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823B1 -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 Google Patents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823B1
KR100652823B1 KR1020060090515A KR20060090515A KR100652823B1 KR 100652823 B1 KR100652823 B1 KR 100652823B1 KR 1020060090515 A KR1020060090515 A KR 1020060090515A KR 20060090515 A KR20060090515 A KR 20060090515A KR 100652823 B1 KR100652823 B1 KR 10065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flight
treatment tank
chains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전국
Original Assignee
김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전국 filed Critical 김전국
Priority to KR102006009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처리조의 하수 표면에 부유되어 있는 스컴을 일정 시간마다 작동되어 배수로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스컴의 배출시 배여 있던 물기를 빼면서 밖으로 내보내는 배출로와 배수로가 직결된 스컴수집판이 구비된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수처리조의 상단에 복수개의 지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상에 복수의 스프로켓이 설치되며, 서로 다른 지지축에 설치된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 및 체인에 돌출 설치되어 스컴을 이송시키는 플라이트, 타이머와 감속기가 설치되어 스프로켓을 구동시키는 모우터, 체인의 진행방향에 설치되며 플라이트에 의하여 이송된 스컴을 수집 배출시키는 스컴수집판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플라이트의 선단에 탄성을 갖는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스컴수집판의 종단에 배수로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며, 스컴수집판은 체인의 진행방향에 설치되어 플라이트에 의하여 이송된 스컴을 스컴수집판으로 안내하는 요입안내부, 진입된 스컴을 낙하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 수집된 스컴이 배출되는 통공을 갖는 배출로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수에 포함되어 하수처리조로 유입되는 스컴의 양, 시간 등의 상태를 참조하여 스컴 수집 배출기의 작동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되며, 스컴과 하수를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컴과 함께 과도한 하수가 배출되지 않게 되어 스컴의 매립이나 건조후 소각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수처리조에서 스컴이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직접 배수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시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Floating matter exclusion instrument}
도 1은 종래 스컴배출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컴 수집 배출기 11, 14 : 지지축
12, 13, 15, 16 : 스프로켓 17, 18 : 체인
19 : 플라이트 20 : 스컴수집판
21 : 요입안내부 22 : 경사부
23 : 배출로 24 : 블레이드
25 : 모우터 26 : 하수처리조
27 : 하수 28 : 배수로
29 : 스컴 30 : 감속기
31 : 타이머
본 발명은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처리조의 하수 표면에 부유되어 있는 스컴을 일정 시간마다 작동되어 배수로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스컴의 배출시 배여 있던 물기를 빼면서 밖으로 내보내는 배출로와 배수로가 직결된 스컴수집판이 구비된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각종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처리조에는 하수와 함께 유입되어 하수의 표면에 부유되는 각종 스컴이 있어 이를 수집 제거한 후 상기 하수를 처리하여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스컴을 기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술들이 실용신안등록 제0385794호(고안의 명칭: 스컴 스키머 제어수단이 구비된 비금속 체인 구동방식 슬러지 수집기) 외 다수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침전조(108) 내부 양측에 설치되며 체인(101)에 연결 회전되면서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용 블레이드(102)와, 상기 침전조(108)의 상부에서 회전되면서 상측에 부상된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스키머(104)와, 상기 스컴 스키머(104)가 회전되도록 침전조(108)의 상측에 설치되고 입력측에는 보조체인(105)이 체인(101)과 연결되고 출력측에는 종동체인(106)을 매개로 스컴 스키머(104)가 연결된 변속수단(103)과,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절환레버를 포 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스컴 제거수단(100)은 침전조(108)에 침전된 슬러지와 침전조(108)에 부유된 스컴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 스컴이 있는 경우에는 스컴 스키머(104)를 작동시키고 스컴이 없는 경우에는 변속수단(103)에 의하여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고안은 스컴 발생 유무를 자동으로 판별하기 어려워 주로 사람이 스컴의 상태를 보고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블레이드(102)에 의하여 스컴과 함께 다량의 하수가 스컴 스키머(104)로 유입되는 것이어서 배출된 스컴을 소각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건조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때 스컴 건조를 위한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는 등 소각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컴을 수집하기 위하여 스컴 스키머(104)와 배수로 사이에 배수관(107)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설비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일정 시간마다 기기가 작동되어 스컴만이 수집되도록 하고 수집된 스컴이 직접 배수로로 배출되게 하며, 스컴의 배출시 배여 있던 물기를 빼면서 배출시킬 수 있는 스컴수집판이 구비된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수집된 스컴의 처리를 위한 배출로와 배수로를 직결시킴으로써, 기술적 구성을 간소화한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처리조의 상단에 복수개의 지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 상에 복수의 스프로켓이 설치되며, 서로 다른 지지 축에 설치된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 및 체인에 돌출 설치되어 스컴을 이송시키는 플라이트, 타이머와 감속기가 설치되어 스프로켓을 구동시키는 모우터, 체인의 진행방향에 설치되며 플라이트에 의하여 이송된 스컴을 수집 배출시키는 스컴수집판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플라이트의 선단에 탄성을 갖는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스컴수집판의 종단에 배수로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며, 스컴수집판은 체인의 진행방향에 설치되어 플라이트에 의하여 이송된 스컴을 스컴수집판으로 안내하는 요입안내부, 진입된 스컴을 낙하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 수집된 스컴이 배출되는 통공을 갖는 배출로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며, 스컴만의 선별적 배출로 처리가 용이하고, 시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컴 수집 배출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컴 수집 배출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컴 수집 배출기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하수처리조(26)의 상단에 복수개의 지지축(11,14)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11,14)의 양측에 복수개의 스프로켓(12,13,15,16)을 설치하되, 상기 스프로켓(12,13,15,16)은 체인(17,18)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즉, 스프로켓(12)과 스프로켓(15)는 체인(17)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다른 스프로켓(13)과 스프로켓(16)은 다른 체인(18)으로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하수처리조(26)의 하수(27)에 부유된 스컴(29)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인(17,18)에 플라이트(19)를 돌출 설치하고, 타이머(31)와 감속기(30)가 내장된 모우터(25)가 스프로켓(12)에 연결되도록 한다.
아울러 플라이트(19)에 의하여 이송된 스컴(29)을 배수로(28)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체인(17,18)의 진행방향에 스컴수집판(20)을 설치하되, 상기 스컴수집판(20)은 체인(17,18)의 진행방향에 설치되어 플라이트(19)에 의하여 이송된 스컴(29)을 스컴수집판(20)으로 안내하는 요입안내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요입안내부(21)에 의하여 안내 진입된 스컴(29)을 낙하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22)를 구비하며, 낙하 수집된 스컴(29)을 배출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배출로(23)를 구비하여 된다. 즉, 본 발명은 하수처리조(26)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축(11,14)과, 상기 지지축(11,14)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켓(12,13,15,16), 상기 지지축(11,14)의 스프로켓(12,13,15,16)에 연결된 체인(17,18), 상기 체인(17,18)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처리조(26)의 스컴(29)을 이송시키는 플라이트(19)와, 타이머(31) 및 감속기(30)가 내장되어 상기 스프로켓(12)을 구동시키는 모우터(25), 그리고 상기 체인(17,18) 상의 플라이트(19)와 연계되게 설치된 스컴수집판(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컴수집판(20)은 상기 플라이트(19)에 의해 이송된 스컴(29)을 상기 하수처리조(26)의 수면으로부터 들어올리도록 상향 만곡된 요입안내부(21)와, 상기 요입안내부(21)의 정점단과 연결된 하향 사면(斜面)형태의 경사부(22), 그리고 상기 경사부(22)의 사면(斜面)과 연결되어 상기 스컴(29)을 배출시키는 통공 형태의 배출로(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컴수집판(20)의 종단 즉, 배출로(23)에 배수로(28)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스컴 수집 배출기(10)를 구성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 내지 3에서처럼 별도의 장치로 이루어진 형태 또는, 하수처리조(26)를 이루는 벽면에 직접 설치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즉, 하수처리조(26)의 상단 벽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직접 설치함으로써, 플라이트(19)에 의한 스컴(29)의 유인범위를 최대로 넓힐 수 있는 형태가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타이머(31)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모우터(25)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모우터(25)가 작동되며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동력에 의하여 내장된 감속기(30) 및 스프로켓(12)이 회전 작동하며 체인(17,18)과 상기 체인(17,18)에 설치된 플라이트(19)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로켓(12)과 체인(17,18)의 구동방식은 먼저, 스프로켓(12,13)과 스프로켓(15,16)이 설치된 지지축(11,14)을 회전 가능하게 하여 모우터(25)에 의하여 스프로켓(12)이 회전하게 되면 지지축(11)과 스프로켓(13)이 함께 회전되고, 이러한 스프로켓(12,13)에 연결 설치된 체인(17,18)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다른 스프로 켓(15,16)과 지지축(14)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방식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지지축(11,14)은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11,14) 상에서 스프로켓(12,13,15,16)이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로켓(12)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동력으로 체인(17)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체인(17)의 회전에 의하여 스프로켓(15)과 플라이트(19)가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플라이트(19)의 타측에 설치된 체인(18)이 함께 회전하며 스프로켓(13,16)을 회전시키는 구동방식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체인(17,18)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체인(17,18)에 설치된 플라이트(19)는 체인(17,18)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라이트(19)의 단부에 블레이드(24)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수처리조(26)에 저장된 하수(27)의 표면과 거의 맞닿을 듯한 위치에서 이송 회전하면서 상기 하수(27)의 표면에 부유된 스컴(29)을 밀며 같은 방향 즉, 스컴수집판(20)이 설치된 측으로 이송시킨다.
스컴수집판(20) 측으로 이송된 스컴(29)은 요입안내부(21)에 모이게 되는데, 첨부한 도면 도 4에서와 같이 플라이트(19)가 계속하여 이송 회전되므로 스컴(29)은 플라이트(19)에 밀리며 요입안내부(21)의 상측으로 이송되나, 스컴(29)과 함께 밀려 이송된 하수(27)는 요입안내부(21)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하수처리조(26)로 역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수(27)가 배제된 채 스컴(29)만이 요입안내부(21)의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 후 경사부(22)의 경사면을 따라 낙하되어 배출로(23)를 통하여 배수로(28)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하수처리조(26)에 수용 저장된 하수(27)의 표면에 부유된 스컴(29)이 완전 수집되어 배수로(28)로 배출되는 것이며,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타이머(31)에 설정된 시간이 되면 모우터(25)에 전원이 차단되어 스컴 수집 배출기(10)의 작동이 정지되고, 다시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타이머(31)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되면 모우터(25)에 전원이 인가되어 스컴 수집 배출기(10)가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컴 수집 배출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플라이트(19)의 선단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 탄성을 갖는 블레이드(24)를 나사등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상태를 보였다.
이러한 블레이드(24)는 플라이트(19)의 면적을 확대하는 기능이 있어 하수(27) 표면에 부유된 스컴(29)의 작은 조각들 까지도 스컴수집판(20) 측으로 이송시키는 외에 요입안내부(21)로 이송된 스컴(29)을 밀착하여 상기 스컴(29)이 플라이트(19)와 요입안내부(21)의 틈새를 통하여 다시 하수처리조(26)로 역 유입되지 않고 전량 스컴수집판(20)의 경사부(22)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블레이드(24)의 사용을 배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하수에 포함되어 하수처리조로 유입되는 스컴의 양, 시간 등의 상태를 참조하여 스컴 수집 배출기의 작동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운전할 수 있으며, 스컴과 하수를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컴과 함께 과도한 하수가 배출되지 않게 되어 스컴의 매립이나 건조후 소각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수처리조에서 스컴이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직접 배수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중간에 별도의 수집관을 설치하도록 하는 종래의 설비에 비하여 시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하수처리조(26)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축(11,14)과, 상기 지지축(11,14)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켓(12,13,15,16), 상기 지지축(11,14)의 스프로켓(12,13,15,16)에 연결된 체인(17,18), 상기 체인(17,18)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처리조(26)의 스컴(29)을 이송시키는 플라이트(19)와, 타이머(31) 및 감속기(30)가 내장되어 상기 스프로켓(12)을 구동시키는 모우터(25), 그리고 상기 체인(17,18) 상의 플라이트(19)와 연계되게 설치된 스컴수집판(20)을 구비하되,
    상기 스컴수집판(20)은 상기 플라이트(19)에 의해 이송된 스컴(29)을 상기 하수처리조(26)의 수면으로부터 들어올리도록 상향 만곡된 요입안내부(21)와, 상기 요입안내부(21)의 정점단과 연결된 하향 사면(斜面)형태의 경사부(22), 그리고 상기 경사부(22)의 사면(斜面)과 연결되어 상기 스컴(29)을 배출시키는 통공 형태의 배출로(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수집판(20)은 끝단이 배수로(28)와 연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19)는 탄성재로 형성된 블레이드(2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KR1020060090515A 2006-09-19 2006-09-19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KR10065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515A KR100652823B1 (ko) 2006-09-19 2006-09-19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515A KR100652823B1 (ko) 2006-09-19 2006-09-19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823B1 true KR100652823B1 (ko) 2006-12-01

Family

ID=3773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515A KR100652823B1 (ko) 2006-09-19 2006-09-19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8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36B1 (ko) * 2015-01-13 2015-06-24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636693B1 (ko) 2015-11-16 2016-07-07 (주)지텍 가압 부상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1982969B1 (ko) 2018-04-09 2019-05-28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KR102543903B1 (ko) 2022-12-21 2023-06-14 김선아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36B1 (ko) * 2015-01-13 2015-06-24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636693B1 (ko) 2015-11-16 2016-07-07 (주)지텍 가압 부상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1982969B1 (ko) 2018-04-09 2019-05-28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KR102543903B1 (ko) 2022-12-21 2023-06-14 김선아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738B1 (ko) 배출수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크래퍼 회전형 스컴 제거 장치
KR100783050B1 (ko) 주변구동형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
KR100652823B1 (ko) 체인 플라이트식 부유물 제거기
KR101540242B1 (ko)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KR100620102B1 (ko)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20050110587A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SA08290459B1 (ar) وسيلة ونظام لاستخلاص رغوة
CN2695481Y (zh) 一种能清除水面漂浮物的装置
CN214087834U (zh) 废水处理系统专用浮除槽
KR100811013B1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KR20050113551A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KR200340159Y1 (ko) 수처리시스템의 스컴 제거장치
KR200414233Y1 (ko) 스컴 제거장치
JP4074927B2 (ja) 洗浄処理装置
KR20060095600A (ko) 스크류축과 분사노즐 방식의 스컴 배출수단이 구비된 슬러지수집기
KR200350419Y1 (ko) 슬러지수집기의 부유물 배출장치
KR100837784B1 (ko) 수 처리장의 스컴 스키머장치
KR101418777B1 (ko) 수문개폐형 스컴스키머장치가 장착된 수처리시설의 원형슬러지수집기
CN101837204A (zh) 沉淀池排泥系统
KR200292148Y1 (ko) 스컴 제거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KR200359282Y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JP4346164B2 (ja) スカム除去装置
CN110424356A (zh) 一种水面漂浮物收集装置
JP2779684B2 (ja) スカム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