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257B1 -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 Google Patents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257B1
KR101912257B1 KR1020180078869A KR20180078869A KR101912257B1 KR 101912257 B1 KR101912257 B1 KR 101912257B1 KR 1020180078869 A KR1020180078869 A KR 1020180078869A KR 20180078869 A KR20180078869 A KR 20180078869A KR 101912257 B1 KR101912257 B1 KR 10191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board
upper plate
board finishing
pres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한
Original Assignee
한일기업합자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기업합자회사 filed Critical 한일기업합자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보드 마감재의 조립과 분리를 허용하면서도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될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훼손 내지 파손으로 보드 마감재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소비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보드 마감재와 상판 사이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간극 내지 홈 등을 미연에 해소하면서 해당 보드 마감재의 밀착력 또한 극대화함으로써 상판과의 공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지주(10); 지주에 결부되어 승강 제어되는 보강바(20); 보강바를 수단으로 지지 고정되는 상판(30); 상판 상에서 위치 고정되는 보드 마감재(40); 보강바와 상판 상간에 개재 후 결속됨에 따라 보드 마감재에 대한 가압력 발생이 유도되는 가압블록(50);을 포함하고, 위 가압블록(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분 배열되어 조임편(1)과 구속편(2)의 일대일 대응 결속에 의해 보드 마감재(40)를 상향 가압함으로써 상판(30)과 보드 마감재의 공차 내지 간극을 해소하여 상판 상에서의 보드 마감재 위치가 고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A DESK}
본 발명은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보드 마감재의 조립과 분리를 허용하면서도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될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훼손 내지 파손으로 보드 마감재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소비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보드 마감재와 상판 사이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간극 내지 홈 등을 미연에 해소하면서 해당 보드 마감재의 밀착력 또한 극대화함으로써 상판과의 공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통상 책상 내지 테이블이라 함은 물건을 올려놓기 위하여 만든 가구의 통칭 개념으로, 강의실이나 회의실, 응접실 등 다수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나 구조 또한 소비자 요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흔히 작업이 가능한 형태의 상판을 형성하고, 해당 상판 저면으로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고정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판에는 사용 및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유리나 MDF 합판, 기타 각종 소재의 보드 마감재가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보드 마감재는 단순히 상판 상에 놓고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외 다양한 수단을 통해 보드 마감재의 위치 고정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 및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서는 유리 등의 보드 마감재를 단순 고정하기 위한 국부적인 형태에 불과할 뿐 아니라 그 방식 또한 대다수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결합력이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상판에 놓이는 보드 마감재로 인해 단차 발생이 불가피하고, 이러한 단차는 보다 쉬운 파손 내지 안전상의 문제, 그리고 해당 간극으로 인한 먼지나 이물질 등의 끼임 현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여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249호 "학생용 책상의 유리고정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723호 "책상 상판용 유리고정구"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되는 보드 마감재 고정용 학생용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 끼움이나 피스 등에 의한 국부적인 체결 타입에서 벗어나 보드 마감재를 보다 정확하게 위치 고수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형태의 보드 마감재 고정용 학생용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학생용 책상(100)은 지주(10); 지주에 결부되어 승강 제어되는 보강바(20); 보강바를 수단으로 지지 고정되는 상판(30); 상판 상에서 위치 고정되는 보드 마감재(40); 보강바와 상판 상간에 개재 후 결속됨에 따라 보드 마감재에 대한 가압력 발생이 유도되는 가압블록(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가압블록(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분 배열되어 조임편(1)과 구속편(2)의 일대일 대응 결속에 의해 보드 마감재(40)를 상향 가압함으로써 상판(30)과 보드 마감재의 공차 내지 간극을 해소하여 상판 상에서의 보드 마감재 위치가 고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상판(30)은 가압블록(50)의 인입 개재를 위하여 수용부(31)가 더 형성되고, 위 수용부(31)는 상하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2)을 천공하여 가압블록의 상면이 상향 돌출되면서 보드 마감재(40) 저부와 중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가압블록(50)은 보강바(20) 외면을 감싸면서 위치되도록 함몰면(51)이 저부에 더 형성되어 조임편(1)과 구속편(2)의 상호 체결에 의해 보강바와 함께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가압블록(50)은 보드 마감재(40) 저부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면(52)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판(30)에 상하 관통 형성한 관통홀(35)을 수단으로 상판 상으로 돌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가압블록(50)의 연장면(52)은 구속편(2)에 대한 조임편(1)의 결속 정도에 따라 상판(30)으로의 돌출 정도가 결정되면서 보드 마감재(40)가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가압블록(50)의 연장면(52)은 보드 마감재(40) 저부에 대한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마찰부재(55)가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상판(30)은 구속편(2)이 끼움 개재되는 체결홀(36)을 더 천공하고,위 수용부(31)는 체결홀의 동일 수직선상으로 환형의 결합돌부(33)가 하향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며, 위 가압블록(50)은 수용부의 결합돌부를 인입 수용하기 위한 끼움홀(56)이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상판(30)은 보드 마감재(40)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이격공(38); 이격공의 타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판 상면에 비해 하향된 공간으로 제공되는 단차부(39); 단차부에 대응 형성되고, 보드 마감재의 위치 고수를 위하여 단차부 상으로 안착되면서 고정 체결되는 고정바(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드 마감재의 조립과 분리를 허용하면서도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될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훼손 내지 파손으로 보드 마감재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소비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보드 마감재 일단을 상판 상에 끼움 개재한 후 소정의 고정바를 상판 상에 안착 체결하고, 아울러 상판 하방에서 기 설정 구조의 가압블록이 보드 마감재를 상향 가압하는 일체의 행위에 의해 해당 보드 마감재의 구속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 간소화로 인해 조립 호환성은 물론 조립성, 취급성 등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드 마감재의 체결과 관련한 제반 요소들로 하여금 보다 견고한 지지력 내지 결합력이 유도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학생용 책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를 상세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판의 저부 구성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에 의해 보드 마감재의 가압이 구현됨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실시 양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학생용 책상(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보드 마감재의 조립과 분리를 허용하면서도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될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훼손 내지 파손으로 보드 마감재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소비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드 마감재 고정용 학생용 책상(100)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하기에서 기술할 제반 구성에 의해 보드 마감재와 상판 사이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간극 내지 홈 등을 미연에 해소하면서 해당 보드 마감재의 밀착력 또한 극대화함으로써 상판과의 공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100)을 제안한다.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학생용 책상(100)은 보드 마감재(40)를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지지 내지 고정할 수 있는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되고, 이를 위해 지주(10)와, 지주에 결부되어 승강 제어되는 보강바(20)와, 보강바를 수단으로 지지 고정되는 상판(30)과, 상판 상에서 위치 고정되는 보드 마감재(40)와, 보강바와 상판 상간에 개재 후 결속됨에 따라 보드 마감재에 대한 가압력 발생이 유도되는 가압블록(50)으로 구분 구성된다.
위 지주(10) 및 보강바(20), 상판(30)은 종래와 유사 내지 동일 개념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위 보강바(20)와 상판(3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압블록(50)의 보다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추후 기술할 제반 구성요소들을 비롯한 특정 구조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관련 도면과 함께 하기에서 상세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위 보강바(20)는 도면과 같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판(30)의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가압블록(50)의 결합 여부에도 관여되게 하는바, 상판에 대한 전반적이고 균일한 지지력 발휘로 인해 가압블록(50)의 체결성 또한 극대화 유도된다.
위 보드 마감재(40)는 사용이나 유지 관리 시 편의를 제공하거나 또는 시각적인 미려함을 위해 상판 상에 위치시켜 사용함이 일반적이고, 예컨대 유리나 MDF 합판, 기타 각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위 가압블록(50)은 보드 마감재(40)를 위치 구속하기 위한 핵심 구성으로,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 충족되는 가압블록(50)은 그 체결 행위만으로도 상판(30) 상에 노출되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보드 마감재에 대해 균일한 가압력이 유발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가압블록(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분 배열되어 조임편(1)과 구속편(2)의 일대일 대응 결속에 의해 보드 마감재(40)를 상향 가압함으로써 상판(30)과 보드 마감재의 공차 내지 간극을 해소하여 상판 상에서의 보드 마감재 위치가 고수되게 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이를 위해 위 상판(30)은 가압블록(50)의 인입 개재를 위하여 수용부(31)가 더 형성되어야 하고, 이때 위 수용부(31)는 상하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2)을 천공하여 가압블록의 상면이 상향 돌출되면서 보드 마감재(40) 저부와 중첩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가압블록(50)을 운용함에 있어 보다 확실한 기능 달성에 기여하기 위함으로, 수용부(31)로 하여금 가압블록의 안정적인 거치 고정이 이루어진 후 관통홀을 통해 가압블록의 연장면(52)이 노출됨에 따라 보드 마감재 저부와 직접 마찰되면서 해당 부위를 광범위하게 가압하게 된다.
또한, 위 가압블록(50)은 보강바(20) 외면을 감싸면서 위치되도록 함몰면(51)이 저부에 더 형성되어 조임편(1)과 구속편(2)의 상호 체결에 의해 보강바와 함께 고정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판(30)과 가압블록(50)을 서로 일체화함에 있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지주(10)를 기반으로 지지되는 보강바(20)와 동시 결속되는 구조를 취하는바, 해당 가압블록(50)은 보강바에 의해 하방이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보드 마감재(40) 저부로 균일하고 안정적인 가압력이 행사된다.
위 가압블록(50)은 주지한 바와 같이 보드 마감재(40) 저부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면(52)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판(30)에 상하 관통 형성한 관통홀(35)을 수단으로 상판 상으로 돌출 배치되는 것을 요부로 한다.
이러한 연장면(52)은 보드 마감재(40)를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수단으로, 관통홀(32) 내부로의 위치 설정 시 해당 상판(30)의 상면 수평선상 위치에 비해 소폭 상향 배치되거나 동일 선상에 배치되면서 보드 마감재와 적정 수준 이상의 마찰력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위 가압블록(50)의 연장면(52)은 구속편(2)에 대한 조임편(1)의 결속 정도에 따라 상판(30)으로의 돌출 정도가 결정되면서 보드 마감재(40)가 가압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 내지 7에 순차적으로 상세 도시하였으며, 결국 조임편(1)의 결속에 의해 결합력 증대는 물론 보드 마감재(40)에 대한 가압력이 유발되므로 가압블록의 연장면(52) 두께 혹은 상판에 형성한 이격공(38) 대비 보드 마감재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정 수준으로 체결되어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압블록(50)의 연장면(52)에는 보드 마감재(40) 저부에 대한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마찰부재(55)가 더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위 마찰부재(55)는 쿠션력이 동반된 패드를 비롯하여 점성이 보유된 접착제나 스티커, 테이프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
한편, 위 상판(30)은 구속편(2)이 끼움 개재되는 체결홀(36)을 더 천공하고,위 수용부(31)는 체결홀의 동일 수직선상으로 환형의 결합돌부(33)가 하향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며, 위 가압블록(50)은 수용부의 결합돌부를 인입 수용하기 위한 끼움홀(56)이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가압블록(50)과 상판(30)의 상호 견고한 결합력을 유도하기 위함이며, 결합돌부(33)가 끼움홀(56)에 맞춤 수용되면서 측방으로의 유동 방지는 물론 조임편(1)과 구속편(2)의 체결 시에도 정확한 인입과 결속이 유도될 수 있다.
아울러 위 상판(30)은 보드 마감재(40)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보드 마감재(40)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이격공(38)과, 이격공의 타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판 상면에 비해 하향된 공간으로 제공되는 단차부(39)와, 단차부에 대응 형성되고 보드 마감재의 위치 고수를 위하여 단차부 상으로 안착되면서 고정 체결되는 고정바(70)로 구분된다.
위 이격공(38)은 상판(30)의 어느 일면에서 보드 마감재(40) 단부가 진입될 수 있는 적정의 중공으로 구비되는바, 해당 보드 마감재는 이러한 이격공으로의 끼움 개재로 인해 위치 구속된다.
위 단차부(39)는 도면과 같이 고정바(70)가 결합되는 적정 공간으로 구축되고, 보드 마감재(40) 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구속하면서 상판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계단형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위 고정바(70)는 전술한 단차부(39)의 공간으로 맞춤 진입되면서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판(30)과 일체화되고, 이격공(38)을 통해 일단이 구속된 보드 마감재는 고정바(70)로 인해 타단 또한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 내지 이탈 등으로부터 해소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드 마감재의 조립과 분리를 허용하면서도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될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훼손 내지 파손으로 보드 마감재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소비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보드 마감재 일단을 상판 상에 끼움 개재한 후 소정의 고정바를 상판 상에 안착 체결하고, 아울러 상판 하방에서 기 설정 구조의 가압블록이 보드 마감재를 상향 가압하는 일체의 행위에 의해 해당 보드 마감재의 구속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 간소화로 인해 조립 호환성은 물론 조립성, 취급성 등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드 마감재의 체결과 관련한 제반 요소들로 하여금 보다 견고한 지지력 내지 결합력이 유도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1. 조임편
2. 구속편
10. 지주
20. 보강바
30. 상판
40. 보드 마감재
50. 가압블록
70. 고정바
100. 테이블

Claims (8)

  1. 지주(10)와, 지주에 결부되어 승강 제어되는 보강바(20)와, 보강바를 수단으로 지지 고정되는 상판(30)과, 상판 상에서 위치 고정되는 보드 마감재(40)와, 보강바와 상판 상간에 개재 후 결속됨에 따라 보드 마감재에 대한 가압력 발생이 유도되는 가압블록(50)을 포함하고, 위 가압블록(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분 배열되어 조임편(1)과 구속편(2)의 일대일 대응 결속에 의해 보드 마감재(40)를 상향 가압함으로써 상판(30)과 보드 마감재의 공차 내지 간극을 해소하여 상판 상에서의 보드 마감재 위치가 고수되게 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위 상판(30)은 가압블록(50)의 인입 개재를 위하여 수용부(31)가 더 형성되고,
    위 수용부(31)는 상하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2)을 천공하여 가압블록의 상면이 상향 돌출되면서 보드 마감재(40) 저부와 중첩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위 가압블록(50)은 보드 마감재(40) 저부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면(52)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판(30)에 상하 관통 형성한 관통홀(32)을 수단으로 상판 상으로 돌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5. 제4항에 있어서,
    위 가압블록(50)의 연장면(52)은 구속편(2)에 대한 조임편(1)의 결속 정도에 따라 상판(30)으로의 돌출 정도가 결정되면서 보드 마감재(40)가 가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위 가압블록(50)의 연장면(52)은 보드 마감재(40) 저부에 대한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마찰부재(55)가 더 적층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7. 제1항에 있어서,
    위 상판(30)은 구속편(2)이 끼움 개재되는 체결홀(36)을 더 천공하고,
    위 수용부(31)는 체결홀의 동일 수직선상으로 환형의 결합돌부(33)가 하향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며,
    위 가압블록(50)은 수용부의 결합돌부를 인입 수용하기 위한 끼움홀(56)이 대응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8. 삭제
KR1020180078869A 2018-07-06 2018-07-06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KR10191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69A KR101912257B1 (ko) 2018-07-06 2018-07-06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69A KR101912257B1 (ko) 2018-07-06 2018-07-06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257B1 true KR101912257B1 (ko) 2018-10-29

Family

ID=6410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869A KR101912257B1 (ko) 2018-07-06 2018-07-06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2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830A (ja) * 2001-05-10 2002-11-19 Kazuhiro Wada 着脱可能なパネルプレート付き木製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830A (ja) * 2001-05-10 2002-11-19 Kazuhiro Wada 着脱可能なパネルプレート付き木製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424B2 (en) Panel body
KR101912257B1 (ko) 보드 마감재의 밀착성과 조립성이 증대되는 학생용 책상
WO2012151774A1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08306609B (zh) 夹具及具有夹具的板状元件组装系统
GB2106050A (en) Movable rigid panel for a vehicle roof
KR200484808Y1 (ko) 조립식 테이블 결합구조
JP2015027336A (ja) テーブル装置
US5364055A (en) Replaceable cushions for fixtures/hardware supporting glass panels
KR20200002318A (ko) 유격이 방지되는 조립식 테이블
JP2010022436A (ja) 耐震支持具及び取付方法
JP2019030605A (ja) パネル装置
JP201306070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装置
KR101754647B1 (ko) 간판 프레임
CN210312623U (zh) 压纸结构
JP3108151B2 (ja) パネル体の連結構造
CN215342383U (zh) 一种按键组件及清洁设备
KR20120008064U (ko) 커버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엘시디 원판 유리 운반 장치
JP2001112547A (ja) デスク天板
CN211520277U (zh) 一种钢护板运输工装
JP6598446B2 (ja) カウンター装置
JP3209090U (ja) 掲示板用の縁材及びこれを用いた掲示板
JPH0415502Y2 (ko)
JPH0842118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のレベル調整装置
JP2607318Y2 (ja) 側突クッション層の取付構造
KR200197575Y1 (ko) 기판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