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873B1 -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873B1
KR101914873B1 KR1020170082409A KR20170082409A KR101914873B1 KR 101914873 B1 KR101914873 B1 KR 101914873B1 KR 1020170082409 A KR1020170082409 A KR 1020170082409A KR 20170082409 A KR20170082409 A KR 20170082409A KR 101914873 B1 KR101914873 B1 KR 10191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rotating
changing
workpiec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광테크
Priority to KR102017008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4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2Machine tools for performing different machi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씰 슬리브, 씰 링, 멀티스프링, 슬라이딩부, 씰 플렌지 및 오링을 포함하여 일체형 및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튜브 스터브 가공을 위한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로, 위치조절부,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 및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가공 소재의 가공 위치에 따라 형태 및 위치가 변화가능하여 상기 소재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Tube stub manufacture device}
본 발명은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씰 슬리브, 씰 링, 멀티스프링, 슬라이딩부, 씰 플렌지 및 오링을 포함하여 일체형 및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튜브 스터브 가공을 위한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로, 위치조절부,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 및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가공 소재의 가공 위치에 따라 형태 및 위치가 변화가능하여 상기 소재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튜브 스터브(Tube stub) 중 메커니컬 씰(Mechanical Seal)은 펌프축 같은 고속회전체의 축에 속하여 펌프축의 누설을 방지하고,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가공되고 있으며 정밀기기와 정밀장치부분의 관통부위에는 메커니컬 씰이 설치되어 있고, 진동이나 고압의 환경에 견뎌내야 하는 곳에서는 씰 스프링을 사용하며, 이는 메커니컬 씰 스프링(Mechanical Seal Spring)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메커니컬 씰은 원유운반선(Cargo Oil Tanker) 또는 PC 선(Production oil Carrier)에 장착되는 카고 오일(Cargo Oil) 하역 펌프에 있어서 오일 누유에 따른 해상 환경 오염방지를 위한 중요한 부품으로 사용된다.
이에, 상기 튜브 스터브는 컴퓨터의 수치제어를 위해서 원하는 공작물을 자동으로 가공하는 공작기계인 CNC(Computer Numerial Control)를 사용하고, 상기 CNC에 이용되는 공구대는 다수개의 공구가 장착되어 가공 소재의 형상이나, 소재의 종류, 가공 방법 등에 따라서 각각 필요한 공구를 교환해 가면서 소재를 가공하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컨대, 이와 관련한 종래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6414호(2012.03.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8853호(2012.06.08.)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 스터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의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에 비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튜브 스터브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가공 소재의 가공 위치에 따라 형태 및 위치가 변화되어 상기 소재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튜브 스터브 제조시 일체형 또는 분리형을 성형할 수 있으며, 동시에 두개의 튜브 스터브 형상을 성형할 수 있는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씰 슬리브, 씰 링, 멀티스프링, 슬라이딩부, 씰 플렌지 및 오링을 포함하여 일체형 및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튜브 스터브 가공을 위한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로, 상기 튜브 스터브의 가공은 작업공간 내에서 상기 작업공간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위치조절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조절부의 위치 조절에 따라 척(Chuck)에 고정된 소재와 접촉되어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의 외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부, 상기 복수개의 장착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구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1 변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을 기준으로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용수철부, 상기 고정판과 지지부를 이어주는 조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변화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제1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공구부를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1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상기 밑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공구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외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부, 상기 복수개의 장착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구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2 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변화부는 상기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1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공구부를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2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상기 밑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공구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씰 슬리브는 펌프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씰 링은 상기 씰 슬리브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씰 링의 일측에는 오링이 설치되기 위한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씰 링은 슬라이딩부와 접촉되어 습동면을 형성하는 일측이 세라믹 코팅처리되거나, 제1 씰 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멀티스프링은 상기 씰 슬리브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씰 링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 내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씰 링과의 접촉에 의해 습동면을 형성하고,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씰 플렌지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고정설치되고, 펌프 케이싱과 연결되며, 2차 누유를 차단하기 위한 립 씰(Lip seal)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링(O-ring)은 상기 씰 슬리브와 씰 링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소형의 멀티스프링이 설치된 스프링 삽입홈 내로의 오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습동면에 대한 설계면압은 70바(bar) 내지 100바(bar)이고, 온도범위는 70℃ 내지 75℃이며, 유속량은 24L/min 내지 80L/min인 것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씰 링은 소정두께를 구비하고, 고체 카본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씰 링에 열박음 처리되어 일체형태 또는 분리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변화부 및 제2 변화부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상기 제1 크기에서 상기 제2 크기로 변화시키거나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상기 제2 크기에서 상기 제1 크기로 변화시키는 제1 곡률변화부와 제2 곡률변화부 및 상기 제1 공구부와 제2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상기 측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공구부와 제2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상기 밑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위치변화부 및 제2 위치변화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변화부 및 제2 변화부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가 상기 제1 크기인 경우,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가 상기 제2 크기인 경우,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부는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부는, 상기 제1 장착부에 장착되는 제1 공구부 및 상기 제2 장착부에 장착되는 제2 공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이음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공구부 및 상기 제2 공구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소재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공구부 및 상기 제2 공구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소재의 밑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조절부 및 상기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폭방향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폭방향조절부는 상기 길이방향조절부에 연결된 채, 상기 길이방향조절부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며, 상기 폭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은 상기 길이방향조절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폭방향조절부는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가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폭방향조절부는 상기 폭방향으로의 위치 조절과 상기 작업공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이고, 상기 폭방향조절부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공구부와 상기 소재의 측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공구부에 의해 상기 소재의 측면이 가공되도록 하며, 상기 길이방향조절부는 상기 제2 회전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공구부와 상기 소재의 밑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구부에 의해 상기 소재의 밑면이 가공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공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회전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소재의 상기 측면을 가공하고, 상기 제2 회전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회전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소재의 상기 밑면을 가공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폭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곡률변화부와 제2 곡률변화부에 의한 상기 제1 크기에서 상기 제2 크기로의 곡률 반경 변화와 상기 제1 위치변화부 및 제2 위치변화부에 의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공구부 및 제2 공구부는 상기 복수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 길이가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지지부보다 길이가 더 길고, 상기 제2 연결부에 구비된 제2 구동부는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 작업공간의 폭방향(Y) 및 작업공간의 높이방향(Z)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소재 가공 목적에 따라 일체형 및 분리형 형태의 튜브 스터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튜브 스터브 중 슬라이딩부는 실리콘 카바이드로 이루어지고 이에 접촉되어 습동면을 형성하는 씰링의 일측 또는 씰링에 설치된 제1 씰 링이 카본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고속 슬라이딩시 발열이 적고,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의 공구대 및 커넥터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구성인 메커니컬 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스터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스터브 구성인 메커니컬 씰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와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변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변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8b 및 도 9a,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회전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구동부에 의한 소재 가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회전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구동부에 의한 소재 가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각종 금속재료를 회전시켜서 바이트로 깎아내는 공작기계이고,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선반은 절삭가공을 하는 경우 가공치수, 형상, 필요한 공구, 이송속도 등을 선택적으로 지시하는 수치 데이터를 기록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와 직접 실시간으로 연결시켜 자동적으로 절삭공구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자동절삭을 수행하도록 제어장치가 선반에 결합된 머시닝 센터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CNC 선반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작업공간을 개폐하도록 도어부(4)가 구비된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의 작업공간 내부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공하고자 하는 소재(S)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척(C)과, 프레임(3)의 작업공간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척(C)에 고정된 소재(S)를 가공하는 복수의 공구대(1a, 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3)의 일측에는 모니터부(5)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부(340)는, 상기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1000)의 가공정도를 액정에 표시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상기 소재(S)를 가공할 때 해당하는 수치를 시각화하여 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1000)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CNC 선반의 가공 대상물인 소재(S)는 다양한 품목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척(C)의 형상이나 공구대(1a, 1b)에 장착된 공구 역시 다양하게 교체,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특정 품목의 대량생산 체제하에서는 CNC 선반을 해당 품목에 맞게 프레임(3)의 크기나 척(C)의 형상 및 공구대(1a, 1b)에 장착된 공구의 종류를 특정 하기도 한다.
예컨대, 상술한 CNC 선반을 이용하여 배관 연결용 튜브 스터브(Tube stub)를 가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선가공된 튜브 스터브 형상의 소재를 척(C)에 물려 고정한 후 척(C)을 회전시키고, 공구대(1a, 1b)를 이동시켜 선택된 공구의 바이트가 상기 소재(S)를 깎아내면서 가공이 완료된다.
아울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의 공구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씰 슬리브(10), 씰 링(20), 멀티스프링(30), 슬라이딩부(40), 씰 플렌지(50) 및 오링(60)을 포함하여 일체형 및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튜브 스터브 가공을 위한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1000)로, 상기 튜브 스터브의 가공은 작업공간 내에서 상기 작업공간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 및 상기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조절부의 위치 조절에 따라 척(Chuck)에 고정된 소재(S)와 접촉되어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200a)와 제2 구동부(200b)를 연결하는 커넥터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200a)는 상기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210a), 상기 제1 연결부(210a)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되는 제1 회전부(220a), 상기 제1 회전부(220a)의 외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부(230a), 상기 복수개의 장착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구부 및 상기 제1 회전부(220a)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1 변화부(250a)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부(110)는 상기 제1 연결부(210a)에 고정되는 고정판(115), 상기 고정판(115)을 기준으로 제2 연결부(210b)와 연결되는 지지부(114), 상기 지지부(114)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111), 상기 고정부(111)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연결부(210a)와 상기 제2 연결부(210b)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용수철부(113), 상기 고정판(115)과 지지부(114)를 이어주는 조임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변화부(250a)는 상기 제1 회전부(220a)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제1 공구부(240a)가 상기 소재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공구부(240a)를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부(220a)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1 공구부(240a)가 상기 소재의 상기 밑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공구부(240a)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구동부(200b)는 상기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210b), 상기 제2 연결부(210b)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되는 제2 회전부(220b), 상기 제2 회전부(220b)의 외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부, 상기 복수개의 장착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구부 및 상기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2 변화부(250b)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변화부(250b)는 상기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1 공구부(240a)가 상기 소재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공구부(240a)를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2 공구부(240a)가 상기 소재의 상기 밑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공구부(240a)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부(110)는 상기 제2 연결부(210b)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 길이가 제1 연결부(210a)와 연결되는 지지부보다 길이가 더 길고, 상기 제2 연결부(210b)에 구비된 제2 구동부(200b)는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 작업공간의 폭방향(Y) 및 작업공간의 높이방향(Z)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부(110)는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A 부분은 상기 커넥터부(110)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부(110) 중 상기 고정판(115)은 제1 고정판(115a), 제2 고정판(115b) 및 제3 고정판(115c)으로 나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판(115a), 제2 고정판(115b) 및 제3 고정판(115c)에는 조임부(112)와 고정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112)는 나사형태로 되어 있어 각 지지부(114)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111)는 용수철부(113)의 고정을 도와 상기 커넥터부(110)의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 작업공간의 폭방향(Y) 및 작업공간의 높이방향(Z)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판(115a)은 제2 연결부(210b)와 연결되고, 제3 고정판(115c)은 제1 연결부(210a)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3 고정판(115c)에는 위치이동부(116)와 위치이동부 지지대(11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이동부(116)와 위치이동부 지지대(117)에 의하여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의 움직임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이동부(116)는 나사 또는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116)는 상기 위치이동부 지지대(117)가 제3 고정판(115c)에 투과하여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과 같이 이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는, 제3 고정판(115c)과 제1 연결부(210a)의 연결이 이동가능하도록 사이에 폭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판(115a)과 제3 고정판(115c) 사이에 구비된 제2 고정판(115b)은 30도 내지 180도 각도범위 내의 움직임이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부(110)는 상기 제1 연결부(210a)에 구비된 상기 제1 구동부(200a)의 작동만을 원할 경우, 떼어내어 작동하는 것일 수 있으며, 동시에 제1 구동부(200a)와 제2 구동부(200b)를 작동 시,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상기 모니터부(5)에 부착되어 있는 시스템을 가동시켜 설정값을 지정해 놓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구성인 메커니컬 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스터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스터브 구성인 메커니컬 씰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3, 도 4 및 도 5a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컬 씰은 펌프축부(2)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11)을 구비하는 씰 슬리브(10)와, 씰 슬리브(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씰 링(Seal Ring, 20)과, 씰 슬리브(10)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고 타측단이 씰 링(2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11)내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소형 멀티스프링(30)과, 상기 씰 링(20)과의 접촉에 의해 습동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Sliding)부(40)와, 상기 슬라이딩부(40)가 고정설치되고, 펌프 케이싱(200)과 연결되는 씰 플렌지(Seal flange, 50)와, 상기 씰 슬리브(10)와 씰 링(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소형 멀티스프링(30)이 설치된 스프링 삽입홈(11)내로의 오일 유입을 차단하는 오링(60)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씰 슬리브(10)는 펌프축부(2)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11)을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씰 링(20)은 상기 씰 슬리브(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씰 링(20)의 일측에는 오링(60)이 설치되기 위한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씰 링(20)은 슬라이딩부(40)와 접촉되어 습동면을 형성하는 일측이 세라믹 코팅처리되거나, 제1 씰 링(2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멀티스프링(30)은 상기 씰 슬리브(10)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씰 링(2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11) 내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40)는 상기 씰 링(20)과의 접촉에 의해 습동면을 형성하고,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씰 플렌지(50)는 상기 슬라이딩부(40)가 고정설치되고, 펌프 케이싱과 연결되며, 2차 누유를 차단하기 위한 립 씰(Lip seal)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링(O-ring, 60)은 상기 씰 슬리브(10)와 씰 링(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소형의 멀티스프링(30)이 설치된 스프링 삽입홈 내로의 오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소형 멀티스프링(30)은 선경 약 ∮1㎜ 정도의 소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씰 슬리브(1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1)내로 각각 삽입설치되어, 일측단이 씰 슬리브의 스프링 삽입홈(11)에 접촉되고, 타측단이 씰 링(20)의 일측에 접촉되어, 씰 링(20)을 슬라이딩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설치되는 스프링은 종래 메카니컬 씰에 설치되는 하나의 원코일 스프링과 비교하여 다수개의 소형 스프링이 여러군데에 설치되므로, 그 용어를 소형 멀티스프링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삽입홈(11) 및 이에 삽입되는 소형 멀티스프링(30)의 개수는 씰 링(20)과 슬라이딩부(40)에 의해 형성되는 습동면이 누유가 방지될 정도의 설계면압 즉, 습동면에 대한 설계면압이, 약 70바(bar) 내지 100바(bar)를 구비하도록 형성 및 설치되면 되므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선경 약 ∮9㎜ 정도의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던 메카니컬 씰이 설치되는 펌프축에 적용할 경우, 선경 약 ∮1㎜ 정도의 소형 멀티스프링을 기준으로 대략 8∼12개, 바람직하게는 약 10여개 정도의 스프링 삽입홈 및 소형 멀티스프링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습동면에 대한 설계면압은 70바(bar) 내지 100바(bar)이고, 온도범위는 70℃ 내지 75℃이며, 유속량은 24L/min 내지 80L/min인 것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씰 링(20)은 소형 멀티스프링(30)에 의해 슬라이딩부(40)와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습동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슬라이딩부(40)와 접촉되는 일측면이 세라믹 코팅처리되거나, 슬라이딩부(40)와 접촉되는 일측에 슬라이딩부(40)와 접촉되어 습동면을 형성하는 제1씰 링(Seal Ring, 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씰 링(21)은 소정두께를 구비하고, 고체 카본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씰 링(20)에 열박음 처리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씰 링(20)의 일측에는 오링(60)이 설치되기 위한 오링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40)는 세라믹 코팅처리된 씰 링의 일측 또는 제1씰 링과 접촉되어 습동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로 이루어져 있어, 고속 슬라이딩시 발열이 적고, 우수한 내마모성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씰 플렌지(50)는 펌프 케이싱과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컬 씰을 지지하는 것으로, 내측에 슬라이딩부(40)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씰 플렌지와 슬라이딩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씰 플렌지(50)에는 2차 누유를 차단하기 위한 립 씰(Lip seal)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링(60)은 스프링 삽입홈내로의 카고오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씰 슬리브와 씰 링 사이에 위치하도록 오링홈 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컬 씰은 스프링 삽입홈을 중심으로 씰 링의 일측(습동면 반대측)은 오링(60)에 의해 카고오일의 유입이 차단되고, 타측(습동면 측)은 습동면에 의해 카고오일의 유입이 차단되어, 소형 멀티스프링의 작동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펌프축부(2)에 씰슬리브(10), 씰링(20), 제1씰링(21) 및 멀티스프링(30)이 펌프축부(2)에 취부되고, 펌프케이싱에 씰플렌지(50) 및 슬라이딩부(40)가 취부되며, 상기 다수개의 멀티스프링(30)이 씰링(20) 및 제1씰링(21)에 힘을 가하여, 제1씰링(21)을 슬라이딩부(40) 방향으로 밀어, 면접합시킴으로써, 제1씰링(21)과 슬라이딩부(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 습동면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펌프축의 회전시, 펌프축부(2)와 함께, 씰슬리브(10), 씰링(20), 제1씰링(21) 및 멀티스프링(30)이 회전되고, 다수개의 멀티스프링(30)에 의해 펌프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1씰링(21)이 슬라이딩부(40)와 습동면(S)을 형성하며 슬라이딩되어, 누유가 방지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씰 슬리브(10)와 씰링(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멀티스프링(30)의 힘이 씰링(20) 및 제1씰링(21)에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펌프 운전중 축 진동에 따른 습동면의 열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 운전 중 축 진동에 따른 습동면의 틈새 발생 방지를 위해 멀티 스프링이 회전되는 씰링(20) 및 제1씰링(21)을 균일한 힘으로 밀어 습동면의 열림을 방지하고, 또 슬라이딩시 발열에 따른 변형이나 윤활을 위해 펌프 자체의 윤활유를 사용하여 윤활과 냉각을 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씰 링(21)은 소정두께를 구비하고, 고체 카본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씰 링(20)에 열박음 처리되어 일체형태 또는 분리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도 5 참조).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와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변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변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6a, 도 6b 및 도 6c 및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튜브 스터브 공구대(1a) 및 제2 튜브 스터브 공구대(1b)는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 및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를 포함한다.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는 작업공간 내에서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 또는 작업공간의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는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조절부(120) 및 작업공간의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는 폭방향조절부(140)를 구비한다.
길이방향조절부(120)는 상측에 연결되는 폭방향조절부(140) 및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를 위치 이동시켜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에 의한 소재(S)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폭방향조절부(140)는 길이방향조절부(120)에 연결된 채, 길이방향조절부(120)에 의해 길이방향(X)으로 위치 이동되며, 폭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은 길이방향조절부(120)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구현된다.
폭방향조절부(140)와 연결된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는 길이방향조절부(120)에 의해 길이방향(X)으로 위치 이동되어 소재(S)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폭방향조절부(140)에 의해 소재(S)와 접촉하게 되어 소재(S)의 측면을 가공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폭방향조절부(140)는 폭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과 작업공간의 높이방향(Z)으로의 위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폭방향조절부(140)는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에 고정된 고정축으로부터 회동되며 이 때, 폭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과 높이방향(Z)으로의 위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된다. 쉽게 말해, 폭방향조절부(140)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므로 폭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과 높이방향(Z)으로의 위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는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의 위치 이동에 따라 척(C)에 고정된 소재(S)와 접촉되어 소재(S)를 가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는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210a) 및 제2 연결부(210b), 상기 제1 연결부(210a) 및 제2 연결부(210b)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 상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외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 상기 복수의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에 각각 장착되는 제1 공구부(240a)와 제2 공구부(240b) 및 제1 회전부(220a)와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1 변화부(250a) 및 제2 변화부(250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연결부(210a) 및 제2 연결부(210b)는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의 폭방향조절부(140)와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슬라이딩되어 제1 연결부(210a) 및 제2 연결부(210b)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슬라이딩부(40)를 구비한다.
또한,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는 상기 제1 연결부(210a) 및 제2 연결부(210b)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210a) 및 제2 연결부(210b)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미도시) 및 모터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모터부에 의한 상기 제1 연결부(210a) 및 제2 연결부(210b)의 회전에 따라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외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는 각종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착탈 가능하도록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와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를 연결하는 호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에 연결된 호환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로부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를 안착 시키거나 탈거시키는 매개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변화부(250a) 및 제2 변화부(250b)는 상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도 7 참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소재(S)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를 폭방향(Y)을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1 변화부(250a) 및 제2 변화부(250b)에 의해 제1 크기로 변화된 경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는 상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쉽게 말해,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는 상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참고로, 각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에 장착된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 각각은 대향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제1 변화부(250a) 및 제2 변화부(250b)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도 6c 참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소재(S)의 밑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를 길이방향(X)을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도 6c 상에서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직선 형태로 도시되어 있어 곡률 반경의 크기가 무한대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가 제2 크기로 변화되면,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는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폭방향(Y)으로부터 길이방향(X)으로 배치되며, 여기서 제1 연결부(210a) 및 제2 연결부(210b)와 나란한 방향이란 복수의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소재(S)의 밑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는 모두 같은 방향을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변화부(250a) 및 제2 변화부(250b)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 변화시키거나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2 크기에서 제1 크기로 변화시키는 제1 곡률변화부(251a) 및 제2 곡률변화부(251b) 및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소재(S)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제1 위치에서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소재(S)의 밑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위치변화부(252a) 및 제2 위치변화부(252b)를 구비한다.
정리하면, 제1 변화부(250a) 및 제2 변화부(250b)는 제1 곡률변화부(251a) 및 제2 곡률변화부(251b)를 통해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키고, 위치변화를 통해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가 대향하는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소재(S)의 측면 또는 밑면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변화부(250a) 및 제2 변화부(250b)는 상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가 제1 크기인 경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의 크기가 제2 크기인 경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 참조할 도 9를 참조하면,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는 제1 끼움부(231a), 제2 끼움부(231b), 제1 돌림부(232a), 제2 돌림부(232b)를 구비하고,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는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에 장착되는 제1 마쇄부(241a)와 제2 마쇄부(241b) 및 제1 돌림부(232a)와 제2 돌림부(232b)에 장착되는 제1 다듬부(242a)와 제2 다듬부(242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회전부(220a)는 제1 위치에서 제1 연결부(210a)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 중 어느 하나가 소재(S)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한다.
또한, 제2 회전부(220b)는 제2 위치에서 제2 연결부(210b)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 다듬부(242a) 및 제2 다듬부(242b) 중 어느 하나가 소재(S)의 밑면과 대향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1 공구부(200a)와 상기 제2 공구부(200b)에는 제1 단계조절부(234a)와 제2 단계조절부(234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쇄부(241a)와 제2 마쇄부(241b), 제1 다듬부(242a)와 제2 다듬부(242b) 및 제1 파임부(243a)와 제2 파임부(243b)는 제1 단계조절부(234a) 및 제2 단계조절부(234b)로 사용시 단계적으로 상하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의 움직임은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 또는 작업공간의 폭방향(Y)으로 조절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마쇄부(241a)와 제2 마쇄부(241b)는 원형의 형태를 지니어 튜브 스터브의 제조시, 소재(S)를 깎아낼 수 있고, 상기 제1 다듬부(242a)와 제2 다듬부(242b)는 막대 형태를 지니어 튜브 스터브의 제조시, 소재(S)를 다듬어 낼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임부(243a)와 제2 파임부(243b)는 끝이 뾰족한 형태를 지니어 튜브 스터브의 제조시 소재(S) 부위를 섬세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 8a, 8b 및 도 9a,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회전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구동부에 의한 소재 가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회전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구동부에 의한 소재 가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8a, 8b 및 도 9a, 9b를 참조하면, 도 8a, 8b을 참조하여 소재(S)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의 위치 변화 및 형태 변화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8b은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의 전체적인 변화 양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원거리에서 제1 튜브 스터브 공구대(1a) 및 제2 튜브 스터브 공구대(1b)를 도시하였으며, 도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면 부호를 생략하였다. 도 8a, 8b 과 함께 도면부호가 포함된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볼 수 있다.
도 8a, 8b 을 참조하면, CNC 선반의 작동 전 대기 상태에서, 소재(S)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해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에 의해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가 위치 이동된다.
이 때,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1 크기의 반경과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 곡률변화부(251a) 및 제2 곡률변화부(251b) 및 제1 위치변화부(252a) 및 제2 위치변화부(252b)가 작동하지 않으나, 곡률 반경이 제2 크기인 경우에는 제1 곡률변화부(251a) 및 제2 곡률변화부(251b)에 의해 제1 크기의 곡률 반경으로 변화하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 위치변화부(252a) 및 제2 위치변화부(252b)에 의해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여기서,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는 제1 곡률변화부(251a) 및 제2 곡률변화부(251b)에 의한 제2 크기에서 제1 크기로의 곡률 반경 변화와 제1 위치변화부(252a) 및 제2 위치변화부(252b)에 의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되어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 변화 및 위치 변화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8a, 8b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대기 상태에서의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2 크기의 반경과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로 도시되었으나 대기 상태에서의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는 제1 크기의 반경과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9b를 참조하면, 폭방향조절부(140)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와 소재(S)의 측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에 의해 소재(S)의 측면이 가공되도록 한다.
이 때, 소재(S)의 측면을 가공하기 전,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를 슬라이딩시켜 소재(S)의 측면 가공을 위한 상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소재(S)의 측면을 가공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이란 폭방향(Y)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 중 제1 끼움부(231a) 및 제2 끼움부(231b) 및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소재(S)의 측면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해 가공되어야 하는 경우, 제1 끼움부(231a)와 제2 끼움부(231b) 및 제1 마쇄부(241a)와 제2 마쇄부(241b)가 소재(S)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와 소재(S)의 측면이 대향하게 되면, 폭방향조절부(140)에 의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와 소재(S)의 측면이 접촉하게 되는데 이 때, 제1 마쇄부(241a)와 제2 마쇄부(241b)가 제1 회전부(220a)와 제2 회전부(220b)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한 제1 돌림부(232a) 및 제2 돌림부(232b)의 제1 다듬부(242a) 및 제2 다듬부(242b) 또는 제3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의 제3 공구부(243)에 의한 소재(S) 가공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마쇄부(241a), 제2 마쇄부(241b)와 이웃한 제1 다듬부(242a), 제2 다듬부(242b) 및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는 제1 마쇄부(241a), 제2 마쇄부(241b)와의 이격 거리가 작기 때문에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한 소재(S)의 측면 가공 시, 제1 다듬부(242a), 제2 다듬부(242b) 또는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소재(S)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공을 원치 않는 소재(S)의 측면 가공이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한 측면 가공 시, 제1 마쇄부(241a), 제2 마쇄부(241b)가 제1 다듬부(242a), 제2 다듬부(242b) 및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 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소재(S)의 측면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해서만 가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소재(S)의 측면 가공이 제1 마쇄부(241a), 제2 마쇄부(241b)와 제1 다듬부(242a), 제2 다듬부(242b)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공되어야 하는 경우,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한 소재(S)의 측면 가공이 완료된 후, 폭방향조절부(140)에 의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와 소재(S)의 측면이 이격되도록 하고, 제1 회전부(210a) 및 제2 회전부(210b)를 슬라이딩시켜 제1 다듬부(242a) 및 제2 다듬부(242b)가 소재(S)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한 후, 폭방향조절부(140)에 의해 제1 다듬부(242a) 및 제2 다듬부(242b)와 소재(S)의 측면을 접촉시켜, 소재(S)의 측면 가공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스터브 공구대의 회전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구동부에 의한 소재 가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도 9를 참조하여 소재(S)의 밑면을 가공하기 위한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의 위치 변화 및 형태 변화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CNC 선반의 작동 전 대기 상태에서, 소재(S)의 밑면을 가공하기 위해 제1 위치조절부(100a) 및 제2 위치조절부(100b)에 의해 제1 구동부(200a) 및 제2 구동부(200b)가 위치 이동된다.
이 때,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2 크기의 반경과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 곡률변화부(251a) 및 제2 곡률변화부(251b) 및 제1 위치변화부(252a) 및 제2 위치변화부(252b)가 작동하지 않으나, 곡률 반경이 제1 크기인 경우에는 제1 곡률변화부(251a) 및 제2 곡률변화부(251b)에 의헤 제2 크기의 곡률 반경으로 변화하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 위치변화부(252a) 및 제2 위치변화부(252b)에 의해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여기서,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는 제1 곡률변화부(251a) 및 제2 곡률변화부(251b)에 의한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의 곡률 반경 변화와 제1 위치변화부(252a) 및 제2 위치변화부(252b)에 의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은 동시에 구현되어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의 곡률 반경 변화 및 위치 변화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길이방향조절부(120)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와 소재(S)의 밑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에 의해 소재(S)의 밑면이 가공되도록 한다.
이 때, 소재(S)의 밑면을 가공하기 전,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를 슬라이딩시켜 소재(S)의 측면 가공을 위한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공구부(2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소재(S)의 측면을 가공한다.
여기서, 제2 방향이란 길이방향(X)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장착부(230a) 및 제2 장착부(230b) 중 제1 끼움부(231a) 및 제2 끼움부(231b) 및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소재(S)의 밑면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해 가공되어야 하는 경우, 제1 끼움부(231a) 및 제2 끼움부(231b) 및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가 소재(S)의 밑면과 대향하도록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가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와 소재(S)의 밑면이 대향하게 되면, 길이방향조절부(120)에 의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와 소재(S)의 밑면이 접촉하게 되는데 이 때,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가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한 제1 돌림부(232a)와 제2 돌림부(232b)의 제1 다듬부(242a)와 제2 다듬부(242b) 또는 제1 장착부(230a)와 제2 장착부(230b)의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에 의한 소재(S) 가공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마쇄부(241a), 제2 마쇄부(241b)와 이웃한 제1 다듬부(242a), 제2 다듬부(242b) 및 제1 공구부(240a), 제2 공구부(240b)는 제1 마쇄부(241a), 제2 마쇄부(241b)와의 이격 거리가 작기 때문에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한 소재(S)의 밑면 가공 시, 제1 다듬부(242a) 및 제2 다듬부(242b) 또는 제1 공구부(240a) 및 제2 공구부(240b)가 소재(S)의 밑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공을 원치 않는 소재(S)의 측면 또는 밑면 가공이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한 밑면 가공 시, 상기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가 제1 다듬부(242a), 제2 다듬부(242b) 및 제3 제1 공구부(240a), 제2 공구부(240b) 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소재(S)의 밑면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해서만 가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소재(S)의 밑면 가공이 제1 마쇄부(241a), 제2 마쇄부(241b)와 제1 다듬부(242a), 제2 다듬부(242b)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공되어야 하는 경우,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에 의한 소재(S)의 밑면 가공이 완료된 후, 길이방향조절부(120)에 의해 제1 마쇄부(241a) 및 제2 마쇄부(241b)와 소재(S)의 밑면이 이격되도록 하고, 제1 회전부(220a) 및 제2 회전부(220b)를 슬라이딩시켜 제1 다듬부(242a) 및 제2 다듬부(242b)가 소재(S)의 밑면과 대향하도록 한 후, 길이방향조절부(120)에 의해 제1 다듬부(242a) 및 제2 다듬부(242b)와 소재(S)의 밑면을 접촉시켜, 소재(S)의 밑면 가공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부(110)는 상기 제2 연결부(210b)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 길이가 제1 연결부(210a)와 연결되는 지지부보다 길이가 더 길고, 상기 제2 연결부(210b)에 구비된 제2 구동부(200b)는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 또는 작업공간의 폭방향(Y)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부(110)는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판(115)에는 조임부(112)와 고정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112)는 나사형태로 되어 있어 각 지지부(114)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111)는 용수철부(113)의 고정을 도와 상기 커넥터부(110)의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 또는 작업공간의 폭방향(Y)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부(110)는 상기 제1 연결부(210a)에 구비된 상기 제1 구동부(200a)의 작동만을 원할 경우, 떼어내어 작동하는 것일 수 있으며, 동시에 제1 구동부(200a)와 제2 구동부(200b)를 작동 시,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상기 모니터부(5)에 부착되어 있는 시스템을 가동시켜 설정값을 지정해 놓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a: 제1 튜브 스터브 공구대 1b: 제2 튜브 스터브 공구대
2: 펌프축부 3: 프레임
4: 도어부 5: 모니터부
10: 씰 슬리브 11: 스프링 삽입부
20: 씰 링 21: 제1 씰 링
30: 멀티스프링 40: 슬라이딩부
50: 씰 플랜지 60: 오링
70: 립 씰 100: 위치조절부
110: 커넥터부 111: 고정부
112: 조임부 113: 용수철부
114: 지지부 115a: 제1 고정판
115b: 제2 고정판 115c: 제3 고정판
116: 유압실린더 117: 유압실린더 지지대
120: 길이방향조절부 140: 폭방향조절부
200a: 제1 구동부 200b: 제2 구동부
210a: 제1 연결부 210b: 제2 연결부
211a: 제1 이음부 211b: 제2 이음부
220a: 제1 회전부 220b: 제2 회전부
230a: 제1 장착부 230b: 제2 장착부
231a: 제1 끼움부 231b: 제1 끼움부
232a: 제2 돌림부 232b: 제2 돌림부
233a: 제1 조임부 233b: 제2 조임부
234a: 제1 단계조절부 234b: 제2 단계조절부
240a: 제1 공구부 240b: 제2 공구부
241a: 제1 마쇄부 241b: 제2 마쇄부
242a: 제1 다듬부 242b: 제2 다듬부
243a: 제1 파임부 243b: 제2 파임부
250a: 제1 변화부 250b: 제2 변화부
251a: 제1 곡률변화부 251b: 제2 곡률변화부
252a: 제1 위치변화부 252b: 제2 위치변화부

Claims (23)

  1. 씰 슬리브, 씰 링, 멀티스프링, 슬라이딩부, 씰 플렌지 및 오링을 포함하여 일체형 및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튜브 스터브 가공을 위한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로,
    상기 튜브 스터브의 가공은 작업공간 내에서 상기 작업공간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위치조절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조절부의 위치 조절에 따라 척(Chuck)에 고정된 소재와 접촉되어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의 외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부, 상기 복수개의 장착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구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1 변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을 기준으로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용수철부, 상기 고정판과 지지부를 이어주는 조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변화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제1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공구부를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1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밑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공구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를 기준으로 위치 조절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외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부, 상기 복수개의 장착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구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2 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변화부는,
    상기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1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제2 공구부를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로 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2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밑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공구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씰 슬리브는,
    펌프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씰 링은,
    상기 씰 슬리브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씰 링의 일측에는 오링이 설치되기 위한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씰 링은 슬라이딩부와 접촉되어 습동면을 형성하는 일측이 세라믹 코팅처리되거나, 제1 씰 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스프링은,
    상기 씰 슬리브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씰 링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 내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씰 링과의 접촉에 의해 습동면을 형성하고,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로 이루어진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씰 플렌지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고정설치되고, 펌프 케이싱과 연결되며, 2차 누유를 차단하기 위한 립 씰(Lip seal)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O-ring)은,
    상기 씰 슬리브와 씰 링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소형의 멀티스프링이 설치된 스프링 삽입홈 내로의 오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습동면에 대한 설계면압은 70바(bar) 내지 100바(bar)이고, 온도범위는 70℃ 내지 75℃이며, 유속량은 24L/min 내지 80L/min인 것으로 제조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씰 링은 소정두께를 구비하고, 고체 카본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씰 링에 열박음 처리되어 일체형태 또는 분리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부 및 제2 변화부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상기 제1 크기에서 상기 제2 크기로 변화시키거나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상기 제2 크기에서 상기 제1 크기로 변화시키는 제1 곡률변화부와 제2 곡률변화부 및 상기 제1 공구부와 제2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상기 측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공구부와 제2 공구부가 상기 소재의 상기 밑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위치변화부 및 제2 위치변화부를 구비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부 및 제2 변화부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가 상기 제1 크기인 경우,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가 상기 제2 크기인 경우,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조절부 및 상기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폭방향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폭방향조절부는,
    상기 길이방향조절부에 연결된 채, 상기 길이방향조절부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며, 상기 폭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은 상기 길이방향조절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구현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조절부는,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가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도록 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조절부는,
    상기 폭방향으로의 위치 조절과 상기 작업공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조절부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공구부와 상기 소재의 측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공구부에 의해 상기 소재의 측면이 가공되도록 하며,
    상기 길이방향조절부는,
    상기 제2 회전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공구부와 상기 소재의 밑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구부에 의해 상기 소재의 밑면이 가공되도록 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회전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소재의 상기 측면을 가공하고, 상기 제2 회전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회전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소재의 상기 밑면을 가공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폭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인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21. 삭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구부 및 제2 공구부는,
    상기 복수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 길이가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지지부보다 길이가 더 길고, 상기 제2 연결부에 구비된 제2 구동부는 작업공간의 길이방향(X), 작업공간의 폭방향(Y) 및 작업공간의 높이방향(Z)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인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KR1020170082409A 2017-06-29 2017-06-29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KR10191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09A KR101914873B1 (ko) 2017-06-29 2017-06-29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09A KR101914873B1 (ko) 2017-06-29 2017-06-29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873B1 true KR101914873B1 (ko) 2018-12-28

Family

ID=6500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409A KR101914873B1 (ko) 2017-06-29 2017-06-29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8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0690A (ja) 2011-03-31 2012-11-01 Tsugami Corp 工作機械
JP2014518776A (ja) 2011-05-31 2014-08-07 ギルドメイスター イタリアーナ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工具担持体及び該工具担持体を有する工作機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0690A (ja) 2011-03-31 2012-11-01 Tsugami Corp 工作機械
JP2014518776A (ja) 2011-05-31 2014-08-07 ギルドメイスター イタリアーナ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工具担持体及び該工具担持体を有する工作機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3094A1 (en) Air driven spindle assembly
CN101223021A (zh) 在电缆或管的外表面形成环形槽的设备和方法
JP6962929B2 (ja) クーラント継手装置
KR101914873B1 (ko) 튜브 스터브 제조장치
JP2008121891A (ja) スライドリングシール、スライドリングシール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7063790B2 (ja) ワーク加工装置
CN111097967B (zh) 飞边去除工具以及飞边去除方法
JP2007000962A (ja) 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方法
JP4572083B2 (ja) 予圧サポートとこれを用いた薄肉部材の超精密加工方法
JP2004308726A (ja) 静圧軸受装置及び両頭研削装置
CN205765291U (zh) 一种具有对称双砂轮的数控双面磨刀机
JPWO2007091321A1 (ja) 加工工具および加工方法
US7300234B2 (en) Power transmission with bead drive
EP33560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chining
JP2008173699A (ja) 被加工材のセッティング方法
JP4644476B2 (ja) 工作用テーブル装置
KR101843801B1 (ko) 제철설비의 세크먼트용 축고정형 로타리조인트
JP2015174181A (ja) 工作機械の固定部材
JP2000108005A (ja) フイルムラップ装置のシュー組立体
JP2003240085A (ja) トロイダル型変速機用の転動体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5545254B2 (ja) バニシングツール
RU2203777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оправки с заготовкой на центр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8168402A (ja) 光学素子の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JP2019059002A (ja) 固定機構
KR101869688B1 (ko) 하우징 내경 연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