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093B1 -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093B1
KR102230093B1 KR1020190078003A KR20190078003A KR102230093B1 KR 102230093 B1 KR102230093 B1 KR 102230093B1 KR 1020190078003 A KR1020190078003 A KR 1020190078003A KR 20190078003 A KR20190078003 A KR 20190078003A KR 102230093 B1 KR102230093 B1 KR 10223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ipe
impurities
main frame
overflo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262A (ko
Inventor
오재일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0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류식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집수관로 상에 설치되어 평상시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키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차집관로에서 월류되는 월류수의 협잡물을 제거하여 월류시키는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집관로의 상단에 얹어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에 하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스크린; 및 상기 메인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의 유하량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을 부유시키는 부유부재;를 포함하여, 유하량 증가시 월류수가 상기 상부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Equipment for Collecting Sediment in Regulators and Interceptor Sewer}
본 발명은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간이 생활하며 생산 활동을 영위하는 곳에서는 대량의 물이 사용되므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 비가 많은 지역이나 집중 호우가 있는 경우에는 다량의 빗물이 하수관로로 흐르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하수관내를 흐르는 생활하수는 물론 빗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하수에 내재된 부유물이나 토사 등은 자연 퇴적하거나, 또는 굴곡 관로나 확대 관로 등에서 유속이 느려져 상기 부유물이나 토사가 퇴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수관로는 어느 경우든 도시 활동이나 산업 활동이 활발해져 갈수록 매우 중요한 것으로 도시 환경조성에 필수 요소로서, 하수관로에 퇴적량이 증가하게 되면 통수단면이 줄어들어 점차 막히게 되며 퇴적이 장기화가 되면서 그로 인하여 하수가 역류되어 생활환경을 해치게 되므로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려면 하수관로의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야 한다.
또한 흐르는 하수관로에 내제된 협잡물을 즉시 처리하지 못하면 협잡물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하수관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집중호우시에는 하수관로에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면서 협잡물도 함께 유입되어 쌓이면서 하수관로의 통수단면을 축소 시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처리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나 폐수 및 오수는 옥내관을 통하여 배수설비로 집수되어 합류식 하수관로에 모이게 되고, 상기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 내측에는 차집관로가 설치되어 강우시 우수와 합류된 하수의 일정량 이상은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되고, 차집관로로 유입된 하수는 하수종말처리장과 연계되어 정화처리 과정을 거쳐 하천에 다시 방류하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차집관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합류식 하수관로에서 평상시에 유입된 하수의 전량을 차집하여 차집관로에 차집하고 있다.
도 2a는 청천시 하수 흐름을 나타낸 집수관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강우시 하수 흐름을 나타낸 집수관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천시(비가 오지 않을 경우) 하수는 가정 및 상가, 공장 등 다양한 곳에서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차집관로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수처리 후 하천으로 방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시에는 빗물이 하수와 섞여 하수관로로 유입된 후 차집관로로 합쳐서 일부는 그대로 하천으로 넘어가고(A), 일부는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처리 후 방류된다. 강우시 하천으로 넘어가는 하수(A)에는 빗물에 의해 쓸려온 다양한 협잡물이 포함되어 하천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강우시 하천으로 넘어가는 하수(A)의 양이 많고, 관리할 지점이 많다보니 하천으로 넘어가는 하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적정하게 처리하지 못하고 그대로 하천에 방류하고 있다.
현재에는 차집관로에서 발생되는 협잡물들의 월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스크린 장치를 장착하거나, 혹은 콘크리트 시설물 등의 형태로 추가설비가 적용되는 등의 형태로 운용되며, 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
기존 설비에 탈부착 형태가 아니고, 시설구조를 변경하는 등의 설비 등으로 설치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탈부착 구조가 아니다 보니, 일단 장착한 이후에 유지관리 측면에서 문제 발생 등으로 인하여 시설물 철거시, 철거비용이 별도로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스크린형태의 구조물은 협잡물들을 걸러낸 이후, 걸러진 협잡물들을 운반하고, 별도로 보관하는 추가설비가 미흡한 경우가 많아서, 관리자의 잦은 방문을 통한 시설물 유지관리로, 유지관리 빈도수 증가로 인한 운용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261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8896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428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9539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 차집관로 내에 유입되는 협잡물들의 월류를 방지하고, 추후에는 퇴적된 협잡물들을 손쉽게 수거하고 처리할 수 있으며, 비동력식으로 기존 하수 차집관로에 장착이 용이하고, 유지관리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장치 없이 차집관로의 상부에 얹어 놓기만하면 되기 때문에 설비치용이 절감되며, 내부 스크린과 상부스크린을 통해 중대형 협잡물의 월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메임 프레임 양단 하부 일측에 비동력식 기어, 흐름제어판 등으로 구성된 월류수 흐름제어부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제어, 유도하여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차집관로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힘을 일시 제어할 수 있고, 소형협잡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여 스크린 구멍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월류된 소형협잡물의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합류식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집수관로 상에 설치되어 평상시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키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차집관로에서 월류되는 월류수의 협잡물을 제거하여 월류시키는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집관로의 상단에 얹어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에 하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스크린; 및 상기 메인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의 유하량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을 부유시키는 부유부재;를 포함하여, 유하량 증가시 월류수가 상기 상부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차집관로 상단에 얹어져 상기 차집관로의 내벽 양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스크린 하단에 구비되는 삽입부와, 상기 상부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 각각에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부유부재가 설치되는 양단면과, 상기 상부스크린의 후방 끝단면에 위치되어 상기 하수의 후방방향으로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면과, 상기 상부스크린의 전방 끝단면에 개방되어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스크린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스크린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집관로의 내벽 양단 각각에 위치되는 내부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내부스크린은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며, 평상시 상기 차집관로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부유부재에 의해 상기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부유되면 동반 상승되어 월류수가 상기 내부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부유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의 양단면의 후방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제어하는 월류수 흐름제어부를 포함하고, 월류수 흐름제어부는 회전축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축을 따라 평면방향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1기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스크린 또는 상기 상부스크린을 통과한 월류수가 유입되는 힘을 받아 상기 제1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흐름제어판과, 상기 제1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을 따라 평면방향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2기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흐름제어판을 포함하여, 상기 월류수 흐름제어부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배출방향을 외측으로 유도하여, 상부스크린과 내부스크린으로부터 소형협잡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차집관로 바깥으로 밀리는 힘을 일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2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소형 협잡물을 수거하는 수거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합류식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집수관로 상에 설치되어 평상시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키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차집관로에서 월류되는 월류수의 협잡물을 제거하여 월류시키는 협잡물 방지 및 수거방법에 있어서, 유하량이 증가됨에 따라 메인프레임의 양단면 일측에 구비된 부유부재에 의해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부유되는 단계; 및 월류수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 상부에 하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의 상부스크린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삽입부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형성된 그물망 형태의 내부 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월류되는 단계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면의 후방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제어하는 월류수 흐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월류수 흐름제어부는 회전축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축을 따라 평면방향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1기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스크린 또는 상기 상부스크린을 통과한 월류수가 유입되는 힘을 받아 상기 제1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흐름제어판과, 상기 제1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을 따라 평면방향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2기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흐름제어판을 포함하여, 상기 월류수 흐름제어부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배출방향을 외측으로 유도하여, 상부스크린과 내부스크린으로부터 소형협잡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차집관로 바깥으로 밀리는 힘을 일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의 하측에 구비된 수거트레이에 소형 협잡물이 수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에 따르면, 하수 차집관로 내에 유입되는 협잡물들의 월류를 방지하고, 추후에는 퇴적된 협잡물들을 손쉽게 수거하고 처리할 수 있으며, 비동력식으로 기존 하수 차집관로에 장착이 용이하고, 유지관리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장치 없이 차집관로의 상부에 얹어 놓기만하면 되기 때문에 설비치용이 절감되며, 내부 스크린과 상부스크린을 통해 중대형 협잡물의 월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메임 프레임 양단 하부 일측에 기어, 흐름제어판 등으로 구성된 월류수 흐름제어부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제어, 유도하여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차집관로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힘을 일시 제어할 수 있고, 소형협잡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여 스크린 구멍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월류된 소형협잡물의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통상의 차집관로의 사시도,
도 2a는 청천시 하수 흐름을 나타낸 집수관로의 단면도,
도 2b는 강우시 하수 흐름을 나타낸 집수관로의 단면도,
도 3은 차집관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평상시 차집관로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유하량 증가시, 월류수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유하량 증가시, 차집관로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월류수 흐름제어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8a는 도 7에서 월류수의 이동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서 연결체인이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차집관로(1)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평상시 차집관로(1)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유하량 증가시, 월류수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는, 합류식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집수관로 상에 별도의 체결장치 없이 얹어져서 설치된다. 평상시 차집관로(1)로 유입되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키고, 유하량 증가시 차집관로(1)에서 월류되는 월류수의 협잡물을 제거하여 월류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는, 전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과, 상부스크린(20), 부유부재(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메인프레임(10)은, 메인프레임(1)이 차집관로(1) 상단에 얹어져 차집관로의 내벽 양단이 삽입되도록 상부스크린(20) 하단에 구비되는 삽입부(14)와, 상부스크린(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 각각에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부유부재(30)가 설치되는 양단면(11)과, 상부스크린(20)의 후방 끝단면에 위치되어 하수의 후방방향으로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면(12)과, 상부스크린(20)의 전방 끝단면에 개방되어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개방면(13)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스크린(20)은 삽입부(14)의 상단에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삭제
상부스크린(20)은, 메인프레임(10)의 중앙에 하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스크린(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의 삽입부(14) 상단에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하량 증가시 월류수가 상부스크린(20)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게 된다.
부표 등으로 구성되는 부유부재(30)는 메인프레임(10)의 양단면(11)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하수의 유하량에 따라 메인프레임(10)을 포함한 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 일체를 부유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는, 차집관로(1) 끝단부분, 관로 상단에 얹어놓기만 하면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를 얹어놓으면 평상시(청천시), 유하량이 많지 않을 때에는 상부 스크린(20)이 관로를 누르고 있는 형태로 장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강우 등으로 차집관로(1)에 유하량이 증가하여, 월류수가 발생될 경우에는 월류된 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며, 별도의 스크린장치가 없을 경우 협잡물들도 차집관로(1) 벽을 넘어서 하천으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수는 상부 스크린(20)을 통해서 흘러나가고, 협잡물들은 상부 스크린(20) 안에 가두어지게 된다.
도 6은 유하량 증가시, 차집관로(1)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는, 삽입부(14)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차집관로(1)의 내벽 양단 각각에 위치되는 내부 스크린(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부스크린(40)은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며, 평상시 차집관로(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하량 증가시 부유부재(30)에 의해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가 부유되면 동반 상승되어 월류수가 내부스크린(40)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월류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메인프레임(10)이 부유부재(30)와 연결되어 있어서 점점 위로 떠오르게 된다. 상부스크린(20)이 전체가 위로 떠오르더라도, 내부스크린(40)은 관로벽면을 타고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협잡물이 옆으로 빠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는, 메인프레임(10)의 양단면(11)의 후방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제어하는 월류수 흐름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월류수 흐름제어부(50)가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7에서 월류수의 이동흐름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도 8a에서 연결체인(60)이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의 양단면(1)의 후방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제어하는 월류수 흐름제어부(50)를 포함한다.
월류수 흐름제어부(50)는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이 메인프레임(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제1기어(51)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기어(51)에는 제1흐름제어판(52)이 설치된다. 제1흐름제어판(52)은 제1기어(51)의 회전축을 따라 설치되며 제1흐름제어판(52) 평면방향은 제1기어(51)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제1기어(51)에 설치된다. 따라서 내부스크린(40) 또는 상부스크린(20)을 통과한 월류수가 유입되는 힘을 제1흐름제어판(52)이 받아 제1기어(51)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1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연결기어(53)가 구비된다. 즉, 연결기어(53)는 제1기어(51)와 맞물려 제1기어(5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되게 된다.
또한 제2기어는(54)는 연결기어(53)의 하측에 구비되어 연결기어(53)와 맞물려 연결기어(53)와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제2흐름제어판(55)은 제2기어(54)의 회전축을 따라 설치되며 제2흐름제어판(55)의 평면방향은 제2기어(54)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제2기어(54)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2기어(54)의 구동에 의해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월류수 흐름제어부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배출방향을 외측으로 유도하여, 상부스크린과 내부스크린으로부터 소형협잡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차집관로 바깥으로 밀리는 힘을 일시 제어하도록 한다.
삭제
즉, 이러한 월류수 흐름제어부(50)에 의해, 월류수의 배출방향을 좌우 외측으로 유도하여, 내부스크린(40)으로부터 소형협잡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유하량 증가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가 차집관로(1) 바깥으로 밀리는 힘을 일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월류수들은 내부스크린(40), 상부 스크린(20)을 통해서 좌우측 각각으로 빠져나가고, 월류수가 빠져나갈 때 물의 힘으로 부유부재(30) 하단에 있는 비동력식 기어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기어 박스들의 회전에 의해서 월류수의 움직임이 일시 제어되며, 특히 차집관로(1) 끝단에서 월류수들이 좌우측 관로로만 유출되려하기 보다는 상부에서 끝없이 밀려내려오는 물의 힘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가 차집관로(1) 바깥쪽으로 계속해서 밀려가려고 할 것이나, 월류수 흐름제어부(50)에 의해 일시적으로 물의 흐름을 기어장치를 통해서 배출하도록 하여,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100)가 전체적으로 차집관로(1)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힘을 일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서 차집관로(1) 끝단면의 물들이 차집관로(1) 외부로만 나가려 하기보다는 일부분은 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차집관로(1) 좌우측 각각으로 배출케하여, 협잡물들이 물의 힘에 의해서 차집관로(1) 끝면으로만 모이는 현상을 일부분 해소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는 제2기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수거트레이(56)를 통해, 소형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하여 상부스크린(20)과 내부스크린(40)을 통과한 소형 협잡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차집관로
10:메인프레임
11:양단면
12:차폐면
13:개방면
14:삽입부
20:상부스크린
30:부유부재
40:내부스크린
50:월류수 흐름제어부
51:제1기어
52:제1흐름제어판
53:연결기어
54:제2기어
55:제2흐름제어판
56:수거트레이
60:연결체인
100: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Claims (15)

  1. 합류식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집수관로 상에 설치되어 평상시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키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차집관로에서 월류되는 월류수의 협잡물을 제거하여 월류시키는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집관로의 상단에 얹어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에 하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스크린; 및
    상기 메인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의 유하량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을 부유시키는 부유부재;를 포함하여, 유하량 증가시 월류수가 상기 상부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차집관로 상단에 얹어져 상기 차집관로의 내벽 양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스크린 하단에 구비되는 삽입부와, 상기 상부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 각각에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부유부재가 설치되는 양단면과, 상기 상부스크린의 후방 끝단면에 위치되어 상기 하수의 후방방향으로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면과, 상기 상부스크린의 전방 끝단면에 개방되어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스크린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크린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집관로의 내벽 양단 각각에 위치되는 내부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스크린은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며, 평상시 상기 차집관로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부유부재에 의해 상기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부유되면 동반 상승되어 월류수가 상기 내부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면의 후방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제어하는 월류수 흐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월류수 흐름제어부는
    회전축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축을 따라 평면방향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1기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스크린 또는 상기 상부스크린을 통과한 월류수가 유입되는 힘을 받아 상기 제1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흐름제어판과, 상기 제1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을 따라 평면방향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2기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흐름제어판을 포함하여,
    상기 월류수 흐름제어부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배출방향을 외측으로 유도하여, 상부스크린과 내부스크린으로부터 소형협잡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차집관로 바깥으로 밀리는 힘을 일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소형 협잡물을 수거하는 수거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12. 제 1항에 따른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합류식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집수관로 상에 설치되어 평상시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키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차집관로에서 월류되는 월류수의 협잡물을 제거하여 월류시키는 협잡물 방지 및 수거방법에 있어서,
    유하량이 증가됨에 따라 메인프레임의 양단면 일측에 구비된 부유부재에 의해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부유되는 단계; 및
    월류수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 상부에 하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의 상부스크린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삽입부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형성된 그물망 형태의 내부 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되는 단계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면의 후방 하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월류수 흐름제어부에 의해,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제어하며,
    상기 월류수 흐름제어부는
    회전축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축을 따라 평면방향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1기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스크린을 통과한 월류수가 유입되는 힘을 받아 상기 제1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흐름제어판과, 상기 제1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을 따라 평면방향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2기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흐름을 외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흐름제어판을 포함하여,
    상기 월류수 흐름제어부에 의해, 상기 월류수의 배출방향을 외측으로 유도하여, 상부스크린과 내부스크린으로부터 소형협잡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유하량 증가시 상기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가 차집관로 바깥으로 밀리는 힘을 일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방법.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의 하측에 구비된 수거트레이에 소형 협잡물이 수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방법.
KR1020190078003A 2019-06-28 2019-06-28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KR10223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03A KR102230093B1 (ko) 2019-06-28 2019-06-28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03A KR102230093B1 (ko) 2019-06-28 2019-06-28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62A KR20210002262A (ko) 2021-01-07
KR102230093B1 true KR102230093B1 (ko) 2021-03-22

Family

ID=7412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003A KR102230093B1 (ko) 2019-06-28 2019-06-28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7914A (zh) * 2021-09-04 2021-12-03 山东泰东公路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雨水管道组装模块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175B2 (ja) * 1994-07-22 2001-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像装置
KR101213178B1 (ko) * 2012-09-06 2012-12-21 조아현 간극 가변형 협잡물 거름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175U (ja) * 2005-12-14 2006-09-14 佐藤 さち 排水装置用浮上式浮遊きょう雑物流出制御装置
KR100795399B1 (ko) 2006-10-17 2008-01-17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개량된 하수도의 우수 토실
KR101034289B1 (ko) 2010-10-21 2011-05-16 중앙종합기계(주)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KR20150088962A (ko) 2014-01-25 2015-08-04 최인환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1902615B1 (ko) 2016-04-15 2018-10-01 최인환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175B2 (ja) * 1994-07-22 2001-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像装置
KR101213178B1 (ko) * 2012-09-06 2012-12-21 조아현 간극 가변형 협잡물 거름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62A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422B1 (en) Dual screen treatment systems with debris ramps and screened deflectors
US5744048A (en) Clog resistant storm drain filter
US10155670B1 (en) Stormwater polymer treatment system
US7892425B2 (en) Stormwater plug flow separation system
KR100834352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980234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US10384956B1 (en) Restrictive up flow media filter with servicing system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20070098971A (ko) 도로의 강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SH System)
US20130228527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US20160024778A1 (en) Retrofit catch basin for use in storm water management practice
KR20090083884A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US71380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solids and floatables from a wastewater stream
KR100912590B1 (ko) 교량용 배수시설
KR100976851B1 (ko) 집수정
KR102230093B1 (ko)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KR101923707B1 (ko) 비점오염저감 및 우수저류장치
KR20130120052A (ko) 비점오염원 저감 기능을 갖는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시스템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105367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KR101313042B1 (ko) 우수유입 및 토사분리 장치
KR100632438B1 (ko) 우수토실
KR20140006797A (ko) 배수 장치용 와류식 수면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