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554B1 -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554B1
KR101911554B1 KR1020120069957A KR20120069957A KR101911554B1 KR 101911554 B1 KR101911554 B1 KR 101911554B1 KR 1020120069957 A KR1020120069957 A KR 1020120069957A KR 20120069957 A KR20120069957 A KR 20120069957A KR 101911554 B1 KR101911554 B1 KR 10191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riction pad
disk
pressing member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131A (ko
Inventor
아츠시 오다이라
구니히로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06Noise or vibrat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41Resilient elements interposed directly between the actuating member and the brake support, e.g. anti-rattle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 부재와 마찰 패드 사이에 설치되는 압박 부재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압박 부재(11)의 본체부(12) 중, 디스크 로터와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접촉 판부(12A)에는, 마찰 패드(8)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압박하는 패드 복귀부(14)와, 패드 복귀부(14)의 위, 아래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측 네일부(15A), 하측 네일부(15B)를 형성한다. 압박 부재(11)의 상측 네일부(15A)를 상측 홈부(5A)에 마찰 저항을 가지고서 접촉시키고, 하측 네일부(15B)를 하측 홈부(5B)에 마찰 저항을 가지고서 접촉시킨다.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11)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15A)와 하측 네일부(15B)에 의해 허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DISK BAAKE}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 등의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디스크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어 디스크 로터의 외주측을 축 방향으로 걸치는 1쌍의 아암부를 가져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와, 이 부착 부재의 각 아암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캘리퍼와, 상기 부착 부재의 각 아암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캘리퍼에 의해 디스크 로터의 양면에 눌리는 1쌍의 마찰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재의 각 아암부와 마찰 패드 사이에는,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 로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설치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평성10-503267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의 패드의 끌림을 없애기 위해서, 부착 부재의 아암부와 마찰 패드 사이에 설치한 압박 부재에는, 마찰 패드를 비제동 위치로 되돌리는 기능과, 마찰 패드의 마모에 추종하여 상기 아암부에 대한 압박 부재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더불어 갖은 하나의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압박 부재의 스프링 부재는, 부착 부재의 아암부에 대하여 걸림 상태가 되는 부위가 조기에 마모되기 쉬워, 내구성, 수명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박 부재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설치되는 부착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디스크 로터에 대향하여 마찰재로 이루어지는 라이닝을 갖는 마찰 패드와,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디스크 로터를 향해서 누르는 캘리퍼와, 상기 부착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 패드의 이동 방향으로 뻗는 2개의 가이드면과, 그 2개의 가이드면에 접촉하며 상기 마찰 패드의 라이닝이 마모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크 로터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압박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디스크 로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상기 2개의 가이드면 중 한 쪽의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다른 쪽의 가이드면을 향해 그 압박 부재를 압박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가지며, 그 제2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가 상기 마찰 패드의 이동에 의해 미리 정해진 휘어짐량으로 탄성 변형될 때까지는 상기 부착 부재에 대한 상기 압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박 부재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부착 부재의 패드 가이드에 압박 부재를 통해 마찰 패드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마찰 패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패드 가이드와 압박 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압박 부재를 단일체로서 나타내고, 도 3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압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패드 가이드에 압박 부재를 통해 부착한 마찰 패드를 도 1 중의 화살표 V-V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마찰 패드가 제동 위치까지 변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5와 같은 위치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마찰 패드의 마모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도 5와 같은 위치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마찰 패드의 마모에 추종하여 압박 부재가 패드 가이드 내에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5와 같은 위치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압박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압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압박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압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압박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형태에 의한 압박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형태에 의한 마찰 패드를 패드 가이드에 압박 부재를 통해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16은 압박 부재를 마찰 패드의 귀부와 함께 도 15 중의 화살표 XVI-XVI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압박 부재를 마찰 패드와 함께 도 15 중의 화살표 XVII-XVII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 중의 패드 스프링을 단일체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7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캘리퍼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압박 부재를 마찰 패드 등과 함께 도 19 중의 화살표 XX-XX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 중의 압박 부재를 단일체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8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캘리퍼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부착 부재의 패드 가이드에 압박 부재를 통해 마찰 패드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9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캘리퍼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부착 부재의 패드 가이드에, 가이드 부재 및 압박 부재를 통해 마찰 패드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10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8은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은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를 나타내고, 이 디스크 로터(1)는, 예컨대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차륜(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도 1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차량이 후퇴할 때에는 화살표 A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2는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이며, 이 부착 부재(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로터(1)의 회전 방향(이하, 디스크 둘레 방향이라고 함)으로 이격되어 디스크 로터(1)의 외주를 걸치도록 디스크 로터(1)의 축 방향으로 뻗은 1쌍의 아암부(2A)와, 이 각 아암부(2A)의 기단측(基端側)을 일체화하도록 연결하여 설치되고, 디스크 로터(1)의 내측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고정되는 후육의 지지부(2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 부재(2)에는, 디스크 로터(1)의 외측이 되는 위치에서 아암부(2A, 2A)의 선단측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 빔(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착 부재(2)의 아암부(2A, 2A) 사이는, 디스크 로터(1)의 내측에서 지지부(2B)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외측에서 보강 빔(2C)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에는, 디스크 로터(1)의 축 방향(이하, 디스크 축 방향이라고 함) 중간부가 되는 위치에, 디스크 로터(1)의 외주(회전 궤적)를 따라서 원호형으로 뻗는 디스크 패스부(3)(도 1 중의 좌측 부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축 방향에서 디스크 패스부(3)의 양측에는, 내측, 외측의 패드 가이드(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아암부(2A)에는,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는 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핀 구멍 내에는, 후술하는 캘리퍼(6) 측의 미끄럼 이동 핀(도시하지 않음)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각 아암부(2A)의 패드 가이드(4)는, 도 1 중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コ자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후술하는 마찰 패드(8)가 미끄럼 이동 변위하는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즉, コ자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패드 가이드(4)는, 도 3, 도 5∼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측면부(4A)(이하, 상측 벽면(4A)이라고 함)와, 디스크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타측면부(4B)(이하, 하측 벽면(4B)이라고 함)와, 패드 가이드(4)의 안쪽에 위치하여 상측, 하측 벽면(4A, 4B) 사이를 연결하는 이면측 벽면(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과 하측 벽면(4B) 사이에는, 후술하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가 요철 감합되고, 이에 따라 귀부(9A)는, 상측 벽면(4A)과 하측 벽면(4B)을 따라서 디스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은, 브레이크 조작시에 발생하는 제동 토크를 마찰 패드(8)로부터 귀부(9A)를 통해 떠받치는 토크 받침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에는, 도 3, 도 5∼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어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는 한 쪽의 가이드면으로서의 상측 홈부(5A)가 형성되고, 패드 가이드(4)의 하측 벽면(4B)에는, 마찬가지로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어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는 다른 쪽의 가이드면으로서의 하측 홈부(5B)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홈부(5A)에는 후술하는 압박 부재(11)의 상측 네일부(15A)가 장착되고, 하측 홈부(5B)에는 후술하는 하측 네일부(15B)가 장착되어 있다.
플로우팅식의 캘리퍼(6)는 부착 부재(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캘리퍼(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로터(1)의 일측인 내측에 설치된 내측 레그부(6A)와,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 사이에서 디스크 로터(1)의 외주측을 걸치도록 내측 레그부(6A)로부터 디스크 로터(1)의 타측인 외측으로 뻗어 설치된 브릿지부(6B)와, 이 브릿지부(6B)의 선단측인 외측으로부터 디스크 로터(1)의 직경 방향 내향으로 뻗고, 선단측이 두 갈래 형상을 이룬 네일부로서의 외측 레그부(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캘리퍼(6)의 내측 레그부(6A)에는, 피스톤(7)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7)에는 피스톤 시일(7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레그부(6A)에는, 도 1 중의 좌측,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1쌍의 부착부(6D, 6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부착부(6D)에는, 각각 미끄럼 이동 핀(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들 미끄럼 이동 핀은, 캘리퍼(6) 전체를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핀 구멍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내측의 마찰 패드(8)와 외측의 마찰 패드(8)는,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크 로터(1)의 양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마찰 패드(8)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둘레 방향으로 대략 부채 형상을 이루어 뻗는 평판형의 뒷판(9)과, 이 뒷판(9)의 일면측에 고착하여 설치되고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마찰 접촉하는 라이닝(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라이닝(10)은 마찰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찰 패드(8)의 뒷판(9)에는, 디스크 둘레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부에 볼록부로서의 1쌍의 귀부(9A)가 설치되어 있다. 마찰 패드(8)의 각 귀부(9A)는,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과 하측 벽면(4B) 사이에 후술하는 압박 부재(11)를 개재하여 요철 감합된다. 뒷판(9)의 각 귀부(9A)는,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디스크 로터(1)로부터 마찰 패드(8)가 받는 제동 토크를 부착 부재(2)의 이면측 벽면(4C)에 접촉하여 전달하는 토크 전달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마찰 패드(8)(뒷판(9))의 각 귀부(9A)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이루어 좌, 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의 귀부(9A)는, 차량의 전진시에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1)의 회전 방향 입구측(돌아들어가기측)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귀부(9A)는, 디스크 로터(1)의 회전 방향 출구측(돌아나오기측)에 배치된다.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에는, 마찰 패드(8)의 각 귀부(9A)와 패드 가이드(4) 사이에 위치하여 합계 4개의 압박 부재(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각 압박 부재(11)는, 각각 내측, 외측의 마찰 패드(8)의 각 귀부(9A)를 각 패드 가이드(4) 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이들 마찰 패드(8)의 디스크 축 방향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변위를 매끄럽게 하는 기능을 가져, 패드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압박 부재(11)는, 후술하는 패드 복귀부(14)에 의해 마찰 패드(8)를 비제동 위치(제동 전의 복귀 위치)로 되돌리는 기능과,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었을 때에 그 마모에 추종하여 압박 부재(11)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압박 부재(11)는, 탄력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강판 등을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굽힘 가공(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압박 부재(11)는, 후술하는 본체부(12), 이면측 판부(13), 패드 복귀부(14), 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15A), 하측 네일부(15B), 복귀 규제부(16) 및 직경 방향 압박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압박 부재(11)의 각 부위에 대해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측」, 「상면」 또는 「상향」이라는 어구를, 디스크 로터(1)의 직경 방향 외측, 직경 방향 외측의 면 또는 직경 방향 외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용하고, 「하측」, 「하면」 또는 「하향」이라는 어구는, 디스크 로터(1)의 직경 방향 내측, 직경 방향 내측의 면 또는 직경 방향 내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압박 부재(11)의 본체부(12)는, 패드 가이드(4)의 상측, 하측 벽면(4A, 4B) 사이를 위, 아래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고,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대하여 디스크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 대향 판부로서의 접촉 판부(12A)와, 이 접촉 판부(12A)의 위, 아래 양끝쪽에 일체 형성된 2개의 오목부 대향 판부(12B, 12C)에 의해, 전체적으로는 コ자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의 접촉 판부(12A)는, 후술하는 패드 복귀부(14)가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휨 변형되었을 때에, 마찰 패드(8)의 귀부(9A)가 바로 접촉한다. 본체부(12)의 접촉 판부(12A)로부터는, 후술하는 패드 복귀부(14), 상측 네일부(15A) 및 하측 네일부(15B)가 뻗어나와 있다.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12B)는, 접촉 판부(12A)의 상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만곡되어 꺾여 구부러져, 오목부인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에 면 접촉한 상태로 대향 배치된다. 오목부 대향 판부(12B)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복귀 규제부(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12C)는, 접촉 판부(12A)의 하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만곡하여 꺾여 구부러져, 패드 가이드(4)의 하측 벽면(4B)에 면 접촉한 상태로 대향 배치된다. 오목부 대향 판부(12C)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직경 방향 압박부(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압박 부재(11)의 이면측 판부(13)는, 본체부(12)의 접촉 판부(12A)에 대하여 수직으로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에 넓게 면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되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면측 판부(13)는, 제동시에 마찰 패드(8)에 작용하는 제동 토크를 이면측 벽면(4C)과 함께 받아내는 기능을 갖고 있다. 압박 부재(11)는, 접촉 판부(12A)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디스크 축 방향에서 덮고, 후술하는 네일부(15A, 15B) 등에 의해 패드 가이드(4)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걸리게 되어 있다.
접촉 판부(12A)의 중앙에는, 제1 스프링 부재로서의 패드 복귀부(14)가 디스크 축 방향의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복귀부(14)는, 마찰 패드(8)를 디스크 로터(1)로부터 이격된 위치(복귀 위치)를 향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마찰 패드(8)의 귀부(9A)에 내면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접촉 판부(12A)에는, 패드 복귀부(14)의 위, 아래 양측으로 이격되어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15A), 하측 네일부(15B)가 대략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상측 네일부(15A)는, 패드 가이드(4)의 상측 홈부(5A)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되어, 압박 부재(11) 전체를 패드 가이드(4)의 하측 벽면(4B)(하측 홈부(5B))을 향해 압박한다. 하측 네일부(15B)는, 패드 가이드(4)의 하측 홈부(5B)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되어, 압박 부재(11) 전체를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상측 홈부(5A))을 향해 압박한다.
이 때문에, 압박 부재(11)는, 패드 복귀부(14)가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휨 변형되는 동안은, 상측 네일부(15A)와 하측 네일부(15B)에 의한 압박력(상측 홈부(5A)와 하측 홈부(5B)에 대한 마찰 저항)에 따라서 도시하는 위치에 멈춰, 압박 부재(11)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B, C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패드 복귀부(14)가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휨 변형되어, 귀부(9A)의 내측면이 접촉 판부(12A)에 바로 접촉하는 위치까지 정해진 휘어짐량 이상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는, 상측 네일부(15A)와 하측 네일부(15B)에 의한 압박력(상측 홈부(5A)와 하측 홈부(5B)에 대한 마찰 저항)에 관계없이, 압박 부재(11)는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B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측 홈부(5A)에 대한 상측 네일부(15A)의 마찰 저항과 하측 홈부(5B) 에 대한 하측 네일부(15B)의 마찰 저항은, 패드 복귀부(14)의 스프링력(압박력)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도 7, 도 8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11)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측 네일부(15A), 하측 네일부(15B)가 마모 추종부로서 허용하는 것이다.
본체부(12)의 오목부 대향 판부(12B)는, 상측 네일부(15A)를 사이에 두고 이면측 판부(13)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배치되고, 오목부 대향 판부(12B)의 선단측에는 복귀 규제부(1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복귀 규제부(16)는, 오목부 대향 판부(12B)의 선단측에서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그 도중 부위가 접촉 판부(12A)의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U자형으로 되꺾여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 규제부(16)의 선단부(16A)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 부재로서 형성되어, 패드 복귀부(14)에 의한 마찰 패드(8)의 복귀 위치를 규제한다.
즉, 마찰 패드(8)가 제동력의 해제에 따라 패드 복귀부(14)에 의해 복귀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에, 복귀 규제부(16)는, 그 선단부(16A)가 귀부(9A)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마찰 패드(8)가 이 이상으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마찰 패드(8)의 복귀 위치에서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가 복귀 규제부(16)의 선단부(16A)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패드 복귀부(14)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되고 있다.
본체부(12)의 오목부 대향 판부(12C)는, 하측 네일부(15B)를 사이에 두고 이면측 판부(13)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배치되고, 오목부 대향 판부(12C)의 선단측에는 직경 방향 스프링 부재로서의 직경 방향 압박부(1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직경 방향 압박부(17)는, 오목부 대향 판부(12C)의 선단측으로부터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그 도중 부위가 대략 C자형 또는 대략 U자형으로 되꺾임으로써, 그 선단측이 접촉 판부(12A)의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뻗은 탄성 연장 설치부(17A)로 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17)의 탄성 연장 설치부(17A)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압박하여, 오목부 대향 판부(12B) 및 복귀 규제부(16) 사이에서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탄성적으로 협지하고 있다.
즉, 도 2,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압박 부재(11)를 개재하여 패드 가이드(4) 내에 삽입했을 때에, 직경 방향 압박부(17)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와 패드 가이드(4)의 하측 벽면(4B)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직경 방향 압박부(17)의 탄성 연장 설치부(17A)는, 오목부 대향 판부(12B)(복귀 규제부(16))와의 사이에서 귀부(9A)를 디스크 로터(1)의 직경 방향 양측에서 협지하여, 마찰 패드(8)가 부착 부재(2)에 대하여 디스크 직경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 연장 설치부(17A)와 오목부 대향 판부(12B)가,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디스크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의 기능을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는 전술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어서 그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시에는, 캘리퍼(6)의 내측 레그부(6A)(실린더)에 브레이크액압을 공급함으로써 피스톤(7)을 디스크 로터(1)를 향해 미끄럼 이동 변위시키고, 이로써, 내측의 마찰 패드(8)를 디스크 로터(1)의 일측면에 누른다. 이 때에, 캘리퍼(6)는 디스크 로터(1)로부터의 압박 반력을 받기 때문에, 캘리퍼(6) 전체가 부착 부재(2)의 아암부(2A)에 대하여 내측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하여, 외측 레그부(6C)가 외측의 마찰 패드(8)를 디스크 로터(1)의 타측면에 누른다.
이에 따라, 내측과 외측의 마찰 패드(8)는, 도 1 중의 화살표 A 방향(차량의 전진시)에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 로터(1)를 양자 사이에서 축 방향 양측에서 강하게 협지할 수 있어, 이 디스크 로터(1)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는, 피스톤(7)에의 액압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내측과 외측의 마찰 패드(8)가 디스크 로터(1)로부터 이격되어, 다시 비제동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압박 부재(11)의 패드 복귀부(14)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도 6 중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압박하여, 복귀 규제부(16)의 선단부(16A)에 귀부(9A)를 닿게 한다. 즉, 마찰 패드(8)가 제동력의 해제에 따라 패드 복귀부(14)에 의해 복귀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에는, 귀부(9A)가 복귀 규제부(16)의 선단부(16A)에 접촉함으로써 복귀 위치가 규제된다. 한편,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시에는, 마찰 패드(8)가 캘리퍼(6)에 의해 디스크 축 방향(도 6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압박 부재(11)의 패드 복귀부(1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또한, 마찰 패드(8)의 귀부(9A)는,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 측에서 패드 가이드(4) 내에 압박 부재(11)를 통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직경 방향 압박부(17)의 탄성 연장 설치부(17A)에 의해 오목부 대향 판부(12B)(복귀 규제부(16)) 측을 향해 디스크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압박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 주행시의 진동 등에 의해 마찰 패드(8)가 디스크 로터(1)의 직경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하는 것을 압박 부재(11)의 직경 방향 압박부(17)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조작시에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복귀 규제부(16)와 직경 방향 압박부(17)의 사이에서 협지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내측, 외측의 마찰 패드(8)를 각 패드 가이드(4) 내에서 디스크 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런데,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은,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서서히 마모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압박 부재(11)를 패드 가이드(4) 내에서 디스크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는, 패드 복귀부(14)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복귀 규제부(16)의 위치까지 되돌리도록 하여, 브레이크의 끌림 등의 문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박 부재(11)의 본체부(12) 중, 디스크 로터(1)와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접촉 판부(12A)에는, 패드 복귀부(14)의 위, 아래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측 네일부(15A), 하측 네일부(15B)를 형성하여, 이들 네일부(15A, 15B)를 패드 가이드(4)의 상측, 하측 홈부(5A, 5B)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압박 부재(11)의 상측 네일부(15A)를 패드 가이드(4)의 상측 홈부(5A)에 대하여 마찰 저항을 가지고서 접촉시키고, 하측 네일부(15B)를 하측 홈부(5B)에 대하여 마찰 저항을 가지고서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패드 복귀부(14)가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휨 변형하는 동안은, 상측 네일부(15A)와 하측 네일부(15B)에 의한 상기 마찰 저항에 따라서 압박 부재(11)를 도시하는 위치에 멈추게 할 수 있어, 패드 가이드(4) 내에서 압박 부재(11)가 디스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었을 때에는, 이 라이닝(10)이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마찰 패드(8)가 캘리퍼(6)에 의해서 디스크 축 방향(도 7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상기 마모량 분만큼 크게 축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패드 복귀부(14)가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휨 변형되어, 귀부(9A)의 내측면이 접촉 판부(12A)에 바로 접촉하는 위치까지 정해진 휘어짐량 이상으로 탄성 변형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패드 복귀부(14)가 미리 정해진 휘어짐량 이상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는, 상측 네일부(15A)와 하측 네일부(15B)에 의한 압박력(상측 홈부(5A)와 하측 홈부(5B)에 대한 마찰 저항)에 상관없이, 압박 부재(11)를 패드 가이드(4) 내에서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도 7, 도 8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11)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15A)과 하측 네일부(15B)에 의해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패드 복귀부(14)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복귀 규제부(16)의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어, 차량 주행시에 있어서의 마찰 패드(8)의 끌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마찰 패드(8)의 복귀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페달 측에서의 페달 필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15A), 하측 네일부(15B)와 패드 복귀부(14)를, 압박 부재(11)의 접촉 판부(12A)에 서로 이격시켜 설치한 2종류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 부재(11)에 의한 마모 추종 작용과 패드 복귀 작용을 별도로 행할 수 있어, 상기 각 스프링 부재를 구성하는 패드 복귀부(14), 상측 네일부(15A), 하측 네일부(15B)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 조작을 동반하지 않는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시에는, 피스톤 시일(7A)의 탄성 변형량이 모자라는 관계로, 피스톤 시일(7A)에 의한 롤백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상태라도, 압박 부재(11)의 패드 복귀부(14)에 의해 내측의 마찰 패드(8)를 복귀 규제부(16)의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어, 캘리퍼(6) 측의 피스톤(7)과 함께 내측의 마찰 패드(8)를 디스크 로터(1)로부터 이격시켜, 마찰 패드(8)의 끌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압박 부재(11)를 내측과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내측과 외측의 마찰 패드(8)를 디스크 로터(1)로부터 동일한 클리어런스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캘리퍼(6) 전체를 디스크 로터(1)에 대하여 센터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저더(judder) 등의 NV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조작 등에 따라 차량에 횡가속도가 작용한 조건 하에서도, 횡가속도를 받은 마찰 패드(8)의 이동이 압박 부재(11)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디스크 로터(1)와 마찰 패드(8)와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플로우팅식의 캘리퍼(6)에서는, 피스톤 시일(7A)의 롤백량보다 마찰 패드(7)의 복귀량(즉, 압박 부재(11)의 패드 복귀부(14)에 의해 마찰 패드(8)를 복귀 규제부(16) 위치까지 되돌릴 때의 복귀량)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압박 부재(11)의 스프링력을 캘리퍼(6)에 대하여 마찰 패드(8)를 통해 작용시킬 수 있어, 캘리퍼(6)의 불안정한 거동을 억제하여, 래틀(rattle) 소리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도 9 및 도 10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마찰 패드의 귀부를 패드 가이드 내에서 압박 부재의 복귀 규제부에 대하여 보다 넓게 면 접촉시켜, 패드 복귀 위치에서의 마찰 패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21은 제2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압박 부재이며, 이 압박 부재(21)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11)와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압박 부재(21)의 본체부(22)는, 복귀 규제부(23)와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 24B)에 의해 전체적으로 コ자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 24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오목부 대향 판부(12B, 12C)와 마찬가지로, 오목부인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 하측 벽면(4B)에 면 접촉한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것이다.
즉,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는, 복귀 규제부(23)의 상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오목부 대향 판부(24A)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접촉 판부(2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24B)는, 복귀 규제부(23)의 하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오목부 대향 판부(24B)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접촉 판부(27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귀 규제부(23)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복귀 규제부(16)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8)의 귀부(9A)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 부재로서 형성되어, 후술하는 패드 복귀부(26)에 의한 마찰 패드(8)의 복귀 위치를 규제한다. 그러나, 이 경우의 복귀 규제부(23)는,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 24B)(즉, 패드 가이드(4)의 상측, 하측 벽면(4A, 4B)) 사이를 위, 아래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어,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대하여 디스크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 대향 판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에는, 이면측 판부(25)가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측 판부(25)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이면측 판부(13)와 거의 마찬가지로, 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에 면 접촉한 상태로 접촉되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면측 판부(25)의 하부측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부재로서의 패드 복귀부(26)가 디스크 축 방향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복귀부(26)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패드 복귀부(14)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8)를 디스크 로터(1)로부터 이격된 위치(복귀 위치)를 향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마찰 패드(8)의 귀부(9A)에 내면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다.
위, 아래의 접촉 판부(27A, 27B)는, 오목부 대향 판부(24A, 24B)의 선단측을 각각 디스크 직경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L자형으로 꺾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촉 판부(27A, 27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접촉 판부(12A)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패드 복귀부(26)가 도 9, 도 10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크게 휨 변형되었을 때에, 마찰 패드(8)의 귀부(9A)가 바로 접촉하는 것이다.
상측의 접촉 판부(27A)는,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 중 상측 네일부(28A)를 사이에 두고 이면측 판부(25)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배치되고, 패드 복귀부(26)의 선단측은, 접촉 판부(27A)의 하단보다 하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의 접촉 판부(27B)는,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24B) 중 상측의 접촉 판부(27A)와 디스크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직경 방향 압박부(29)는,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24B) 중 복귀 규제부(23)와 접촉 판부(27B)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촉 판부(27A, 27B)는,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대하여 디스크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 대향 판부를, 복귀 규제부(23)와 같은 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압박 부재(21)는, 복귀 규제부(23)와 접촉 판부(27A, 27B)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디스크 축 방향에서 덮어, 후술하는 네일부(28A, 28B) 등에 의해 패드 가이드(4)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걸려지는 것이다.
본체부(22)의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에는,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28A)가 뻗어나오고, 이 상측 네일부(28A)는, 오목부 대향 판부(24A)의 중앙부를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되꺾어 대략 L자형으로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2)의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24B)에는,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하측 네일부(28B)가 뻗어나오고, 이 하측 네일부(28B)는, 오목부 대향 판부(24B)의 중앙부를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되꺾어 대략 L자형으로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측 네일부(28A), 하측 네일부(28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네일부(15A, 15B)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21)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측 네일부(28A), 하측 네일부(28B)가 마모 추종부로서 허용하는 것이다.
본체부(22)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목부 대향 판부(24B)에는, 하측 네일부(28B)를 사이에 두고 접촉 판부(27B)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직경 방향 스프링 부재로서의 직경 방향 압박부(2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29)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직경 방향 압박부(17)와 같은 기능을 지니며, 마찰 패드(8)가 부착 부재(2)에 대하여 디스크 직경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직경 방향 압박부(29)는, 오목부 대향 판부(24B)의 상기 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상향(디스크 직경 방향의 비스듬히 외향)이며, 또한 디스크 둘레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대략 C자형 또는 대략 U자형으로 되꺾임으로써 형성되고, 그 선단측은 접촉 판부(27B) 방향으로 뻗은 탄성 연장 설치부(29A)로 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29)의 탄성 연장 설치부(29A)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압박하고, 오목부 대향 판부(24A)와의 사이에서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의 압박 부재(21)는, 그 본체부(22)를 복귀 규제부(23)와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 24B)에 의해 전체적으로 コ자 형상으로 꺾어 구부려 형성하고, 복귀 규제부(23)는,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24A, 24B) 사이를 위, 아래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디스크 축 방향의 외측에서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박 부재(21)는,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하여 패드 복귀부(26)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패드 가이드(4) 내에서 복귀 위치까지 되돌릴 때에, 상기 귀부(9A)를 복귀 규제부(23)에 대하여 넓게 면 접촉시킬 수 있어, 패드 복귀 위치에서의 마찰 패드(8)의 자세를 복귀 규제부(23)에 의해 안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2는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마찰 패드의 귀부를 디스크 둘레 방향으로부터 돌아나오기측을 향해 압박하는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를 압박 부재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31은 제3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압박 부재이며, 이 압박 부재(31)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11)와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압박 부재(31)의 본체부(32)는, 복귀 규제부(33)와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 34B)에 의해 전체적으로 コ자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 34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오목부 대향 판부(12B, 12C)와 마찬가지로, 오목부인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 하측 벽면(4B)에 면 접촉한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것이다.
즉,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는, 복귀 규제부(33)의 상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오목부 대향 판부(34A)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패드 복귀부(36)와 접촉 판부(37)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34B)는, 복귀 규제부(33)의 하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오목부 대향 판부(34B)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직경 방향 압박부(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귀 규제부(33)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복귀 규제부(16)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8)의 귀부(9A)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 부재로서 형성되어, 후술하는 패드 복귀부(36)에 의한 마찰 패드(8)의 복귀 위치를 규제한다. 그러나, 이 경우의 복귀 규제부(33)는,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 34B)(즉, 패드 가이드(4)의 상측, 하측 벽면(4A, 4B)) 사이를 위, 아래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어,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대하여 디스크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 대향 판부를 구성하고 있다.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34B)에는, 이면측 판부(35)가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 측으로 위쪽으로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측 판부(35)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이면측 판부(13)와 거의 마찬가지로, 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에 면 접촉한 상태로 접촉된다. 그러나, 이 경우의 이면측 판부(35)는, 그 상부측이 도 12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원호형으로 만곡된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35A)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3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압박 부재(31)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 중 디스크 돌아들어가기측에 위치하는 아암부(2A)(패드 가이드(4))와 마찰 패드(8)의 귀부(9A)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돌아들어가기측의 압박 부재(31)는, 이면측 판부(35)에 설치한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35A)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각 귀부(9A) 중 디스크 돌아들어가기측에 위치하는 귀부(9A)를 디스크 로터(1)의 돌아나오기측(도 1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약한 힘으로 항상 압박한다. 그리고, 디스크 로터(1)의 돌아나오기측에 위치하는 귀부(9A)는,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35A)의 압박력에 의해 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에 탄성적으로 내리눌린다.
이 경우,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 중 디스크 돌아나오기측에 위치하는 아암부(2A)(패드 가이드(4))와 마찰 패드(8)의 귀부(9A) 사이에는, 예컨대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21)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이면측 판부(35)에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35A)를 설치하지 않은 압박 부재(31)와 거의 동일한 압박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압박 부재(31)의 본체부(32) 중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에는, 후술하는 상측 네일부(38A)를 사이에 두고 접촉 판부(37)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제1 스프링 부재로서의 패드 복귀부(36)가 일체로 뻗어나와 있다. 이 패드 복귀부(36)는, 오목부 대향 판부(34A)의 선단측으로부터 디스크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패드 복귀부(36)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패드 복귀부(14)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8)를 디스크 로터(1)로부터 이격된 위치(복귀 위치)를 향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마찰 패드(8)의 귀부(9A)에 내면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다.
접촉 판부(37)는,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의 선단측을 디스크 직경 방향의 내측(하향)으로 L자형으로 꺾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 판부(37)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접촉 판부(12A)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패드 복귀부(36)가 도 11, 도 12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크게 휨 변형했을 때에, 마찰 패드(8)의 귀부(9A)가 바로 접촉하는 것이다.
또한, 접촉 판부(37)는,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대하여 디스크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 대향 판부를, 복귀 규제부(33)와 같은 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압박 부재(31)는, 복귀 규제부(33)와 접촉 판부(37)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디스크 축 방향에서 덮어, 후술하는 네일부(38A, 38B) 등에 의해 패드 가이드(4)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걸리게 되는 것이다.
본체부(32)의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에는,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38A)가 뻗어나와 있다. 이 상측 네일부(38A)는, 패드 복귀부(36)와 접촉 판부(37)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 대향 판부(34A)의 중앙부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되꺾어 대략 L자형으로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2)의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34B)에는,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하측 네일부(38B)가 뻗어나오고, 이 하측 네일부(38B)는, 오목부 대향 판부(34B)의 중앙부를 비스듬히 하향으로 되꺾어 대략 L자형으로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측 네일부(38A), 하측 네일부(38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네일부(15A, 15B)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31)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측 네일부(38A), 하측 네일부(38B)가 마모 추종부로서 허용하는 것이다.
본체부(32)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목부 대향 판부(34B)에는, 하측 네일부(38B)를 사이에 두고 이면측 판부(35)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직경 방향 스프링 부재로서의 직경 방향 압박부(3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39)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직경 방향 압박부(17)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마찰 패드(8)가 부착 부재(2)에 대하여 디스크 직경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직경 방향 압박부(39)는, 오목부 대향 판부(34B)의 선단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상향(디스크 직경 방향의 비스듬히 외향)이며, 또한 디스크 축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대략 C자형 또는 대략 U자형으로 되꺾임으로써 형성되고, 그 선단측은 복귀 규제부(33)의 방향으로 뻗은 탄성 연장 설치부(39A)로 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39)의 탄성 연장 설치부(39A)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압박하고, 오목부 대향 판부(34A)와의 사이에서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압박 부재(31)의 복귀 규제부(33)는,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34A, 34B) 사이를 위, 아래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디스크 축 방향의 외측에서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더구나, 제3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압박 부재(31)는, 디스크 돌아들어가기측에 위치하는 아암부(2A)(패드 가이드(4))와 마찰 패드(8)의 귀부(9A) 사이에 배치되는 돌아들어가기측의 압박 부재로 하고, 압박 부재(31)의 이면측 판부(35)에는,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35A)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마찰 패드(8)의 각 귀부(9A) 중 디스크 로터(1)의 돌아나오기측에 위치하는 귀부(9A)를,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35A)의 압박력에 의해 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에 탄성적으로 내리누른다.
이 때문에, 마찰 패드(8)가 차량 주행시의 진동 등으로 디스크 로터(1)의 둘레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하는 것을, 디스크 돌아들어가기측의 귀부(9A)와 패드 가이드(4) 사이에 설치한 압박 부재(31)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전진시의 브레이크 조작시에는, 마찰 패드(8)가 디스크 로터(1)로부터 받는 제동 토크(화살표 A 방향의 회전 토크)를, 돌아나오기측의 아암부(2A)(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에 의해 떠받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 토크에 의해서 마찰 패드(8)가 이동하여 이음(異音)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은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압박 부재의 마모 추종부가 되는 상측 네일부, 하측 네일부를 디스크 로터 방향으로 뻗어나오게 함으로써, 그 뻗어나오는 끝을 마모 검지부로서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41은 제4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압박 부재이며, 이 압박 부재(41)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21)와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고, 그 본체부(42)는, 복귀 규제부(43)와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44A, 44B)에 의해 전체적으로 コ자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44A, 44B)는, 후술하는 네일부(48A, 48B)에 의해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오목부 대향 판부(24A, 24B)와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44A)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이면측 판부(25)와 마찬가지로 이면측 판부(45)가 형성되고, 이면측 판부(25)의 하부측에는, 제1 스프링 부재로서의 패드 복귀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 아래의 접촉 판부(47A, 47B)와 탄성 연장 설치부(49A)를 가진 직경 방향 압박부(49)가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2)의 오목부 대향 판부(44A, 44B)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네일부(28A, 28B)와 거의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48A), 하측 네일부(48B)가 뻗어나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상측 네일부(48A)는, 오목부 대향 판부(44A)를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2분할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그 기단측은 복귀 규제부(43)의 상단측에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네일부(48A)는, 오목부 대향 판부(44A)의 상면보다 위쪽이 되는 위치가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뻗어나와 형성되고, 그 뻗어나오는 끝쪽은 마모 검지부(48A1)로 되어 접촉 판부(47A)보다 화살표 C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하측 네일부(48B)는, 오목부 대향 판부(44B)를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2분할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그 기단측은 복귀 규제부(43)의 하단측에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네일부(48B)는, 오목부 대향 판부(44B)의 하면보다 아래쪽이 되는 위치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뻗어나와 형성되고, 그 뻗어나오는 끝쪽은 마모 검지부(48B1)로 되어 접촉 판부(47B)보다 화살표 C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상측 네일부(48A), 하측 네일부(48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네일부(15A, 15B)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21)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측 네일부(48A), 하측 네일부(48B)가 마모 추종부로서 허용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4 실시형태에서도, 압박 부재(41)는,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하여 패드 복귀부(46)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패드 가이드(4) 내에서 복귀 위치까지 되돌릴 때에, 귀부(9A)를 복귀 규제부(43)에 대하여 넓게 면 접촉시켜, 패드 복귀 위치에서의 마찰 패드(8)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어,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의 압박 부재(41)에는,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48A), 하측 네일부(48B)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뻗어나와 형성하고, 그 뻗어나오는 끝쪽을 접촉 판부(47A, 47B)보다 화살표 C 방향으로 돌출된 마모 검지부(48A1, 48B1)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최대 마모 위치까지 마모되어 오면, 상측 네일부(48A), 하측 네일부(48B)의 마모 검지부(48A1, 48B1)가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접촉하여 이음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패드 마모, 즉 마찰 패드(8)가 교환 시기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어서, 도 14는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압박 부재의 마모 추종부가 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복수 개가 아니라, 1개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51은 제5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압박 부재이며, 이 압박 부재(51)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11)와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고, 그 본체부(52)는, 로터 대향 판부로서의 접촉 판부(52A)와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52B, 52C)에 의해 전체적으로 コ자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 부재(51)에는, 이면측 판부(53), 제1 스프링 부재로서의 패드 복귀부(54),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55), 선단부(56A)를 지닌 복귀 규제부(56) 및 탄성 연장 설치부(57A)를 지닌 직경 방향 압박부(57)가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압박 부재(51)에는, 접촉 판부(52A)의 상단측에 상측 네일부(55)가 설치되어 있을 뿐이며, 접촉 판부(52A)의 하단측에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11)와 같이 하측 네일부(15B)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측 네일부(55)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상측 네일부(15A)와 마찬가지로, 패드 가이드(4)의 상측 홈부(5A)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되어, 압박 부재(51) 전체를 패드 가이드(4)의 하측 벽면(4B)(하측 홈부(5B))을 향해 압박한다.
즉, 상측 홈부(5A)에 대한 상측 네일부(55)의 마찰 저항은, 패드 복귀부(54)의 스프링력(압박력)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도 7, 도 8 중에 예시한 것과 같이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51)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1개의 상측 네일부(55)가 마모 추종부로서 허용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5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의 압박 부재(51)에는,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 1개의 상측 네일부(5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어, 재료비,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5 내지 도 18은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마찰 패드를 디스크 로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스프링 부재를, 마찰 패드에 설치한 심판(shim plate)에 의해 구성한 데에 있다. 한편, 제6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61은 제6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압박 부재이며, 이 압박 부재(61)는, 후술하는 패드 스프링(62)과, 후술하는 심판(70)에 설치한 패드 복귀부(70B)에 의해 구성한 데에 있다. 여기서, 압박 부재(61)의 패드 스프링(62)은,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21)와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패드 스프링(62)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패드 복귀부(26)에 해당하는 제1 스프링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패드 스프링(62)은, 복귀 규제부(63)와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64A, 64B)에 의해 전체적으로 コ자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64A, 64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오목부 대향 판부(12B, 12C)와 마찬가지로, 오목부인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 하측 벽면(4B)에 면 접촉한 상태로 대향 배치된다.
즉,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64A)는, 복귀 규제부(63)의 상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오목부 대향 판부(64A)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접촉 판부(66)와 상측 네일부(6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64B)는, 복귀 규제부(63)의 하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오목부 대향 판부(64B)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하측 네일부(67B)만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귀 규제부(63)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복귀 규제부(16)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8)의 귀부(9A)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 부재로서 형성되어, 후술하는 패드 복귀부(70B)에 의한 마찰 패드(8)의 복귀 위치를 규제한다. 그러나, 이 경우의 복귀 규제부(63)는, 위, 아래의 오목부 대향 판부(64A, 64B)(즉,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4A), 하측 벽면(4B)) 사이를 위, 아래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64A)에는, 이면측 판부(65)가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측 판부(65)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이면측 판부(13)와 거의 같은 식으로, 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에 면 접촉한 상태로 접촉되는 평탄면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 판부(66)는,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64A)의 선단측을 하측(디스크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L자형으로 꺾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 판부(66)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접촉 판부(12A)와 같은 기능을 가져, 패드 복귀부(70B)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크게 휨 변형했을 때에, 마찰 패드(8)의 귀부(9A)가 후술하는 단차부(69)의 위치에서 바로 접촉하는 것이다.
접촉 판부(66)는,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64A) 중 상측 네일부(67A)를 사이에 두고 이면측 판부(65)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압박 부재(61)의 패드 스프링(62)은, 복귀 규제부(63)와 접촉 판부(66)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디스크 축 방향에서 덮어, 후술하는 네일부(67A, 68B) 등에 의해 패드 가이드(4)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걸리게 되는 것이다.
패드 스프링(62)의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64A)에는,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67A)가 뻗어나오고, 이 상측 네일부(67A)는, 오목부 대향 판부(64A)의 중앙부를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되꺾어 대략 L자형으로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패드 스프링(62)의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64B)에는,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하측 네일부(67B)가 뻗어나오고, 이 하측 네일부(67B)는, 오목부 대향 판부(64B)의 중앙부를 비스듬히 하향으로 되꺾어 대략 L자형으로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측 네일부(67A), 하측 네일부(67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네일부(15A, 15B)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61)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측 네일부(67A), 하측 네일부(67B)가 마모 추종부로서 허용하는 것이다.
패드 스프링(62)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목부 대향 판부(64B)에는, 이면측 판부(65)와 위, 아래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부측에 직경 방향 스프링 부재로서의 직경 방향 압박부(6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68)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직경 방향 압박부(17)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마찰 패드(8)가 부착 부재(2)에 대하여 디스크 직경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직경 방향 압박부(68)는, 오목부 대향 판부(64B)의 상기 단부으로부터 비스듬히 상향(디스크 직경 방향의 비스듬히 외향)이며, 또한 디스크 둘레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대략 C자형 또는 대략 U자형으로 되꺾임으로써 형성되고, 그 선단측은 탄성 연장 설치부(68A)로 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68)의 탄성 연장 설치부(68A)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압박하여, 오목부 대향 판부(64A)와의 사이에서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69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에 형성한 단차부이며, 이 단차부(69)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귀부(9A)의 내면측의 두께를 깎아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차부(69)가 패드 스프링(62)의 접촉 판부(66)에 접촉하는 위치를, 뒷판(9)과 라이닝(10)과의 접합면 S(도 17 참조)보다 한 단계 내리도록 화살표 B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어, 예컨대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최대 마모되었을 때에, 패드 스프링(62)의 접촉 판부(66)가 디스크 로터(1)에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면 부호 70은 마찰 패드(8)에 설치한 브레이크 울림 방지용의 심판으로, 이 심판(70)은, 마찰 패드(8)의 뒷판(9) 중 라이닝(10)과는 반대쪽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심판(70)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71)의 위치에서 볼트, 나사 부재 또는 코오킹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뒷판(9)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심판(70)은,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마찰 패드(8)의 뒷판(9)과 함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고,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다.
디스크 둘레 방향으로 뻗는 심판(70)의 양끝쪽에는, 뒷판(9)의 귀부(9A)를 따라서 뻗는 스프링 판부(70A)(한 쪽만 도시)가 설치되고, 이 스프링 판부(70A)의 선단(자유단)측은, 제1 스프링 부재로서의 패드 복귀부(70B)로 되어 있다. 스프링 판부(70A)는, 도 17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중 부분이 뒷판(9)의 귀부(9A)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산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고, 선단측의 패드 복귀부(70B)는, 패드 스프링(62)의 복귀 규제부(63)에 탄성 변형 상태(초기 휨이 주어진 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심판(70)은,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마찰 패드(8)의 뒷판(9)과 함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고, 귀부(9A)는 패드 스프링(62)의 복귀 규제부(63)로부터 멀어져, 단차부(69)가 접촉 판부(66)에 근접(또는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그러나, 패드 스프링(62)은, 예컨대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위치에 머물기 때문에, 패드 복귀부(70B)는, 복귀 규제부(63)에 접촉한 채로 도시하는 위치에 머문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는, 심판(70)의 스프링 판부(70A)에 의해 마찰 패드(8) 전체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되돌리도록 스프링력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마찰 패드(8)는 디스크 로터(1)로부터 이격된 위치(복귀 위치)를 향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압박된다.
한편,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었을 때에는, 이 라이닝(10)이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마찰 패드(8)가 캘리퍼(6)에 의해서 디스크 축 방향(도 16, 도 17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상기 마모량 분만큼 크게 축 방향에 눌려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패드 스프링(62)은, 귀부(9A)의 단차부(69) 측이 접촉 판부(66)에 바로 접촉하여 같은 방향으로 눌린다. 그리고, 이 때의 압박력이, 상측 네일부(67A)와 하측 네일부(67B)에 의한 압박력(상측 홈부(5A)와 하측 홈부(5B)에 대한 마찰 저항력)을 넘었을 때에는, 패드 스프링(62)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에서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도 16, 도 17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패드 스프링(62) 전체가 패드 가이드(4) 내를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67A)와 하측 네일부(67B)에 의해 허용할 수 있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6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심판(70)에 설치한 패드 복귀부(70B)에 의해 마찰 패드(8)의 귀부(9A)를 복귀 규제부(63)의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어, 차량 주행시에서의 마찰 패드(8)의 끌림을 없앨 수 있다.
더구나, 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67A), 하측 네일부(67B)와 심판(70) 측의 패드 복귀부(70B)를, 서로 다른 2종류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 부재(61)에 의한 마모 추종 작용과 패드 복귀 작용을 별도의 기능으로서 행할 수 있어, 상기 각 스프링 부재를 구성하는 상측 네일부(67A), 하측 네일부(67B)와 패드 복귀부(70B)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서는, 마찰 패드(8)의 귀부(9A)의 내면측에 단차부(69)를 형성하고, 단차부(69)가 패드 스프링(62)의 접촉 판부(66)에 접촉하는 위치를 뒷판(9)과 라이닝(10)과의 접합면 S(도 17 참조)보다 한 단계 내리도록 화살표 B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최대로 마모되었을 때에, 패드 스프링(62)의 접촉 판부(66)가 디스크 로터(1)에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마찰 패드(8)를 완전 마모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9 내지 도 21은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부착 부재의 각 아암부 사이를 디스크 둘레 방향으로 뻗는 압박 부재에 의해, 패드 복귀 작용과 마모 추종 작용을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7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81은 제7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부착 부재이며, 이 부착 부재(81)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부착 부재(2)와 마찬가지로, 1쌍의 아암부(81A), 후육의 지지부(81B), 보강 빔(81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착 부재(81)의 각 아암부(81A)에는, 내측, 외측의 패드 가이드(82)가 각각 コ자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패드 가이드(82) 내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8)의 귀부(9A)가 요철 감합되고, 이에 따라 귀부(9A)는, 디스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면 부호 83, 83은 부착 부재(81)에 설치된 1쌍의 가이드면을 구성하는 오목홈이며, 이 각 오목홈부(83)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홈부(5A, 5B)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8)의 이동 방향인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그러나, 오목홈부(83, 83)는, 부착 부재(81)의 각 아암부(81A) 중 패드 가이드(82)보다 하측(디스크 직경 방향의 내측)이 되는 위치이며, 또한 보강 빔(81C)의 상측(디스크 직경 방향의 외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오목홈부(83)는, 디스크 둘레 방향(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측, 우측 방향이라고 함)과 서로 대향하여 개구되는 コ자형의 오목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한 쪽의 오목홈부(83)는, 차량의 전진시에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1)의 회전 방향 입구측(돌아들어가기측)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오목홈부(83)는, 디스크 로터(1)의 회전 방향 출구측(돌아나오기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84는 부착 부재(81)의 각 오목홈부(83) 사이에 설치된 압박 부재이며, 이 압박 부재(84)는, 각 오목홈부(83) 측에 결합 상태로 부착되는 좌, 우 양측의 패드 스프링(85, 85)과, 이 각 패드 스프링(85)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서 부착 부재(81)의 각 아암부(81A) 사이를 보강 빔(81C)과 평행하게 뻗도록 형성된 후술하는 연결 판부(9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박 부재(84)의 각 패드 스프링(85)은, 연결 판부(92)의 좌, 우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패드 복귀 방향의 압박력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생하는 패드 복귀부(86)와, 이 패드 복귀부(86)에 대하여 대략 L자형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오목홈부(83)의 개구단측에 면 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이면측 판부(87)와, 이 이면측 판부(87)에 대하여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져 디스크 로터(1)와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로터 대향 판부(88)를 구비하고 있다. 패드 스프링(85)은, 패드 복귀부(86), 이면측 판부(87) 및 로터 대향 판부(88)에 의해 コ자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드 스프링(85)의 로터 대향 판부(88)에는, 패드 복귀부(86) 측을 향해 대략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마찰 패드(8)의 뒷판(9)에 접촉되는 복귀 규제부(89)와, 로터 대향 판부(88)의 선단측으로부터 디스크 둘레 방향(좌, 우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뻗는 접촉 판부(90)가 설치되어 있다. 복귀 규제부(89)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복귀 규제부(16)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8)의 뒷판(9)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 부재로서 형성되어, 패드 복귀부(86)에 의한 마찰 패드(8)의 복귀 위치를 규제한다.
접촉 판부(90)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접촉 판부(12A)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마찰 패드(8)와 함께 패드 복귀부(86)가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크게 휨 변형되었을 때에, 마찰 패드(8)의 뒷판(9)에 라이닝(10)을 피한 위치에서 바로 접촉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었을 때에는, 뒷판(9)이 접촉 판부(9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러 이동함으로써, 패드 스프링(85)은 후술하는 네일부(91)에 대항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패드 스프링(85)의 이면측 판부(87)에는,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네일부(91)가 뻗어나오고, 이 네일부(91)는, 이면측 판부(87)의 중앙부를 디스크 둘레 방향(좌, 우 방향)의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 부재(84)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는 패드 스프링(85)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 규제부(89)와 접촉 판부(90)에 의해 마찰 패드(8)의 뒷판(9)을 디스크 축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덮고, 좌, 우 양측의 네일부(91, 91)는, 부착 부재(81)의 각 오목홈부(83)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걸리게 되는 것이다.
좌, 우의 패드 스프링(85) 중 우측에 위치하는 패드 스프링(85)의 네일부(91)는, 디스크 돌아들어가기측에 위치하는 한 쪽의 오목홈부(83)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되어, 압박 부재(84) 전체를 디스크 돌아나오기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의 오목홈부(83)를 향해 압박된다. 또한, 도 19 중의 좌측에 위치하는 패드 스프링(85)의 네일부(91)는, 디스크 돌아나오기측의 오목홈부(83)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되어, 압박 부재(84) 전체를 디스크 돌아들어가기측의 오목홈부(83)를 향해 압박된다.
이 때문에, 압박 부재(84)의 각 패드 스프링(85)은, 좌, 우의 패드 복귀부(86)가 정해진 범위 내에서 휨 변형되는 동안은, 좌, 우의 네일부(91)에 의한 압박력(오목홈부(83)에 대한 마찰 저항)에 따라서 도 20에 도시하는 위치에 머물고, 패드 스프링(85)이 오목홈부(83)를 따라서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B, C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한편, 각 패드 복귀부(86)가 정해진 범위를 넘어서 크게 휨 변형되어, 뒷판(9)이 접촉 판부(90)에 바로 접촉하는 위치까지 정해진 휘어짐량 이상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는, 각 네일부(91)에 의한 압박력(오목홈부(83)에 대한 마찰 저항)에 상관없이, 압박 부재(84)의 각 패드 스프링(85)은 각 오목홈부(83) 내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오목홈부(83)에 대한 네일부(91)의 마찰 저항은, 패드 복귀부(86)의 스프링력(압박력)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84)의 각 패드 스프링(85)이 각 오목홈부(83)를 따라서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각 네일부(91)가 마모 추종부로서 허용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92는 좌측, 우측의 패드 스프링(85)과 함께 압박 부재(84)를 구성하는 연결 판부이며, 이 연결 판부(92)는, 좌측, 우측의 패드 스프링(85) 사이를 연결하는 가늘고 긴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부착 부재(81)의 각 아암부(81A) 사이를 보강 빔(81C)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연결 판부(92)의 양끝쪽은, 좌측, 우측의 패드 스프링(85)의 패드 복귀부(86)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판부(92)의 길이 방향 도중에는, 예컨대 2개의 부착 구멍(92A, 9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박 부재(84)는, 이들 부착 구멍(92A)에 삽입 관통되는 체결 부재(93)(예컨대, 비스, 볼트 등)에 의해 연결 판부(92)를 통해 마찰 패드(8)의 뒷판(9)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판부(92)의 양끝쪽과 좌측, 우측의 패드 복귀부(86)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판(9)의 표면으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탄성적으로 만곡되고, 복귀 규제부(89)는 뒷판(9)의 외측면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압박 부재(84)는, 좌측, 우측의 패드 스프링(85)을 부착 부재(81)의 좌측, 우측의 오목홈부(83) 사이에 부착할 때에, 이면측 판부(87)와 네일부(91)를 오목홈부(83) 측에 닿게(걸리게) 한다. 이 상태에서, 패드 복귀부(86)에는 탄성 변형에 의한 초기 휘어짐이 주어져, 마찰 패드(8)의 뒷판(9)은 복귀 규제부(89)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압박 부재(84)는, 마찰 패드(8)의 뒷판(9)과 함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고,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압박 부재(84)는,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마찰 패드(8)의 뒷판(9)과 함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고, 뒷판(9)은 패드 스프링(85)의 복귀 규제부(89)로부터 멀어져, 뒷판(9)의 내측면(라이닝(10)과의 접합면측)이 접촉 판부(90)에 근접(또는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한편, 패드 스프링(85)은 네일부(91)의 마찰 저항 등에 의해, 예컨대 도 20에 도시하는 위치에 멈추기 때문에, 패드 복귀부(86)는 휨 변형량이 커져, 마찰 패드(8)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되돌리는 압박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는, 압박 부재(84)의 좌측, 우측의 패드 복귀부(86)에 의해 마찰 패드(8) 전체가 화살표 B 방향으로 되돌려져, 뒷판(9)이 복귀 규제부(89)에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 패드(8)는 디스크 로터(1)로부터 이격된 위치(복귀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었을 때에는, 이 라이닝(10)이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마찰 패드(8)가 캘리퍼(6)에 의해서 디스크 축 방향(도 20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상기 마모량 분만큼 크게 축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패드 스프링(85)은, 뒷판(9)이 접촉 판부(90)에 바로 접촉하여 같은 방향으로 눌린다. 그리고, 이 때의 압박력이, 네일부(91)에 의한 압박력(오목홈부(83)에 대한 마찰 저항력)을 넘었을 때에는, 패드 스프링(85) 전체가 오목홈부(83)를 따라서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8)의 라이닝(10)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8)가 도 20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패드 스프링(85) 전체가 오목홈부(83)를 따라서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마모 추종부로서의 네일부(91)에 의해 허용할 수 있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7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연결 판부(92)의 좌, 우 양측에 설치한 패드 복귀부(86)에 의해 마찰 패드(8)의 뒷판(9)을 복귀 규제부(89)의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어, 차량 주행시에서의 마찰 패드(8)의 끌림을 없앨 수 있다. 더구나, 패드 스프링(85)의 패드 복귀부(86)와 마모 추종부로서의 네일부(91)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 부재(84)에 의한 마모 추종 작용과 패드 복귀 작용을 별도의 기능으로서 행할 수 있어, 각각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22 및 도 23은 제8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부착 부재의 각 아암부에 설치하는 패드 가이드를 볼록 형상으로 형성하고, 마찰 패드의 뒷판에는, 디스크 둘레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패드 가이드에 요철 감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8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01은 제8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부착 부재이며, 이 부착 부재(101)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부착 부재(2)와 마찬가지로, 1쌍의 아암부(101A), 후육의 지지부(101B), 보강 빔(101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부착 부재(101)의 각 아암부(101A)에는, 내측, 외측의 패드 가이드(102)가 각각 コ자 형상을 이루는 볼록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 형상을 이루는 패드 가이드(102)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측면부(102A)(이하, 상측 벽면(102A)이라고 함)와, 디스크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타측면부(102B)(이하, 하측 벽면(102B)이라고 함)와, 패드 가이드(102)의 돌출단측에 위치하여 상측, 하측 벽면(102A, 102B) 사이를 연결하는 돌출측 벽면(10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패드 가이드(102)의 상측 벽면(102A)과 하측 벽면(102B) 사이에는, 후술하는 마찰 패드(104)의 오목부(105A)가 요철 감합되고, 이에 따라 오목부(105A)는, 상측벽면(102A)과 하측 벽면(102B)을 따라서 디스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패드 가이드(102)의 돌출측 벽면(102C)은, 브레이크 조작시에 발생하는 제동 토크를 마찰 패드(104)로부터 오목부(105A)를 통해 떠받치는 토크 받침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패드 가이드(102)의 상측 벽면(102A)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어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는 한 쪽의 가이드면으로서의 상측 홈부(103A)가 형성되고, 패드 가이드(102)의 하측 벽면(102B)에는, 마찬가지로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어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는 다른 쪽의 가이드면으로서의 하측 홈부(103B)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홈부(103A)에는 후술하는 압박 부재(107)의 상측 네일부(113A)가 장착되고, 하측 홈부(103B)에는 후술하는 하측 네일부(113B)가 장착되어 있다.
도면 부호 104는 제8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마찰 패드이며, 이 마찰 패드(104)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마찰 패드(8)와 마찬가지로, 뒷판(105)과 라이닝(10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마찰 패드(104)의 뒷판(105)에는, 디스크 둘레 방향의 양측에 오목부(105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05A)는 볼록 형상을 이루는 패드 가이드(102)에 요철 감합되는 것이다.
도면 부호 107은 제8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압박 부재이며, 이 압박 부재(107)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11)와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 부착 부재(101)의 각 패드 가이드(102)와 마찰 패드(104)의 각 오목부(105A)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의 압박 부재(107)는, 볼록 형상을 이루는 패드 가이드(102)를 덮기 위해서 평판형으로 형성된 평판부(108)와, 이 평판부(108)의 위, 아래 양측에 L자형으로 꺾어 구부려 형성되어 상측 벽면(102A), 하측 벽면(102B)과 디스크 직경 방향(위, 아래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판부(109A, 109B)를 구비하고 있다.
압박 부재(107)는, 평판부(108)와 위, 아래의 대향 판부(109A, 109B)가 コ자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대향 판부(109A)에는, 비스듬히 상향으로 굴곡 형성된 제1 스프링 부재로서의 패드 복귀부(110)가 설치되고, 이 패드 복귀부(110)는, 마찰 패드(104)의 뒷판(105)에 접촉함으로써, 패드 복귀 방향의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평판부(108)에는, 패드 복귀부(110)와는 디스크 축 방향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여 복귀 규제부(111)가 설치되고, 이 복귀 규제부(111)는, 뒷판(105)의 표면에 오목부(105A)보다 디스크 둘레 방향 내측에서 접촉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복귀 규제부(16)와 마찬가지로, 마찰 패드(104)의 복귀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하측의 대향 판부(109B)에는, 패드 복귀부(110)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서 하향으로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접촉 판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 판부(112)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접촉 판부(12A)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마찰 패드(104)와 함께 패드 복귀부(110)가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크게 휨 변형되었을 때에, 마찰 패드(104)의 뒷판(105)에 라이닝(106)을 피한 위치에서 바로 접촉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찰 패드(104)의 라이닝(106)이 마모되었을 때에는, 뒷판(105)이 접촉 판부(112)를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러 이동함으로써, 압박 부재(107)는 후술하는 네일부(113A, 113B)에 대항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측의 대향 판부(109A)에는, 패드 복귀부(110)와는 디스크 축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113A)가 뻗어나오고, 이 상측 네일부(113A)는, 대향 판부(109A)의 일부를 비스듬히 하향으로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대향 판부(109B)에는, 접촉 판부(112)와는 디스크 축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제2 스프링 부재(마모 추종부)로서의 하측 네일부(113B)가 뻗어나오고, 이 하측 네일부(113B)는, 대향 판부(109B)의 일부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꺾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측 네일부(113A), 하측 네일부(113B)는, 패드 가이드(102)의 상측 홈부(103A), 하측 홈부(103B) 내에 탄성 변형 상태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되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네일부(15A, 15B)와 같은 식으로 기능한다. 즉,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104)의 라이닝(106)이 마모되고, 이에 추종하여 마찰 패드(104)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될 때에는, 압박 부재(107) 전체가 패드 가이드(102)의 상측 홈부(103A), 하측 홈부(103B)를 따라서 디스크 축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측 네일부(113A), 하측 네일부(113B)가 마모 추종부로서 허용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8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압박 부재(107)의 패드 복귀부(110)에 의해 마찰 패드(104)의 뒷판(105)을 복귀 규제부(111)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어, 차량 주행시에 있어서의 마찰 패드(104)의 끌림을 없앨 수 있다. 더구나, 압박 부재(107)의 패드 복귀부(110)와 마모 추종부로서의 네일부(113A, 113B)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 부재(107)에 의한 마모 추종 작용과 패드 복귀 작용을 별도의 기능으로서 행할 수 있어, 각각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24 및 도 25는 제9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부착 부재 측의 패드 가이드와 압박 부재 사이에 별개 부재인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여, 압박 부재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안정시키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9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21은 제9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가이드 부재이며, 이 가이드 부재(121)는, 예컨대 미끄럼 이동 특성이 좋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패드 가이드(4)의 내측에 감합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가이드 부재(121)는, 상측 판부(121A), 하측 판부(121B) 및 이면측 판부(121C)에 의해 대략 コ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져 형성되고, 상측 판부(121A)는, 상측 벽면(4A)를 하측에서 덮도록 상측 홈부(5A)를 가진 상측 벽면(4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판부(121B)는, 하측 벽면(4B)을 상측에서 덮도록 하측 홈부(5B)를 가진 하측 벽면(4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면측 판부(121C)는, 이면측 벽면(4C)을 내측에서 덮도록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21)의 상측 판부(121A)는,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어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는 한 쪽의 가이드면을 구성하고, 하측 판부(121B)는, 마찬가지로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어 디스크 축 방향으로 뻗는 다른 쪽의 가이드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면 부호 122는 가이드 부재(121)와 마찰 패드(8)의 귀부(9A)의 사이에 설치되는 압박 부재이며, 이 압박 부재(122)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11)와 거의 같은 식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23), 패드 복귀부(124), 마모 추종부로서의 상측 네일부(125A), 하측 네일부(125B), 복귀 규제부(126) 및 직경 방향 압박부(12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압박 부재(122)의 본체부(123)는, 디스크 로터(1)의 표면에 대하여 디스크 축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 대향 판부로서의 접촉 판부(123A)와, 이 접촉 판부(123A)의 위, 아래 양끝쪽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오목부 대향 판부(123B, 123C)에 의해, 전체적으로는 コ자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3)의 접촉 판부(123A)는, 패드 복귀부(124)가 도 25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크게 휨 변형되었을 때에, 마찰 패드(8)의 귀부(9A)가 바로 접촉한다. 본체부(123)의 접촉 판부(123A)로부터는, 패드 복귀부(124), 상측 네일부(125A) 및 하측 네일부(125B)가 뻗어나와 있다.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123B)의 선단측에는 복귀 규제부(126)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123C)의 선단측에는 직경 방향 압박부(1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압박 부재(122)에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이면측 판부(13)에 해당하는 부분이 폐지되어 있다. 즉, 압박 부재(122)를 가이드 부재(121) 내에 장입(裝入)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부재(121)의 이면측 판부(121C)가 상기 이면측 판부(13)와 마찬가지로 제동 토크를 받아내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9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9 실시형태에서는, 부착 부재(2) 측의 패드 가이드(4)와 압박 부재(122) 사이에 별개 부재인 가이드 부재(121)를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가이드 부재(121)에 대한 압박 부재(122)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26은 제10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캘리퍼에 설치한 피스톤을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10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31은 제10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캘리퍼이며, 이 캘리퍼(131)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캘리퍼(6)와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며, 내측 레그부(131A), 브릿지부(131B) 및 외측 레그부(13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캘리퍼(131)의 내측 레그부(131A)에는, 피스톤(132)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감합되는 실린더(133)가 형성되고, 실린더(133)의 개구단측에는 피스톤(132)과의 사이에 피스톤 시일(132A)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레그부(131A) 내에는, 피스톤(132)과 실린더(133) 사이에, 전동 모터(134), 차동 감속 기구(135) 및 회전-직동 변환 기구(13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직동 변환 기구(136)는, 예컨대 볼나사 기구, 볼램프 기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동 모터(134)의 회전 운동을 차동 감속 기구(135)로 감속하면서, 회전-직동 변환 기구(136)를 이용하여 피스톤(13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132)에 의해서 마찰 패드(8)를 디스크 로터(1)에 누름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0 실시형태에서도, 부착 부재(2)의 각 아암부(2A)와 마찰 패드(8) 사이에 압박 부재(예컨대, 제1∼제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박 부재(11, 21, 31, 41, 51, 61, 84, 107, 122 중 어느 것)를 설치함으로써, 각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압박 부재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コ자 형상의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패드 가이드(4)의 이면측 벽면(4C)에 의해 토크 받침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부착 부재의 각 아암부 중, 패드 가이드로부터 이격된 위치(패드 가이드와는 다른 위치)에 토크 받침으로서의 토크 받침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부착 부재(2)에 미끄럼 이동 핀을 통해 캘리퍼(6)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소위 플로우팅식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예로 하여 설명을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디스크 로터의 양면에 대향하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갖는 캘리퍼 본체가 차량의 비회전부에 고정되는, 소위 대향형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본 발명을 적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브레이크 패드가 미끄럼 이동하는 상기 캘리퍼 본체가 본 발명의 부착 부재를 구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발명에 관해서 설명한다. 압박 부재에는 스토퍼 부재가 설치되고, 이 스토퍼 부재는, 제1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마찰 패드가 디스크 로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마찰 패드에 접촉하여 상기 마찰 패드의 복귀 위치를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해 마찰 패드를 스토퍼 부재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어, 차량 주행시에서의 마찰 패드의 끌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마찰 패드의 복귀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페달 측에서의 페달 필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 부재와 마찰 패드는, 서로 요철 감합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마찰 패드를 부착 부재의 요철 감합부를 따라서 디스크 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압박 부재에 의한 마모 추종 작용과 패드 복귀 작용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 패드는 디스크 로터의 둘레 방향 단부가 되는 위치에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 부재에는 상기 볼록부가 요철 감합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볼록부를 디스크 로터의 축 방향에서 덮어 상기 오목부에 탄성 변형 상태로 걸리게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압박 부재에 의한 마모 추종 작용과 패드 복귀 작용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박 부재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와 제2 스프링 부재가 뻗어나오는 본체부를 가지며, 이 본체부는, 상기 오목부와 디스크 로터의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오목부 대향 판부와, 상기 디스크 로터와 그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로터 대향 판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프링 부재는 2개의 오목부 대향 판부의 한 쪽 또는 양쪽 측에 설치할 수 있고, 제1 스프링 부재는 제2 스프링 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로터 대향 판부로부터 뻗어나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오목부 대향 판부로부터 뻗어나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 부재와 제2 스프링 부재를 서로 이격된 위치에 2종류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박 부재에 의한 마모 추종 작용과 패드 복귀 작용을 별도의 기능으로서 행할 수 있어, 상기 각 스프링 부재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박 부재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뻗어나와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 로터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직경 방향 스프링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직경 방향 스프링 부재를 압박 부재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마찰 패드가 디스크 직경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여, 마찰 패드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 부재는, 디스크 로터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부착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1쌍 설치되고, 이 1쌍의 압박 부재 중, 돌아들어가기측의 압박 부재에는,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 로터의 둘레 방향에서 돌아나오기측을 향해 압박하는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마찰 패드가 차량 주행시의 진동 등에 의해 디스크 로터의 둘레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하는 것을, 디스크 돌아들어가기측의 압박 부재에 설치한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전진시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마찰 패드가 디스크 로터로부터 받는 제동 토크를, 돌아나오기측의 아암부에 의해 떠받칠 수 있어, 제동 토크에 의해서 마찰 패드가 이동하여 이음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캘리퍼에는,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 로터를 향해 누르는 피스톤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액 등의 작동 유체를 이용하는 일없이,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 해제를 행할 수 있다.
1 : 디스크 로터, 2, 81, 101 : 부착 부재, 2A, 81A, 101A : 아암부, 3 : 디스크 패스부, 4, 82, 102 : 패드 가이드, 5A, 103A : 상측 홈부(한 쪽의 가이드면), 5B, 103B : 하측 홈부(다른 쪽의 가이드면), 6, 131 : 캘리퍼, 7, 132 : 피스톤, 8, 104 : 마찰 패드, 9, 105 : 뒷판, 9A : 귀부, 105A : 오목부, 10, 106 : 라이닝, 11, 21, 31, 41, 51, 61, 84, 107, 122 : 압박 부재, 12, 22, 32, 42, 52, 123 : 본체부, 12A, 52A, 123A : 접촉 판부(로터 대향 판부), 12B, 24A, 34A, 44A, 52B, 64A, 109A, 123B : 상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 12C, 24B, 34B, 44B, 52C, 64B, 109B, 123C : 하측의 오목부 대향 판부, 13, 25, 35, 45, 53, 65, 87, 121C : 이면측 판부, 14, 26, 36, 46, 54, 70B, 86, 110, 124 : 패드 복귀부(제1 스프링 부재), 15A, 28A, 38A, 48A, 67A, 113A, 125A : 상측 네일부(제2 스프링 부재), 15B, 28B, 38B, 48B, 67B, 113B, 125B : 하측 네일부(제2 스프링 부재), 16, 56, 63, 89, 111, 126 : 복귀 규제부(스토퍼 부재), 17, 29, 39, 49, 57, 68, 127 : 직경 방향 압박부(직경 방향 스프링 부재), 23, 33, 43 : 복귀 규제부(스토퍼 부재, 로터 대향 판부), 27A, 27B, 37, 47A, 47B, 66, 90, 112 : 접촉 판부, 35A :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 55, 91 : 네일부(제2 스프링 부재), 62, 85 : 패드 스프링, 70 : 심판, 83 : 오목홈부(가이드면), 88 : 로터 대향 판부, 92 : 연결 판부, 108 : 평판부, 121 : 가이드 부재, 121A : 상측 판부(한 쪽의 가이드면), 121B : 하측 판부(다른 쪽의 가이드면)

Claims (10)

  1. 디스크 로터에 대향하여 마찰재로 이루어지는 라이닝을 갖는 마찰 패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고정되는 부착 부재와,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디스크 로터를 향해 누르는 캘리퍼와,
    상기 부착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 패드의 이동 방향으로 뻗는 2개의 가이드면과,
    상기 2개의 가이드면에 접촉하며 상기 마찰 패드의 라이닝이 마모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크 로터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본체부와,
    선단측이 상기 마찰 패드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가이드면 사이에 감합되는 귀부에 접촉하여 휨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디스크 로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상기 2개의 가이드면 중 한 쪽의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다른 쪽의 가이드면을 향해 상기 본체부를 압박하여 탄성 변형 상태로 간섭하여 설치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가 상기 마찰 패드의 이동에 의해 미리 정해진 휘어짐량으로 탄성 변형될 때까지는 상기 부착 부재에 대한 상기 압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에는 스토퍼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마찰 패드가 디스크 로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마찰 패드에 접촉하여 상기 마찰 패드의 복귀 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와 마찰 패드는, 서로 요철 감합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패드는 디스크 로터의 둘레 방향 단부가 되는 위치에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 부재에는 상기 볼록부가 요철 감합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볼록부를 디스크 로터의 축 방향에서 덮어 상기 오목부에 탄성 변형 상태로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와 제2 스프링 부재가 뻗어나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오목부와 디스크 로터의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오목부 대향 판부와, 상기 디스크 로터와 그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로터 대향 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로터 대향 판부로부터 뻗어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오목부 대향 판부로부터 뻗어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뻗어나와 상기 오목부 대향 판부의 내부에서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 로터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압박하는 직경 방향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디스크 로터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부착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1쌍 설치되고, 상기 1쌍의 압박 부재 중, 돌아들어가기측(回入側)의 압박 부재에는,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 로터의 둘레 방향에서 돌아나오기측을 향해 압박하는 둘레 방향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에는,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 로터를 향해 누르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20069957A 2011-06-30 2012-06-28 디스크 브레이크 KR101911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6727A JP5837343B2 (ja) 2011-06-30 2011-06-30 ディスクブレーキ
JPJP-P-2011-146727 201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31A KR20130004131A (ko) 2013-01-09
KR101911554B1 true KR101911554B1 (ko) 2018-10-24

Family

ID=4735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957A KR101911554B1 (ko) 2011-06-30 2012-06-28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16442B2 (ko)
JP (1) JP5837343B2 (ko)
KR (1) KR101911554B1 (ko)
CN (1) CN102853010B (ko)
DE (1) DE102012211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2176B2 (ja) * 2011-11-30 2014-05-14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キャリパボディ、キャリパボディのトルク受け部の溝加工方法
DE102012010932A1 (de) * 2012-06-01 2013-12-05 Lucas Automotive Gmbh Führungsmittel für eine Bremsbelanganordnung
DE102012016737A1 (de) * 2012-08-23 2014-02-27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mit plastisch deformierbarer Rückstellfeder und Rückstellfeder
DE102012024945A1 (de) * 2012-12-19 2014-06-26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und Bremsbelaganordnung mit rückstellender Federanordnung hierfür
JP5858244B2 (ja) * 2013-04-25 2016-02-1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FR3005127B1 (fr) * 2013-04-29 2015-04-17 Chassis Brakes Int Bv "frein a disque a patin de freins stabilises, et procedes associes d'assemblage et de remplacement d'un patin"
JP5900413B2 (ja) * 2013-05-22 2016-04-0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パッド押圧ばねと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ブレーキ
CN105492795B (zh) * 2013-06-19 2017-12-05 凯尔西-海耶斯公司 用于盘式制动组件的夹和包括这种夹的盘式制动组件
DE102014107401A1 (de) 2014-05-26 2015-11-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Bremssattel und Bremsbelagsatz für eine Scheibenbremse
CN104455093B (zh) * 2014-11-06 2016-11-3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低拖滞浮动式制动卡钳
DE102015226809A1 (de) * 2015-02-24 2016-08-25 Shimano Inc. Scheibenbremssattel, Bremsklotz-Baueinheit und Vorspannbauteil-Baueinheit
FR3033378B1 (fr) * 2015-03-06 2018-08-10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a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ressort de rappel elastique d'un patin de freinage, ressort de rappel elastique, glissiere de guidage et kit de remplacement"
CN105041925B (zh) * 2015-08-24 2019-01-08 泛博制动部件(苏州)有限公司 摩擦片主动回位机构
FR3046443A1 (fr) 2016-01-01 2017-07-07 Foundation Brakes France Guide de glissement de patin de garniture pour reduction du freinage residuel
KR102534995B1 (ko) * 2016-06-10 2023-05-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
US10012277B2 (en) * 2016-08-10 2018-07-03 E&G Corporation, LLc Bracket for brake caliper cover
DE102016010301A1 (de) * 2016-08-24 2018-03-01 Lucas Automotive Gmbh Festsattelscheibenbremse mit einem Führungselement zur Rückstellung einer Bremsbelaganordnung
US10415660B2 (en) 2016-12-08 2019-09-17 Kelsey-Hayes Company Brake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clip
JP6575503B2 (ja) 2016-12-22 2019-09-1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パッド組立体およびキャリパ
CN107269740A (zh) * 2017-07-28 2017-10-20 万向钱潮(上海)汽车系统有限公司 一种使摩擦片主动回位的弹簧片装置
CN107588127B (zh) * 2017-09-29 2023-10-24 浙江力邦合信智能制动系统股份有限公司 新型摩擦片系统
KR102209799B1 (ko) * 2018-07-27 2021-01-29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브레이크용 패드스프링 및 이를 갖춘 디스크브레이크
CN109296681A (zh) * 2018-12-10 2019-02-0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盘式制动器结构
CN110375025A (zh) * 2019-04-17 2019-10-25 芜湖伯特利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制动卡钳用回位装置
GB2588179B (en) * 2019-10-11 2023-10-04 Trw Ltd Brake Assembly
EP4069990B1 (en) * 2019-12-05 2024-05-2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Blank optimized brake slide clip with active retraction element
CN113483040A (zh) * 2021-07-05 2021-10-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卡簧、制动卡钳总成及车辆
US20230048529A1 (en) * 2021-08-16 2023-02-16 ZF Active Safety US Inc. Nested brake clip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654B2 (ja) * 1977-08-24 1985-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イスクブレ−キ
JPS6238033Y2 (ko) * 1981-01-17 1987-09-29
JPH0526354Y2 (ko) * 1989-09-01 1993-07-02
DE4110850A1 (de) * 1991-04-04 1992-10-08 Teves Gmbh Alfred Schwimmsattel-teilbelagscheibenbremse mit aktiv zurueckstellenden bremsbacken
JPH0723833A (ja) 1993-07-14 1995-01-27 Yoshihito Furuya 椅 子
JP2594902Y2 (ja) * 1993-10-05 1999-05-24 株式会社曙ブレーキ中央技術研究所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クリップ
JP3395342B2 (ja) * 1994-04-14 2003-04-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パッド戻し機構
FR2723158B1 (fr) 1994-07-28 1996-09-06 Alliedsignal Automotive Espana Patin et frein a disque l'utilisant
FR2800140B1 (fr) * 1999-10-26 2002-01-11 Bosch Gmbh Robert Ressort de guidage d'elements de friction et frein a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tel ressort
US6223866B1 (en) * 2000-06-30 2001-05-01 Kelsey-Hayes Company Damped pad spring for use in a disc brake assembly
GB0122970D0 (en) * 2001-09-25 2001-11-14 Trw Ltd Retraction mechanism for disc brake assembly
US7318503B2 (en) * 2004-04-26 2008-01-15 Akebono Corporation (North America) Pad retaining clips
FR2904990B1 (fr) * 2006-08-18 2009-07-10 Bosch Gmbh Robert Frein a disqu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US7969550B2 (en) 2007-04-19 2011-06-28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5047200B2 (ja) * 2009-01-21 2012-10-1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DE102009006285A1 (de) * 2009-01-27 2010-07-29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und Bremsbelaganordnung hierfür
JP2010236655A (ja) * 2009-03-31 2010-10-21 Nissin Kogyo Co Ltd 機械式ディスクブレーキ
JP5583533B2 (ja) * 2009-09-28 2014-09-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130192939A1 (en) * 2012-01-27 2013-08-01 Akebono Corporation (North America) Brake spring for a disc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211142A1 (de) 2013-01-03
JP2013015162A (ja) 2013-01-24
CN102853010A (zh) 2013-01-02
JP5837343B2 (ja) 2015-12-24
US20130001024A1 (en) 2013-01-03
KR20130004131A (ko) 2013-01-09
US9016442B2 (en) 2015-04-28
CN102853010B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55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75105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650190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74678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EP2787239A1 (en) Disc-brake device and calipers
JP484357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231322B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701216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63342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75759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11378146B2 (en) Disc brake
JP2013072502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668970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4296844A (en) Floating caliper type disc brake
JP614927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21275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H0817789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315579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11094696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9148281A (ja) 摩擦パッド
JP2005282717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6142295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092961A (ja) 浮動型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3155761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