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323A -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 Google Patents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323A
KR20230109323A KR1020220005165A KR20220005165A KR20230109323A KR 20230109323 A KR20230109323 A KR 20230109323A KR 1020220005165 A KR1020220005165 A KR 1020220005165A KR 20220005165 A KR20220005165 A KR 20220005165A KR 20230109323 A KR20230109323 A KR 20230109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rtridge
lid
grain
grade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763B1 (ko
Inventor
최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0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76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 B41K1/52Ink reservoirs, e.g. integral with stamp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56Handles

Landscapes

  • Ink Jet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은 속이 빈 원통형태의 몸체부 상단에는 등급표시부가 고정 장착되고, 등급표시부로의 잉크 공급을 위해 몸체부 내측에 잉크 카트리지가 수용되며, 몸체부의 하단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해 뚜껑이 체결되는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에 있어서, 몸체부는 몸체부 내측으로 잉크 카트리지를 완조립되면 잉크 카트리지의 하단부가 15~50㎜ 노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뚜껑은 잉크 카트리지의 노출부를 수용하되 잉크 카트리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몸체부와 뚜껑의 나사 체결을 위해 뚜껑에 형성된 나사조립부 안쪽에는 환상의 패킹 홈이 형성되며, 패킹 홈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Stamp for marking grade of grain}
이 발명은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곡포대의 표면에 등급을 표시하는 검인 과정에서 잉크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잉크 카트리지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에 관한 것이다.
벼, 보리, 밀 등의 양곡을 수매하는 과정에서 양곡이 담긴 포대의 표면에는 등급 등의 검인이 표시된다. 양곡을 담는 양곡포대는 대체적으로 거친 표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치 망치 형태로 구성된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을 사용하여 강한 타격을 가해야만 등급 표시가 분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망치 형태로 구성된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을 망치를 사용하듯 헤드 부분이 양곡포대의 표면에 닿도록 때려 헤드 부분에 묻은 잉크가 양곡포대이 표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306998호에 개시된 잉크필터 교체형 양곡 등급표기용 검사표시인은 이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 및 등록된 것이다. 예의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은 원통 형태의 몸체부 내측에 내장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잉크 필터)의 잉크가 소진되면 잉크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예의 잉크필터 교체형 양곡 등급표기용 검사표시인의 몸체부 하단에는 나사 체결방식의 뚜껑이 조립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잉크필터 교체형 양곡 등급표기용 검사표시인은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가 소진되어 잉크 카트리지를 교체하고자 하는 과정이 다소 불편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즉, 잉크 카트리지에는 속건성 불멸잉크가 충진되기 때문에 잉크 성분이 수지가 주변에 약간이라도 말라서 접착된 상태가 됨에 따라서 몸체부로부터 잉크 카트리지를 잡아 빼내는데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잉크 카트리지의 끝단이 몸체부의 끝단에 일치되게 구성됨에 따라 몸체부 내측에 잉크 카트리지가 달라붙게 된 상태 등에서는 잉크 카트리지를 빼내기가 더욱 어럽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해서 몸체부 하단에 체결된 뚜껑을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사용 중에 몸체부 안쪽으로 흘러 잔류하게 되는 잉크의 누출로 인해 주변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306998(2013.09.11. 공고)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76-1471(1976.11.30. 공고)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양곡포대의 표면에 등급을 표시하는 검인 과정에서 잉크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잉크 카트리지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은 속이 빈 원통형태의 몸체부 상단에는 등급표시부가 고정 장착되고, 등급표시부로의 잉크 공급을 위해 몸체부 내측에 잉크 카트리지가 수용되며, 몸체부의 하단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해 뚜껑이 체결되는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에 있어서, 몸체부는 몸체부 내측으로 잉크 카트리지를 완조립되면 잉크 카트리지의 하단부가 15~50㎜ 노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뚜껑은 잉크 카트리지의 노출부를 수용하되 잉크 카트리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몸체부와 뚜껑의 나사 체결을 위해 뚜껑에 형성된 나사조립부 안쪽에는 환상의 패킹 홈이 형성되며, 패킹 홈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에서 패킹의 내주면 일측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외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환상의 내향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에서 패킹에 형성된 내향돌기는 몸체부에 잉크 카트리지를 조립한 후 상기 뚜껑을 체결하는 순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은 사용 중에 잉크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잉크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주변이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몸체부 내부에 존재할수 있는 잉크가 몸체부와 뚜껑이 상호 조립된 체결부분을 통해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사시도.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단면도.
도5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잉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해서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6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뚜껑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를 완전히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7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출원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구성 및 사용 상태 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사시도이며,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을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은 잉크 카트리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도1 및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은 몸체부(110)의 상부에는 등급표시부(120)가 고정 장착되며, 등급표시부(120)는 보호커버(13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등급표시부(120)는 양곡의 등급에 따라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표시되는 스탬프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1에서는 원 안에 점이 하나 찍히도록 한 것으로, 원 안의 점 하나는 1등급을 의미한다. 등급표시부(120)에 새겨지는 문자 및 숫자로는 '특', '1등급', '2등급' 등이 있을 수 있다. 기호로는 원 안에 점이 하나 표시된 형태(⊙)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원 안의 점 개수에 따라 1등급, 2등급, 3등급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보호커버(130)는 작업자가 등급표시부(120)를 손쉽게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연성이 있는 고무 소재 등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등급표시부(120)에 씌워졌을 때에는 등급표시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은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속이 빈 원통형태의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되어 등급표시부(120)에 잉크를 제공하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부(110)의 길이는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 내측으로 잉크 카트리지(200)를 완조립하였을 경우에 잉크 카트리지(200)의 하단부가 15~50mm 노출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 몸체부(110) 하부에 조립되는 뚜껑(140)은 잉크 카트리지(200)의 노출부를 수용하도록 잉크 카트리지(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1에 도시된 형태의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의 하부에 조립된 뚜껑(140)을 분리하면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하단 밖으로 잉크 카트리지(200)의 일부 길이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부(110)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뚜껑(140)의 상단부 내측에는 나사조립부(142)가 형성되고,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나사조립부(142)의 안쪽에는 환상의 패킹 홈(144)이 형성된다. 이 패킹 홈(144)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150)이 조립 설치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에서 패킹(150)은 도2 및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그 내주면 일측에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외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환상의 내향돌기(152)가 형성된다. 내향돌기(152)는 몸체부(110)에 잉크 카트리지(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뚜껑(140)을 체결하는 순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비록 내향돌기(152)의 내경이 잉크 카트리지(200)의 외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더라고 내향돌기(152)의 경사면에 의해서 잉크 카트리지(200)는 뚜껑(140)의 내부공간(146)에 쉽게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내향돌기(152)의 높이는 대략 0.2~2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잉크 카트리지(200)의 외경이 20mm일 경우에, 패킹(150)의 내경은 20mm로 형성되지만 내향돌기(152)의 최소직경부의 지름은 19mm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뚜껑(140)의 내부공간(146)에 잉크 카트리지(200)의 하부 일정길이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패킹(150)의 내향돌기(152)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외주면에 탄성을 띤채로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잉크 카트리지(200)는 몸체부(110) 내로 끼워지게 되어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하측으로 잉크 카트리지(200)의 일정길이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패킹 홈(144)에 패킹(150)이 조립된 상태의 뚜껑(140)을 몸체부(110)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조립부(112)에 뚜껑(140)의 나사조립부(142)가 나사 체결되도록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몸체부(110)의 하단은 패킹(150)에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60은 몸체부(110)의 하부 일정 구간에 조립된 그립(grip)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5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잉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해서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6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뚜껑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를 완전히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다.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을 사용하던 중 등급표시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잉크가 흐르게 배출되면 잉크 카트리지(200)의 잉크가 소진된 상태임에 따라 사용자는 잉크 카트리지(200)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잉크 카트리지(200)의 교체를 위해 사용자는 먼저 몸체부(110)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뚜껑(140)을 돌려 분리하게 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40)의 내부공간(146)에 잉크 카트리지(200)의 하단부 일정길이가 삽입된 상태로 분리된다. 즉, 뚜껑(140)의 패킹 홈(144)에 조립되어 있는 패킹(150)의 내향돌기(152)가 잉크 카트리지(20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됨에 따라 사용자가 뚜껑(140)을 분리하게 되면 뚜껑(140)과 함께 잉크 카트리지(200)는 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사용자는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한 손으로는 뚜껑(14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잉크 카트리지(200)를 잡은 상태에서 상호 분리하게 된다.
사용된 잉크 카트리지(200) 대신에 잉크가 충전되어 있는 새로운 잉크 카트리지(200)는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순서로 조립하게 된다.
도7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7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은 사용 중에 잉크 카트리지(200)를 교체하기 위해 사용자가 몸체부(110)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뚜껑(140)을 돌려 분리하였음에도 몸체부(110)로부터 잉크 카트리지(20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것이다. 예를 들어, 잉크 카트리지에 충진되어 있던 속건성 불멸잉크에 의해서 몸체부(110) 내측에 잉크 카트리지(200)가 달라붙어 있어 뚜껑(140)의 분리 시에 함께 분리되지 않을 때에, 사용자는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 하측으로 노출된 잉크 카트리지(200) 부분을 잡아당기게 되면 잉크 카트리지(200)는 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은 사용 중에 잉크 카트리지(20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잉크 카트리지(20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주변이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1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몸체부(110) 내부에 존재할수 있는 잉크가 몸체부(110)와 뚜껑(140)이 상호 조립된 체결부분을 통해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110 : 몸체부
112 : 나사조립부 120 : 등급표시부
130 : 보호커버 140 : 뚜껑
142 : 나사조립부 144 : 패킹 홈
146 : 내부공간 150 : 패킹
152 : 내향돌기 200 : 잉크 카트리지

Claims (3)

  1. 속이 빈 원통형태의 몸체부 상단에는 등급표시부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등급표시부로의 잉크 공급을 위해 상기 몸체부 내측에 잉크 카트리지가 수용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해 뚜껑이 체결되는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완조립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하단부가 15~50㎜ 노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노출부를 수용하되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뚜껑의 나사 체결을 위해 상기 뚜껑에 형성된 나사조립부 안쪽에는 환상의 패킹 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 홈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외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환상의 내향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에 형성된 내향돌기는 상기 몸체부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조립한 후 상기 뚜껑을 체결하는 순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KR1020220005165A 2022-01-13 2022-01-13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KR10264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165A KR102640763B1 (ko) 2022-01-13 2022-01-13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165A KR102640763B1 (ko) 2022-01-13 2022-01-13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323A true KR20230109323A (ko) 2023-07-20
KR102640763B1 KR102640763B1 (ko) 2024-02-27

Family

ID=8742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165A KR102640763B1 (ko) 2022-01-13 2022-01-13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7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503Y1 (ko) * 2002-06-21 2002-09-16 조태인 도장
KR101306998B1 (ko) 2013-07-01 2013-09-11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잉크필터 교체형 양곡 등급표기용 검사표시인
KR102155147B1 (ko) * 2019-11-21 2020-09-21 김재기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503Y1 (ko) * 2002-06-21 2002-09-16 조태인 도장
KR101306998B1 (ko) 2013-07-01 2013-09-11 주식회사 그린 피앤에스 잉크필터 교체형 양곡 등급표기용 검사표시인
KR102155147B1 (ko) * 2019-11-21 2020-09-21 김재기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763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9013B2 (en) Member and method for protecting ink tank
EP081610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illing a print cartridge
EP2238040B1 (en) Containers with external protection sheet
KR20230109323A (ko) 양곡 등급표시용 검인
US20100214375A1 (en) Apparatus for refilling an ink cartridge for an inkjet printer
US8029116B2 (en) Ink cartridge
JP5294722B2 (ja) 容器
BG106561A (en) Cap for a wine bottle
JP2000135848A (ja) インク容器付きスタンプパッド
JP3631199B2 (ja) 中綿式筆記具の中綿交換機構
JP4381919B2 (ja) バルブ開放機構、それを用いた取り替え用エアゾール容器およびエアゾール容器の取り替えシステム。
KR101306998B1 (ko) 잉크필터 교체형 양곡 등급표기용 검사표시인
JP3011297U (ja) 透明外筒式筆記用具
JP201210146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152670Y1 (ko) 잉크충전식 필기구
JP3926315B2 (ja) 中綿式筆記具用の中綿交換機構
CN220236291U (zh) 一种面霜瓶
CA1056111A (en) Dental hygiene kit
JP3647923B2 (ja) 筆記具
WO2008017873A1 (en) Felt-tip marking pens
KR200328084Y1 (ko) 대형 잉크젯프린터의 잉크 공급장치
JP2002326491A (ja) 不透明容器へ充填した色の表示方法
JP2004035009A (ja) 二容器収納ケース
AU2015100932B4 (en) Improved Ink Refill Cartridge for all-in-one Printhead-ink Cartridge
KR200263012Y1 (ko) 외부에 주입구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