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17B1 -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 Google Patents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17B1
KR101003717B1 KR1020100021068A KR20100021068A KR101003717B1 KR 101003717 B1 KR101003717 B1 KR 101003717B1 KR 1020100021068 A KR1020100021068 A KR 1020100021068A KR 20100021068 A KR20100021068 A KR 20100021068A KR 101003717 B1 KR101003717 B1 KR 10100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ar screen
fine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제
박복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to KR1020100021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는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후방 플레이트,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중앙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중앙 플레이트, 상기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플레이트와 각각 평행하게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전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전방 플레이트, 무한 궤도 운동을 하는 한 쌍의 인양 체인을 각각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협잡물 중 크기가 큰 조대 협잡물을 1차 포착하도록 바 사이가 소정 눈금 폭을 갖는 조목용 바 스크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목 바 스크린보다 바 사이의 눈금 폭이 작게 마련되어 상기 조목 바 스크린을 통과한 상기 협잡물 중 크기가 작은 미세 협잡물을 2차 포착하는 세목 바 스크린, 상기 한 쌍의 인양 체인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판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기준으로 세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에 맞물리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세목 레이크날 및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에 맞물리도록 상기 바디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조목 레이크날을 양날 대칭으로 일체로 갖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THE DUST REMOVING APPARATUS HAVING COARSE-CUM-FINE BAR SCREEN}
본 발명은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처리 시설 내의 유수로 등에 설치되어 하수 혹은 배수 등에 포함되는 불순물인 협잡물(adulteration)을 포착하는 바 스크린과 바 스크린을 따라 이동하여 포착된 협잡물을 긁어내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레이크를 포함하는 바 스크린식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등을 처리하는 처리 시설은 하수 또는 배수 등에 포함된 협잡물을 일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바 스크린(bar screen)식 제진기를 설치하여 사용하여 오고 있다.
이러한 바 스크린 식 제진기는 하수 또는 배수 등에 포함된 협잡물을 포착하여 통과를 차단하는 바 스크린과 이 바 스크린에 맞물려 바 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 스크린 상에 포착된 협잡물을 긁어서 외부로 배출하는 레이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를 처리하는 처리 시설에 한대의 바 스크린식 제진기만을 설치할 경우, 만일 바 사이 눈금폭을 작은 협잡물까지 포착하기 위해 작게 만들면 저항으로 인해 유수 통과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바의 두께 또한 얇아져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유입된 하수 또는 배수 속에 포함된 협잡물 중 크기가 큰 조대 협작물이 바 스크린에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되면 강도가 약한 바는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게 되어 바 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의 운행 불량 또는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대로 바 사이 눈금폭을 크게 하면 유수 속에 포함된 크기가 작은 미세 협작물은 그대로 바 스크린을 통과해 버리기 때문에 협작물의 포착 효율 즉 제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처리 시설에 먼저 눈금폭이 큰 바 스크린을 갖는 조대 협잡물 제거용 제진기를 설치하고 그 후방에 작은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눈금폭이 작은 바 스크린을 갖는 미세 협잡물 제거용 제진기 두 대를 차례로 설치하여 해결 할 수 있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 처리장의 경우 처리 시설이 협소하여 한 개의 처리 시설에 두 대의 제진기를 모두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설사 설치가 가능하더라도 이를 위한 별도 공간 확보가 요구되며 설치 비용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후술한 선행기술문헌에서 언급한 특허 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96291호에 개시된‘조목·세목 겸용 바 스크린식 제진기’가 개발되었다. 특허 문헌 1은 두께가 두꺼운 조목용 스크린 바를 큰 눈금폭을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배치하고 그 간격 사이에 두께가 얇은 세목용 스크린 바를 작은 눈금폭을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조목용 바 스크린과 세목용 바 스크린을 일체화한 하나의 바 스크린과 이에 맞물리도록 눈금폭이 큰 조목용 레이크와 눈금폭이 작은 세목용 레이크를 일체로 조합시킨 레이크를 개시하여 하나의 제진기 만으로도 조대 협잡물과 미세 협잡물을 모두 포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바 스크린은 종래의 조목용 바 스크린과 세목용 바 스크린과는 구조가 완전히 달라 종래의 조목용 바 스크린 및 세목용 바 스크린을 그대로 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문헌 1의 바 스크린은 조목용 바 스크린과 세목용 바 스크린이 완전히 분리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유입되는 협잡물 중 길이가 길거나 뾰족한 조대 협잡물은 조목용 바 스크린을 차단되지 않고 통과하여 세목용 바 스크린에 충돌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충돌이 지속되면 강도가 약한 세목용 바 스크린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하며 레이크의 운행 불량 또는 고장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KR 10-2006-0096291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한 대의 바 스크린식 제진기 만으로도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등을 처리하는 처리 시설로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조대 협잡물과 미세 협잡물을 모두 포착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등을 처리하는 처리 시설로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조대 협잡물이 강도가 약한 세목용 바 스크린에 충돌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강도가 약한 바 스크린의 변형 또는 파손 및 이로 인한 레이크의 운행 불량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는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후방 플레이트,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중앙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중앙 플레이트, 상기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플레이트와 각각 평행하게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전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전방 플레이트, 무한 궤도 운동을 하는 한 쌍의 인양 체인을 각각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협잡물 중 크기가 큰 조대 협잡물을 1차 포착하도록 바 사이가 소정 눈금 폭을 갖는 조목용 바 스크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보다 바 사이의 눈금 폭이 작게 마련되어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을 통과한 상기 협잡물 중 크기가 작은 미세 협잡물을 2차 포착하는 세목용 바 스크린, 상기 한 쌍의 인양 체인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판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기준으로 세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에 맞물리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세목 레이크날 및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에 맞물리도록 상기 바디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조목 레이크날을 양날 대칭으로 일체로 갖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크 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결합된 레이크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크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인양 체인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이크 브라켓은 상기 바디부와 접촉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 프레임,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강도 보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은 5 내지 20 mm 이며,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은 50 내지 10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목용 바 스크린의 바는 상부 끝단으로 갈수로 두께가 증가된 역삼각 웨지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에 의하면, 한 대의 바 스크린 제진기 내에 일체로 조목용 바 스크린과 세목용 바 스크린을 완전히 분리 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일체화된 레이크를 구성함으로써, 한 대의 바 스크린식 제진기 만으로도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등을 처리하는 처리 시설로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조대 협잡물과 미세 협잡물을 모두 포착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에 의하면,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등을 처리하는 처리 시설로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조대 협잡물이 강도가 약한 세목용 바 스크린에 충돌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강도가 약한 세목용 바 스크린의 변형 또는 파손 및 이로 인한 레이크의 운행 불량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에 의하면,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조목용 바 스크린과 세목용 바 스크린을 별도의 구조 변경을 할 필요 없이 그대로 채용할 수 있어 바 스크린식 제진기의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될 뿐만 아니라 기존 유수로에 설치된 종래의 바 스크린식 제진기와도 간이하게 호환하여 새로 설치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B’영역을 조목용 바 스크린을 중심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C’영역의 확대도,
도 8은 도 2의 ‘B’영역을 세목용 바 스크린을 중심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도 8의 Ⅸ-Ⅸ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D’영역의 확대도,
도 11은 도 2의 ⅩⅠ-ⅩⅠ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2의 ⅩⅢ-ⅩⅢ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사시도, 단면도 및 확대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B’영역을 조목용 바 스크린을 중심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C’영역의 확대도, 도 8은 도 2의 ‘B’영역을 세목용 바 스크린을 중심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도 8의 Ⅸ-Ⅸ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D’영역의 확대도, 도 11은 도 2의 ⅩⅠ-ⅩⅠ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2의 ⅩⅢ-ⅩⅢ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1)는 측면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50), 후방 플레이트(200), 중앙 플레이트(300), 전방 플레이트(400), 가이드 레일(500), 조목용 바 스크린(600), 세목용 바 스크린(700), 레이크 부재(800) 및 구동 부재(900)를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100)은 그 간격이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처리 시설 내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을 따라 한 쌍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측면 프레임(100)의 상단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단의 아래가 컨베이어(10)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하부 프레임(150)은 측면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된 협잡물을 적층하여 가두어 협잡물이 하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하부 프레임(150)은 측면 프레임(100)이 처리시설 내 바닥부에 밀착 설치되는 경우 제거될 수 도 있다.
후방 플레이트(200)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양단이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의 후단에 각각 수직 결합되어 있으며, 크기가 작은 미세 협잡물 이송 시 미세 협잡물의 이탈을 방지하며 후술할 레이크 부재(800)를 안내한다. 후방 플레이트(200)는 측면 프레임(100)의 상단 연결 부분에서는 제거되어 있어 측면 프레임(100)과 함께 배출구(210)를 형성한다.
중앙 플레이트(300)는 강도가 있으면서도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강 등의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후방 플레이트(200)와 평행하도록 길이 방향(L)을 따라 양단이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의 중앙부와 각각 프레임 포스트(310)를 이용하여 수직 결합되어 있다. 중앙 플레이트(300)는 크기가 큰 조대 협잡물 이송시 조대 협잡물의 이탈 및 낙하를 방지하며 후술할 레이크 부재(800)를 안내한다.
전방 플레이트(400)는 후방 플레이트(200) 및 중앙 플레이트(300)와 각각 평행하게 길이 방향(L)을 따라 양단이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의 전단에 각각 수직 결합되어 있다. 전방 플레이트(400)는 처리 시설로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측면 프레임(100)의 전단 중앙으로부터 상부에 이르는 부분까지만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창(41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500)은 도 3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을 따라 후방 플레이트(200)와 중앙 플레이트(300)의 사이 측면 및 중앙 플레이트(300)와 전방 플레이트(400)의 사이 측면에서 무한 궤도 운동을 하는 한 쌍의 인양 체인(550)을 각각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측면 플레이트(100)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과 달리 설명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인양 체인(550) 중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조목용 바 스크린(600)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중앙 플레이트(300)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측면 프레임(100)에 양단이 각각 수직 결합되어 있다. 조목용 바 스크린(600)은 외부로부터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 중 크기가 큰 조대 협잡물의 통과를 차단하여 1차 포착한다.
이를 위해 조목용 바 스크린(6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조목 바(610), 조목 바(610)의 하부에서 조목 바(610)와 직교 결합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가로 보강 부재(620) 및 가로 보강 부재(620)와 직교 결합하여 강도를 더욱 보강하는 세로 보강 부재(6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조목 바(610)는 사이의 간격인 눈금폭(W1)이 조대 협잡물의 효과적 포착을 위해 50 내지 100 m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목용 바 스크린(700)은 길이 방향(L)을 따라 후방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측면 프레임(100)에 양단이 각각 수직 결합되어 있다. 세목용 바 스크린(700)은 조목용 바 스크린(600)을 통과한 협잡물 중 크기가 작은 미세 협착물을 2차 포착한다.
이를 위해 세목용 바 스크린(70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목 바(710), 세목 바(710)의 하부에서 세목 바(710)와 직교 결합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가로 보강 부재(720) 및 가로 보강 부재(720)와 직교 결합하여 강도를 더욱 보강하는 세로 보강 부재(630)로 이루어져 있다.
세목 바(71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끝단으로 갈수로 두께가 증가된 역삼각 웨지 타입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미세 협잡물과의 충돌 부위인 상부 끝단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도 미세 협잡물이 세목 바(71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며, 세목 바(710) 사이에 끼여 있는 미세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세목 바(710) 사이의 간격인 눈금폭(W2)은 미세 협잡물의 효과적 포착을 위한 두 가지 요소인 개구율과 포착율을 동시 고려하여 5 내지 20 m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크 부재(800)도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강 등의 금속 재질로 마련되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인양 체인(550)에 각각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조목용 바 스크린(600)과 세목용 바 스크린(700)에 각각 포착된 조대 협잡물과 미세 협잡물을 동시에 긁어서 운반하여 컨베이어(10)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레이크 부재(800)는 양측에 양날 대칭으로 조목 레이크날(820)과 세목 레이크날(830)이 각각 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바디부(810), 바디부(8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동시에 인양 체인(550)에 결합되는 레이크 브라켓(8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디부(810)는 길이가 긴 판형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중앙에 결합홈(8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조목 레이크날(820)은 조목용 바 스크린(600)의 조목 바(610) 사이의 눈금폭(W1)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어 조목 바(610)를 따라 길이 방향(L)으로 이동하면서 조목용 바 스크린(600)에 포착된 조대 협잡물을 긁어 운반하여 컨베이어(10)로 배출한다. 조목 레이크날(8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크고 무거운 조대 협잡물을 용이하게 긁어 내기 위해 진행 방향으로 약간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목 레이크날(830)은 세목용 바 스크린(700)의 세목 바(710) 사이의 눈금폭(W2)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어 세목 바(710)를 따라 길이 방향(L)으로 이동하면서 조목용 바 스크린(600)에 포착된 조대 협잡물을 긁어 운반하여 컨베이어(10)로 배출한다.
레이크 브라켓(850)은 수평 프레임(851), 수직 프레임(853) 및 강도 보강 프레임(855)를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851)은 바디부(810)의 결합홈(812)과 대응하는 결합홈(852)을 통해 볼트(870)와 너트(880) 체결 방식으로 바디부(810)의 후방에 결합된다.
수직 프레임(853)은 수평 프레임(851)과 직교 결합을 하여 강도를 보강하며, 강도 보강 프레임(855)은 수평 프레임(851)과 수직 프레임(853)과 각각 직교하는 역삼각 형상으로 마련되어 더욱 강도를 보강한다.
이와 같이 조목 레이크날(820)과 세목 레이크날(830)이 바디부(810)를 사이에 두고 양날 대칭 일체형이며 인양 체인(55)과 결합되며 강도가 보강을 위해 바디부(810)의 후방에 채용된 레이크 브라켓(850)을 갖는 레이크 부재(800)에 의하면, 비록 조목용 바 스크린(600)과 세목용 바 스크린(700)이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1) 내에서 일체로 분리 배치되더라도 조목용 바 스크린(600)에서 포착된 조대 협잡물과 세목용 바 스크린(700)에서 포착된 미세 협잡물을 무리 없이 효과적으로 외부 컨베이어(10)로 동시에 긁어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바디부(810)의 재질을 더욱 강도가 있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 레이크 브라켓(850)을 생략하고 직접 인양 체인(55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 부재(900)는 인양 체인(550)이 도 3에 도시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무한 궤도 운동을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구동 모터(910), 감속기(920), 구동 스프라켓(930), 구동 체인(940), 종동 스프라켓(950), 메인 샤프트(960), 상부 인양 스프라켓(970) 및 하부 인양 스프라켓(980)을 포함한다.
구동 부재(900)의 구동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각 구성 요소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1)의 작동 방법을 중심으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한다.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처리 시설 내에 설치된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1) 내로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협잡물이 유입되면 조대 협잡물은 조목용 바 스크린(600) 상에 포착되며, 조목용 바 스크린(600)을 통과한 미세 협잡물은 세목용 바 스크린(700) 상에 포착되게 된다.
구동 부재(900)가 구동하면 인양 체인(550)이 가이드 레일(500)의 가이드에 따라 도 3의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무한 궤도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양 체인(550)에 결합된 복수 개의 레이크 부재(800)도 무한 궤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세목 레이크날(830)은 도 13의 하부 도시와 같이 세목용 바 스크린(700)의 세목 바(710)를 따라 이동하여 내려오면서 세목용 바 스크린(700) 상에 포착된 미세 협잡물을 긁어 내린 다음 하부 인양 스프라켓(980)을 통과 후 긁어 내린 미세 협작물을 다시 긁어 올려 상부로 운반한다. 한편, 하부 인양 스프라켓(980)을 통과한 세목 레이크날(830)과 일체로 양날 대칭 형성된 조목 레이크날(820)은 도 13의 상부 도시와 같이 조목용 바 스크린(600)의 조목 바(610)를 따라 이동하여 올라오면서 조목용 바 스크린(600) 상에 포착된 조대 협잡물을 긁어 올려 상부로 운반한다. 여기서 조목용 바 스크린(600)를 통과한 조목 레이크날(830)에 의해 상부로 운반되는 조대 협잡물은 바닥을 형성하는 중앙 플레이트(300)에 의해 이탈 또는 낙하가 방지되어 상부로 안전하게 이송되게 된다.
조목·세목 일체형 바 제진기(1)의 상부로 조목 레이크 날(820)과 세목 레이크날(830)에 의해 각각 운반된 조목 및 세목 협잡물은 상부 인양 스프라켓(970)에서 회전 후 배출구(210)를 통해 컨베이어(10)로 떨어져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1)에 의하면 한 대의 바 스크린 제진기 내에 조목용 바 스크린(600)과 세목용 바 스크린(700)을 일체로 완전히 분리 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일체화된 레이크 부재(800)를 구성함으로써, 한 대의 바 스크린식 제진기 만으로도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등을 처리하는 처리 시설로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조대 협잡물과 미세 협잡물을 모두 포착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1)에 의하면,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 배수장의 하수 혹은 배수 등을 처리하는 처리 시설로 하수 혹은 배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조대 협잡물이 강도가 약한 세목용 바 스크린(700)에 충돌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강도가 약한 세목용 바 스크린(700)의 변형 또는 파손 및 이로 인한 레이크 부재(800)의 운행 불량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1)에 의하면, 현재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조목용 바 스크린과 세목용 바 스크린에 별도의 구조 변경을 할 필요 없이 그대로 채용할 수 있어 바 스크린식 제진기의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종래의 바 스크린식 제진기와도 간이하게 호환하여 새로 설치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의 공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10 : 컨베이어 100 : 측면 프레임
150 : 하부 프레임 200: 후방 플레이트
300 : 중앙 플레이트 400 : 전방 플레이트
500 : 가이드 레일 550 : 인양 체인
600 : 조목용 바 스크린 610 : 조목 바
620 : 가로 보강 부재 630 : 세로 보강 부재
700 : 세목용 바 스크린 710 : 세목 바
720 : 가로 부강 부재 730 : 세로 보강 부재
800 : 레이크 부재 810 : 바디부
820 : 조목 레이크날 830 : 세목 레이크날
850 : 레이크 브라켓 851 : 수평 프레임
853 : 수직 프레임 855 : 강도 보강 프레임
900 : 구동 부재 910 : 구동 모터
920 : 감속기 930 : 구동 스프라켓
940 : 구동 체인 950 : 종동 스프라켓
960 : 메인 샤프트 970 : 상부 인양 스프라켓
980 : 하부 인양 스프라켓

Claims (5)

  1.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후방 플레이트,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중앙에 각각 프레임 포스트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중앙 플레이트,
    상기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플레이트와 각각 평행하게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전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전방 플레이트,
    무한 궤도 운동을 하는 한 쌍의 인양 체인을 각각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협잡물 중 크기가 큰 조대 협잡물을 1차 포착하도록 바 사이가 소정 눈금 폭을 갖는 조목용 바 스크린,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과 별도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보다 바 사이의 눈금 폭이 작게 마련되어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을 통과한 상기 협잡물 중 크기가 작은 미세 협잡물을 2차 포착하는 세목용 바 스크린,
    상기 한 쌍의 인양 체인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판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기준으로 세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에 맞물리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세목 레이크날 및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에 맞물리도록 상기 바디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조목 레이크날을 양날 대칭으로 일체로 갖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 부재
    를 포함하는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2. 제1항에서,
    상기 레이크 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결합된 레이크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크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인양 체인에 결합되어 있는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3. 제2항에서,
    상기 레이크 브라켓은
    상기 바디부와 접촉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 프레임,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강도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4. 제1항에서,
    상기 세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은 5 내지 20 mm 이며,
    상기 조목용 바 스크린의 바 사이의 눈금폭은 50 내지 100 mm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5. 제1항에서,
    상기 세목용 바 스크린의 바는
    상부 끝단으로 갈수로 두께가 증가된 역삼각 웨지 타입인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KR1020100021068A 2010-03-10 2010-03-10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KR10100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068A KR101003717B1 (ko) 2010-03-10 2010-03-10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068A KR101003717B1 (ko) 2010-03-10 2010-03-10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717B1 true KR101003717B1 (ko) 2010-12-24

Family

ID=4351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068A KR101003717B1 (ko) 2010-03-10 2010-03-10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7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29B1 (ko) 2012-03-23 2012-05-14 거림환경 주식회사 미세 협잡물처리용 웨지형 바 스크린을 포함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281001B1 (ko) 2013-05-15 2013-07-08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하수처리용 스크린 장치
KR101544800B1 (ko) 2014-10-27 2015-08-17 주식회사 가온텍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KR101978601B1 (ko) 2018-04-13 2019-05-14 경기도 부천시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102175110B1 (ko) * 2020-07-29 2020-11-05 김오연 협잡물 및 부유물 처리용 스크린장치
KR102325145B1 (ko) * 2021-03-05 2021-11-11 엔텍스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진기
KR102556655B1 (ko) * 2023-03-29 2023-07-19 주식회사 태경엔텍 다중 협잡물 제거용 제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592A (ja) 1997-07-07 1999-01-26 Kubota Corp 超微細目スクリーン
JPH11107250A (ja) 1997-09-30 1999-04-20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補助スクリーン付きレーキ循環式除塵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592A (ja) 1997-07-07 1999-01-26 Kubota Corp 超微細目スクリーン
JPH11107250A (ja) 1997-09-30 1999-04-20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補助スクリーン付きレーキ循環式除塵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29B1 (ko) 2012-03-23 2012-05-14 거림환경 주식회사 미세 협잡물처리용 웨지형 바 스크린을 포함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281001B1 (ko) 2013-05-15 2013-07-08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하수처리용 스크린 장치
KR101544800B1 (ko) 2014-10-27 2015-08-17 주식회사 가온텍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KR101978601B1 (ko) 2018-04-13 2019-05-14 경기도 부천시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102175110B1 (ko) * 2020-07-29 2020-11-05 김오연 협잡물 및 부유물 처리용 스크린장치
KR102325145B1 (ko) * 2021-03-05 2021-11-11 엔텍스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진기
KR102556655B1 (ko) * 2023-03-29 2023-07-19 주식회사 태경엔텍 다중 협잡물 제거용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717B1 (ko)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KR102161070B1 (ko) 수류 저항감소 구조를 갖는 회전식 제진기
KR101642238B1 (ko)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KR100969824B1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102243084B1 (ko) 제진기
JP2016036874A (ja) マグネット式チップコンベア
KR100949384B1 (ko) 제진기 스크린
KR101254450B1 (ko) 대형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제진기
KR101085460B1 (ko) 배수장용 락크바식 자동 제진기
KR101074826B1 (ko)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KR100655920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1259093B1 (ko) 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1403773B1 (ko) 제진기 틈새로 유입되는 잔존협잡물 차단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진기.
KR200332449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460482B1 (ko) 협잡물 수거기능이 향상된 레이크를 보유한 제진기
KR101254694B1 (ko) 제진기
KR101789253B1 (ko) 하폐수 처리용 수직형 스크린 장치
US20150027964A1 (en) Sewage screening system
KR20070038777A (ko) 각형 풀리식 협잡물 제거장치
KR102289179B1 (ko) 분할형 레이크를 구비한 제진기
KR20110022126A (ko) 무빙 스크린
TW201043338A (en) Density sieve machine for waste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