 상기 걸림돌기(150)에 걸려서 넘어가지 못하는 구조가 된다. 그리하여 용기캡(1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용기캡(110)에 점접(120)된 부위가 분리되면서 상기 씰링부재(130)가 용기캡(110)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씰링부재(130)가 분리되면 최소한 한 번 이상 용기캡(110)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저장용기가 유통과정에서 기밀성이 훼손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종래의 음식물 저장용기는 씰링지가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에 융착되었기 때문에 본원발명과 같이 용기캡(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ring) 모양의 씰링부재(130)가 사용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씰링지가 필요없는 저장용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씰링부재(130)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원발명은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에 씰링부재(130)가 생략된 형태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용기캡(110)의 내측에 피폼지를 구비할지 여부는 선택적인 사항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구조는 씰링부재(130)의 하부면이 내측은 높고, 외측은 낮아지는 하부경사면(135)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외측 및 내측과 하부 등의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이며, 음식물 저장용기를 용기캡(110)이 상부를 향하도록 놓여진 통상적인 사용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걸림돌기(150)의 하부에는 보조돌기(17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돌기(170)는 상기 걸림돌기(150)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부는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크지도록 보조경사면을 가진다.
보조돌기(170)의 보조경사면에는 스탑블록(175)이 형성되어 있다. 스탑블록(17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경사면 상에 구비되며, 상부면이 용기의 주둥이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이루고, 외측은 상기 용기의 주둥이와 나란한 방향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스탑블록(175)은 상부면(171)의 일부가 최소한 용기캡(110) 및 씰링부재(130)의 내벽보다 크도록 외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스탑블록(175)의 외측(173)은 상기 씰링부재(130)의 내벽보다는 외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용기캡(110)을 장착하는 경우에 씰링부재(130)의 하부면이 스탑블록(175)과 맞닿으면 상기 씰링부재(13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경사면(135)에 의하여 상기 씰링부재(130)의 하부가 상기 스탑블록(175)의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내벽이 스탑블록(175)에 걸리도록 한다. 그리하여 스탑블록(175)이 씰링부재(130)의 하부가 외측으로 다소 기울어지고 상부는 내측으로 다소 기울어진 형태를 유지하면서 걸림돌기(150)와 보조돌기(170) 사이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씰링부재(130)의 하부 내측에 상기 스탑블록(175)과 맞물리면서 걸리는 돌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씰링부재(130)는 종래에 음료용기에 흔히 사용되는 구성 중에 하나이지만 음식물 저장용기에서는 씰링지로 인한 필요성의 부재와 구조적인 부적합으로 인하여 적용되지 않았다. 그런데 본원발명은 씰링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이기에 적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씰링부재(130)와 같은 역할을 할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주둥이가 좁기 때문에 씰링부재(130)가 정확하게 이탈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비교적 쉽지만 본원발명과 같은 음식물 저장용기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넓은 주둥이를 가기 때문에 씰링부재(130)가 걸림돌기(15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정확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더구나 음료용기는 일부 제품의 경우에 국내에서 제조하기 어려워서 외국에서 수입할 정도로 용기캡(110) 자체가 고정밀도의 제품이지만(예를 들면, 플라스틱 맥주병에 사용되는 캡), 음식물 저장용기는 비교적 영세업체에서 정밀도가 낮은 금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씰링부재(130)와 걸림돌기(150)의 규격을 정밀하게 하여 정확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은 스탑블록(175)이 구비된 보조돌기(170)로 인하여 씰링부재(130)가 구비된 용기캡(110)을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씰링부재(130)의 하부경사면(135)이 보조돌기(170)에 맞닿으면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씰링부재(130)의 하부가 외측으로 밀리면서 확장되면 상부는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씰링부재(130) 및 걸림턱(131)의 정밀도가 다소 떨어지더라도 상기 걸림턱(131)이 걸림돌기(150)에 더욱 견고하게 걸리게 된다.
외부로 확장된 씰링부재(130)의 하부는 스탑블록(175)에 걸려서 용기캡(110)을 분리할 때 최소한 씰링부재(130)가 분리되는데 도움을 줄 정도의 고정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씰링부재(130)의 정밀도가 다소 떨어지더라도 용기캡(110)을 열때 상기 씰링부재(130)가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씰링부재(130)의 상부와 하부가 경사지게 되면 점접(120)부위가 약해져서 상기 씰링부재(130)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용기캡(110)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수축된 상기 씰링부재(130)의 상부가 용기본체(100)의 주둥이 외측에 밀착되거나 가압되어 쉽게 움직이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은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걸림돌기(150)가 전부나 일부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곡선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용기본체(100)의 주둥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50)가 어떤 부위는 다소 낮게 형성되고, 어떤 부위는 다소 높게 형성되도록 물결모양으로 구성된다. 도 4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소 과장되도록 도시된 것이며, 실제로는 미세한 차이만 두어도 후술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걸림돌기(1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돌기(170)도 상기 걸림돌기(150)와 동일한 형상의 물결무늬를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걸림돌기(150)의 위치에 차이를 두면 용기캡(110)을 개방할 때 상기 걸림돌기(150)에 걸려서 이탈되는 씰링부재(130)가 더욱 쉽게 이탈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 등에 적용된 걸림돌기(150)는 용기의 주둥이 둘레면을 따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캡(110)을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150)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씰링부재(130)의 걸림턱(131)이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150)에 걸리게 되기 때문에 접점부위가 한꺼번에 힘을 받으면서 분리되게 된다. 이처럼 걸림턱(131)의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한 힘이 작용하면 접점된 모든 부위가 동시에 이탈될 정도의 외력이 가해져야만 상기 씰링부재(130)가 분리된다. 그러나 본원발명과 같이 걸림돌기(150)의 위치에 차이를 두어 물결모양으로 구현하면 씰링부재(130)가 동시에 힘을 받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위가 먼저 힘을 받고 다른 부위는 나중에 힘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접점을 한꺼번에 분리시키는 것보다 적은 힘으로 씰링부재(13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용기본체
105: 제1 나사산
110: 용기캡
113: 제2 나사산
115: 기밀돌기
120: 점접부위
130: 씰링부재
131: 걸림턱
150: 걸림돌기
170: 보조돌기
175: 스탑블록

Claims (4)

  1.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장착되는 용기캡으로 구성되는 음식물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의 상부 내측면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의 상부면에 대면하는 부위에 최소한 2개 이상의 기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캡의 가장자리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용기캡의 가장자리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점접 되어 결합되며, 상기 씰링부재의 내측에는 걸림턱이 구비되되 상기 걸림턱은 하부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면서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씰링부재의 내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 외측으로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하부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상부가 상기 용기본체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돌기기 구비되고,
    상기 씰링부재의 하부면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도록 구성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의 하부에는 보조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걸림돌기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보조돌기의 상부는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크지도록 보조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보조경사면에는 스탑블록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탑블록은 상부면이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외측은 상기 용기본체 주둥이와 나란한 방향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용기캡을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장착하면 상기 씰링부재의 하부면이 상기 스탑블록과 맞닿으면서 상기 씰링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경사면에 의하여 상기 씰링부재의 하부가 상기 스탑블록의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내벽이 상기 스탑블록에 걸리면서 상기 씰링부재의 하부가 외측으로 기울어지고 상부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유지하면서 걸림돌기와 보조돌기 사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용기본체 주둥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는 전부나 일부 상이하도록 곡선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KR1020190150668A 2019-11-21 2019-11-21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KR10215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668A KR102155147B1 (ko) 2019-11-21 2019-11-21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668A KR102155147B1 (ko) 2019-11-21 2019-11-21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147B1 true KR102155147B1 (ko) 2020-09-21

Family

ID=7270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668A KR102155147B1 (ko) 2019-11-21 2019-11-21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323A (ko) * 2022-01-13 2023-07-20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2A (zh) * 1993-02-09 1996-02-28 自动铸模公司 设有防护带的螺旋顶盖
JP2015081103A (ja) * 2013-10-21 2015-04-27 株式会社Csiジャパン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KR101848214B1 (ko) 2017-11-20 2018-04-11 김재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KR101917059B1 (ko) 2018-04-05 2018-11-08 김재기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KR101944214B1 (ko) 2018-04-02 2019-01-30 김재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2A (zh) * 1993-02-09 1996-02-28 自动铸模公司 设有防护带的螺旋顶盖
JP2015081103A (ja) * 2013-10-21 2015-04-27 株式会社Csiジャパン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KR101848214B1 (ko) 2017-11-20 2018-04-11 김재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KR101944214B1 (ko) 2018-04-02 2019-01-30 김재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KR101917059B1 (ko) 2018-04-05 2018-11-08 김재기 피폼지가 필요 없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323A (ko) * 2022-01-13 2023-07-20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KR102640763B1 (ko) * 2022-01-13 2024-02-27 주식회사 그린피앤에스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1196C (en) Plastic beverage closure
US3743133A (en) Lid and container
AU2012249680B2 (en) A closure lid with identifying means
US5265747A (en) Plastic beverage closure
KR20190121881A (ko) 병 뚜껑
EP0922010A1 (en) Plastic container dispensing fitment
KR20160045757A (ko)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KR101233851B1 (ko) 마개용 밀봉 수단, 마개 및 공정
CN102267602A (zh) 用于气溶胶容器的改进的颈口
KR102155147B1 (ko)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JPH0848357A (ja) 溶接リング付スクリューキャップ
GB2545672A (en) Method of forming a closure
CZ290999B6 (cs) Sud s víkem
CA3079406A1 (en) Closure and package that vents at high pressure
US20150060477A1 (en) Container with a lid
KR102155156B1 (ko) 분리 제거형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US20070090111A1 (en) Closure arrangement for cans
KR20180034527A (ko) 용기 및 마개
JP7347938B2 (ja) 樹脂製容器口部と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との組み合わせ
US3272405A (en) Closure for container
JP5007244B2 (ja) キャップ一体型注出具
US10875687B2 (en) Plastic container with integrated spout for directional pour
AU2010225470A1 (en) Closure comprising a plug sealed to a ring with malleable material
DK158084B (da) Beholder af spande- eller baegertypen med tilhoerende laag
US10934057B2 (en) Aseptic screw-ca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