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306B1 - 차량용 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06B1
KR101912306B1 KR1020160171565A KR20160171565A KR101912306B1 KR 101912306 B1 KR101912306 B1 KR 101912306B1 KR 1020160171565 A KR1020160171565 A KR 1020160171565A KR 20160171565 A KR20160171565 A KR 20160171565A KR 101912306 B1 KR101912306 B1 KR 10191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collecting
engag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405A (ko
Inventor
이성환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아진미래텍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진미래텍, 김형식 filed Critical (주)아진미래텍
Priority to KR102016017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바닥에 안착 배치하며, 상면에는 포집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포집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부위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를 결합 설치하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후크가 형성된 걸림돌기부, 베이스판의 포집홈을 밀폐하도록 베이스판 상부에 배치하며, 복수개의 포집공이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상부판, 걸림돌기부에 대응되도록 상부판에 결합 설치하며, 상부판을 베이스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걸림돌기부의 걸림후크가 삽입상태로 걸림되는 걸림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매트는, 베이스판의 포집홈에 상부판을 배치시, 베이스판과 상부판이 걸림돌기부와 걸림체결부의 착탈 가능한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베이스판과 상부판의 용이한 해체를 통해 포집홈에 수납되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매트{Inner m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깔아 사용하는 과정에서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는 차량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는 매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매트는 연질 합성수지판 또는 고무판의 상면에 다수개의 돌출요소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매트를 밟으면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이 매트의 돌출요소에 의해 보다 잘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에서 떨어진 이물질이 매트 위에 모여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매트 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매트가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차량용 매트는 신발 바닥의 흙과 같은 이물질을 털어주는 기능은 가지고 있으나, 이물질을 주변으로 유출됨이 없이 보관하는 수납 공간부를 갖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물질이 매트에 어느 정도 모이게 되면 다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주변으로 흩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주변을 오히려 더럽히게 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공판과 받침판을 착탈 가능한 이중 구조로 하여 다공판을 통해 받침판 상에 흙과 같은 이물질이 모이면, 다공판을 분리한 후 받침판만 꺼내어 받침판 상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다공판과 받침판은 벨크로나 매직테이프를 통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이물질이 벨크로나 매직테이프에 묻을 경우 깨끗한 제거가 어렵게 됨과 더불어 다공판과 받침판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매트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9518호(2013.11.13)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이중 매트구조를 가지면서 흙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한 상태로 다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이물질의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이중 매트의 결합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차량용 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바닥에 안착 배치하며, 상면에는 포집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포집홈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 부위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를 결합 설치하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후크가 형성된 걸림돌기부, 상기 베이스판의 포집홈을 밀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배치하며, 복수개의 포집공이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상부판, 상기 걸림돌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판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상부판을 상기 베이스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걸림돌기부의 걸림후크가 삽입상태로 걸림되는 걸림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설치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내주면 둘레로 제1걸림단이 마련된 제1결합관이 상기 제1설치홈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하측부재,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걸림후크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관 내측에 삽입시 상기 제1걸림단에 걸림되면서 체결되도록 외주면 둘레로 제1걸림턱이 마련된 제2결합관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상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설치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걸림체결부는,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내측면 둘레로 제2걸림단이 마련된 제3결합관이 상기 제2설치홈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체결하측부재,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에는 상기 제3결합관 내측에 삽입시 상기 제2걸림단에 걸림되면서 체결되도록 외측면 둘레로 제2걸림턱이 마련된 제4결합관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체결상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홈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부분에는 절취선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은 상기 포집홈을 밀폐하도록 상기 포집홈에 삽입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걸림돌기부와 상기 걸림체결부에 의한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상부판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판의 저면과 상기 포집홈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매트는, 베이스판의 포집홈에 상부판을 배치시, 베이스판과 상부판이 걸림돌기부와 걸림체결부의 착탈 가능한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베이스판과 상부판의 용이한 해체를 통해 포집홈에 수납되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베이스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상부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걸림돌기부와 걸림체결부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매트는, 베이스판(100), 걸림돌기부(200), 상부판(300), 걸림체결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차량 실내의 바닥에 안착 배치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판(100)은 차량의 운전석 바닥이나 조수석 바닥 또는 뒷좌석 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0)은 금속재나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에는 이후 설명될 상부판(300)의 포집공(310)을 통과하는 먼지나 흙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포집홈(110)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집홈(110)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100) 부분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설치홈(120)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설치홈(120)은 이후 설명될 걸림돌기부(200)를 상기 베이스판(100) 상면 및 저면에 밀착상태로 결합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집홈(110)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 부분에는 절취선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절취선부(130)는 국내외의 모든 차종에 사용할 수 있도록 차종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0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을 절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걸림돌기부(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에 결합 설치되어, 이후 설명될 상부판(300)을 상기 베이스판(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즉, 상기 걸림돌기부(200)는 이후 설명될 걸림체결부(400)와의 체결을 이루어지게 하면서, 상기 베이스판(100)과 상부판(300)을 결합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부(200)는 상기 베이스판(100)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집홈(110)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100) 부위의 제1설치홈(120)에 각각 상호 이격되게 결합 설치됨으로써, 상부판(300)으로 상기 포집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포집홈(110) 내측에 삽입 배치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돌기부(200)는 걸림돌기하측부재(210), 걸림돌기상측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하측부재(21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저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설치홈(120)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베이스판(100) 저면에 밀착 배치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하측부재(210)는 중앙부에 제1관통공(210a)이 형성된 판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하측부재(210)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제1설치홈(120)에 삽입상태로 관통되는 제1결합관(211)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관(211)의 상단 내주면 둘레로는 제1걸림단(212)을 상기 제1결합관(2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관(211)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절개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절개홈은 상기 제1결합관(211) 내측으로 걸림돌기상측부재(220)의 제2결합관(222)을 삽입되게 하거나, 상기 제1결합관(211)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상측부재(220)의 제2결합관(222)을 이탈되게 할 때, 상기 제1결합관(211)의 벌어짐이 용이하게 하여 상기 제1결합관(211)과 상기 제2결합관(222)의 안정적인 결합 및 해체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하측부재(2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결합관(211)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결합돌기부(210b)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결합돌기부(210b)는 상기 걸림돌기하측부재(210)의 상면을 상기 베이스판(100)의 저면에 밀착시, 상기 베이스판(100)의 저면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면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걸림돌기상측부재(22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설치홈(120)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베이스판(100) 상면에 밀착 배치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걸림돌기상측부재(220)는 상기 걸림돌기하측부재(210)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 상면에 밀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상측부재(220)의 상면에는 이후 설명될 걸림체결부(400)와 연결상태로 결합되도록 바 형상의 걸림후크(221)를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후크(221)의 상단 외측면 둘레로는 결합단(221a)을 상기 걸림후크(22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상측부재(220)의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관(211)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제2결합관(222)을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관(222)의 하단 외주면 둘레로는 제1걸림턱(223)을 상기 제2결합관(222)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관(222)의 내측에 상기 제1결합관(211)을 삽입 배치시, 상기 제2결합관(220)의 제1걸림턱(223)에 상기 제1결합관(211)의 제1걸림단(212)이 상호 걸림상태가 되면서, 상기 걸림돌기하측부재(210)와 상기 걸림돌기상측부재(22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제1설치홈(120)을 통해 상호 연결상태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판(300)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을 밀폐하는 판 부재이다. 즉, 상기 상부판(300)은 상기 포집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판(100) 상부의 상기 포집홈(110)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300)은 상기 포집홈(11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걸림체결부(400)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판(300)은 상기 포집홈(110)을 밀폐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300)은 금속재나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나 각종 물건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거나 형상이 크게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판(300)은 상기 포집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발에 묻은 흙이나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을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도록 포집공(31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공(310)은 상기 상부판(300)의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판(300)을 망 구조로 구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포집공(310)은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포집홈(110)에 수납된 이물질이 상기 상부판(300)의 포집공(310)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판(300)에는 이후 설명될 걸림체결부(400)를 설치하도록 복수의 제2설치홈(320)이 관통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설치홈(320)은 걸림체결부(4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부(200)와 체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의 제1설치홈(12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설치홈(320)은 이후 설명될 걸림체결부(400)를 상기 상부판(300) 상면 및 저면에 밀착상태로 결합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걸림체결부(400)는 상기 상부판(300)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상부판(300)을 상기 베이스판(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즉, 상기 걸림체결부(400)는 상기 걸림돌기부(200)와의 체결을 이루어지게 하면서, 상기 베이스판(100)과 상부판(300)을 결합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체결부(400)는 상기 상부판(300)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돌기부(200)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판(300)에 결합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판(300)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포집홈(110) 내측에 삽입 배치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체결부(400)는 걸림체결하측부재(410), 걸림체결상측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체결하측부재(410)는 상기 상부판(300)의 저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설치홈(320)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상부판(300) 저면에 밀착 배치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걸림체결하측부재(410)는 걸림체결상측부재(420)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판(300) 상면에 밀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체결하측부재(410)는 중앙부에 제3관통공(410a)이 형성된 판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걸림체결하측부재(41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판(300)의 제2설치홈(320)에 삽입상태로 관통되는 제3결합관(411)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결합관(411)의 상단 내주면 둘레로는 제2걸림단(412)을 상기 제3결합관(4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3결합관(411)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2절개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절개홈은 상기 제3결합관(411) 내측으로 걸림체결상측부재(420)의 제4결합관(421)을 삽입되게 하거나, 상기 제3결합관(411)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체결상측부재(420)의 제4결합관(421)을 이탈되게 할 때, 상기 제3결합관(411)의 벌어짐이 용이하게 하여 상기 제4결합관(421)과 상기 제3결합관(411)의 안정적인 결합 및 해체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체결하측부재(410)의 상면에는 상기 제3결합관(411)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결합돌기부(410b)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결합돌기부(410b)는 상기 걸림체결하측부재(410)의 상면을 상기 상부판(300)의 저면에 밀착시, 상기 상부판(300)의 저면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면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걸림체결상측부재(420)는 상기 상부판(30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설치홈(320)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상부판(300) 상면에 밀착 배치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걸림체결상측부재(420)는 상기 걸림체결하측부재(410)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판(300) 상면에 밀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체결상측부재(420)는 중앙부에 제4관통공(420a)이 형성된 판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체결상측부재(420)의 상면에는 상기 제4관통공(420a)과 연결되도록 후크걸림홈(420b)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후크걸림홈(420b)은 상기 걸림돌기부(200)의 걸림후크(221)에 형성된 결합단(221a)을 걸림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체결상측부재(420)의 저면에는 상기 제3결합관(411)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제4결합관(421)을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4결합관(421)의 하단 외주면 둘레로는 제2걸림턱(422)을 상기 제4결합관(42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3결합관(411)의 내측에 상기 제4결합관(421)을 삽입 배치시, 상기 제3결합관(411)의 제2걸림단(412)에 상기 제4결합관(421)의 제2걸림턱(422)이 상호 걸림상태가 되면서, 상기 걸림체결하측부재(410)와 상기 걸림체결상측부재(420)는 상기 상부판(300)의 제2설치홈(320)을 통해 상호 연결상태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일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의 이물질 수납 및 수납된 이물질의 제거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차량 실내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물질을 수납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을 밀폐하도록 상기 포집홈(110) 상에 상기 상부판(300)이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7과 같이 상기 베이스판(100)에 결합 설치된 상기 걸림돌기부(200)의 걸림후크(221)가 상기 걸림체결부(400)에 마련된 걸림체결상측부재(420)의 제4결합관(421)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결합단(221a)이 상기 후크걸림홈(420b)에 걸림되며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포집홈(110)으로 유입되는 먼지나 흙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상부판(300)의 포집공(310)을 통해 상기 상부판(300) 하부의 상기 포집홈(110)으로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포집홈(110)에 수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후크(221)가 상기 걸림체결부(400)에 마련된 걸림체결상측부재(420)의 제4결합관(421)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된 상태를 해제되게 한다. 즉, 상기 걸림후크(221)의 결합단(221a)이 상기 후크걸림홈(420b)에 걸림된 상태를 해제되게 한 후, 상기 걸림후크(221)를 상기 제4결합관(421)에서 이탈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상부판(300)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에 삽입 체결된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 상에 수납된 이물질을 쉽게 버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에 상기 상부판(300)을 배치시, 상기 베이스판(100)과 상기 상부판(300)이 상기 걸림돌기부(200)와 상기 걸림체결부(400)의 착탈 가능한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100)과 상기 상부판(300)의 용이한 해체를 통해 상기 포집홈(110)에 수납되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부(200)와 상기 걸림체결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과 상기 상부판(300)의 저면이 상호 이격상태를 유지되게 하면서, 상기 상부판(200)의 포집공(310)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 내부로 이물질의 수납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포집홈(110) 내측으로 일정깊이만큼 상기 상부판(200)을 삽입상태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판(200)이 상기 포집홈(110)을 밀폐하도록 배치하더라도 상기 포집홈(110)으로의 이물질 수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판 110: 포집홈
120: 제1설치홈 130: 절취선부
200: 걸림돌기부 210: 걸림돌기하측부재
220: 걸림돌기상측부재 300: 상부판
310: 포집공 320: 제2설치홈
400: 걸림체결부 410: 걸림체결하측부재
420: 걸림체결상측부재

Claims (5)

  1. 차량의 실내 바닥에 안착 배치하며, 상면에는 포집홈이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설치홈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포집홈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 부위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를 결합 설치하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후크가 형성된 걸림돌기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포집홈을 밀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배치하며, 복수개의 포집공이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설치홈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게 복수의 지지다리가 형성된 상부판; 및
    상기 걸림돌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판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상부판을 상기 베이스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걸림돌기부의 걸림후크가 삽입상태로 걸림되는 걸림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내주면 둘레로 제1걸림단이 마련된 제1결합관이 상기 제1설치홈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복수의 제1결합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하측부재,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걸림후크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관 내측에 삽입시 상기 제1걸림단에 걸림되면서 체결되도록 외주면 둘레로 제1걸림턱이 마련된 제2결합관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상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체결부는,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내측면 둘레로 제2걸림단이 마련된 제3결합관이 상기 제2설치홈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복수의 제2결합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걸림체결하측부재,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에는 상기 제3결합관 내측에 삽입시 상기 제2걸림단에 걸림되면서 체결되도록 외측면 둘레로 제2걸림턱이 마련된 제4결합관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체결상측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홈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부분에는 절취선부가 더 형성된 차량용 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포집홈을 밀폐하도록 상기 포집홈에 삽입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걸림돌기부와 상기 걸림체결부에 의한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상부판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판의 저면과 상기 포집홈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량용 매트.


KR1020160171565A 2016-12-15 2016-12-15 차량용 매트 KR10191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565A KR101912306B1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565A KR101912306B1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05A KR20180069405A (ko) 2018-06-25
KR101912306B1 true KR101912306B1 (ko) 2018-10-26

Family

ID=6280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565A KR101912306B1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3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907B1 (ko) * 2012-03-09 2012-10-02 김동식 차량용 매트
KR101477924B1 (ko) * 2013-09-30 2014-12-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매트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907B1 (ko) * 2012-03-09 2012-10-02 김동식 차량용 매트
KR101477924B1 (ko) * 2013-09-30 2014-12-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매트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05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567B2 (en) Floor mat clip assembly
US7546661B2 (en) Floor mat clip assembly
US8959829B2 (en) Rodent trap mounting member and method
US8757698B1 (en) Floor mat system for vehicle
JPS637770B2 (ko)
KR101912306B1 (ko) 차량용 매트
JPH09287193A (ja) トラフ、枠部及び固定部分
KR101942453B1 (ko) 차량용 매트
US20040208703A1 (en) Drip berm having hydrophobic and hydrocarbon retentive properties
KR200469947Y1 (ko) 자동차용 매트
KR101722848B1 (ko) 차량용 바닥매트
JP4098518B2 (ja) 動力付き乗り物のための床カバー
KR100773601B1 (ko) 차량용 매트
US7350999B2 (en) Trash can plug
JP5238196B2 (ja) フロアマット
KR101619145B1 (ko) 차량용 매트
CA2404566A1 (en) Floor mat
KR101926820B1 (ko) 카매트 및 카매트 제조방법
KR20160067461A (ko)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조
KR20160002260U (ko) 차량용 매트
JP3956092B2 (ja) 競技用ゴールの固定具
KR101629092B1 (ko) 차량용 매트
CA2706400C (en) Floor mat clip assembly
CN217852467U (zh) 水槽结构总成、车载咖啡机及车辆
JP3071357U (ja) 自動車用カーペット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