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663B1 -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 Google Patents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663B1
KR101911663B1 KR1020180024241A KR20180024241A KR101911663B1 KR 101911663 B1 KR101911663 B1 KR 101911663B1 KR 1020180024241 A KR1020180024241 A KR 1020180024241A KR 20180024241 A KR20180024241 A KR 20180024241A KR 101911663 B1 KR101911663 B1 KR 10191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plate
movable
main body
flo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천
Original Assignee
최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천 filed Critical 최병천
Priority to KR102018002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2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filtering surfaces, which are neither cylindrical nor planar, e.g. helical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및 이것이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식여과기에 설치되는 고정격자판 사이에 배치되어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하여 하천의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가동격자판으로서, 격자판본체; 상기 격자판본체의 전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걸림돌부들;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계단식여과기에 형성되는 작동부와 연결되는 작동돌부들; 및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끼움된 상기 부유물을 탈거시키는 부유물탈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및 이것이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은 계단식여과기의 고정격자판 사이에서 타원형을 그리며 회전하여 부유물을 배출시키도록 된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부유물탈거부를 마련하여 고정격자판과 격자판본체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부유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마찰과 마찰에 의한 부하에 의해 기기가 파손되거나 과도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및 이것이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Movable plate for step screen and step screen appli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및 이것이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식여과기의 고정격자판 사이에서 타원형을 그리며 회전하여 부유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부유물탈거부를 마련하여 고정격자판과 격자판본체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부유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마찰과 마찰에 의한 부하에 의해 기기가 파손되거나 과도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및 이것이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식여과기(Step screen)는 하수종말처리장이나 산업폐수처리장 등과 같이 하수유입 수로를 타고 흐르는 오폐수에 섞여있는 협잡물을 인양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계단식 여과기는 협잡물이 인양 탑재될 수 있도록 수십 개의 격자톱니가 일정각도의 계단 형상으로 가공된 격자판을 이동구조와 고정구조로 번갈아 배치시켜, 격자판 중 이동구조인 가동격자판이 매회전마다 연속적으로 한 단계씩 들어올려지면서 걸려진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협잡물을 원래의 걸려진 상태 그대로 흐트러짐이나 손궤의 누설 없이 후처리공정쪽으로 인양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종래의 계단식여과기는 국내특허등록 제0265245호에서와 같이 수로를 타고 흐르는 오폐수에 섞여있는 협잡물을 설치조건에 별다른 제한 없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인양 제거시킬 수 있는 타원구동방식의 유압식 톱니형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가동격자판이 타원 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수로바닥에 대해 스크린의 설치각도가 45°이상의 급경사를 형성하더라도 각 격자톱니의 경사면이 스크린의 설치각도 이상으로 형성되어 계단 깊이가 길게 형성된 가동격자판에 오폐수의 협잡물이 원래의 걸려진 상태 그대로 확실하게 인양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구동모터의 동력전달측에 동력 연결된 구동회전캠의 회전운동이 수평운동편심축의 수평운동과 수직운동편심축의 수직운동으로 동작 합성되면서 타원운동을 발생시키는 타원운동구동부와, 타원운동구동부의 타원운동을 복사하여 이동칼럼에 결합된 급경사의 가동격자판을 길이방향에 대해 균등하게 타원 운동시키는 종동링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가동격자판은 계단식여과기에 마련되는 고정격자판 사이에 배치되어, 타원운동하며 부유물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동되는 부유물이 가동격자판과 이동격자판 사이에 삽입되어 마찰에 의해 구동효율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속적으로 부유물이 삽입되고 경화되어 구동장치의 부하가 발생하여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652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단식여과기의 고정격자판 사이에서 타원형을 그리며 회전하여 부유물을 배출시키도록 된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부유물탈거부를 마련하여 고정격자판과 격자판본체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부유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마찰과 마찰에 의한 부하에 의해 기기가 파손되거나 과도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게 되는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및 이것이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단식여과기에 설치되는 고정격자판 사이에 배치되어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하여 하천의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가동격자판으로서,
격자판본체;
상기 격자판본체의 전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걸림돌부들;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계단식여과기에 형성되는 작동부와 연결되는 작동돌부들; 및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끼움된 상기 부유물을 탈거시키는 부유물탈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탈거부는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작동홈들과, 상기 작동홈의 측면에 형성되는 탈거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거돌기는 하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사선으로 형성되는 탈거날개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거날개에는 내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게 노즐들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유입공간에 에어펌프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유입호스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본체에는 양측면에 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에는 진동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곡선지게 형성되는 부유물안내날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유물제거날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은 계단식여과기의 고정격자판 사이에서 타원형을 그리며 회전하여 부유물을 배출시키도록 된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부유물탈거부를 마련하여 고정격자판과 격자판본체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부유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마찰과 마찰에 의한 부하에 의해 기기가 파손되거나 과도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의 경사진 부분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및 이것이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의 경사진 부분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10)는 계단식여과기(200)에 설치되는 고정격자판(100) 사이에 배치되어 작동부(300)에 의해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하여 하천의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가동격자판(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가동격자판(10)은 격자판본체(20)와 걸림돌부(30)들과 작동돌부(40)들과 부유물탈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격자판본체(2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도 1에서와 같이 긴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격자판본체(20)는 금속의 판재를 긴 직사각형의 바형상으로 절취하여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부(30)는 상기 격자판본체(20)의 전면부를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부유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돌부(30)는 상부는 도면상 평면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내측으로 곡선지게 형성시켜 수용홈(31)이 형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계단식여과기(200)에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31)에 부유물이 안착되고 도 6에서와 같이 타원형으로 회전되는 상기 가동격자판(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향으로 부유물을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격자판(100)은 상기 가동격자판(10)과 동일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격자판(10)이 타원형으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부유물이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에 안착되고, 재차 상기 가동격자판(10)이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향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부유물을 이동시킨 후 안착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돌부(40)는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계단식여과기(200)에 형성되는 작동부(300)와 연결된다. 상기 작동돌부(40)는 일단이 하향으로 절곡되게 후크구조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300)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돌부(40)의 단부가 끼움되도록 체결홈들이 형성된 가동유닛과 상기 가동유닛을 타원형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동유닛에 체결된 격자판본체(20)를 타원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유물탈거부(50)는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끼움된 상기 부유물을 탈거시키게 된다.
상기 부유물탈거부(50)는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작동홈(51)들과, 상기 작동홈(51)의 측면에 형성되는 탈거돌기(52)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거돌기(52)는 하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걸림면(521)이 형성되고,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522)이 더 형성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타원형을 그리며 상기 가동격자판(1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 사이에 삽입된 부유물이 상기 탈거돌기(52)의 걸림면(521)에 걸림되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안내면(522)에 의해 부유물이 안내되어 상기 안내면(522)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면(521)에 걸림되면서 가압되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가동격자판(10)과 고정격자판(100)의 양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핀들의 더 융착하여 고정시켜, 상기 탄성핀들의 단부가 마주보는 가동격자판(10) 또는 고정격자판(100)의 측면과 마찰과 충돌에 의해 끼움된 부유물이 분쇄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의 탄성핀들이 상호 마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끼움된 부유물이 분쇄되도록 상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의 양측면에 분쇄날을 일체로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사선으로 형성되는 탈거날개(21)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되어, 상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탈거날개(21)들에 의해 타원형으로 그리며 이동되는 상기 가동격자판(10)에 의해 상기 탈거날개(21)가 부유물을 가압하여 상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 사이에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탈거날개(21)들이 사선방향으로 상기 격자판본체에 형성되어,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유물을 하향으로 안내하면서 이동,배출시켜 부유물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탈거날개(21)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격자판(100)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격자판(100)의 측면에 안내되도록 안내롤러를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탈거날개(21)에는 내부에 유입공간(211)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상기 유입공간(211)과 연통되게 노즐(212)들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유입공간(211)에 에어펌프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유입호스(213)가 더 마련되어,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유입호스(213)를 통해 상기 유입공간(211)에 유입된 후 상기 노즐(2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을 가압하여 탈거시키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격자판본체에는 양측면에 작동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22)에는 진동기(221)가 더 설치되어, 바이브레이터인 상기 진동기(221)의 진동에 의해 상기 격자판본체에 부착되거나, 상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을 탈거시키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곡선지게 형성되는 부유물안내날개(23)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되어, 곡선의 부유물안내날개(23)에 의해 부유물이 안내되면서 상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부유물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유물제거날개(24)가 더 형성되어, 단일구조의 부유물제거날개(24)에 의해 상기 가동격자판(10)과 상기 고정격자판(100)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탈거날개(21)와 상기 부유물안내날개(23) 및 상기 부유물제거날개(24)의 저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롤러를 더 형성하여, 부유물을 가압하는 밀어내는 과정에서 부유물이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및 이것이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은, 가동격자판의 배면부에 탈거돌기들로 이루어진 부유물탈거부를 마련하여 타원형을 그리며 회전되는 가동격자판의 구동에 의해 고정격자판과 가동격자판 사이에 끼움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마찰과 부하에 의한 기기파손 및 과전력소모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가동격자판 20 : 격자판본체
30 : 걸림돌부 40 : 작동돌부
50 : 부유물탈거부
21 : 탈거날개 211 : 유입공간
212 : 노즐 213 : 유입호스
22 : 작동홈 221 : 진동기
23 : 부유물안내날개 24 : 부유물제거날개
51 : 작동홈 52 : 탈거돌기
521 : 걸림면 522 : 안내면
100 : 고정격자판 200 : 계단식여과기
300 : 작동부

Claims (7)

  1. 계단식여과기에 설치되는 고정격자판 사이에 배치되어 타원형을 그리며 이동하여 하천의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가동격자판으로서,
    격자판본체;
    상기 격자판본체의 전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걸림돌부들;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계단식여과기에 형성되는 작동부와 연결되는 작동돌부들; 및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어 끼움된 상기 부유물을 탈거시키는 부유물탈거부로 이루어진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탈거부는 상기 격자판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작동홈들과,
    상기 작동홈의 측면에 형성되는 탈거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거돌기는 하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사선으로 형성되는 탈거날개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되며,
    상기 탈거날개에는 내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게 노즐들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유입공간에 에어펌프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유입호스가 더 마련되고,
    상기 격자판본체에는 양측면에 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에는 진동기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가동격자판과 고정격자판의 양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핀들의 더 융착하여 고정시켜, 상기 탄성핀들의 단부가 마주보는 가동격자판 또는 고정격자판의 측면과 마찰과 충돌에 의해 끼움된 부유물이 분쇄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가동격자판과 상기 고정격자판의 양측면에 분쇄날을 일체로 더 형성하며,
    상기 탈거날개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격자판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격자판의 측면에 안내되도록 안내롤러를 더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탈거날개의 저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롤러를 더 형성하여, 부유물을 가압하는 밀어내는 과정에서 부유물이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곡선지게 형성되는 부유물안내날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본체의 양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유물제거날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KR1020180024241A 2018-02-28 2018-02-28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KR10191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241A KR101911663B1 (ko) 2018-02-28 2018-02-28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241A KR101911663B1 (ko) 2018-02-28 2018-02-28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663B1 true KR101911663B1 (ko) 2018-10-24

Family

ID=6413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241A KR101911663B1 (ko) 2018-02-28 2018-02-28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4085A (zh) * 2018-11-23 2019-02-19 江苏环集团有限公司 一种不易卡阻的内进流超细格栅除污机
KR102415893B1 (ko) * 2021-08-23 2022-07-06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간격유지기능을 갖는 계단식 여과기용 고정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계단식 여과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18Y1 (ko) * 2002-08-09 2002-11-23 조명구 계단식 여과장치의 격자판
KR101167841B1 (ko) * 2012-03-15 2012-07-23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계단식 여과기
KR101652709B1 (ko) * 2016-03-02 2016-08-31 주식회사 한하산업 탄성 레이크를 장착한 로타리 제진기
JP6029496B2 (ja) * 2013-03-12 2016-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18Y1 (ko) * 2002-08-09 2002-11-23 조명구 계단식 여과장치의 격자판
KR101167841B1 (ko) * 2012-03-15 2012-07-23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계단식 여과기
JP6029496B2 (ja) * 2013-03-12 2016-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652709B1 (ko) * 2016-03-02 2016-08-31 주식회사 한하산업 탄성 레이크를 장착한 로타리 제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4085A (zh) * 2018-11-23 2019-02-19 江苏环集团有限公司 一种不易卡阻的内进流超细格栅除污机
CN109354085B (zh) * 2018-11-23 2023-08-04 江苏一环集团有限公司 一种不易卡阻的内进流超细格栅除污机
KR102415893B1 (ko) * 2021-08-23 2022-07-06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간격유지기능을 갖는 계단식 여과기용 고정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계단식 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663B1 (ko) 계단식 여과기용 가동격자판
AU2014275092B8 (en) Continuous belt screen
KR101717860B1 (ko) 스크린 부착 파쇄기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KR200401708Y1 (ko) 탄성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세목스크린
KR20080104787A (ko) 제진기 스크린
CN211521843U (zh) 一种酸洗废水处理机
CN216472313U (zh) 一种污水处理用格栅隔油池
KR100671178B1 (ko) 낙광방지용 벨트스커트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0652823B1 (ko)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JP2008104900A (ja) レーキ装置
JP5430790B1 (ja) 流路式浮上油回収装置
KR200316383Y1 (ko) 제진기용 스크린
CN103752559B (zh) 焦炉废气系统的砣杆清扫装置
KR20200087072A (ko) 스크린장착 파쇄기,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제어장치 및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운전방법
KR100709337B1 (ko) 오폐수처리용 스크린의 레이크
JP2019173556A (ja) スクリーン付破砕機
KR101126198B1 (ko) 폐수정화장치용 무빙스크린기의 스크린판
KR20010111698A (ko) 자가세정이 가능한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
KR200402378Y1 (ko) 낙광방지용 벨트스커트
KR20030091893A (ko) 로타리 제진기
KR101748431B1 (ko) 골재 생산 과정의 부유물 제거장치
CN212941778U (zh) 固液分离器及废料收集装置
KR960001374B1 (ko) 폐수 여과용 스크린(Screen)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