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410B1 - 소자정렬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자정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410B1
KR101911410B1 KR1020170015347A KR20170015347A KR101911410B1 KR 101911410 B1 KR101911410 B1 KR 101911410B1 KR 1020170015347 A KR1020170015347 A KR 1020170015347A KR 20170015347 A KR20170015347 A KR 20170015347A KR 101911410 B1 KR101911410 B1 KR 10191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carrier plate
hole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909A (ko
Inventor
김상범
권용신
조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to KR102017001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4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정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캐리어플레이트가 적재되는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 로드플레이트가 적재되는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적층테이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의 적층체에 소자들을 공급하여 플레이트에 정렬시키는 정렬유닛;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에 적재된 캐리어플레이트와 상기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에 적재된 로드플레이트를 각각 픽업하여 상기 적층테이블에서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를 적층시키는 적재형 로봇;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들을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정렬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소자들을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에 균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정렬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소자정렬시스템{SYSTEM FOR INSERTING AND ARRANGING DEVICES}
본 발명은 소자정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층세라믹 칩콘덴서(Multi Layer Ceramic Condenser: MLCC)는 얇은 세라믹 유전체층과 내부 전극을 상호교대로 적층시킨 구조로, 정전용량을 높이면서 소형화한 것이다. 다층세라믹 칩콘덴서의 크기는 가로 0.6mm×세로 0.3mm×높이 0.2mm이며 그보다 더 작은 크기도 제작되고 있다. 다층세라믹 칩콘덴서는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등에 사용되고 있다. 다층세라믹 칩콘덴서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예로, 다층 세라믹스커패시터 제조공정은 그린시트를 성형하고 그린시트를 다수 개의 단위그린시트로 절단하고 단위그린시트에 배선을 프린팅하고 그 배선이 프린팅된 단위그린시트들을 적층하고 단위그린시트 적층체를 절단하고 그 절단된 적층체인 소자(칩)에 외부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층세라믹 칩콘덴서의 제조 공정 중 소자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외부 전극은 적층체인 소자의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그 소자의 양단에 도포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건조시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레지스터, 인덕터 등의 전자부품에 적용되기도 한다.
소자의 양단부에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내부에 다수 개의 관통홀들이 배열된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소자들을 각각 삽입하되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소자의 단부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50674호(2011. 07. 14. 등록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캐리어플레이트에 전자부품(칩)들을 펼쳐놓고 그 전자부품들을 불고 쓸어 전자부품들을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삽입하여 정렬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전자부품들이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잘 삽입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52964호(2014. 10. 14. 등록일)(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는 칩들이 수용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칩 정렬부에 원주 방향으로 캐리어플레이트를 접촉시키면서 칩 정렬부의 관통홀들을 수용된 칩들을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삽입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칩 정렬부의 관통홀들을 통해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로 칩들을 삽입하게 되므로 공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자들을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정렬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소자정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자들을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에 균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정렬시키는 소자정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통홀들이 구비된 캐리어플레이트가 적재되는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 관통홀들이 구비된 로드플레이트가 적재되는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적층테이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의 적층체에 소자들을 공급하여 소자들을 로드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정렬시키는 정렬유닛; 상기 적층체의 로드플레이트에 정렬된 소자들을 밀어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로 이동시키는 프레스유닛;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에 적재된 캐리어플레이트와 상기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에 적재된 로드플레이트를 각각 픽업하여 상기 적층테이블에서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를 적층시키는 적재형 로봇;을 포함하는 소자정렬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적재형 로봇의 앞에 상기 적층테이블이 위치하고, 상기 적층테이블의 한쪽 옆에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이 위치하고, 상기 적층테이블의 다른 한쪽 옆에 상기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의 앞에 상기 정렬유닛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형 로봇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집는 다중집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집게유닛은 엔드축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로드플레이트를 집는 제1 집게유닛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캐리어플레이트를 집는 제2 집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집게유닛은 간격이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로드플레이트를 집고, 상기 제2 집게유닛은 상기 제1 집게유닛의 움직임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간격이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캐리어플레이트를 집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집게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핑거들과,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들을 움직이는 제1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집게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핑거들과,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들을 움직이는 제2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측 영역에 배열된 다수 개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플레이트는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측 영역에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과 상응하게 배열된 다수 개의 관통홀들과, 상기 플레이트부의 한쪽 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한쪽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테두리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플레이트의 관통홀들과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이 서로 대응되게 상기 로드플레이트가 캐리어플레이트의 위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정렬유닛에서 적층체의 로드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소자들을 정렬시키고 프레스유닛에서 적층체의 로드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삽입 정렬된 소자들을 푸싱핀들이 밀어 적층체의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이동시키게 되므로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소자들을 정렬시키는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각각 삽입 정렬된 소자들의 높이가 균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형 로봇이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에 적재된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에 적재된 로드플레이트를 각각 픽업하여 적층테이블에서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를 적층시키고 그 적층체를 픽업하여 정렬유닛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자정렬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캐리어플레이트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로드플레이트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정렬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다중집게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자정렬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다중집게유닛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자정렬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자정렬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자정렬시스템의 일실시예는,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 적층테이블(300), 정렬유닛(400), 프레스유닛(600), 적재형 로봇(500)을 포함한다.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은 캐리어플레이트(10)가 적재된다. 캐리어플레이트(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부(11)와, 그 플레이트부(11)의 내측 영역에 배열된 다수 개의 관통홀(12)들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부(11)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12)을 플레이트부(11)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12)들은 플레이트부(11)의 내측 사각 영역에 걸쳐 바둑판 형태와 같이 정방 행렬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관통홀(12)들이 위치하는 내측 사각 영역(A1)과 그외의 테두리 영역(A2)의 재질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12)들이 위치하는 내측 사각 영역(A1)의 재질이 테두리 영역(A2)의 재질보다 연질이다.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의 일예로,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은 캐리어플레이트(10)가 수직 방향으로 적재되는 적재프레임(110)과, 그 적재프레임(110)을 상하로 움직이는 프레임구동유닛(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은 로드플레이트(20)가 적재된다. 로드플레이트(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21)와, 그 플레이트부(21)의 내측 영역에 배열된 다수 개의 관통홀(22)들과, 플레이트부(21)의 한쪽 면 외측 영역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한쪽 변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테두리돌출부(2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21)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플레이트(20)의 플레이트부(21)가 사각판 형상일 때 테두리돌출부(23)는 한쪽이 오픈되도록 플레이트부(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디귿자 형상이다. 테두리돌출부(23)의 폭과 높이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은 플레이트부(21)의 내측 사각 영역에 걸쳐 바둑판 형태와 같이 정방 행렬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과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은 서로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플레이트(20)를 캐리어플레이트(10)의 상면에 적층시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과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이 일대일로 대응되게 위치한다.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의 내경이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의 내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의 상단 테두리는 모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플레이트(20)를 캐리어플레이트(10)의 상면에 적층시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과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이 일대일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캐리어플레이트(10)의 양쪽 테두리에 각각 위치설정구멍(13)들이 구비되고 로드플레이트(20)의 하면에 위치설정구멍(13)들에 각각 삽입되는 위치설정돌기(24)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의 일예로,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은 로드플레이트(20)가 수직 방향으로 적재되는 적재프레임(210)과, 그 적재프레임(210)을 상하로 움직이는 프레임구동유닛(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테이블(300)은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가 적층된다. 적층테이블(300)에 캐리어플레이트(10)가 놓이고 그 캐리어플레이트(10)의 상면에 로드플레이트(20)가 적층된다. 적층테이블(300)은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과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유닛(400)은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의 적층체(B)에 소자들을 공급하여 소자들을 로드플레이트(20)에 정렬시킨다. 정렬유닛(400)은 적층체(B)가 안착되는 안착테이블(410)과, 그 안착테이블(410)을 진동시키는 진동기(420)를 포함한다. 적층체(B)가 안착테이블(4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의 상면에 소자들을 설정된 양으로 뿌리면서 진동기(420)가 안착테이블(410)을 진동시키게 되면 적층체(B)가 흔들리면서 로드플레이트(20)에 뿌려지는 소자들이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에 삽입되면서 정렬된다. 정렬유닛(400)은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의 앞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형 로봇(500)은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에 적재된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에 적재된 로드플레이트(20)를 각각 픽업하여 적층테이블(300)에서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를 적층시킨다. 또한, 적층체이블(300)에서 적층된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의 적층체(B)를 픽업하여 정렬유닛(400)으로 이동시킨다. 적재형 로봇(500)은 적층테이블(300)의 앞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형 로봇(500)의 일예로, 적재형 로봇(500)은 본체(510)와, 그 본체(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수평아암(520)과, 그 제1 수평아암(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수평아암(530)과, 그 제2 수평아암(530)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하 움직임 및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엔드축(540)과, 그 엔드축(540)에 결합되는 다중집게유닛(E)을 포함한다. 즉, 적재형 로봇(500)은 수평다관절로봇(일명, 스카라로봇)의 엔드축에 다중집게유닛(E)이 장착된 것이다.
다중집게유닛(E)의 일예로, 다중집게 유닛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드축(54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550)와, 베이스부재(550)에 장착되어 로드플레이트(20)를 집는 제1 집게유닛(560)과, 베이스부재(550)에 장착되어 캐리어플레이트를 집는 제2 집게유닛(57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재(55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엔드축(540)의 아래쪽 단부가 베이스부재(550)의 가운데에 결합된다. 제1 집게유닛(560)은 간격이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로드플레이트를 집거나 놓게 된다. 제2 집게유닛(570)은 제1 집게유닛(560)의 움직임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간격이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캐리어플레이트를 집거나 놓게 된다. 제1,2 집게유닛(560)(570)은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의 적층체를 함께 집거나 놓게 된다.
제1 집게유닛(560)은 베이스부재(55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핑거(561)들과,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을 움직이는 제1 구동유닛(56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을 구성하는 한 개의 제1 핑거(561)는 베이스부재(550)의 한쪽 변 테두리 부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 개의 제1 핑거(561)는 베이스부재(550)의 다른 한쪽 변 테두리부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제1 핑거(561)들이 각각 위치하는 베이스부재(550)의 변들은 서로 마주보는 변이며, 제1 핑거(561)는 그 변에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 핑거(561)와 베이스부재(550)의 사이에 엘엠가이드유닛(G)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 핑거(561)의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핑거(561)는 베이스부재(550)의 상면측에 위치하며 한쪽 단부가 제1 구동유닛(562)에 연결되는 수평부(561a)와, 그 수평부(561a)의 다른 한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수직부(561b)와, 그 수직부(561b)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베이스부재(550)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걸림부(561c)를 포함한다. 제1 구동유닛(562)은 각각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그 두 개의 엑츄에이터는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을 각각 직선 왕복 운동시킨다. 즉, 두 개의 엑츄에이터가 동시에 작동하여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을 왕복 운동시킴에 따라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로드플레이트(20)를 집거나 그 집은 것을 놓게 된다.
제2 집게유닛(570)은 베이스부재(55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핑거(571)들과, 그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을 움직이는 제2 구동유닛(57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을 구성하는 한 개의 제2 핑거(571)는 베이스부재(550)의 한쪽 변 테두리 부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 개의 제2 핑거(571)는 베이스부재(550)의 다른 한쪽 변 테두리부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제2 핑거(571)들이 각각 위치하는 베이스부재(550)의 변들은 서로 마주보는 변이며, 제2 핑거(571)는 그 변에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이 움직이는 방향은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이 움직이는 방향과 수직 방향이다. 제2 핑거(571)와 베이스부재(550)의 사이에 엘엠가이드유닛(G)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 핑거(571)의 일예로, 제2 핑거(571)는 베이스부재(550)의 상면측에 위치하며 한쪽 단부가 제2 구동유닛(572)에 연결되는 수평부(571a)와, 그 수평부(571a)의 다른 한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수직부(571b)와, 그 수직부(571b)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베이스부재(550)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걸림부(571c)를 포함한다. 제2 구동유닛(572)은 각각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그 두 개의 엑츄에이터는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을 각각 직선 왕복 운동시킨다. 즉, 두 개의 엑츄에이터가 동시에 작동하여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을 각각 왕복 운동시킴에 따라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캐리어플레이트(10)을 집거나 그 집은 것을 놓게 된다.
제2 핑거(571)의 수직부(571b)의 길이는 제1 핑거(561)의 수직부(561b)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개의 제2 핑거(57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한 쌍의 제1 보조핑거(573)들이 한 쌍의 제1 핑거(561)들 한쪽 옆에 구비되고, 다른 한 개의 제2 핑거(57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한 쌍의 제2 보조핑거(574)들이 한 쌍의 제1 핑거(561)들 다른 한쪽 옆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개의 제2 핑거(571)가 움직임에 따라 한 쌍의 제1 보조핑거(573)들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되며 그 한 쌍의 제1 보조핑거(573)들의 움직이는 방향은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의 움직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며 제2 핑거(571)의 움직이는 방향과 수직방향이다. 다른 한 개의 제2 핑거(571)가 움직임에 따라 한 쌍의 제2 보조핑거(574)들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되며 그 한 쌍의 제2 보조핑거(574)들의 움직이는 방향은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의 움직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며 제2 핑거(571)의 움직이는 방향과 수직방향이다. 제1 핑거(561)와 베이스부재(550)의 사이에 엘엠가이드유닛(G)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2 보조핑거(573)(574)는, 각각 베이스부재(550)의 상면측에 위치하며 한쪽 단부가 제2 핑거(571)와 연결되는 수평부와, 그 수평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수직부와, 그 수직부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베이스부재(550)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제2 핑거(571)와 제1 보조핑거(573)는 연동수단(D)에 의해 연결되고, 제2 핑거(571)와 제2 보조핑거(574) 또한 연동수단(D)에 의해 연결된다.
제2 핑거(571)의 수직부의 길이는 제1,2 보조핑거(573)(574)의 수직부의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550)의 아래에 소자들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감지유닛은 베이스부재(550)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감지플레이트(580)와, 그 감지플레이트(580)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59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감지플레이트(580)는 로드플레이트(20)의 테두리부(23) 안쪽 영역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베이스부재(550)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탄성지지수단(590)의 일예로, 탄성지지수단(590)은 베이스부재(550)에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가 감지플레이트(580)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핀(591)들과, 핀(591)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베이스부재(550)의 하면과 감지플레이트(58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코일스프링(592)을 포함한다. 감지플레이트(580)는 압축코일스프링(591)들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부재(550)와 간격을 유지하며 감지플레이트(580)의 하면에 상측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탄성력을 받으며 위로 움직이게 된다. 로드플레이트(20)와 캐리어플레이트(10)의 적층체를 제1,2 집게유닛(560)(570)이 집었을 때 감지플레이트(580)는 로드플레이트(20)의 테두리부 안쪽에 위치하며 감지플레이트(580)가 기울어지게 되면 로드플레이트(20)의 상면에 소자들의 위치나 배열이 잘못된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프레스유닛(600)은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에 정렬된 소자들을 밀어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로 이동시킨다. 프레스유닛(600)은 상하로 움직이는 푸싱핀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의 적층체(B)가 프레스유닛(600)으로 공급되면 프레스유닛(600)의 푸싱핀들이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에 각각 삽입되어 배열된 소자들을 밀어 적층체(B)의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로 이동시킨다. 정렬유닛(400)의 옆으로 프레스유닛(600)이 구비되고 정렬유닛(400)과 프레스유닛(600)의 사이에 제1 대기테이블(700)이 위치하고 프레스유닛(600)의 앞으로 제2 대기테이블(80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핑시스템의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 공급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적재형 로봇(500)의 작동에 의해 적재형 로봇의 다중집게유닛(E)이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으로 이동하고 제2 집게유닛(570)의 제2 구동유닛(572)이 작동하여 제2 집게유닛(570)의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이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에 적재된 캐리어플레이트(10)를 집게 된다. 적재형 로봇(500)의 작동에 의해 캐리어플레이트(10)를 적층테이블(300)에 위치시키고 제2 구동유닛(572)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에 움직이면서 집고 있던 캐리어플레이트(10)를 놓게 된다. 적재형 로봇(500)의 작동에 의해 적재형 로봇의 다중집게유닛(E)이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으로 이동하고 제1 집게유닛(560)의 제1 구동유닛(562)이 작동하여 제1 집게유닛(560)의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이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에 적재된 로드플레이트(20)를 집게 된다. 적재형 로봇(500)의 작동에 의해 로드플레이트(20)를 적층테이블(300)로 이동시켜 적층테이블(300)에 놓여진 캐리어플레이트(10) 위에 적층시키고 제1 구동유닛(562)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제1 핑거(561)들이 움직이면서 집고 있던 로드플레이트(20)를 놓게 된다. 이어, 제1,2 구동유닛(562)(572)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제1 핑거(561)들과 한 쌍의 제2 핑거(571)들이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의 적층체(B)를 집고 적재형 로봇(500)의 작동에 의해 적층체(B)를 정렬유닛(400)의 안착테이블(410)로 이동시켜 안착테이블(410)에 안착시킨다.
안착테이블(410)에 안착된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에 소자들을 뿌리면서 정렬유닛(400)의 진동기(420)로 적층체(B)를 진동시켜 로드플레이트(20)에 놓여지는 소자들을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에 삽입되도록 정렬시킨다. 로드플레이트(20)에 소자들을 정렬시키는 동안 적재형 로봇(500)이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에 적재된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에 적재된 로드플레이트(20)를 적층테이블(300)에서 적층시킨다.
정렬유닛(400)에서 소자들이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에 정렬이 완료되면 적재형 로봇이 정렬유닛(400)의 안착테이블(410)에 놓여진 적층체(B)를 픽업하여 제1 대기테이블(700)에 놓게 되고 제1 대기테이블(700)에 놓여진 적층체(B)는 프레스유닛(600)으로 공급된다. 프레스유닛(600)에서는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에 삽입되어 정렬된 소자들을 푸싱핀들이 밀어 적층체(B)의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로 각각 이동시킨다. 프레스유닛(600)에서 소자들의 이동이 완료된 적층체(B)는 제2 대기테이블(800)로 이동되고 제2 대기테이블(800)로 이동된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는 적재형 로봇(500)이 픽업하여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에 적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렬유닛(400)에서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에 소자들을 정렬시키고 프레스유닛(600)에서 적층체(B)의 로드플레이트(20)의 관통홀(22)들에 삽입 정렬된 소자들을 푸싱핀들이 밀어 적층체(B)의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에 이동시키게 되므로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에 소자들을 정렬시키는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캐리어플레이트(10)의 관통홀(12)들에 각각 삽입 정렬된 소자들의 높이가 균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형 로봇(500)이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100)에 적재된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200)에 적재된 로드플레이트(20)를 각각 픽업하여 적층테이블(300)에서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를 적층시키고 그 적층체(B)를 픽업하여 정렬유닛(400)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캐리어플레이트(10)와 로드플레이트(20)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100;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 200;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
300; 적층테이블 400; 정렬유닛(400)
500; 적재형 로봇 600; 프레스유닛

Claims (6)

  1. 관통홀들이 구비된 캐리어플레이트가 적재되는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
    관통홀들이 구비된 로드플레이트가 적재되는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적층테이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의 적층체에 소자들을 공급하여 소자들을 로드플레이트의 관통홀들에 정렬시키는 정렬유닛;
    상기 적층체의 로드플레이트에 정렬된 소자들을 밀어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로 이동시키는 프레스유닛;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에 적재된 캐리어플레이트와 상기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에 적재된 로드플레이트를 각각 픽업하여 상기 적층테이블에서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를 적층시키는 적재형 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형 로봇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와 로드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집는 다중집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집게유닛은 엔드축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로드플레이트를 집는 제1 집게유닛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캐리어플레이트를 집는 제2 집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집게유닛은 간격이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로드플레이트를 집고, 상기 제2 집게유닛은 상기 제1 집게유닛의 움직임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간격이 벌어지고 좁혀지면서 캐리어플레이트를 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정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형 로봇의 앞에 상기 적층테이블이 위치하고, 상기 적층테이블의 한쪽 옆에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이 위치하고, 상기 적층테이블의 다른 한쪽 옆에 상기 로드플레이트적재유닛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정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적재유닛의 앞에 상기 정렬유닛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정렬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핑거들과,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들을 움직이는 제1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집게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핑거들과,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들을 움직이는 제2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소자정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측 영역에 배열된 다수 개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플레이트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측 영역에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과 상응하게 배열된 다수 개의 관통홀들과, 상기 플레이트부의 한쪽 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한쪽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테두리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플레이트의 관통홀들과 캐리어플레이트의 관통홀들이 서로 대응되게 상기 로드플레이트가 캐리어플레이트의 위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정렬시스템.
KR1020170015347A 2017-02-03 2017-02-03 소자정렬시스템 KR10191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47A KR101911410B1 (ko) 2017-02-03 2017-02-03 소자정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47A KR101911410B1 (ko) 2017-02-03 2017-02-03 소자정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909A KR20180090909A (ko) 2018-08-14
KR101911410B1 true KR101911410B1 (ko) 2018-10-25

Family

ID=6323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347A KR101911410B1 (ko) 2017-02-03 2017-02-03 소자정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4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64B1 (ko) * 2013-11-14 2014-10-22 (주) 피토 전자부품용 칩 정렬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부품용 칩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64B1 (ko) * 2013-11-14 2014-10-22 (주) 피토 전자부품용 칩 정렬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부품용 칩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909A (ko)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9221B2 (ja) 積層装置
EP2903072B1 (en) Sheet material adhesive agent application method
JP5217503B2 (ja) シート積層装置およびシート積層方法
US9422117B2 (en) Chip feeder
JP3653630B2 (ja) チップ部品の向き整列方法
KR20180087825A (ko)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4848255B2 (ja) 樹脂モールド方法および樹脂モールド装置
JPH03142910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の積層方法および装置
JP5272048B2 (ja) シート体の搬送装置及び積層電池の製造装置
KR101911410B1 (ko) 소자정렬시스템
JPH0478118A (ja) 積層型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190089759A (ko) 적층장치 및 적층방법
JPH06255814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搬送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マニプレーター
JP5833265B1 (ja) 積層装置
CN112660811A (zh) 二次电池制造装置用取放装置
KR20180012000A (ko) 분리막 커팅 장치 및 분리막 커팅 방법
KR100924502B1 (ko) 칩형 전자부품을 정렬하여 캐리어플레이트에 공급하는 장치
KR100977850B1 (ko) 칩형 전자부품을 정렬시키는 칩 정렬장치
KR101815582B1 (ko) 소자의 외부전극 형성방법
KR100984162B1 (ko) 전자부품을 정렬시키는 칩 정렬장치
TW202138827A (zh) 電子部件測試用分選機
JP4735564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2767018B2 (ja) 電子部品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装置
KR101815587B1 (ko) 소자의 외부전극 형성시스템의 버퍼장치
US119845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ell st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