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796B1 -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796B1
KR101913796B1 KR1020180080527A KR20180080527A KR101913796B1 KR 101913796 B1 KR101913796 B1 KR 101913796B1 KR 1020180080527 A KR1020180080527 A KR 1020180080527A KR 20180080527 A KR20180080527 A KR 20180080527A KR 101913796 B1 KR101913796 B1 KR 10191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iston
unit
air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8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호스와 연결되어 원료를 공급받는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의 선단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금형틀로 주입하는 주입부(2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주입부(20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원료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며, 내부에 상기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상기 주입부(200)로 이동시키는 원료이동로(331)가 형성되는 실린더부(3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주입부(200) 사이에 결합되어, 공기의 공급방향을 통해 원료의 공급여부와 상기 실린더부(3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원료공급부(10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단에 원료투입관(311)이 연결된 피스톤(310)과; 상기 주입부(200)의 선단에 배치되는 헤드(320)와; 상기 피스톤(310)과 연결되며 상기 원료이동로(331)가 형성된 로드(330)와; 상기 로드(330)의 선단과 상기 헤드(320)를 연결하며 원료배출공(341)이 형성된 브릿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RAW MATERIAL SUPPLY APPARATUS OF FOAMING MACHINE}
본 발명은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구조를 간소화하며 원료의 충진과 피드백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 성형장치는 한 쌍의 금형으로 구성된 금형틀에 열가소성 수지 발포입자를 충진한 후 가열 매체에 의해 형성틀에 충진된 발포 입자를 가열하여 입자 간에 서로 융착시켜 금형틀과 동일한 성형물이 제조되게 된다.
이때, 발포 성형장치의 프레임에 설치된 금형틀로 원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금형에 결합 고정되어 원료가 유입되고, 유입된 원료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전진하면서 원료를 금형틀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원료 공급장치는 금형틀로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설치되는 공급부와, 공급부로 공급된 원료를 금형틀로 유입할 때 원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부와, 주입부에 충진된 원료를 가압하여 금형틀로 공급하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 10-1211175호 "발포 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된 종래 발포 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는 주입부와 실린더부가 직선형태로 배치되고, 공급부가 주입부에 대해 분기된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공급부를 통해 원료가 충진되고, 내부의 원료가 피드백 될 때 분기되는 내벽면과 부딪치게 되므로 흐름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발포 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는 피스톤의 전진과 후진을 위해 실린더부의 길이가 길어져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금형에서 제품을 분리할 때 사용되는 핀의 길이도 동일하게 길어져야만 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료공급부를 실린더부와 함께 직선형태로 배치하여 원료의 공급 및 피드백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스톤의 이동경로를 짧게 하여 전체 길이를 줄인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는, 원료호스와 연결되어 원료를 공급받는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의 선단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금형틀로 주입하는 주입부(2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주입부(20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원료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며, 내부에 상기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상기 주입부(200)로 이동시키는 원료이동로(331)가 형성되는 실린더부(3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주입부(200) 사이에 결합되어, 공기의 공급방향을 통해 원료의 공급여부와 상기 실린더부(3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원료공급부(10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단에 원료투입관(311)이 연결된 피스톤(310)과; 상기 주입부(200)의 선단에 배치되는 헤드(320)와; 상기 피스톤(310)과 연결되며 상기 원료이동로(331)가 형성된 로드(330)와; 상기 로드(330)의 선단과 상기 헤드(320)를 연결하며 원료배출공(341)이 형성된 브릿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료공급부(100)는, 상기 피스톤(3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310)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내경부(111)와, 상기 원료투입관(311)의 외경에 대응되며 상기 피스톤(3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원료투입관(311)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내경부(113)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피스톤이동관(110)과; 상기 피스톤이동관(110)의 후단에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원료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원료투입관(31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료공급니플(120)과; 상기 제2내경부(113)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경부(111)를 향해 피스톤 전진용 공기를 공급하는 피스톤전진포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입부(200)는, 외통(210)과; 상기 외통(210)의 선단에 결합되며,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배출관(230)과; 상기 피스톤(310)이 후진했을 때부터 상기 피스톤(310)이 전진했을 때까지 상기 헤드(320)가 위치되는 경로에 상기 외통(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통(2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로(225)를 갖는 내통(220)을 가지며, 상기 내통(220)의 후단에는 충진용 공기를 상기 공기이동로(225)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221a)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220)의 선단에는 상기 충진용 공기를 상기 배출관(230) 측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공(223a)이 형성될 수 있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로드(330)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3내경부(411)와, 상기 제3내경부(411) 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4내경부(413)가 단차지게 형성된 조절본체(410)와; 상기 제3내경부(41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310)을 후진시키는 피스톤 후진용 공기를 상기 제1내경부(111) 측으로 공급하는 피스톤후진포트(420)와; 상기 제4내경부(413)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공(221a)으로 상기 충진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원료공급부(100)를 통해 원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충진포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는 원료공급부가 주입부 및 조절부와 동축상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원료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가 관로 내벽면에서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분기된 형태와 비교할 때 원료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형기는 피스톤의 헤드가 내통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되고 피스톤이 원료공급부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므로 발포성형기 원료공급장치 전체 부피도 줄일 수 있고, 제품을 분리하기 위한 핀의 길이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의 원료공급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의 피스톤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의 원료공급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원료공급장치(1)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1)는 원료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원료를 공급받는 원료공급부(100)와, 원료공급부(100)의 선단에 배치되어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금형틀(미도시)로 공급하는 주입부(200)와, 원료공급부(100)와 주입부(200)에 걸쳐 내부에 구비되어 원료공급부(100)의 원료를 주입부(200)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300)와, 원료의 공급여부와 실린더부(300)의 구동을 조절하는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공급장치(1)는 원료공급부(100)가 주입부(200)와 직선형태로 배치되며, 실린더부(300)의 내부를 통해 원료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종래 주입부로부터 분기된 형태와 비교할 때 원료의 공급과 피드백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고, 실린더부(300)의 이동경로를 단축할 수 있어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원료공급부(100)가 실린더부(300)와 조절부(400)에 결합되는 결합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원료공급부(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원료공급장치(1)의 전체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원료공급부(100)는 실린더부(300)의 피스톤(310)이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피스톤이동관(110)과, 피스톤이동관(1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원료호스(미도시)와 연결되는 원료공급니플(120)과, 피스톤이동관(11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피스톤(310)을 전진시키기 위한 피스톤 전진용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피스톤전진포트(130)를 포함한다.
피스톤이동관(11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R1)을 갖는 제1내경부(111)와, 실린더부(300)의 원료투입관(31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R2)을 갖는 제2내경부(113)가 단차지게 구비된다.
피스톤이동관(110)의 선단측에 제1내경부(111)가 형성되고, 후단측에 제2내경부(113)가 형성된다. 제2내경부(113)의 내경(R2)은 제2내경부(113)의 내경(R1) 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원료공급니플(120)은 피스톤이동관(110)의 후단에 일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원료공급니플(120)에는 호스결합관(121)이 연장형성되어 원료호스(미도시)와 연결된다.
피스톤전진포트(130)는 피스톤이동관(1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1내경부(111)로 피스톤(310)을 전진시키기 위한 피스톤 전진용 공기를 유입시킨다. 이를 위해 제2내경부(113)에는 피스톤전진포트(130)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전진유로(131)가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경부(113)의 내벽면에는 전진유로(13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전진공기배출공(133)이 구비된다.
피스톤전진포트(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고압의 피스톤 전진용 공기(A2)를 공급한다. 피스톤 전진용 공기(A2)가 전진공기배출공(133)으로 배출되며 후진된 피스톤(310)을 가압하여 피스톤(310)이 전진되도록 한다.
주입부(200)는 후단이 조절부(400)와 결합되며 내부에 실린더부(300)를 수용한다. 주입부(200)는 실린더부(300)를 통해 원료공급부(100)의 원료를 공급받아 금형틀(미도시)로 원료를 주입한다.
주입부(200)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10)과, 외통(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통(220)과, 외통(2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관(230)을 포함한다.
외통(210)은 후단은 조절부(400)에 나사결합되고, 선단은 배출관(230)에 나사결합된다. 내통(220)은 외통(210)의 선단측 내부에 수용된다. 내통(220)은 외통(210)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외통(2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로(225)를 형성한다.
내통(220)의 후단에는 타영역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1단차면(221)이 형성되고, 내통(220)의 선단에는 제2단차면(223)이 형성된다. 제1단차면(221)에는 조절부(400)의 충진포트(430)로부터 공급되는 충진공기(A1)를 공기이동로(225)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221a)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제2단차면(223)에는 공기이동로(225)를 통해 이동된 충진공기(A1)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223a)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배출관(230)은 외통(2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원료(B)를 배출한다. 배출관(230)은 외통(210)의 선단에 나사결합된다. 배출관(230)은 수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로(231)와, 경사로(231)의 단부에서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배출로(233)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로(233)의 내경(d1)은 헤드(320)의 외경(d2)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10)의 후진에 의해 헤드(320)가 후진된 상태에서는 헤드(320)가 배출로(233)를 개방하여 원료(B)와 충진공기(A1)가 배출되도록 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10)의 전진에 의해 헤드(320)가 전진하면 헤드(320)가 배출로(233)를 폐쇄하여 충진공기(A1)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실린더부(300)는 원료공급부(100)와 조절부(400) 및 주입부(200)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수용되어 전후로 이동하며 원료의 이동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실린더부(300)는 원료공급부(100)의 피스톤이동관(110) 내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피스톤(310)과, 주입부(200)의 내통(220) 내부를 이동하는 헤드(320)와, 피스톤(310)과 헤드(320)를 연결하는 로드(330)를 포함한다.
피스톤(310)은 피스톤이동관(110)의 제1내경부(11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게 형성된다. 피스톤(310)의 내부에는 원료가 이동되는 이동로가 형성된다.
피스톤(310)은 피스톤전진포트(130)로부터 공급되는 피스톤 전진용 공기(A2)에 의해 전진하고, 조절부(400)의 피스톤후진포트(420)로부터 공급되는 피스톤 후진용 공기(A3)에 의해 후진한다.
피스톤(310)의 후단에는 원료투입관(311)이 일정 길이 연장형성된다. 원료투입관(311)은 피스톤(310)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원료공급니플(120) 내부를 이동한다. 원료투입관(311)은 원료공급니플(120)로 유입되는 원료(B)를 피스톤(310)의 이동로로 공급한다.
로드(330)는 피스톤(310)과 헤드(320) 사이를 연결하면서 피스톤(310)의 전후이동을 헤드(320)로 전달한다. 또한, 로드(330)는 원료(B)를 헤드(320)로 공급한다. 로드(330)의 내부에는 원료이동로(331)가 형성된다.
헤드(320)는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게 형성된다. 헤드(320)의 선단의 외경(d2)는 배출관(230)의 배출로(233)의 내경(d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헤드(320)는 피스톤(310)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내통(220) 내부를 이동하며 배출로(233)를 개폐한다.
헤드(320)의 후단에는 로드(330)를 통해 이동된 원료(B)를 배출관(230) 측으로 공급하는 브릿지(340)와, 브릿지(340)를 지지하는 브릿지본체(350)가 구비된다. 브릿지(340)는 로드(330)의 원료이동로(331)와 연통되는 원료배출공(341)이 양쪽으로 관통형성된다.
브릿지본체(350)는 내통(22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통(220) 내부를 전후로 이동한다. 이 때, 브릿지본체(350)는 제1단차면(221)에 접촉되며 헤드(320)의 최대 후진위치를 제한한다.
조절부(400)는 원료(B)의 공급여부와 피스톤(310)의 후진을 조절한다. 조절부(400)는 원료공급부(100)와 주입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조절본체(410)와, 조절본체(410)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피스톤후진포트(420)와, 피스톤후진포트(420)의 선단에 구비되는 충진포트(430)를 포함한다.
조절본체(410)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다. 조절본체(41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3내경부(411)와, 제3내경부(411) 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4내경부(413)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제4내경부(413)는 조절본체(410)의 선단에 배치되고, 제3내경부(411)는 피스톤이동관(110)과 맞닿는 측에 위치된다.
피스톤후진포트(420)는 제3내경부(411)가 형성된 조절본체(4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피스톤(310)을 후진시키기 위한 피스톤 후진용 공기(A3)를 피스톤이동관(110)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제3내경부(411)에는 피스톤후진포트(420)와 연통되는 후진공기이동로(421)가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내경부(411)의 후벽면에는 후진공기이동로(421)와 연결되는 후진공기배출공(423)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후진포트(420)를 통해 유입된 피스톤 후진용 공기(A3)가 후진공기이동로(421)를 통해 이동된 후 후진공기배출공(423)으로 배출되어 피스톤(310)을 가압하여 피스톤(310)이 후진되도록 한다.
충진포트(430)는 원료(B)를 금형틀(미도시)로 충진하기 위한 충진공기(A1)를 주입부(200)로 공급한다. 충진포트(430)는 제4내경부(413)에 대응되는 조절본체(41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제4내경부(413)와 충진포트(430)는 충진공기이동로(431)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포트(430)를 통해 유입된 충진공기(A1)는 충진공기이동로(431)를 통해 외통(210)과 로드(3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이 후 외통(210)과 내통(220) 사이의 공기이동로(225)를 통해 이동된 후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충진공기(A1)가 배출될 때 외통(210)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고, 음압에 의해 원료공급부(100)로 원료(B)가 유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1)의 동작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10)이 후진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충진포트(430)로 충진공기(A1)를 공급한다. 충진공기(A1)는 외통(210)과 로드(330) 사이로 이동된 후, 내통(220)의 제1단차면(221)에 형성된 공기유입공(221a)을 통해 공기이동로(225)로 이동된다. 공기이동로(225)로 이동된 충진공기(A1)는 제2단차면(223)에 형성된 공기배출공(223a)을 통해 배출되어 배출관(230) 외부로 배출된다.
충진공기(A1)의 이동에 의해 내통(220)의 내부에는 음압이 발생되어 원료공급부(100)의 원료공급니플(120)을 통해 원료(B)가 유입되게 된다. 원료(B)는 원료투입관(311)을 통해 피스톤(310)을 관통하여 로드(33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브릿지(340)의 원료배출공(341)을 통해 이동된 후 배출관(230)을 통해 금형틀로 배출된다.
원료(B)의 주입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피스톤전진포트(130)로 피스톤 전진용 공기(A2)를 공급한다. 이 때, 충진포트(430)로 충진공기(A1)의 공급은 계속 이루어진다.
피스톤 전진용 공기(A2)가 전진유로(131)를 통해 이동된 후 전진공기배출공(133)으로 배출된다. 피스톤 전진용 공기(A2)가 피스톤(310)을 가압하여 피스톤(310)이 조절본체(410)의 후단 측으로 전진한다.
피스톤(310)이 전진하면, 헤드(320)도 전진하여 배출로(233)를 막는다. 배출로(233)가 막히면 충진공기(A1)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브릿지(340)를 통해 로드(330) 내부로 유입되어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충진공기(A1)가 역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원료(B)의 유입도 멈추고, 로드(330) 내부에 잔류하던 잔류 원료가 충진공기(A1)와 함께 원료공급부(100) 방향으로 피드백하게 된다.
잔류원료의 피드백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전진포트(130)를 통한 피스톤 전진용 공기(A2)의 공급과 충진포트(430)를 통한 충진공기(A1)의 공급을 멈춘다. 그리고, 피스톤후진포트(420)로 피스톤 후진용 공기(A3)를 공급한다. 피스톤 후진용 공기(A3)는 피스톤후진포트(420)를 통해 후진공기이동로(421)로 이동된 후 후진공기배출공(423)으로 이동된다.
피스톤 후진용 공기(A3)는 제3내경부(411)에 맞닿아 있던 피스톤(310)의 전면을 가압하여 피스톤(310)을 후진시킨다. 이에 의해 피스톤(310)이 초기 위치로 후진하며 복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는 원료공급부가 주입부 및 조절부와 동축상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원료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가 관로 내벽면에서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분기된 형태와 비교할 때 원료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형기는 피스톤의 헤드가 내통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되고 피스톤이 원료공급부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므로 발포성형기 원료공급장치 전체 부피도 줄일 수 있고, 제품을 분리하기 위한 핀의 길이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발포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 100 : 원료공급부
110 : 피스톤이동관 111 : 제1내경부
113 : 제2내경부 120 : 원료공급니플
121 : 호스결합관 130 : 피스톤전진포트
131 : 전진유로 133 : 전진공기배출공
200 : 주입부 210 : 외통
220 : 내통 221 : 제1단차면
221a : 공기유입공 223 : 제2단차면
223a : 공기배출공 225 : 공기이동로
230 : 배출관 231 : 경사로
233 : 배출로 300 : 실린더부
310 : 피스톤 311 : 원료투입관
320 : 헤드 330 : 로드
331 : 원료이동로 340 : 브릿지
341 : 원료배출공 350 : 브릿지본체
400 : 조절부 410 : 조절본체
411 : 제3내경부 413 : 제4내경부
420 : 피스톤후진포트 421 : 후진공기이동로
423 : 후진공기배출공 430 : 충진포트
431 : 충진공기이동로
A1 : 충진공기
A2 : 피스톤 전진용 공기
A3 : 피스톤 후진용 공기
B : 원료

Claims (4)

  1. 원료호스와 연결되어 원료를 공급받는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의 선단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금형틀로 주입하는 주입부(2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주입부(20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원료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며, 내부에 상기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상기 주입부(200)로 이동시키는 원료이동로(331)가 형성되는 실린더부(300)와;
    상기 원료공급부(100)와 상기 주입부(200) 사이에 결합되어, 공기의 공급방향을 통해 원료의 공급여부와 상기 실린더부(3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원료공급부(10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단에 원료투입관(311)이 연결된 피스톤(310)과;
    상기 주입부(200)의 선단에 배치되는 헤드(320)와;
    상기 피스톤(310)과 연결되며 상기 원료이동로(331)가 형성된 로드(330)와;
    상기 로드(330)의 선단과 상기 헤드(320)를 연결하며 원료배출공(341)이 형성된 브릿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100)는,
    상기 피스톤(3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310)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내경부(111)와, 상기 원료투입관(311)의 외경에 대응되며 상기 피스톤(3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원료투입관(311)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내경부(113)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피스톤이동관(110)과;
    상기 피스톤이동관(110)의 후단에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원료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원료투입관(31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료공급니플(120)과;
    상기 제2내경부(113)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경부(111)를 향해 피스톤 전진용 공기를 공급하는 피스톤전진포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200)는,
    외통(210)과;
    상기 외통(210)의 선단에 결합되며,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배출관(230)과;
    상기 피스톤(310)이 후진했을 때부터 상기 피스톤(310)이 전진했을 때까지 상기 헤드(320)가 위치되는 경로에 상기 외통(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통(2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로(225)를 갖는 내통(220)을 가지며,
    상기 내통(220)의 후단에는 충진용 공기를 상기 공기이동로(225)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221a)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220)의 선단에는 상기 충진용 공기를 상기 배출관(230) 측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공(22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로드(330)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3내경부(411)와, 상기 제3내경부(411) 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4내경부(413)가 단차지게 형성된 조절본체(410)와;
    상기 제3내경부(41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310)을 후진시키는 피스톤 후진용 공기를 상기 제1내경부(111) 측으로 공급하는 피스톤후진포트(420)와;
    상기 제4내경부(413)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공(221a)으로 상기 충진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원료공급부(100)를 통해 원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충진포트(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KR1020180080527A 2018-07-11 2018-07-11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KR10191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27A KR101913796B1 (ko) 2018-07-11 2018-07-11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27A KR101913796B1 (ko) 2018-07-11 2018-07-11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796B1 true KR101913796B1 (ko) 2018-11-02

Family

ID=6432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527A KR101913796B1 (ko) 2018-07-11 2018-07-11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7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75B1 (ko) 2010-10-08 2012-12-11 김현기 발포 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
KR101364015B1 (ko) 2013-09-03 2014-02-26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발포 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
KR101623931B1 (ko) 2015-10-30 2016-05-24 (주) 대기정공 푸시 기능을 갖는 발포 성형 원료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75B1 (ko) 2010-10-08 2012-12-11 김현기 발포 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
KR101364015B1 (ko) 2013-09-03 2014-02-26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발포 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
KR101623931B1 (ko) 2015-10-30 2016-05-24 (주) 대기정공 푸시 기능을 갖는 발포 성형 원료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97496B (zh) 注塑成型机及注塑成型方法
CN100503200C (zh) 橡胶注射模塑装置以及橡胶产品的制造方法
US10543623B2 (en) Injector for filling a mold with plastic particles
US6824374B1 (en) Thermoplastic resi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6854968B2 (en) Compounder-type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0351566B2 (ko)
JPH0749209B2 (ja) 射出成形装置
KR101913796B1 (ko)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US11241810B2 (en) Molding machine
CN108698280B (zh) 用于制造管的注塑装置及用于制造管的方法
CN218701019U (zh) 一种大胶量注塑机
CN104943102A (zh) 一种用于注塑机的合模装置
KR101623931B1 (ko) 푸시 기능을 갖는 발포 성형 원료 공급장치
CN204640731U (zh) 一种用于注塑机的合模装置
JPH0475756A (ja) 射出成形装置の駆動装置
EP1333968B1 (en) Injection unit of an injection system
JPH06320589A (ja) 可塑化成形機
JP3249659B2 (ja) 発泡成形機用ショートフィラー
JPS61181618A (ja) 圧縮成形における樹脂材料供給装置
CN110709224A (zh) 用于由热塑性塑料制造部件的方法和设备以及通过该方法制造的部件
JP3249658B2 (ja) 発泡成形機用フィラー装置
CN209191322U (zh) 3d打印机的进料机构
CN212124076U (zh) 二段式射出机
KR101664255B1 (ko) 발포 성형용 원료 공급장치
US20220371245A1 (en) Injection unit for a m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