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225B1 -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 Google Patents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8225B1 KR102068225B1 KR1020180168690A KR20180168690A KR102068225B1 KR 102068225 B1 KR102068225 B1 KR 102068225B1 KR 1020180168690 A KR1020180168690 A KR 1020180168690A KR 20180168690 A KR20180168690 A KR 20180168690A KR 102068225 B1 KR102068225 B1 KR 102068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fine
- neck
- spacing function
- fine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오폐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로서, 상기 세목제진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한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들을 연결하며 설치되고 전단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착홈들이 형성된 연결바들로 이루어진 세목틀본체; 및 상기 연결바들을 연결하며, 상기 결착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스크린유닛들로 이루어진 스크린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오폐수 및 협잡물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스크린유닛들 사이에 세목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는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주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에 조립식으로 스크린 유닛들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유닛들 사이에 형성되는 세목배출통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파손시 부분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는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주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에 조립식으로 스크린 유닛들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유닛들 사이에 형성되는 세목배출통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파손시 부분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주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에 조립식으로 스크린 유닛들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유닛들 사이에 형성되는 세목배출통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파손시 부분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ㆍ폐수 및 상ㆍ하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는 처리시설 또는 빗물 배수펌프장 등에 일시에 많은 비가 내려 유량이 증가하거나 홍수가 발생하게 되면 하천 및 수로를 통해 각종 협잡물이 밀려와 처리시절 등의 전면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리게 된다. 이때, 협잡물은 쓰레기 등의 각종 부유물로 구성된 것을 말하며, 이러한 협잡물은 하천 및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켜 하천 및 수로의 상류 지역에 범람의 원인이 되거나, 하천 및 수로의 하류 지역에 협잡물이 쌓이게 되어 배수를 방해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제진기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종래의 제진기는 아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24678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ㆍ폐수 및 상ㆍ하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는 처리시설 또는 빗물 배수펌프장 등으로 유입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레이크와, 레이크를 이송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협잡물의 크기가 다양함에 따라 전단에 1차로 조목스크린과 조목제진기를 설치하여 크기가 큰 조목협잡물을 제거하고, 후단에 2차로 세목스크린과 세목제진기를 설치하여 크기가 작은 세목협잡물을 제거하여 배수 및 송수를 위한 펌프를 보호하고 원활한 배수 및 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세목제진기는 세목스크린을 일체로 제진기에 설치한 후 현장에서 시공하게 되는데, 세목스크린의 배수간격을 조절할 수 없어 현장에 맞는 세목스크린을 별도로 제작한 후 세목제진기에 설치하거나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한 비용과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주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에 조립식으로 스크린 유닛들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유닛들 사이에 형성되는 세목배출통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파손시 부분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오폐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로서, 상기 세목제진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한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들을 연결하며 설치되고 전단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착홈들이 형성된 연결바들로 이루어진 세목틀본체와, 상기 연결바들을 연결하며, 상기 결착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스크린유닛들로 이루어진 스크린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오폐수 및 협잡물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스크린유닛들 사이에 세목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유닛은 상기 결착홈에 일단이 끼움되는 고정바와, 외부에 노출된 고정바에 체결되는 스크린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본체에는 일측에 상기 고정바에 끼움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본체의 양측면부는 전면부에서 상기 체결홈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본체들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결착홈에는 양내측면에 상기 스크린유닛의 스크린본체 일부가 끼움되도록 체결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는 일단이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상기 스크린본체에 형성된 체결홈에 끼움되어, 교체가능하게 모듈화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는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주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에 조립식으로 스크린 유닛들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유닛들 사이에 형성되는 세목배출통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목간격도 협잡물의 종류에 바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고, 스크린유닛 및 바를 모둘형으로 제품 구성함으로써 파손시 부분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용접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바를 결합하는 방법을 지양하고 바를 홈에 끼워 스크린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제작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가 세목제전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가 세목제전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가 세목제전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레이크가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세목틀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가 세목제전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가 세목제전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레이크가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세목틀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가 세목제전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가 세목제전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가 세목제전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레이크가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세목틀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 스크린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세목스크린장치라 명명함)는 하천에 배치되는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하수의 오폐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된 세목스크린(100)장치(10)로서, 이에 이와 같은 세목스크린(100)장치(10)는 세목틀본체(20)와 스크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목틀본체(20)는 한쌍의 세로바(21)와, 상기 세로바(21)들을 연결하며 설치되고, 전단부에 결착홈(221)들이 형성된 연결바(22)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바(22)는 상기 세로바(21)의 양단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바(22)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세로바(21)의 상부와 하부 중간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세로바(21)와 상기 연결바(22)는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착홈(221)은 상기 연결바(22)의 전단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221)들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착홈(221)에 체결되는 스크린유닛(31) 사이의 세목배출통로(40) 간격(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목틀본체(20)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목제진기의 하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크린부(30)는 상기 연결바(22)들을 연결하며, 상기 결착홈(22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스크린유닛(31)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부(30)에는 오폐수가 관통하도록 상기 스크린유닛(31)들 사이에 세목배출통로(40)가 형성되어, 상기 세목배출통로(40) 하수는 관통하게 되고 협잡물은 상기 스크린유닛(31)들 및 세목배출통로(40)에 걸림된다.
이때, 세목제진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세목배출통로(40)에 끼움되도록 인양돌부(210)들이 형성된 레이크(200)가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유닛(31) 및 세목배출통로(40)에 배치된 협잡물을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레이크(200)는 상기 세목제전기에 설치되는 구동부(300)와 연통되게 회전되는 궤도체인(400)에 설치되어 궤도회전하면서 세목스크린장치(10)에 걸림된 협잡물을 분리한 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세목스크린장치(10)는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주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에 조립식으로 스크린 유닛들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유닛(31)들 사이에 형성되는 세목배출통로(4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목간격도 협잡물의 종류에 바의 간격을 조정가능하고, 스크린유닛(31) 및 연결바를 모듈형으로 제품 구성함으로써 파손시 부분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며, 기존의 용접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연결바를 결합하는 방법을 지양하고 연결바를 홈에 끼워 스크린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서 제작 효율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린유닛(31)은 상기 결착홈(221)에 일단이 끼움되는 고정바(311)와, 외부에 노출된 고정바(311)에 체결되는 스크린본체(3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본체(312)에는 일측에 상기 고정바(311)에 끼움되도록 체결홈(312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31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된다.
이때, 이동되는 하수가 상기 스크린본체(312)를 상기 결착홈(221)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크린본체(312) 및 상기 고정바(311)가 결착홈(221) 및 체결홈(312a)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바(311)는 상기 스크린본체(312)의 체결홈(312a)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크린유닛(31)은 금속재로 형성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크린유닛(31)의 고정바(311)는 일단이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상기 스크린본체(312)에 형성된 체결홈(312a)에 끼움되어, 교체가능하게 모듈화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유비보수비용을 절감함 수 있게 되다.
상기 스크린본체(312)의 양측면(312c)부는 전면부(312b)에서 상기 체결홈(312a)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본체(312)들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다.
상기 스크린본체(312)의 단면은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즉, 상기 레이크(200)에 형성되는 인양돌부(210)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세목배출통로(40)에 인입된 상태로 도면상 상향으로 이동되어 협잡물을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 양측면부(312c)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세목배출통로(40)의 간격을 점차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하수의 가압에 의해 세목배출통로(40)에 끼이는 협잡물에 걸림되어 상기 인양돌부(210)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구동부(300)에 부하기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구동모터이다.
상기 결착홈(221)에는 양내측면에 상기 스크린본체(312)의 일부가 끼움되도록 체결경사면(221a)이 더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311) 및 상기 스크린본체(312)의 단부가 상기 연결바(2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크린본체(312)가 상기 고정바(311) 및 상기 연결바(22)에 고정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본체(312)의 전면부의 폭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과도하게 협잡물이 걸림되어 폐색현상이 발생된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레이크(200)의 인양돌부(210)가 세목배출통로(40)의 협잡물을 제거하면서 밀어올리는 과정에서 협잡물이 세목배출통로(40)에 끼이면서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면부는 형상을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세로바(21)에는 레이크(20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11)와 상기 감지센서(211)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는 진동기(212)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레이크(200)가 세목스크린장치(10)에 근접되면 그 신호를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212)에 전달하여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본체(312)에 달라붙은 협잡물을 탈거시키게 됨과 아울러 세목배출통로(40)에 끼인 협잡물이 분리되도록 하여 레이크(200)에 의해 걸림없이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바(311)에는 양측면에 한쌍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본체(312)의 체결홈(312a)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레이크(200)가 이동시 협잡물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고정바(311)에서 상기 스크린본체(312)가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단에 삼각형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결합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부스크린부재를 상기 스크린본체(312)에 끼움으로써, 상기 외부스크린부재 사이에 상기 세목배출통로(40)의 간격을 줄임과 아울러 상기 스크린본체(312)를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세목틀본체(20)에는 상기 스크린유닛들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세목틀본체(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쌍의 마감패널(23)이 더 체결된다. 상기 마감패널(23)들 상기 스크린유닛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세로바 또는 연결바에 나사체결되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는,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주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에 조립식으로 스크린 유닛들을 설치함으로써, 세목배출통로의 간격을 조절하지 못해 스크린장치 전체를 교체해야하거나 다른 세목제진기를 설치해야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세목스크린장치 20 : 세목틀본체
30 : 스크린부 40 : 세목배출통로
21 : 세로바 211 : 감지센서
212 : 진동기 22 : 연결바
221 : 결착홈 221a : 체결경사면
23 : 마감패널
31 : 스크린유닛 311 : 고정바
312 : 스크린본체 312a : 체결홈
312b : 전면부 312c : 측면부
100 : 세목스크린 200 : 레이크
210 : 인양돌부 300 : 구동부
400 : 궤도체인
30 : 스크린부 40 : 세목배출통로
21 : 세로바 211 : 감지센서
212 : 진동기 22 : 연결바
221 : 결착홈 221a : 체결경사면
23 : 마감패널
31 : 스크린유닛 311 : 고정바
312 : 스크린본체 312a : 체결홈
312b : 전면부 312c : 측면부
100 : 세목스크린 200 : 레이크
210 : 인양돌부 300 : 구동부
400 : 궤도체인
Claims (7)
- 세목제진기에 설치되어 오폐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된 세목스크린장치로서,
상기 세목제진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한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들을 연결하며 설치되고 전단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착홈들이 형성된 연결바들로 이루어진 세목틀본체; 및
상기 연결바들을 연결하며, 상기 결착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스크린유닛들로 이루어진 스크린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오폐수 및 협잡물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스크린유닛들 사이에 세목배출통로가 형성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상기 결착홈에 일단이 끼움되는 고정바와, 외부에 노출된 고정바에 체결되는 스크린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본체에는 일측에 상기 고정바에 끼움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세로바에는 레이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는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레이크가 세목스크린장치에 근접되면 그 신호를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에 전달하여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본체에 달라붙은 협잡물을 탈거시키게 됨과 아울러 세목배출통로에 끼인 협잡물이 분리되도록 하여 레이크에 의해 걸림없이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본체의 양측면부는 전면부에서 상기 체결홈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본체들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결착홈에는 양내측면에 상기 스크린유닛의 스크린본체 일부가 끼움되도록 체결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목틀본체에는 상기 스크린유닛들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세목틀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쌍의 마감패널이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일단이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상기 스크린본체에 형성된 체결홈에 끼움되어, 교체가능하게 모듈화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8690A KR102068225B1 (ko) | 2018-12-24 | 2018-12-24 |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8690A KR102068225B1 (ko) | 2018-12-24 | 2018-12-24 |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8225B1 true KR102068225B1 (ko) | 2020-01-20 |
Family
ID=6936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8690A KR102068225B1 (ko) | 2018-12-24 | 2018-12-24 |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82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2363B1 (ko) * | 2022-07-22 | 2022-12-29 |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 협잡물 탈거 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마련된 로터리 제진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6183Y1 (ko) * | 2005-06-21 | 2005-09-20 | 주식회사 대산엔지니어링 | 하수처리장 침사지용 미세목 스크린 장치 |
KR100696576B1 (ko) * | 2005-06-14 | 2007-04-06 |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판 및 그 세목 스크린판의제조방법 |
KR100949384B1 (ko) * | 2007-05-29 | 2010-03-25 | 주식회사신화기공 | 제진기 스크린 |
KR101124678B1 (ko) | 2011-06-03 | 2012-03-21 | 중앙종합기계(주) | 전동식 로터리 제진기 |
-
2018
- 2018-12-24 KR KR1020180168690A patent/KR1020682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6576B1 (ko) * | 2005-06-14 | 2007-04-06 |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판 및 그 세목 스크린판의제조방법 |
KR200396183Y1 (ko) * | 2005-06-21 | 2005-09-20 | 주식회사 대산엔지니어링 | 하수처리장 침사지용 미세목 스크린 장치 |
KR100949384B1 (ko) * | 2007-05-29 | 2010-03-25 | 주식회사신화기공 | 제진기 스크린 |
KR101124678B1 (ko) | 2011-06-03 | 2012-03-21 | 중앙종합기계(주) | 전동식 로터리 제진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2363B1 (ko) * | 2022-07-22 | 2022-12-29 |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 협잡물 탈거 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마련된 로터리 제진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7812B1 (ko) |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 |
KR101084319B1 (ko) |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 |
KR101893203B1 (ko) |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 |
KR101738636B1 (ko) | 퇴적물 분산유닛을 갖는 제진기 | |
KR102068225B1 (ko) | 목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세목스크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 |
US20150259896A1 (en) | Connector pipe screens for storm drains | |
KR100893393B1 (ko) |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 |
KR101003717B1 (ko) |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 |
KR101254450B1 (ko) | 대형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제진기 | |
KR100949384B1 (ko) | 제진기 스크린 | |
KR101365038B1 (ko) |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 |
KR102230093B1 (ko) |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 |
CN106731153B (zh) | 洗浆鼓 | |
KR101885742B1 (ko) | 제진기 스크린용 스크린 바 | |
KR200381939Y1 (ko) |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 |
KR200175037Y1 (ko) | 제진기 | |
KR102445259B1 (ko) | 수막현상 방지기능의 레이크를 가지는 로터리 제진기 | |
CN208056256U (zh) | 一种市政防堵排水沟 | |
KR100632438B1 (ko) | 우수토실 | |
KR102601272B1 (ko) |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 |
KR20190095758A (ko) |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 |
KR200316383Y1 (ko) | 제진기용 스크린 | |
CN110241721B (zh) | 环保易排污桥梁 | |
KR101378786B1 (ko) | 위치 이동이 가능한 기계식 제진기 | |
KR200414355Y1 (ko) | 조목, 미세목 일체형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침사 협잡물종합처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