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740B1 - 휠체어용 우산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740B1
KR101496740B1 KR20120155532A KR20120155532A KR101496740B1 KR 101496740 B1 KR101496740 B1 KR 101496740B1 KR 20120155532 A KR20120155532 A KR 20120155532A KR 20120155532 A KR20120155532 A KR 20120155532A KR 101496740 B1 KR101496740 B1 KR 10149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wheelchair
umbrella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213A (ko
Inventor
조규진
마효명
곽진우
권영민
김동해
연제현
이주형
좌은혁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15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7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93Sunshades or weather protections of other than umbrella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45B2025/186Umbrellas with two or mor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휠체어용 우산은 한 쌍의 측면우산들 및 상부우산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우산들은 휠체어의 팔걸이부에 각각 고정되며, 각각은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에 감겨지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우산은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부에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우산{DETACHABLE WHEELCHAIR UMBRELLA}
본 발명은 휠체어용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이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휠체어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약자,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자들을 위한 일상생활 보조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장애의 종류 및 불편한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목적과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의 경우, 비가 오는 날에는 활동이 매우 불편하여 대부분 외부 활동을 삼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적극적인 대외활동 또는 필수 불가결한 대외활동을 위해서는 비가 오는 날에도 외부 출입이 필요한데, 이 경우, 대부분 보조인들이 우산을 받쳐가며 휠체어를 이동시키거나, 장애인 스스로 우산을 들고 휠체어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우산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 않으므로, 대부분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우산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휠체어 뿐 아니라 휠체어를 탄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비를 제대로 피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에는, 이러한 불편함은 더욱 증가하여, 비를 맞지 않고 우산을 받치면서 휠체어를 이동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물론, 많은 장애인 또는 노약자들이 차량을 통해 이동하지만, 차량의 승하차 중에 비를 막을 수 있도록 고안된 우산은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므로,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불편함 및 고충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를 막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휠체어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우산은 한 쌍의 측면우산들 및 상부우산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우산들은 휠체어의 팔걸이부에 각각 고정되며, 각각은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에 감겨지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우산은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부에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펼쳐져 사용자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우산들 각각은, 상기 팔걸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는 중앙 베이스 프레임,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의 양 끝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및 제4 연장부들,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에 고정되는 제1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에 고정되는 제2 중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은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여 접혀지고,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에 대하여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커버부는,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지지프레임,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상부 회전프레임, 및 상기 상부 회전프레임으로부터 펼쳐져 사용자의 후면, 상면 및 전면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휠체어의 다리 지지부의 끝단에는 제1 고정부가 고정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끝단에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고정되는 제2 고정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상부 회전프레임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제1 및 제2 중앙 프레임들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휠체어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차량의 트렁크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휠체어의 머리 받침부로부터 연장된 제1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1 보조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2 보조프레임에 고정되며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한 쌍의 측면우산들과 상부우산을 포함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측면, 후면, 상면 및 정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우산으로서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우산들 및 상부우산은 각각 커버 및 상부커버가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었다가 펼쳐지면서 우산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사용하는 경우 사용 방법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부커버부가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부는 각각의 프레임들이 서로 접혀지도록 연결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혀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우산의 상부 프레임부는 제1 중앙 프레임 및 제2 중앙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커버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펼쳐질 수 있다.
특히, 휠체어의 머리 받침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보조 프레임부가 상기 상부 커버부를 추가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므로, 상기 상부 커버부가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펼쳐질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부에 고정된 제2 고정부는 이동 중에는 휠체어의 제1 고정부와 고정되어 상기 상부 커버부가 사용자의 다리 부분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차량에 탑승할 때에는 차량에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차량의 탑승 중에도 비를 피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우산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우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상부 프레임부 및 상부 커버부가 운반 가능하도록 상기 휠체어로부터 이탈되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휠체어용 우산에서 제2 측면우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a 및 6b들은 도 1의 휠체어용 우산에서 상부우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d들은 도 1의 휠체어용 우산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우산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우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우산(10)은 휠체어(100)에 고정되어, 상기 휠체어(100)에 탑승한 사용자의 측면, 후면, 상면 및 정면을 모두 커버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비를 맞지 않고 이동 및 차량 탑승 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휠체어(100)는 바퀴가 고정되며 몸체를 이루는 본체부(101), 상기 본체부(101)에 고정되는 의자부(102), 상기 의자부(102)의 일단에 고정된 다리 지지부(103), 상기 의자부(102)의 타단에 연결된 등받이부(105), 상기 등받이부(105)의 끝단에 고정된 머리 받침부(106), 및 상기 의자부(102)에 고정된 제1 및 제2 팔걸이부들(110, 120)을 포함한다.
상기 휠체어(100)는 일반적으로 대중화된 형태이며, 도 1에 도시된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100)가 도 1에 도시된 형태 외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더라도, 상기 휠체어(100)는 제1 및 제2 팔걸이부들, 등받이부 및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우산(10)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휠체어에 고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휠체어(100)의 다리 지지부(103) 끝단에는 제1 고정부(104)가 고정되어, 후술할 제2 고정부(405)와 고정된다.
상기 휠체어용 우산(10)은 제1 및 제2 측면우산들(200, 210) 및 상부우산(500)을 포함하며, 보조 프레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우산(500)은 상부 프레임부(300) 및 상부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우산(200)은 제1 베이스 프레임(201), 제1 지지프레임(202), 제1 회전프레임(203) 및 제1 커버(2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201)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휠체어(100)의 제1 팔걸이부(110)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201)은 상기 제1 팔걸이부(1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므로,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제1 팔걸이부(110)로부터 탈착하여 별도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프레임(202)은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201)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회전프레임(203)은 상기 제1 지지프레임(202)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1 커버(204)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203)에 감겨 고정되며, 사용시에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20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프레임(203)으로부터 풀리며 펼쳐진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커버(204)는 상기 제1 팔걸이부(110)로부터 상부 방향인 제1 방향(X)으로 펼쳐진다. 그 결과, 사용자의 오른쪽 측면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제1 커버(204)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203)으로부터 일정한 장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커버(204)가 사용될 때에는 일정한 힘이 가해져 상기 제1 회전프레임(203)으로부터 펼쳐지고, 상기 제1 커버(204)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203)으로 자연스럽게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커버(204)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203)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제4 연장부(340)에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제1 커버(204)는 비를 막으면서 사용자의 가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 우산으로 많이 사용되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204)의 끝단은 후술할 상기 상부우산(5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측면우산(200)은 상기 제1 팔걸이부(110)에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추가적으로 상기 휠체어(100)에 고정되는 부분 없이 사용자의 우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어, 휠체어와의 탈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제2 측면우산(210)은 제2 베이스 프레임(211), 제2 지지프레임(212), 제2 회전프레임(213) 및 제2 커버(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우산(210)은 상기 휠체어(100)의 제2 팔걸이부(120)에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측면우산(20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우산(500)의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는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 중앙 지지프레임(302), 제1, 제2, 제3 및 제4 연장부들(310, 320, 330, 340), 제1 중앙 프레임(305), 및 제2 중앙 프레임(306)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은 상기 휠체어(100)의 등받이부(105)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방향(X)과 수직인 제3 방향(Z)으로 연장된다.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302)은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의 양 끝단에 고정되며, 후술할 상기 상부 커버부(400)가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310, 320)은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의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1 방향(X)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310, 320)은 서로 대칭으로 연장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연장부(310)는 제1 연결부(311), 제1 내부 프레임(312), 제1 외부 프레임(313) 및 제3 연결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311)는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의 일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 프레임(312)은 상기 제1 연결부(311)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부 프레임(312)은 상기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311)에 대하여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31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외부 프레임(313)은 상기 제1 내부 프레임(312)의 외면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외부 프레임(313)은 상기 제1 내부 프레임(312)의 외면에서 상기 제1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외부 프레임(313)은 상기 제1 내부 프레임(312)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어, 상기 제1 연장부(310)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의 앉은키에 따라 상기 제1 연장부(310)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314)는 상기 제1 외부 프레임(313)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상기 제3 연장부(330)를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장부(330)와 상기 제1 연장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311) 및 상기 제3 연결부(314) 각각은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과 상기 제1 연장부(310), 및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상기 제3 연장부(330)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므로,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320)는 제2 연결부(321), 제2 내부 프레임(322), 제2 외부 프레임(323) 및 제4 연결부(324)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연결부(311), 상기 제1 내부 프레임(312), 상기 제1 외부 프레임(313) 및 제3 연결부(314)에 대응되며, 구조 및 연결 관계는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 연장부(330)는 제3 내부 프레임(331), 제3 외부 프레임(332) 및 제3 고정부(333)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내부 프레임(331)은 상기 제3 연결부(314)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방향(Y)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내부 프레임(331)은 상기 제3 연결부(314)에 대하여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하여, 우산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연장부(330)는 상기 제1 연장부(310)와 밀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의 부피가 최소화된다.
상기 제3 외부 프레임(332)은 상기 제3 내부 프레임(331)의 외면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외부 프레임(332)은 상기 제3 내부 프레임(331)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제3 외부 프레임(332)은 상기 제3 내부 프레임(331)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어, 상기 제3 연장부(330)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휠체어의 너비 및 사용자의 앉은키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3 연장부(330)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고정부(333)는 상기 제3 외부 프레임(332)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중앙 프레임(306)이 고정된다.
상기 제4 연장부(340)도 제4 내부 프레임(341), 제4 외부 프레임(342) 및 제4 고정부(343)를 포함하며, 각각은 상기 제3 내부 프레임(331), 제3 외부 프레임(332) 및 제3 고정부(333)에 대응되며, 구조 및 연결 관계는 상기 제3 연장부(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은 상기 제1 외부 프레임(313) 및 상기 제2 외부 프레임(323)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과 평행한 상기 제3 방향(Z)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중앙 프레임(306)은 상기 제3 고정부(333) 및 상기 제4 고정부(343)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과 평행한 상기 제3 방향(Z)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중앙 프레임들(305, 306)은 모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 우산(500)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중앙 프레임들(305, 306)은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로부터 탈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중앙 프레임들(305, 306)은 별도로 운반 및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부(400)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에 고정되어,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의 후면, 상면 및 정면을 커버한다.
상기 상부 커버부(400)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401), 상부 지지프레임(402), 상부 회전 프레임(403), 상부 커버(404) 및 제2 고정부(40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401)은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중앙지지 프레임(302)을 통하여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과 고정된다.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402)은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401)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이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402)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은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401)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상부 커버(404)가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에 감긴다.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에 감긴 상기 상부 커버(404)는 우산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부터 펼쳐진다. 즉,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의 제1 및 제2 연장부들(310, 320), 및 제3 및 제4 연장부들(330, 3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펼쳐진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 및 상기 제2 중앙 프레임(306)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부터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까지 상기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에서 상기 제2 방향(Y)으로 꺾여 연장된다. 이 후,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제2 중앙 프레임(306)까지 상기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제2 중앙 프레임(305)에서 꺾여 상기 다리 지지부(103)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다리 지지부(103)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1 고정부(104)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커버(404)는 끝단에 제2 고정부(405)가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부(405)는 상기 제1 고정부(104)에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부(405)는 상기 제1 고정부(104)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를 따라 연장되어,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의 후면, 상면 및 정면을 커버하여, 비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상부 커버(404)도 상기 제1 및 제2 커버들(204, 214)과 같이 투명한 방수성 재질을 포함하여 비를 차단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404)도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부터 일정한 장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 커버(404)가 사용될 때에는 일정한 힘이 가해져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부터 펼쳐지고, 상기 상부 커버(404)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 자연스럽게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제2 고정부(405)를 통해 상기 제1 고정부(104)에 고정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보조 프레임부(130)는 상기 머리 받침부(106)의 뒷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제1 보조 프레임(131) 및 상기 제1 보조 프레임(131)과 연결되며 상기 제3 방향(Z)으로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보조 프레임(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보조 프레임(132)은,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부터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까지 연장되는 상기 상부 커버(404)가 사용자의 머리에 닿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커버(404)의 연장방향이 꺾이도록 상기 상부 커버(404)를 지지한다.
즉, 상기 제2 보조 프레임(132)은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 및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의 사이에,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 및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이 위치한 위치보다 뒤쪽으로 위치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부터 상기 제2 보조 프레임(13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보조 프레임(132)에서 꺾인 후, 상기 제2 보조 프레임(132)으로부터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상부 커버(404)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머리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상부 프레임부 및 상부 커버부가 운반 가능하도록 상기 휠체어로부터 이탈되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의 제1 및 제2 중앙 프레임들(305, 306)은 탈착된다. 이후,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의 제3 및 제4 연장부들(330, 340)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310, 320)에 대하여 상기 제3 및 제4 연결부들(314, 324)을 중심으로 도 2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후,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의 제1 및 제2 연장부들(310, 320) 각각이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311, 321)을 중심으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부(400)의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에 감긴다. 그리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우산(500)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도 5는 도 1의 휠체어용 우산에서 제2 측면우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측면우산(210)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11)이 상기 제2 팔걸이부(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프레임(212)에 고정된 상기 제2 회전프레임(213)에 감긴 상기 제2 커버(214)가 상기 제1 방향(X)으로 사용자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펼쳐진다. 이 후, 상기 제2 커버(214)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300)의 제3 연장부(330)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 측면우산(210)은 사용자의 좌측 측면을 커버하여 비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측면우산(200)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우측 측면을 커버하여 비를 차단하게 된다.
도 6a 및 6b들은 도 1의 휠체어용 우산에서 상부우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우산(300)은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301)이 상기 등받이부(105)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302)에 고정된 상기 상부 커버부(400)의 상기 상부 커버(404)가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으로부터 펼쳐진다. 이 후,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부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제2 보조 프레임(13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커버(404)가 상기 제2 보조 프레임(132)에 의해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머리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제1 중앙 프레임(305)에 고정되며 꺾여 상기 제2 방향(Y)으로 상기 제2 중앙 프레임(306)까지 연장된다. 이 후,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제2 중앙 프레임(306)에 고정되며 꺾여 상기 다리 지지부(103)까지 연장되며, 상기 다리 지지부(103)의 끝단에 고정된 상기 제1 고정부(104)에 상기 제2 고정부(405)가 고정되면서, 사용자의 후면, 상면 및 정면을 모두 커버하게 된다.
도 7a 내지 7d들은 도 1의 휠체어용 우산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용 우산(10)에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20)으로 탑승되는 경우, 우선 차량(20)의 트렁크 또는 뒷문(21)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20)의 개방된 뒷문(21)으로 이동부(22)가 내려와, 이후 휠체어(100)가 탑승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이후, 상기 제1 고정부(104)와 고정된 상기 제2 고정부(405)를 상기 제1 고정부(104)로부터 탈착한 후, 상기 뒷문(21)의 끝단에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휠체어(100)에 탑승한 사용자의 상면은 상기 상부커버(404)에 의해 커버되며, 전면은 상기 차량(20)의 뒷문(21)에 의해 커버되므로, 비가 차단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커버(404)의 끝단에 고정된 상기 제2 고정부(405)를 상기 뒷문(21)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100)를 상기 이동부(22)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이동부(22)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뒷문(21)의 끝단에 고정된 상기 상부커버(404)는 길이가 감소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이동부(22)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404)는 상기 상부 회전프레임(403)에 회전되면서 감겨 상기 상부커버(404)의 길이는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커버(404)가 상기 상부 회전프레임(403)에 자연스럽게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상부커버(404)는 상기 상부 회전프레임(403)으로부터 일정한 장력을 받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404)는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이동부(22)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상부 회전프레임(403)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겨지게 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이동부(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22)는 차량의 뒷문으로 진입하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휠체어(100)도 상승하게 된다.
상기 차량(20)의 뒷문의 공간상의 제약으로 상기 휠체어(100)는 상승하면서 상기 의자부(102) 및 상기 등받이부(105)가 도 7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뒤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휠체어(100) 상에서 약간 눕혀진 자세로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뒷문(21)에 고정된 상기 상부 커버(404)는 펼쳐지게 되며, 여전히 상기 제2 고정부(405)가 상기 뒷문(2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비는 차단된다.
도 7d를 참조하면, 이 후, 상기 휠체어(100)는 상기 뒷문(21)을 통해 상기 차량(2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제2 고정부(405)를 통해 상기 뒷문(2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차량(20)의 내부로 모두 이동할 때까지 비를 차단한다. 이 후,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차량(20)의 내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고정부(405)를 상기 뒷문(21)으로부터 탈착하여 상기 상부 커버(404)는 상기 상부 회전 프레임(403)에 회전되며 감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우산(10)은 휠체어를 차량에 탑승시키는 과정 중에도, 상기 상부 커버(404)를 상기 뒷문(21)에 고정시켜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비를 피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한 쌍의 측면우산들과 상부우산을 포함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측면, 후면, 상면 및 정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우산으로서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우산들 및 상부우산은 각각 커버 및 상부커버가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었다가 펼쳐지면서 우산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사용하는 경우 사용 방법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부커버부가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부는 각각의 프레임들이 서로 접혀지도록 연결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혀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우산의 상부 프레임부는 제1 중앙 프레임 및 제2 중앙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커버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펼쳐질 수 있다.
특히, 휠체어의 머리 받침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보조 프레임부가 상기 상부커버부를 추가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므로, 상기 상부 커버부가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펼쳐질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부에 고정된 제2 고정부는 이동 중에는 휠체어의 제1 고정부와 고정되어 상기 상부 커버부가 사용자의 다리 부분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차량에 탑승할 때에는 차량에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차량의 탑승 중에도 비를 피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우산은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이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 휠체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휠체어용 우산 100 : 휠체어
200 : 제1 측면우산 210 : 제2 측면우산
300 : 상부우산 310 : 제1 연장부
320 : 제2 연장부 330 : 제3 연장부
340 : 제4 연장부 400 : 상부 커버부

Claims (11)

  1. 휠체어의 팔걸이부에 각각 고정되며, 각각은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에 감겨지고, 상기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펼쳐져 사용자의 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한 쌍의 측면우산들; 및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부에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상부 커버부를 포함하는 상부우산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는 중앙 베이스 프레임;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의 양 끝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및 제4 연장부들;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에 고정되는 제1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에 고정되는 제2 중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부는,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
    상기 상부 베이스 프레임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지지프레임;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상부 회전프레임; 및
    상기 상부 회전프레임으로부터 펼쳐져 사용자의 후면, 상면 및 전면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우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우산들 각각은,
    상기 팔걸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우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은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여 접혀지고,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에 대하여 회전하여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우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다리 지지부의 끝단에는 제1 고정부가 고정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끝단에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고정되는 제2 고정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우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상부 회전프레임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제1 및 제2 중앙 프레임들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우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차량의 트렁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우산.
  10. 제1항에 있어서, 휠체어의 머리 받침부로부터 연장된 제1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1 보조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 베이스 프레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우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2 보조프레임에 고정되며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우산.
KR20120155532A 2012-12-27 2012-12-27 휠체어용 우산 KR10149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5532A KR101496740B1 (ko) 2012-12-27 2012-12-27 휠체어용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5532A KR101496740B1 (ko) 2012-12-27 2012-12-27 휠체어용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213A KR20140085213A (ko) 2014-07-07
KR101496740B1 true KR101496740B1 (ko) 2015-02-27

Family

ID=5173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5532A KR101496740B1 (ko) 2012-12-27 2012-12-27 휠체어용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76A (ko) * 2020-08-28 2022-03-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노피 구조를 지닌 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56B1 (ko) * 2014-06-05 2014-12-05 이춘복 전동 스쿠터용 절첩식 차양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895A (ja) * 2002-06-11 2004-03-04 Junko Tagawa 覆い
KR20050059036A (ko) * 2005-05-27 2005-06-17 강건희 다기능 생력 휠체어
KR20100106093A (ko) * 2009-03-23 2010-10-01 정태우 전동휠체어
KR20120134256A (ko) * 2011-06-01 2012-12-12 최성환 휠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895A (ja) * 2002-06-11 2004-03-04 Junko Tagawa 覆い
KR20050059036A (ko) * 2005-05-27 2005-06-17 강건희 다기능 생력 휠체어
KR20100106093A (ko) * 2009-03-23 2010-10-01 정태우 전동휠체어
KR20120134256A (ko) * 2011-06-01 2012-12-12 최성환 휠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76A (ko) * 2020-08-28 2022-03-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노피 구조를 지닌 휠체어
KR102388685B1 (ko) 2020-08-28 2022-04-2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노피 구조를 지닌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213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63456A (zh) 行动不便者用浴椅
KR101496740B1 (ko) 휠체어용 우산
KR101468156B1 (ko) 전동 스쿠터용 절첩식 차양대
JP5933363B2 (ja) 座面開口型折り畳み式車椅子
KR100946194B1 (ko) 커버링수단을 구비하는 들것
KR200423562Y1 (ko) 자활능력 강화용 휠체어
CN204274838U (zh) 一种既方便折叠又方便使用马桶的轮椅
US6209901B1 (en) Wheel chair with waste elimination opening
KR102128616B1 (ko)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KR101415937B1 (ko) 휠체어용 우산
US20090194975A1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KR101496741B1 (ko) 휠체어용 우산
CN209933245U (zh) 能结合轮椅的照护床
CN209019213U (zh) 一种折叠轮椅用伸缩把手装置
KR100700114B1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KR101415936B1 (ko) 휠체어용 우산
CN209529570U (zh) 便携坐式移动护理车
KR20130012341A (ko) 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용 차양막
KR200456815Y1 (ko) 타고 내리기 쉬운 휠체어
KR101915953B1 (ko) 오픈형 휠체어
KR200476071Y1 (ko) 접이식 매트리스
JP3203839U (ja) 介護用歩行器の座面シートにおける座接用クッション板
KR200378016Y1 (ko) 휠체어
KR20200039158A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JP2004065895A (ja) 覆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