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00B1 - 무 가공물 및 이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무 가공물 및 이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00B1
KR101909600B1 KR1020170024700A KR20170024700A KR101909600B1 KR 101909600 B1 KR101909600 B1 KR 101909600B1 KR 1020170024700 A KR1020170024700 A KR 1020170024700A KR 20170024700 A KR20170024700 A KR 20170024700A KR 101909600 B1 KR101909600 B1 KR 10190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processing
color
radish
col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792A (ko
Inventor
손순랑
정대하
Original Assignee
손순랑
정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순랑, 정대하 filed Critical 손순랑
Publication of KR2017009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9Removing colour by chemical reaction, e.g.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무 뿌리의 가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무 섬유질 조직의 흰색과 초록색의 색소편차가 현저하게 해소된 탈색무로 가공이 가능하며, 가공된 탈색무의 수분을 감소시켜 착색이 용이한 투명한 탈수무로 가공하고 착색제를 부가하여 착색, 숙성시키면 무 본연의 색상과 충돌하지 않아 부가되는 착색제 색상으로 선명하게 착색된 착색무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 가공물 및 이의 가공방법{PROCESSED DAIKON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는 무 뿌리의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 가공물이 개시된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무 뿌리의 색상은 흰색이 주종을 이루고, 가공방법은 흰색의 무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건조시킨 후 무말랭이로 가공하여 식자재로 이용하고 있으며, 과자, 빵, 시리얼 등 식품가공 소재로는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공방법는 무 뿌리의 섬유질 특성, 무 뿌리의 영양분이 색상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절단하고 건조하여 무말랭이로 가공한 것이었다.
무말랭이는 건조되면 담백색의 색상을 띠나 서서히 갈변하여 갈색으로 색상이 변색된다. 또한, 상기 무말랭이를 건조한 후 색소를 부가하여 타색상으로 착색하여도 착색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 변색이 되기 시작하여 착색 목적을 상실하게 된다. 상기 변색은 보관 방법과 보관 기관에 따라 그 속도에 차이가 있으나 결국은 변색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 "알로에를 가미한 색상 무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말랭이(등록특허 10-1058792)"에서와 같이, 무 뿌리를 절단한 후 착색제를 부가하여 착색할 경우 무의 색소와 부가되는 착색제의 색소가 혼합되어 착색제가 의도하는 색상으로 착색이 되지 않고 무의 색과 착색제가 혼합된 색상으로 착색하게 된다.
이는 종래 무 뿌리 가공자들이 무 뿌리의 무기질 등 영양분이 색상에 영향을 미치는 점과 변색의 원인이 되는 점을 주지하지 못한 부분이다. 무 뿌리를 분쇄 또는 절단 후 탈색시키지 않거나 무 뿌리에서 영양분 일부 내지 전부를 제거하지 않고 착색하기 위하여 착색제를 부가하면 착색력이 강한 인공색소는 의도한 색상으로 착색이 가능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무 뿌리의 영양분이 갈변하여 변색이 되며, 천연색소로 착색하는 경우에는 의도하는 색상으로 착색이 용이하지 않고 이 또한 변색이 되어 가공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며, 타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열처리할 경우 무 뿌리 영양분이 열에 의해 변색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전의 가공방법인 무 뿌리를 착색 후 건조, 건조 후 착색하여도 무에 함유된 영양물질의 갈변으로 변색이 되며, 상기와 같이 착색된 무말랭이를 과자, 빵, 쨈, 씨리얼 등 다양한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열처리할 경우에도 또한 변색이 된다.
또 다른 문제점은 무말랭이에 착색을 하던 하지 않던 가공한 이후에 나타나는 무 뿌리 특유의 비호감 냄새는 무 뿌리 가공품을 식품가공에 사용하기 어렵게 만든다. 무 뿌리에 포함된 각종 무기질, 영양분 등이 건조된 무말랭이에 농축되어 농축된 영양분 등이 열과 습기, 공기와 접촉하면서 변색과 무 뿌리 특유의 비호감 냄새를 발현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본 제조방법에서는 무 뿌리의 탈색 또는 탈수를 통해 변색과 무 냄새의 원인이 되는 영양물질 일부 내지 전부를 제거하여 탈색무 또는 탈수무로 가공한 다음 착색함으로써 무 냄새 일부 내지 전부가 제거되고 선명한 색상으로 착색이 되며 변색이 용이하지 않은 무가공물을 제조하여 빵, 과자, 시리얼 등의 섬유질 식품가공소재로 사용하고자 한다.
한편, 무 뿌리 재배기술이 발달하여 해외에서 재배되던 검정, 빨강, 보라, 초록, 주황 등 다양한 색상의 컬러무 뿌리(이하, 컬러무로 칭한다)가 국내에서도 생산되기 시작하였으나 가공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컬러무는 색상이 균일하지 않고 색상 편차가 있어 균일한 색상의 식품가공용 소재로써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예컨대, 빨강무는 빨강색, 흰색, 주홍색 등이 서로 혼재된 성상을 갖고 있어 1개의 빨강무 속에서도 상, 하, 좌, 우의 색상이 차별되며, 또한 생산되는 모든 빨강무가 동일한 색상분포를 갖는 것도 아니어서 균일한 색상을 갖는 식품가공소재의 무 뿌리 가공물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즉, 종전의 가공방법으로 가공하면 빨강, 흰색, 주황색의 얼룩무늬 빨강무말랭이가 생산된다. 여기에 빨강 색소를 첨가하여 착색하여도 빨강은 진빨강, 흰색은 주황, 주황은 빨강색으로 착색되어 얼룩무늬 무말랭이로 가공된다. 이는 검정색무, 보라색무, 초록색무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재현된다.
이에 본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색상편차가 있는 컬러무를 가공하여 색상편차를 해소하고 균일한 색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컬러무를 분쇄, 착즙한 다음 색소 착즙액을 제거하여 상호간에 색소편차가 현저하게 해소된 탈색무로 가공한 후, 가공 전의 컬러무와 동일한 색소(가공 전의 제일 진한 색소와 동일한 색소로 예컨대, 빨강, 주홍, 흰색 중 빨강)와 가공 과정에서 제거된 색소 착즙액 또는 상기 착즙액을 농축한 농축액 중 하나 이상을 부가, 숙성, 착색하여 색상편차가 해소된 착색된 무가공물을 제조하여 식품가공소재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착색된 무가공물의 특징은 착색이 균일하며 얼룩무늬 무가공물과 대비하여 균일하게 착색된 무가공물을 제조할 수 있다. 종전의 가공방법으로는 얼룩무늬 무가공물이 생산되며, 종래기술 "알로에를 가미한 색상 무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말랭이(등록특허 10-105879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컬러무를 착색하는 경우에도 얼룩무늬가 생산된다. 이는 색소편차를 해소하지 않거나 탈색하지 않고 착색한 결과이다.
또 다른 무가공물의 문제점은 무에 포함된 섬유질과 수분, 영양분을 공급하는 섬유질 관다발이다. 종전의 가공방법은 무를 단순히 절단하여 무 건조물로 가공하여 질기거나 딱딱한 성상으로 식감이 불편하였고, 관다발 섬유질은 착색이 용이하지 않아 식품가공용 소재로 사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본 제조방법에서는 무를 분쇄 또는 절단하여 탈색무로 가공한 후 탈색무의 섬유질 세포막과 조직 및 섬유질 관다발의 섬유질 조직 중심부까지 조밀하게 파괴하고 섬유질 결을 이완시켜 착색과 식감이 용이한 섬유질로 가공하여 착색함으로써 섬유질 중심부까지 균일하게 착색된 무가공물의 제조방법과 착색된 무가공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007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의 가공방법에서는 무를 절단 또는 분쇄하여 절단무로 가공한 후 절단무의 색소 일부 내지 전부를 탈색시켜 탈색무 또는 절단무를 착즙하고 착즙액을 제거하여 색소 일부가 탈수된 탈수무로 가공하여 착색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탈색무의 섬유질 조직을 조밀하게 파괴시켜 착색제 부가시 착색제 침투가 용이한 성상의 섬유질로 가공함과 동시에 조밀한 섬유질 파괴로 식감이 용이한 성상의 섬유질로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공방법을 통하여 무의 영양분 일부 내지 전부를 제거하여 무 냄새 일부 내지 전부가 제거된 무가공물을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컬러무의 색소 일부 내지 전부를 탈색시켜 색소편차가 해소된 탈색무로 가공한 후 착색제를 부가하여 착색 및 숙성시켜 착색제 색상으로 균일하게 착색되고 착색제의 향과 맛이 부가된 착색된 무가공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색무를 추가로 더 가공하여 무 섬유질 조직 중심부까지 조밀하게 파괴하여 색상편차를 더 해소하고, 탈색, 탈수와 무 냄새 제거 및 책색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무가공물의 섬유질 식감을 부드러운 성상으로 가공하여 착색된 무가공물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킨 가공물을 제조하고자 한다.
상기 색소편차 해소는 색소편차가 있는 컬러무를 분쇄, 착즙한 후 착즙액을 제거하여 탈수무로 가공하면 컬러무의 진한 색소 부분는 착즙액으로 색소가 ??이 유출되고 색소가 적은 부분은 착즙 과정에서 유출된 색소에 의하여 착색되어 색소편차가 1차 해소되며, 1차 색소편차가 해소된 탈색무를 압착분쇄하면 섬유질 조직 깊숙히 파괴되어 색소 함량이 많은 섬유질은 섬유질 파괴로 색소가 더 유출되고 색소 함량이 적은 섬유질은 조직 파괴로 유출되는 색소에 의하여 쉽게 착색되어 2차 색소편차가 해소되며, 상기와 같이 색소편차가 해소된 탈수무를 색소로 착색하여 색소편차가 완전히 해소된 착색무를 가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무 뿌리를 분쇄 또는 절단하여 절단무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절단무에 함유된 색소를 탈색시켜 탈색무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탈색무의 총 함유 수분 중 10 내지 90 중량%를 제거하여 탈수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 뿌리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절단무는 10 cm3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는 절단무를 착즙하여 착즙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는 색소가 유출된 착즙액을 제거하여 1차 탈색한 다음 물에 침지와 세척을 반복하여 2차 탈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탈색시키는 단계는 1 내지 24 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탈색시키는 단계는 1 내지 10회 물에 침지 또는 물을 교체하여 실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는 절단무보다 색소 농도가 낮은 액체를 부가한 부가물에 절단무를 침지시켜 삼투압으로 절단무의 색소를 부가된 액체에 분산시킨 다음 부가된 액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분 제거는 압착, 착즙, 탈수, 반건조 및 건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정으로 가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공방법은 탈색무 또는 탈수무를 압착하여 섬유질 조직이 조밀하게 파괴된 압착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압착무는 탈색무 또는 탈수무의 총 면적 대비 1% 내지 100% 확장된 면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공방법은 탈색무, 탈수무, 또는 압착무에 착색제를 부가하여 착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착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는 탈색무, 탈수무 또는 압착무에 분말 착색제를 부가한 후 교반기로 교반하여 압착 등의 과정에서 접착된 탈색무, 탈수무 또는 압착무를 한개씩 낱개 입자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분말 착색제를 탈색무, 탈수무 또는 압착무의 수분에 흡수시켜 탈색무, 탈수무 또는 압착무를 착색시킨 후 잉여 착색분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착색제는 식물 분말, 식물편, 식물즙, 식물 농축액, 식물 열수추출액, 고추 분말, 설탕, 젤라틴, 당액, 포도당, 엿, 치즈, 쨈, 해조류, 천연색소, 인공색소, 식료품, 식품 첨가물 및 착색 가능한 컬러 색상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예; 커피, 춘장, 고추장, 주스, 겨자, 와사비, 간장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공방법은 착색무를 코팅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코팅제는 액상, 분말 또는 과립 성상의 한천, 미역, 다시마, 전분, 과당, 포도당, 설탕, 물엿, 젤라틴, 천연색소, 인공색소 및 식품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공방법은 착색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가공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 뿌리(예컨대, 착색무)와 곡물분말이 혼합된 무 가공물을 제공한다.
무 뿌리의 함유 색소는 대부분 흰색과 초록색 또는 예외적으로 빨간색, 검정색, 보라색 등의 유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무 뿌리에서 무즙을 분리 및 제거시켜 무에 함유된 색소 일부 내지 전부와 일부 영양소를 제거함으로써 탈색무로 가공하면 무 섬유질 조직의 흰색과 유색 등의 색소편차가 현저하게 해소된 탈색무로 가공되며, 가공된 탈색무를 물에 침지와 세척을 반복하여 2차 탈색 후 수분을 감소시켜 착색이 용이한 투명한 탈수무로 가공하고 착색제를 부가하여 착색, 숙성시키면 무 본연의 색상과 충돌하지 않아 부가되는 착색제 색상으로 선명하게 착색된 착색무의 제조가 가능하다. 더불어, 탈색무 또는 탈수무를 압착하여 섬유질 조직을 조밀하게 파괴하면 식감이 좋고 착색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착색무는 다양한 컬러 색상으로 착색이 가능하여 식품 가공의 섬유질 소재로서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압착으로 파괴된 무 섬유질은 식감이 좋고 식용이 검증된 섬유질로서, 무에 함유된 색소 제거와 탈색무의 제조 과정에서 무의 매운 맛과 냄새, 갈변 물질의 영양소가 일부 내지 전부 감소되어 착색 후에도 열과 공기, 빛에 노출되어도 쉽게 변색되지 않으며 유통과 보관이 용이하고 타식품재료와 혼합 가공하여도 무의 고유의 냄새와 색상 변질로 인한 식품 가공품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지 않아 식품 가공 소재로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착색무는 섬유질이 적은 밀가루 및 곡물 분말과 함께 가공하여 빵, 과자, 시리얼 등의 가공이 가능하고 섬유질이 없는 초코렛, 치즈, 우유와 혼합 가공할 수도 있으며 착색무를 당과 혼합, 발효, 숙성하여 가열하지 않고 착색무쨈 등으로도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무 뿌리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 뿌리는 십자화과(Brassicaceae)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예컨대, 무, 순무)의 뿌리와 명아주과(Chenopodiaceae)의 두해살이풀(예컨대, 사탕무, 비트)의 구근, 컬러 색상을 함유하는 구근(예컨대, 서양무)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가공방법은 무 뿌리를 가공에 용이한 크기 또는 최종적인 무가공물의 목적에 따른 크기로 분쇄 또는 절단하여 절단무(또는 분쇄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무 뿌리는, 분쇄 또는 절단하기 전에 전처리 가공을 수행하여 농약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것, 열처리하여 살균과 수분을 감소시킨 익힌 것, 물에 침지시켜 수분 함량을 증가시킨 것, 착색제로 착색시킨 것, 외피가 제거된 것 및 냉동 후 해동시킨 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절단무(또는 분쇄무)는 0 cm3를 초과하여, 10 cm3 이하, 또는 9 cm3 이하, 또는 8 cm3 이하, 또는 7 cm3 이하, 또는 6 cm3 이하, 또는 5 cm3 이하의 크기, 더욱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cm3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쇄 또는 절단하는 공정에서, 분쇄 또는 절단한 후에, 필요에 따라 소금, 식초, 백반, 탄닌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가공방법은 절단무에 함유된 색소를 탈색시켜 탈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탈색무는 무에 함유된 색소 중 일부 내지 전부를 제거하여 색소의 일부 내지 전부가 탈색된 것으로서, 탈색 정도는 목적으로 하는 가공물의 특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색 공정은 절단무를 착즙하여 착즙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절단무 속에 함유된 무의 색소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색 공정은 착즙액을 제거한 후 물에 침지와 세척을 반복하여 2차 탈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탈색 공정은 1 내지 24 시간, 또는 3 내지 24시간, 또는 1 내지 12시간, 또는 3 내지 12시간, 또는 6 내지 12 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탈색 공정은 1 내지 10회, 1 내지 7회, 1 내지 5회, 3 내지 10회, 3 내지 7회, 또는 3 내지 5회 물에 침지 또는 물을 교체하여 실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색 공정은 절단무보다 색소 농도가 낮은 액체를 부가한 부가물에 절단무를 침지시켜 삼투압으로 절단무의 색소를 부가된 액체에 분산시킨 다음 부가된 액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절단무보다 색소 농도가 낮은 식물의 분말, 건조편, 과립, 또는 상기의 성상으로 가공된 식물이 1 중량% 이상 함유된 식품 가공물 중 하나 이상을 부가, 혼합, 숙성시킨 다음 삼투압 방법으로 절단무의 색소를 부가된 식품 가공물에 분산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색 공정은 절단무를 탈색무로 가공한 이후 햇빛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탈색 공정은 절단무를 탈색시킬 수 있다면 상기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공정 중 하나 이상의 공정을 포함하여 탈색시킬 수 있다.
상기 가공방법은 탈색무의 총 함유 수분 중 10 내지 90 중량%, 또는 10 내지 80 중량%, 또는 10 내지 70 중량%, 또는 10 내지 60 중량%, 또는 10 내지 50 중량%, 또는 10 내지 40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를 제거하여 착색과 식감이 용이한 반투명 내지는 투명한 백색 성상의 탈수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분 제거 공정은 압착, 착즙, 탈수, 반건조 및 건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정으로 가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공방법은 탈색무 또는 탈수무를 압착하여 섬유질 조직이 조밀하게 파괴된 압착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무의 내/외부에 포함된 섬유질 내/외부 조직을 압착력으로 조밀하게 파괴하여 식감과 착색이 용이한 성상의 섬유질을 갖는 무가공물로 가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리적으로 섬유질 내/외부 조직을 조밀하게 파괴하여 착색과 식감이 용이한 섬유질로 가공하면 종전의 단순히 절단하여 가공한 무가공물의 섬유질보다 부드러운 성상의 섬유질로 변화된다. 부드러운 성상으로 변화된 무가공물의 섬유질은 착색제가 섬유질 조직 깊숙히 침투되어 조밀하게 파괴된 섬유질 조직 내/외부와 섬유질의 결과 결 사이를 착색, 코팅시킴으로써 파괴된 섬유질 간의 섬유질 재결합이 착색제로 인하여 방지되어 착색제는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는 유연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또는 건조 후에도 섬유질 식감이 부드러운 성상을 갖는 무가공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압착무는 압착 전과 비교하여 최초 면적보다 확장되어 압착무로 가공되며,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압착무는 탈색무 또는 탈수무의 총 면적 대비 1% 내지 100%, 또는 1% 내지 50%, 구체적으로 5% 내지 50%, 더욱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확장된 면적을 가짐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압착 공정은 요철이 있는 롤러와 요철이 없는 롤러 중 하나 이상의 롤러에 통과시켜 압착하는 단계; 압착프레스로 압착하는 단계; 콘베어밸트 위에 장착된 롤러와 밸트 사이를 통과시켜 압착하는 단계; 구멍에 압착 통과시켜 압착하는 단계; 마쇄하여 압착하는 단계; 및 타격하여 압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압착 공정은 섬유질을 파괴할 수 있다면 상기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공정 중 하나 이상의 공정을 포함하여 무를 압착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공방법은 압착무를 반건조 또는 건조하여 건조된 압착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된 압착무로 가공함으로써 추후 공정에서 액상의 착색제를 부가, 착색, 숙성하여 착색된 압착무를 가공할 경우 착색이 용이하고 균일한 착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가공방법은 탈수무, 탈색무 또는 압착무에 착색제를 부가하여 착색, 숙성시켜 착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를 부가하여 가공, 숙성시킴으로써 부가된 착색제 색상으로 착색되고 착색제의 향과 맛, 영양분이 부가된 착색무로 제조가 가능하다.
무의 색소 일부 내지 전부를 제거하지 않고 착색제로 착색할 경우 무의 색소와 착색제의 색소가 혼합된 색상으로 나타나 착색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착색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착색이 용이하지 않는 천연색소나 색상이 강하지 않고 연한 파스텔 색상의 착색제, 예를 들어 연분홍, 연두색 등으로 착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색이 용이하지 않으며, 착색이 강한 합성색소로 착색하는 경우에는 합성색소의 부가량을 증가시켜 착색하여도 무 함유 색상과 충돌로 인하여 의도하는 착색제 색상으로 선명한 착색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가공방법은 무에 함유된 색소 제거를 통해 선명한 착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무의 착색은 무 함유 색소의 제거량에 따라 선명한 착색 정도와 착색제의 부가량이 결정되며, 착색무의 가공은 천연 또는 합성 착색제의 부가량을 최소화하여 착색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착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는 성상과 형태에 관계 없이 무를 착색시킬 수 있는 색소를 함유하는 식용이 가능한 착색 소재를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 개념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착색제는 식물 분말, 식물편, 식물즙, 식물 농축액, 식물 열수추출액, 커피, 춘장, 고추장, 고추 분말, 설탕, 젤라틴, 당액, 포도당, 엿, 치즈, 쨈, 해조류, 천연색소, 인공색소, 식료품, 식품 첨가물 및 착색 가능한 컬러 색상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가공물 전체 중량에 대해 식물이 1 중량% 이상 포함된 식품 가공물, 농/수/축산 가공물, 가공된 인스턴트 식품, 식물즙, 상기 식물즙을 농축한 농축액, 상기 식물즙을 발효한 발효액 및 상기 식물즙을 당처리한 당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식물즙, 식물 농축액은 본 명세서의 가공방법에서 제거되었던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분말 착색제를 사용하는 분말 착색 가공 방법은 착색 대상의 무, 즉 식물편(탈색무, 탈수무 또는 압착무)에 분말 착색제를 부가한 후 교반기로 반복 혼합 교반하여 압착으로 접착된 식물편 입자를 낱개의 식물편으로 분리시키고 수분을 감소시켜 반건조 성상으로 가공함과 동시에 식물편의 외부를 착색제로 코팅시킬 수 있다. 식물편에 함유된 수분이 분말 색소를 흡수하여 착색될 수 있다. 또한, 착색된 식물편을 압착하여 압착력으로 분말 색소를 식물편의 파괴된 섬유질 조직 속으로 강제 침투시킨 후 일정기간 숙성하여 부가된 분말 착색제 색상으로 착색시킬 수 있으며 반건조 상태로 가공될 수 있다. 착색 이후에는 잉여 분말 착색제를 제거하면 분말 착색이 완성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액체, 페이스트, 반죽 및 농축액 중 하나 이상인 수분이 많이 포함된 액상 착색제 착색 가공 방법은 상기 착색제를 착색 대상의 무, 즉 식물편에 부가한 후 혼합 또는 침지하여 식물편의 내/외부를 착색제로 코팅시킬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 코팅시킨 후 롤러로 반복 압착하여 압착력으로 파괴된 식물편의 섬유질 내/외부 조직 속에 액상 착색제를 강제 침투시킨 후 일정기간 숙성하여 부가된 액상 착색제 색상으로 착색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착색 공정에 매염제를 첨가하여 착색할 수 있으며 매염제의 종류는 식용이 가능한 매염제로 제한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착색제를 부가하여 착색시킨 후 착색된 착색무를 열처리 숙성과정, 냉장/냉동 숙성과정, 액상 착색제에 침지시키는 숙성과정, 분말 착색제와 교반, 혼합 후 누름판으로 1 내지 12시간 눌러 숙성시키는 숙성과정, 반건조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과정 및 매염제 또는 식용 발효제를 부가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과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숙성과정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무의 숙성과정은 상기 숙성과정에 제한되지 않으며 균일하게 착색시킬 수 있다면 숙성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본 명세서에서 숙성 공정은 15℃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숙성 온도는 1℃ 이상, 3℃ 이상, 5℃ 이상, 7℃ 이상, 또는 10℃ 이상이면서 15℃ 이하, 13℃ 이하, 11℃ 이하, 9℃ 이하, 7℃ 이하, 또는 5℃ 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5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숙성 공정은 1 내지 120시간 동안 보관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숙성 시간은 1시간 이상, 10시간 이상, 20시간 이상, 30시간 이상, 40시간 이상, 또는 50시간 이상이면서 120시간 이하, 110시간 이하, 100시간 이하, 90시간 이하, 80시간 이하, 70시간 이하, 60시간 이하, 50시간 이하, 40시간 이하, 30시간 이하 또는 20시간 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20 내지 30시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가공방법은 색상편차가 있는 컬러무를 가공하여 색상편차를 해소하고 균일한 색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컬러무를 분쇄, 착즙하는 단계; 상기 색소 착즙액을 제거하여 상호간에 색소편차가 현저하게 해소된 탈색무를 제조하는 단계; 가공 전의 컬러무와 동일한 색소(가공 전의 제일 진한 색소와 동일한 색소로 예컨대, 빨강, 주홍, 흰색 중 빨강)와 상기 가공 과정에서 제거된 색소 착즙액 또는 상기 착즙액을 농축한 농축액 중 하나 이상을 부가, 숙성, 및/또는 착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상편차가 해소된 착색된 무가공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착색된 무가공물의 특징은 착색이 균일하며 종래 얼룩무늬 무가공물과 대비하여 균일하게 착색된 무가공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공방법은 착색무를 코팅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색무의 색상을 훼손하지 않고 착색무의 색상을 보호하는 투명한 코팅제로 코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색무의 탈색과 변색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타식품재료와 혼합하여 가공하였을 때 코팅된 착색무는 코팅으로 인하여 착색무의 색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타식품재료를 착색시키지 않으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착색무의 색소가 혼합되는 타식품재료에 번지지 않고 타식품재료 내에 착색무 자체로서 잔존할 수 있는 기능성이 부여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코팅제는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액상, 분말 또는 과립 성상의 한천, 미역, 다시마, 전분, 과당, 포도당, 설탕, 물엿, 젤라틴, 천연색소, 인공색소 및 식품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한 코팅이 가능한 한천 분말과 액상의 한천액, 전분액, 과당, 설탕액, 백색물엿, 등으로 착색무의 외부을 코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액상, 분말 또는 과립 성상의 한천, 미역, 다시마, 전분, 과당, 포도당, 설탕, 물엿, 젤라틴, 천연색소, 인공색소 및 식품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착색무와 동일한 색상의 착색제를 부가하여 제조한 착색액 또는 착색분말을 이용하여 착색무를 코팅함으로써 착색무와 동일한 색상의 코팅제로 코팅된 착색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색무 색상의 탈색과 변색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착색무 원래의 색상과 중복되어 착색무의 더욱 선명하고 균일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당류가 혼합된 착색액과 착색분말로 코팅할 경우 단맛의 부가는 물론 코팅된 착색무는 장기간 윤기가 유지되어 상품가치를 더욱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공방법은 착색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착색무를 곡물분말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무가공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가공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 뿌리, 예컨대 착색무와 곡물분말이 혼합된 무 가공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곡물은 현미, 백미, 흑미, 대두, 팥, 율무, 결명자, 메밀, 옥수수, 보리, 콩, 밀, 조, 기장 및 수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착색된 무가공물의 특징은 착색된 색상이 무 영양분의 갈변으로 인해 변색되지 않으며, 착색하는 과정는 탈색 후 착색하므로 착색하고자 하는 색상이 선명하게 구현되어 의도하는 색상으로 착색이 용이하며, 무 냄새와 갈변의 원인이 되는 영양물질을 제거하여 가공 후 또는 열처리 가공하여도 무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고 변색이 미미하여 식품가공소재로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더 향상된 무가공물로 제조하기 위하여 가공된 탈색무와 탈수무를 압착함으로써 무 섬유질 조직을 조밀하게 파괴하여 착색을 더 용이하게 가공하고 무 섬유질 식감을 더 부드러운 성상으로 가공하여 우수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색된 무가공물을 투명한 코팅액 또는 착색액과 동일한 색상을 갖는 코팅액으로 코팅함으로써 착색된 무가공물 색소 표면을 공기와 차단시켜 장기 유통에도 색상이 변색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무 뿌리를 분쇄하여 분쇄무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분쇄무를 착즙 및 압착하고 착즙액을 제거하여 탈색된 압착무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무에 착색제를 부가하여 착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색된 압착무는 무 뿌리의 영양소 및 색소가 제거되고, 섬유질 조직이 파괴되고, 압착 전과 대비하여 확장된 면적을 갖는 것인, 무 뿌리의 가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무는 5 cm3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인, 무 뿌리의 가공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색된 압착무로 가공하는 단계는 착즙액을 제거한 다음 물에 침지와 세척을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 뿌리의 가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에 침지와 세척을 반복하는 단계는 1 내지 10회 물에 침지 또는 물을 교체하여 실시되는 것인, 무 뿌리의 가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색된 압착무는 압착 전과 대비하여 1% 내지 100% 확장된 면적을 갖는 것인, 무 뿌리의 가공방법.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무로 가공하는 단계는 압착무에 분말 착색제를 부가한 후 교반기로 교반하여 접착된 압착무를 한개씩 낱개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분말 착색제를 압착무의 수분에 흡수시켜 압착무를 착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 뿌리의 가공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식물 분말, 식물편, 식물즙, 식물 농축액, 식물 열수추출액, 커피, 춘장, 고추장, 고추 분말, 설탕, 젤라틴, 당액, 포도당, 엿, 치즈, 쨈, 해조류, 천연색소, 인공색소, 식품 첨가물 및 착색 가능한 컬러 색상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무 뿌리의 가공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무를 코팅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 뿌리의 가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액상, 분말 또는 과립 성상의 한천, 미역, 다시마, 전분, 과당, 포도당, 설탕, 물엿, 젤라틴, 천연색소, 인공색소 및 식품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무 뿌리의 가공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 뿌리의 가공방법.
  16. 제 1항, 제 2항, 제 4항, 제 5항, 제 9항 및 제 1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 뿌리의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무 뿌리의 분쇄 가공물.
KR1020170024700A 2016-02-24 2017-02-24 무 가공물 및 이의 가공방법 KR101909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859 2016-02-24
KR20160021859 2016-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92A KR20170099792A (ko) 2017-09-01
KR101909600B1 true KR101909600B1 (ko) 2018-10-18

Family

ID=5992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700A KR101909600B1 (ko) 2016-02-24 2017-02-24 무 가공물 및 이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674B1 (ko) * 2018-09-12 2020-02-26 홍지연 향 및 영양성분이 강화된 차
KR102081673B1 (ko) * 2018-09-12 2020-02-26 홍수연 소화기능 증진을 유도하는 차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30A (ja) * 1993-07-06 1995-01-27 Yoneyama Shokuhin Kogyo:Kk 加工梅の製造方法
KR20090058161A (ko) * 2007-12-04 2009-06-09 김광순 무.건조차.음료수.제조방법.
KR101058792B1 (ko) 2008-07-24 2011-08-23 서현주 알로에를 가미한 색상 무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말랭이
KR101157634B1 (ko) * 2009-08-24 2012-06-19 세명농산영농조합법인 울금 압착 단무지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단무지
KR101190008B1 (ko) * 2010-07-20 2012-10-12 김은주 미역줄기의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92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659B1 (ko) 발효농축액의 제조방법
RU2012211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риса
KR101909600B1 (ko) 무 가공물 및 이의 가공방법
WO2015037840A1 (ko) 생홍고추와 고춧가루를 이용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N108835595B (zh) 玉米胚芽粕代替大豆粕的酱油酿造工艺
CH680591A5 (ko)
US2556579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citrus peel
US6455089B1 (en) Method for producing macaroni-type articles
KR100322247B1 (ko) 인삼잼의 제조방법
KR20180121201A (ko) 플라즈마 살균 우리밀 엿기름을 이용한 배즙식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8186B1 (ko) 착색식물편 및 이의 가공방법
KR101832745B1 (ko) 식물 혼합 가공물의 제조방법
KR101402700B1 (ko)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유색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유색막걸리
AU635431B2 (en) Method for preparing food containing single cell plant
Mahmudatussa’adah et al. Puree sweet potato substitution in wet noodle processing
KR101927849B1 (ko) 자색 고구마를 포함하는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과
KR20200076939A (ko) 단감 소 빵 제조방법
JPH044845A (ja) 野菜、果物、種子を含有したスナ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2883285A (en) Process of making bread-like baked goods
RU212981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для супов и соусов
KR102611783B1 (ko) 식용가능한 다공질화된 모과 껍질 및 과육을 포함하는 모과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33356B1 (ko) 천년초를 함유한 조청의 제조방법
KR20180094755A (ko) 색을 입힌 편강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편강
KR101975270B1 (ko)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KR101926824B1 (ko) 품질이 향상된 단풍 떡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