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383Y1 - 제진기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제진기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383Y1
KR200316383Y1 KR20-2003-0007311U KR20030007311U KR200316383Y1 KR 200316383 Y1 KR200316383 Y1 KR 200316383Y1 KR 20030007311 U KR20030007311 U KR 20030007311U KR 200316383 Y1 KR200316383 Y1 KR 200316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pport plate
vibration damper
present
sev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진
Original Assignee
황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진 filed Critical 황현진
Priority to KR20-2003-0007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및 관수로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제진기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떠내려오는 이물질에 의해 파손된 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설치 할 수 있도록 된 제진기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제진기 전면에 설치고정되어 하천을 떠내려오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스크린에 있어서, 수개의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판(20), 상기 지지판(20) 사이에 배열되는 보조지지판(30), 상기 지지판(20)과 보조지지판(30)에 용접되고 전면(11)이 원형으로 형성된 수개의 스크린날(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진기용 스크린{trash remover screen}
본 고안은 하천 및 관수로에 설치되어 오물을 제거하도록 된 제진기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떠내려오는 오물에 의해 파손된 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설치 할 수 있도록 된 제진기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개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수로에 유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제진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진기는 수류와 함께 떠내려오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바닥면과 일정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과, 그 스크린으로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린 좌우 양단에서 연속회전되는 구동체인상에 설치되는 진개물 제거용 갈퀴와, 그 갈퀴가 장착되는 체인을 무한궤도 운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일정간격으로 시공된 옹벽사이에 설치된다.
도 4는 위와 같은 구성 중 스크린의 설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얇은 막대형으로 된 스크린날(10)은 측면에 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공(12)에 끼워지는 연결봉(40)은 일측에 결합공(12)보다 큰 머리(4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나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봉(40)에는 스크린날(10)과 스페이서(45)가 반복결합되며 끝단에는 체결용 너트(42)가 결합되어 하나로 일체된 스크린(100)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스크린(100)은 상기 지지보(60)에 얹어진 후, 스크린날(10) 사이에 끼워진 스페이스(45) 외측으로 수개의 U볼트(50)가 일정간격으로 지지보(60)의 체결공(61)에 결합됨으로서, 제진기프레임(도2참조)에 고정설치된다.
한편, 제진기에 설치되는 스크린은 유수를 따라 이동되는 폐기물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는데, 위와 같은 종래 스크린은 파손부위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수개의 U볼트(50)를 풀고, 파손된 스크린날(10) 외측에 결합된 다른 스크린날(10)과 스페이서(45)도 모두 분리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U볼트를 지지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뒤편에서 너트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ㄷ'형강이 주를 이루는 지지보의 경우 이러한 작업이 수월하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초기에 제진기프레임에 설치될 때에는 다수의 스크린날(10)과 스페이서(45)가 결합된 스크린(100)을 인력에 의해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해야만 했다. 따라서, 중장비가 투입되기 어려운 곳에는 설치작업을 수행하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파손으로 인한 교체가 용이한 제진기용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날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스크린의 설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크린날 11 : 전면
20 : 지지판 21 : 체결공
30 : 보조지지판
40 : 연결봉 41 : 머리
42 : 너트 43 : 나사부
45 : 스페이서 50 : U볼트
60 : 지지보 70 : 제진기플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진기 전면에 설치고정되어 하천을 떠내려오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스크린에 있어서, 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배열되는 보조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보조지지판에 용접되고 전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수개의 스크린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크린날(10)의 전면(11)은 강물을 따라 떠내려오는 물건의 파손을 줄이고 작업자의 부상을 줄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가 없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스크린날(10)을 지탱하는 지지판(20)은 직사각형태로 되어 있으며, 스크린날(10)이 부착되는 면에는 수개의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공(21)은 스크린날(10)이 부착되지 않는 곳에 형성되되 불필요하게 많은 볼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스크린날(10) 5 ~ 6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보조지지판(30)은 지지판(20)보다 얇은 직사각형태로 되어 있다.
지지판(20)과 보조지지판(30)의 길이는 스크린날(10) 10 ~ 15 개가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는 길이가 바람직하되, 인력에 의해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스크린날(10)의 길이와 무게를 고려하여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지지판(20)과 보조지지판(30)은 스크린날(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배열된 지지판(20)과 보조지지판(30)에 스크린날(10)이 일정간격으로 용접되어 하나의 작은 스크린(100)을 이룬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진기프레임(70)의 하부는 강물이 원할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부에 지지보(6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보(60)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보(60)에 형성된 체결공(61)은 앞서 설명한 지지판(20)의 체결공(21)과 일치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개의 스크린날(10)이 지지판(20)과 보조지지판(30)에 결합되어 이루어진 스크린(100)은 상기 지지보(60)에 볼트(80)를 매개로 고정결합되되, 종래 U볼트와 같이 많은 수의 너트(U볼트의 경우 두개의 너트 필요)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볼트체결작업을 전면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신속·정확히 이루어지며 종래보다 견고하게 스크린을 지지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스크린(100)은 수개로 분할등분되어 지지보(6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운반·분해조립·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즉, 폐기물에 의해 스크린(100)이 파손된 경우에 제진기에 설치된 스크린(100) 전부를 해체하지 않고 파손된 스크린(100)만 선별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파손된 스크린의 교체작업시간과 이에 따른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분할된 스크린의 좌우임의로 이동이 용이하므로, 수로상태에 따라 스크린의 설치간격을 조절하여 수로의 소통을 원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수의 스크린날이 결합된 스크린을 제진기 전면에서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파손된 스크린만을 선별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운반이 편리하도록 적은 수의 스크린날만을 결합시킨 스크린을 구성시킬 수 있으므로 중장비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류에 제진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폐기물이 하류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진기 전면에 설치고정되어 하천을 떠내려오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스크린에 있어서,
    수개의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판(20), 상기 지지판(20)의 사이에 배열되는 보조지지판(30), 상기 지지판(20)과 보조지지판(30)에 용접되고 전면(11)이 원형으로 형성된 수개의 스크린날(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용 스크린.
KR20-2003-0007311U 2003-03-12 2003-03-12 제진기용 스크린 KR200316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11U KR200316383Y1 (ko) 2003-03-12 2003-03-12 제진기용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11U KR200316383Y1 (ko) 2003-03-12 2003-03-12 제진기용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383Y1 true KR200316383Y1 (ko) 2003-06-18

Family

ID=4940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311U KR200316383Y1 (ko) 2003-03-12 2003-03-12 제진기용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38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84B1 (ko) * 2007-05-29 2010-03-25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 스크린
KR101363638B1 (ko) 2013-11-07 2014-02-14 윤병화 제진기의 메인 스크린
KR101698871B1 (ko) * 2016-06-07 2017-01-24 (주)천둥 탈부착이 가능한 수로 스크린
KR101698872B1 (ko) * 2016-06-07 2017-01-24 (주)천둥 탈부착이 가능한 수로 스크린을 이용한 제진기
KR102308266B1 (ko) * 2020-09-11 2021-10-05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모듈식 스크린망을 구비한 제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84B1 (ko) * 2007-05-29 2010-03-25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 스크린
KR101363638B1 (ko) 2013-11-07 2014-02-14 윤병화 제진기의 메인 스크린
KR101698871B1 (ko) * 2016-06-07 2017-01-24 (주)천둥 탈부착이 가능한 수로 스크린
KR101698872B1 (ko) * 2016-06-07 2017-01-24 (주)천둥 탈부착이 가능한 수로 스크린을 이용한 제진기
KR102308266B1 (ko) * 2020-09-11 2021-10-05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모듈식 스크린망을 구비한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4499C (en) Continuous belt screen
CN107605014B (zh) 一种多功能排水管道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200396183Y1 (ko) 하수처리장 침사지용 미세목 스크린 장치
KR200401708Y1 (ko) 탄성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세목스크린
KR200316383Y1 (ko) 제진기용 스크린
CN213174095U (zh) 一种市政道路用防堵排水系统
KR10111951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214732281U (zh) 一种混凝土搅拌站传送用防泥沙飞溅装置
KR102042384B1 (ko) 수류 유도장치를 구비한 제진기
KR20090121637A (ko) 제진기용 레이크
CN201506713U (zh) 转网式除污机
KR20080104787A (ko) 제진기 스크린
KR100941622B1 (ko) 조립형 무빙스크린장치
KR200175037Y1 (ko) 제진기
CN217247283U (zh) 一种污水预处理装置
KR10255453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킨 스크린
KR102040439B1 (ko) 하수처리장용 평면스크린
KR102068225B1 (ko)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KR200375193Y1 (ko) 폭이 긴 수로에도 장착할 수 있는 제진기
KR102670886B1 (ko) 이중 스크린을 구비한 로타리 제진기
KR20210012230A (ko) 토사유출방지 및 집진 기능을 가진 펜스
KR20200042686A (ko) 협잡물 제거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CN220768332U (zh) 一种排水沟拦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408

Effective date: 20060518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