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953B1 - 오픈형 휠체어 - Google Patents

오픈형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953B1
KR101915953B1 KR1020170020317A KR20170020317A KR101915953B1 KR 101915953 B1 KR101915953 B1 KR 101915953B1 KR 1020170020317 A KR1020170020317 A KR 1020170020317A KR 20170020317 A KR20170020317 A KR 20170020317A KR 101915953 B1 KR101915953 B1 KR 10191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present
open
open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242A (ko
Inventor
박태현
최현진
김정훈
김상현
현종남
정지후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9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형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착좌하는 착좌부; 상기 착좌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상기 사용자가 기대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픈형 휠체어{OPEN TYPE WHEELCHAI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픈형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우나 노약자의 접근권이 개선되는 과정에서 지하철역사, 공원, 버스터미널, 음식점, 관공서 등의 시설에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편의시설이 다수 설치되고 있다.
특히, 화장실의 경우 남여화장실과 별도로 넉넉한 공간에 신체를 지탱할 수 있는 각종 손잡이들을 설치하여 휠체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휠체어를 벗어나 양변기로의 이동은 휠체어 사용자 혼자힘으로는 여전히 버거운 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휠체어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다수의 발명 또는 고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대한민국공개특허 특2001-0100990호는 주변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의 수송, 이동, 리프팅을 위한 구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인 등을 힘이 약한 노약자가 쉽게 들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발명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주변사람이 상기 공개특허를 사용해서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인 등을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장애인이나 노인 혼자서는 상기 공개특허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주변사람의 도움 없이 화장실 용무를 볼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의 개선 만으로도 장애인 화장실이 아닌 일반 화장실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휠체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는 사용자가 등받이부의 개폐부를 오픈(open) 한 후, 착좌부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도 좌변기, 침대, 의자 등의 다양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오픈형 휠체어는 지체장애인 또는 노인 등이 간병인의 도움 없이도 휠체어로부터 다양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 화장실이 아닌 일반 화장실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 사용자 혼자서 용이하게 좌변기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오픈형 휠체어는 등받이부의 개폐부를 다양한 개폐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의 등받이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오픈형 휠체어는 종래의 휠체어와 비교하여 적은 비용으로도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버시대에 맞춰 보다 널리 용이하게 보급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는 사용자가 착좌하는 착좌부; 상기 착좌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상기 사용자가 기대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오픈형 휠체어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LM 가이드; 및 상기 LM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착좌부가 부착되는 LM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오픈형 휠체어의 후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는 지퍼, 고리 또는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에 따르면 사용자가 등받이부의 개폐부를 오픈(open) 한 후, 착좌부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도 좌변기, 침대, 의자 등의 다양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를 사용하면 지체장애인 또는 노인 등이 간병인의 도움 없이도 휠체어로부터 다양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장애인 화장실이 아닌 일반 화장실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 사용자 혼자서 용이하게 좌변기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는 등받이부의 개폐부를 다양한 개폐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의 등받이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휠체어와 비교하여 적은 비용으로도 개선이 가능하므로, 실버시대에 맞춰 보다 널리 용이하게 보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이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의 등받이부와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100)는 착좌부(110), 슬라이딩부(120), 등받이부(130) 및 개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좌부(110)는 사용자가 착좌하는 곳으로서, 슬라이딩부(120)는 상기 착좌부(110)를 슬라이딩(sliding) 이동시킨다.
따라서, 착좌부(110)에 착좌한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부(120)에 의해 오픈형 휠체어(100)의 후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좌변기 등의 장소로 용이하게 옮겨 앉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좌부(110)의 이동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100)의 등받이부(130)에는 개폐부(140)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등받이부(130)는 사용자가 기대는 곳으로서 상기 등받이부(130)에는 개폐부(1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140)는 지퍼, 고리 또는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등받이부(130)의 상하 "?袖?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100)의 사용자는 상기 등받이부(130)의 개폐부(140)를 오픈(open)한 후, 슬라이딩부(120)에 의해 상기 착좌부(110)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좌변기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이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이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슬라이딩부(120)는 상기 착좌부(110)를 슬라이딩(sliding)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부(120)는 LM 가이드(121) 및 LM 블럭(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LM 가이드(121)는 상기 오픈형 휠체어(100)의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LM 블럭(122)은 상기 LM 가이드(121)에 장착되어 상기 착좌부(110)가 부착되며, 상기 LM 블럭(122)이 상기 LM 가이드(12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상기 오픈형 휠체어(100)의 후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착좌부(110)에 착좌한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부(120)에 의해 오픈형 휠체어(100)의 후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좌변기로 용이하게 옮겨 앉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의 등받이부와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의 등받이부와 개폐부의 구성과 그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는 등받이부(130)와 개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140)는 지퍼, 고리 또는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등받이부(130)의 상하 "?袖?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140)를 덮는 덮개부(1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150)에는 벨크로를 부착하여 상기 덮개부(15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휠체어(100)의 사용자는 상기 등받이부(130)의 개폐부(140)를 오픈(open)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좌부(110)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좌변기(20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휠체어
110: 착좌부
120: 슬라이딩부
121: LM 가이드
122: LM 블럭
130: 등받이부
140: 개폐부
150: 덮개부
151: 벨크로
200: 좌변기

Claims (6)

  1. 사용자가 착좌하는 착좌부;
    상기 착좌부를 오픈형 휠체어의 후면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상기 사용자가 기대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지퍼 또는 벨크로로 형성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오픈형 휠체어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LM 가이드; 및
    상기 LM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착좌부가 부착되는 LM 블럭;을 포함하는 오픈형 휠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20317A 2017-02-15 2017-02-15 오픈형 휠체어 KR10191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17A KR101915953B1 (ko) 2017-02-15 2017-02-15 오픈형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17A KR101915953B1 (ko) 2017-02-15 2017-02-15 오픈형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42A KR20180094242A (ko) 2018-08-23
KR101915953B1 true KR101915953B1 (ko) 2019-01-30

Family

ID=6345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317A KR101915953B1 (ko) 2017-02-15 2017-02-15 오픈형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288A (ko) 2018-12-03 2020-06-12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루투스를 이용한 휠체어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15Y1 (ko) * 2011-07-14 2011-11-24 김주호 타고 내리기 쉬운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155A (ko) * 2011-03-03 2012-09-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시트와 등받이가 움직이는 휠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15Y1 (ko) * 2011-07-14 2011-11-24 김주호 타고 내리기 쉬운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42A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684B1 (ko)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US10646396B2 (en) Hybrid mobility and transfer assistance device
US6418571B1 (en) Chair with toilet sink
KR200375177Y1 (ko) 분리대가 있는 객석용 의자의 접이식 공용팔걸이
KR101915953B1 (ko) 오픈형 휠체어
JP2007061509A (ja) 介護用シャワー椅子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JPH119625A (ja) 車椅子及び車椅子用便器装置
US6209901B1 (en) Wheel chair with waste elimination opening
JPH11253492A (ja) 車椅子シート移送装置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101496740B1 (ko) 휠체어용 우산
JP5105129B2 (ja) 介護用車椅子
JP2001161751A (ja) 介護車
JP2002035079A (ja) 多機能付き移動式簡易風呂
KR20060131285A (ko) 세면대용 의자
JP2019196585A (ja) マルチトイレシステム
JP2003104093A (ja) 車両用シート
JP3054554U (ja) 車椅子の乗降用補助具
JP2000060903A (ja) 座面に切欠き部を有する車椅子
JP3188082U (ja) 移動介助椅子
JPS6033960Y2 (ja) デンタル椅子におけるヘッドレスト装置
CN204581739U (zh) 一种轮椅用可折叠可调节的腋下支撑机构
JP3051383B1 (ja) 車椅子用の座席ユニット
JP5139553B2 (ja) 介護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