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289B1 -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289B1
KR101034289B1 KR1020100103147A KR20100103147A KR101034289B1 KR 101034289 B1 KR101034289 B1 KR 101034289B1 KR 1020100103147 A KR1020100103147 A KR 1020100103147A KR 20100103147 A KR20100103147 A KR 20100103147A KR 101034289 B1 KR101034289 B1 KR 10103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s
rake
screen
cylinder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중앙종합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종합기계(주) filed Critical 중앙종합기계(주)
Priority to KR102010010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거의 차단벽 상부에 설치되어 차집관로로 협잡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로와 차집관로를 구획하는 차단벽의 상부에 설치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스크린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부의 스크린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층된 복수의 레이크와, 상기 복수의 레이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협잡물을 제거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협잡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직선운동을 레이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레이크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기 전 상기 실린더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레이크를 선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overflow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거의 차단벽 상부에 설치되어 차집관로로 협잡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와 우수를 배제하는 하수관거는 크게 분류식과 합류식으로 나눌 수 있다. 분류식 하수관거는 생활하수와 우수가 각각 다른 하수관으로 흘러가게 하는 방식이고, 합류식 하수관거는 생활하수와 우수를 하나의 하수관으로 모아서 배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합류식 하수관거는 평상시 배출되는 하수의 전부를 하수도를 통해 전량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만 우천시 생활하수와 우수가 합쳐진 합류수는 배출량이 많기 때문에 합류수가 늘어나 계획시간 최대 오수량을 넘을 경우 나머지는 차단벽을 월류하여 차집관로를 통해 저류지로 흘려가고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하수처리장으로 흘려가도록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차단벽을 월류하는 월류수에는 목재, 풀, 비닐, 낙엽 등의 협잡물이 수면의 상부로 부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 협잡물이 월류수를 따라 차단벽을 넘어서 차집관로로 흘러 들어가면 차집관로는 불가피하게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차집관로가 막히게 되면 비가 더 올 경우 하수도가 넘쳐 도로를 침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수관로와 차집관로의 차단벽 상부에 협잡물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협잡물이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 사이에 레이크를 삽입하고 이 레이크를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시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함에 따라 작업부하가 경감되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동수단이 기구적으로 구성되어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의 측면에 지지홈을 설치하므로 정지봉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레이크가 가이드블록의 이동보다 먼저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레이크의 선단이 스크린부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협잡물을 스크린부의 밖으로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의 측면에 실런더의 신장시 레이크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조블레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협잡물이 제거되지 않는 사각이 없도록 된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수관로와 차집관로를 구획하는 차단벽의 상부에 설치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스크린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부의 스크린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층된 복수의 레이크와, 상기 복수의 레이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협잡물을 제거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협잡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직선운동을 레이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레이크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기 전 상기 실린더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레이크를 선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스크린과 평행하게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상하로 이격된 가이드블록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레이크가 고정설치되는 연결봉과,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크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레이크를 회전시키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이크가 회전할 때 레이크의 회전을 규제하며 동시에 레이크가 가이드블록을 밀수 있도록 지지하는 정지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수단으로 상기 실린더의 신장에 의해 상기 레이크가 선회전하도록 상기 정지봉이 대응하는 상기 레이크의 측면에 내측으로 파인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또한 상기 레이크는 이동시 후방부에 협잡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사각지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런더의 신장시 상기 레이크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블레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는 하수관로와 차집관로의 차단벽 상부에 협잡물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협잡물이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는 스크린 사이에 레이크를 삽입하고 이 레이크를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시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함에 따라 작업부하가 경감되고 작업이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는 구동수단이 기구적으로 구성되어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는 레이크의 측면에 지지홈을 설치하므로 정지봉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레이크가 가이드블록의 이동보다 먼저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레이크의 선단이 스크린부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협잡물을 스크린부의 밖으로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는 레이크의 측면에 실런더의 신장시 레이크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조블레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협잡물이 제거되지 않는 사각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협잡물 제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레이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구동레이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종동레이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실린더가 동작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레이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실린더가 신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레이크가 복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실린더가 축소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부(10)과, 상기 스크린부(10)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10)는 하수관로(102)와 차집관로(104)를 구획하는 차단벽(106)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부(10)는 복수의 적층된 스크린(12)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스크린(12)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12) 사이의 공간에 월류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리게 된다.
상기 협잡물 제거부(20)는 상기 스크린부(10)와 고정설치되는 프레임(41)과, 상기 스크린부(10)의 스크린(12)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레이크(30a, 30b)와, 상기 레이크(30a, 30b)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크린(12)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구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스크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실린더(45)와, 상기 실린더의 직선운동을 레이크(30a, 30b)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레이크(30a, 30b)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기 전 상기 실린더(45)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레이크(30a, 30b)를 선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41)에 스크린(12)과 평행하게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레일(42)과, 상기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블록(43)과, 상기 상하로 이격된 가이드블록(4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레이크(30a, 30b)가 고정 설치되는 연결봉(44)과, 상기 실린더(45)의 실린더로드(45a)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레이크(30a, 3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크(30a)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연결봉(44)을 회전시키는 수직봉(46)과, 상기 수직봉(4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이크(30a, 30b)가 회전할 때 레이크(30a, 30b)의 회전을 규제하며 동시에 레이크(30a, 30b)가 가이드블록(43)을 밀수 있도록 지지하는 정지봉(47)으로 이루어진다.
레이크(30a, 30b)는 편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부(10)의 스크린(12)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크(30a, 30b)의 두께는 상기 레이크(30a, 30b)가 상기 스크린(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끼이지 않도록 상기 스크린(12)의 이격된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레이크(30a, 30b)는 후술하는 부착봉(48)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이크(30a, 30b)는 상기 수직봉(46)에 끼워지는 구동레이크(30a)와, 상기 수직봉(46)에 끼워지지 않는 종동레이크(30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레이크(30a)는 상기 수직봉(46)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 상기 수직봉(46)이 이동함에 따라 구동레이크(30a)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레이크(30a)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레이크(30a)가 고정 설치된 연결봉(44)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봉(4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결봉에 구동레이크(30a)와 함께 설치된 종동레이크(30b)가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레이크(30a, 30b)는 상기 정지봉(47)와 대응되는 측면에 지지홈(31a, 32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31a, 32a)은 상기 레이크(30a, 30b)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상기 실린더로드(45a)의 신장에 의해 상기 레이크(30a, 30b)가 회전될 때 상기 정지봉(47)과 상기 지지홈(31a, 31b)의 위치관계에 의하여 상기 레이크(30a, 30b)가 상기 가이드블록(43)이 이동하기 전에 선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이크(30a, 30b)의 측면에는 상기 실린더로드(45a)의 신장시 상기 레이크(30a, 30b)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보조블레이드(32a, 32b)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크(30a, 30b)의 이동시 상기 레이크(30a, 30b)가 선회전되므로 협잡물이 제거되지 못하는 사각지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스크린(10)에 고정 설치되어 후술하는 고정수단(40)의 각 구성요소들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42)은 상기 프레임(41)에 스크린(12)과 평행하게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2)은 평평한 바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블록(43)의 롤러(43a)가 상기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블록(43)은 상기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의 내부에 복수의 롤러(43a)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봉(44)은 상기 가이드블록(43)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봉(44)에는 상기 복수의 레이크(30a, 30b)가 적층되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44)과 상기 레이크(30a, 30b)는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수직봉(46)은 상기 실린더로드(40a)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봉(46)에는 구동레이크(30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로드(40a)가 신장하면 수직봉(46)이 이동하게 되고, 수직봉(46)이 이동하게 되면 연결봉(44)을 지점으로 레이크(30a, 30b)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정지봉(47)은 상기 가이드레일(42)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이크(30a, 30b)가 회전할 때 상기 레이크(30a, 30b)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정지봉(47)은 상기 레이크(30a, 30b)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홈(31a, 31b)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31a, 31b)과 상기 정지봉(47)의 위치관계에 의해 상기 레이크(30a, 30b)가 급속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정지봉(47)은 상기 레이크(30a, 30b)가 급속 회전한 후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규제됨에 따라 상기 레이크(30a, 30b)가 설치된 가이드블록(43)이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45)는 상기 가이드레일(42)과 평행하게 상기 프레임(41)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드(45a)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로드(45a)의 선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봉(4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봉(46)에는 상기 레이크(30a, 30b) 중 구동레이크(30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봉(46)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레이크(30a)와 상기 구동레이크(30a)와 고정 설치된 연결봉(44)이 회전하게 되고, 연결봉(44)이 회전하므로 상기 연결봉(44)에 고정 설치된 종동레이크(30b)까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가 동작하기 전 상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30a, 30b)의 선단이 스크린(12)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실린더로드(45a)가 신장을 하기 시작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30a, 30b)가 연결봉(44)을 중심으로 가이드블록(43)이 이동하기 전에 먼저 회전하게 되고 이때 레이크(30a, 30b) 지지홈(31a, 31b)의 내측면과 정지봉(47)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회전하므로 상기 레이크(30a, 30b)는 급속회전하게 된다. 이 때 레이크(30a, 30b)의 선단이 스크린(12)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노출된다. 아울러 상기 레이크(30a, 30b)에 형성된 보조블레이드(32a, 32b)가 회전하면서 레이크(30a, 30b) 후방에 걸려 있는 협잡물을 밖으로 밀어낸다.
다음으로 실린더로드(45a)가 더 신장을 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30a, 30b)는 정지봉(47)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므로 실린더로드(45a)의 신장이 가이드블록(43)을 실린더로드(45a)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밀어내어 가이드블록(43)이 실린더로드(45a)의 신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가이드블록(43)이 이동하므로 가이드블록(4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봉(44)에 고정 설치된 레이크(30a, 30b)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이크(30a, 30b)가 이동하면서 스크린(12) 사이에 걸려 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실린더로드(45a)의 신장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다시 실린더로드(45a)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하는 방향으로 축소하게 된다. 이 때 레이크(30a, 30b)의 지지홈(31a, 31b)은 정지봉(47)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신장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레이크(31a, 31b)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레이크(30a, 30b)는 스크린(12) 사이의 공간으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 실린더로드(45a)를 계속 축소하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30a, 30b)의 지지홈(31a, 31b)이 정지봉(47)에 끼여서 레이크(30a, 30b)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로드(45a)의 축소는 결국 가이드블록(43)을 신장 전의 상태로 되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로드(45a)를 신장시키고 축소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스크린(12) 사이에 걸려 있는 협잡물을 제거한다.
10 : 스크린부 12 : 스크린
20 : 협잡물 제거부 30a, 30b : 레이크
31a, 31b : 지지홈 32a, 32b : 보조블레이드
40 : 구동수단 41 : 프레임
42 : 가이드레일 43 : 가이드블록
44 : 연결봉 45 : 실린더
45a : 실린더로드 46 : 수직봉
47 : 정지봉 48 : 부착봉

Claims (4)

  1. 하수관로(102)와 차집관로(104)를 구획하는 차단벽(106)의 상부에 설치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스크린(12)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스크린부(10)와;
    상기 스크린부(10)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41)과, 상기 스크린부(10)의 스크린(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층된 복수의 레이크(30a, 30b)와, 상기 복수의 레이크(30a, 30b)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협잡물을 제거하는 구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 협잡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프레임(41)에 설치되는 실린더(45)와, 상기 실린더(45)의 직선운동을 레이크(30a, 30b)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레이크(30a, 30b)는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기 전 상기 스크린(12)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45)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레이크(30a, 30b)가 스크린(12)이 설치된 면과 평행한 면에서 선회전되어 스크린(1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41)에 상기 스크린(12)과 평행하게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레일(42)과, 상기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블록(43)과, 상기 상하로 이격된 가이드블록(4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레이크(30a, 30b)가 고정설치되는 연결봉(44)과, 상기 실린더(45)의 실린더로드(45a)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레이크(30a, 3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크(30a, 30b)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레이크(30a, 30b)를 회전시키는 수직봉(46)과, 상기 수직봉(4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이크(30a, 30b)가 회전할 때 레이크(30a, 30b)의 회전을 규제하며 동시에 레이크(30a, 30b)가 가이드블록(43)을 밀수 있도록 지지하는 정지봉(4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으로 상기 실린더(45)의 신장에 의해 상기 레이크(30a, 30b)가 선회전하도록 상기 정지봉(47)이 대응하는 상기 레이크(30a, 30b)의 측면에 내측으로 파인 지지홈(31a, 3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4.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30a, 30b)는 이동시 후방부에 협잡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사각지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린더(45)의 신장시 상기 레이크(30a, 30b)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블레이드(32a, 3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KR1020100103147A 2010-10-21 2010-10-21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KR10103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47A KR101034289B1 (ko) 2010-10-21 2010-10-21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47A KR101034289B1 (ko) 2010-10-21 2010-10-21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289B1 true KR101034289B1 (ko) 2011-05-16

Family

ID=4436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147A KR101034289B1 (ko) 2010-10-21 2010-10-21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166B1 (ko) * 2014-04-18 2014-12-22 최기억 수로 스크린 협잡물 처리시스템
KR20210002262A (ko) 2019-06-28 2021-01-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147A (ja) 2002-07-01 2004-02-05 Okawa Transteel Corp 除塵機
KR100755033B1 (ko) 2007-01-19 2007-09-06 주식회사 케이엠 협잡물 제거장치
KR100791491B1 (ko) 2007-01-19 2008-01-04 주식회사 케이엠 굴절형 협잡물 제거장치
KR100893393B1 (ko) 2008-12-19 2009-04-17 (주)대기산업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147A (ja) 2002-07-01 2004-02-05 Okawa Transteel Corp 除塵機
KR100755033B1 (ko) 2007-01-19 2007-09-06 주식회사 케이엠 협잡물 제거장치
KR100791491B1 (ko) 2007-01-19 2008-01-04 주식회사 케이엠 굴절형 협잡물 제거장치
KR100893393B1 (ko) 2008-12-19 2009-04-17 (주)대기산업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166B1 (ko) * 2014-04-18 2014-12-22 최기억 수로 스크린 협잡물 처리시스템
KR20210002262A (ko) 2019-06-28 2021-01-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23B1 (ko) 제진장치
KR101464045B1 (ko) 무동력 수질관리시설과 청소시설이 내장된 빗물저류탱크
KR101128069B1 (ko) 노면 우수배수용 친환경 구조물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1034289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KR101813621B1 (ko) 교면 배수 장치
KR101038806B1 (ko) 오수용 맨홀
KR101403502B1 (ko) 스크린 일체형 펌프 게이트 장치
CN219653848U (zh) 一种路面排水设施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102505926B1 (ko) 하수도시설의 협잡물 제거 스크린설비
CN214319338U (zh) 一种建筑施工降雨排水结构
CN213741517U (zh) 一种建筑施工降雨排水结构
CN106698557B (zh) 带有栅渣封锁功能的提篮式格栅
JP201018519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CN215669951U (zh) 一种防堵型的市政工程用排水管道
KR100899774B1 (ko) 수로용 이물질 제거시설
KR101317391B1 (ko) 긴급 상황용 강제배수 기능을 갖는 제진기
JP6567592B2 (ja) 排水ユニット、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CN217267988U (zh) 一种建筑施工降雨排水结构
CN210530172U (zh) 一种屋顶雨水收集装置
CN220451052U (zh) 一种清理泥沙装置及雨水调蓄池
CN210067277U (zh) 一种排水型预制雨篷梁
CN220521513U (zh) 一种农村公路建设养护用排水设备
KR100376766B1 (ko) 조대 협잡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