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155B1 -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 Google Patents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155B1
KR101909155B1 KR1020170151420A KR20170151420A KR101909155B1 KR 101909155 B1 KR101909155 B1 KR 101909155B1 KR 1020170151420 A KR1020170151420 A KR 1020170151420A KR 20170151420 A KR20170151420 A KR 20170151420A KR 101909155 B1 KR101909155 B1 KR 101909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ke
wire
handle
engag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홍준
최원석
정수훈
주범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웨이
Priority to KR102017015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1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 B62J11/13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mechanic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의 프레임 내부에 브레이크와이어 및 제어선 등의 배선을 내장함으로써, 사용자나 외부환경에 의하여 배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기 위한 것으로써, 주행방향을 조향하는 손잡이(210), 주행상태를 멈추는브레이크(220), 상기 손잡이(210) 및 브레이크가 고정된 핸들프레임(230), 상기 핸들프레임과 연결된 전방스테이 프레임(240) 및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모드스위치(250)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에 있어서, 모드스위치(250)와 연결된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220)과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221)는, 중공의 핸들프레임(230) 및 중공의 전방스테이 프레임(24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An electric bicycle which has frame inserted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선을 프레임에 내장하여, 외부 요인에 의하여 배선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전거(1)는 크게, 후륜(2), 전륜(3), 안장(4), 프레임부(10), 구동유닛(20), 배터리(5), 전동유닛(30) 및 핸들부(40)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부(10)는 상부 튜브프레임(11), 하부 튜브프레임(12) 및 안장지지 튜브프레임(13)로 구성되는 삼각형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는 후륜(2)측으로 뻗는 안장스테이(seat stay)(14)와, 전륜(3)측으로 뻗는 전방스테이(front stay)(15)를 더 포함한다.
전방스테이(15)는 단순히 지지기능만을 수행하는 지지컬럼 또는 지지기능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쇼크 업소버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동유닛(20)은 페달, 암, 스프로킷, 체인 등을 포함한다
전동유닛(30)은 배터리(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모터(31), 기어박스(32), 스프로킷, 체인 등을 포함한다.
핸들부(40)에는 상기 전동유닛(30)의 전동모터(31)와 배터리(5) 간의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모드 스위치(41)가 장착된다.
위와 같은 전기 자전거(1)는 상기 핸들부(40)의 모드 스위치(41)의 설정위치에 따라 수동모드의 전기 자전거 또는 자동모드의 전기 자전거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제어선 및 브레이크 와이어의 배선이 핸들 등 프레임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부(40)의 모드 스위치(41)를 오프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페달을 밟으면, 페달을 통해 구동유닛(20)의 스프로킷으로 가해지는 회전력이 체인을 통해 후륜(2)으로 전달되어 전기 자전거(1)가 전진될 수 있게 된다.
그 반대로, 핸들부(40)의 모드 스위치(41)를 온상태로 위치시키면, 배터리(5)로부터 전동유닛(30)의 전동모터(31)로 전류가 인가되어, 전동모터(31)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전동모터(31)의 회전속도가 기어박스(32)를 통해 감속되면서 구동 토크가 증가되고 이러한 증가된 구동 토크는 전동유닛(30)의 체인을 통해 구동유닛(20)의 스프로킷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유닛(20)의 체인을 통해 후륜(2)으로 전달되어 전기자전거(1)가 전진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자전거는 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모드스위치에 연결된 제어선과 브레이크 와이어 등의 배선이 프레임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거나, 비, 바람, 먼지 등의 외부요인에 의하여 배선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8351호(2014.02.07. 공고)
본 발명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전기자전거의 프레임 내부에 브레이크와이어 및 제어선 등의 배선을 내장함으로써, 사용자나 외부환경에 의하여 배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는, 주행방향을 조향하는 손잡이, 주행상태를 멈추는 브레이크, 손잡이 및 브레이크가 고정된 핸들프레임, 핸들프레임과 연결된 전방스테이프레임 및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모드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에 있어서, 모드스위치와 연결된 제어선 및 브레이크와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는, 중공의 핸들프레임 및 중공의 전방스테이 프레임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프레임 또는 전방스테이프레임의 내부에 가이드와이어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와이어의 외표면에 원호형의 제1탄성고정편이 형성되어, 제어선 및 브레이크와이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와이어의 외표면에 제2탄성고정편이 마주보고 형성되어, 제어선 및 브레이크와이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탄성고정편의 상단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그 아래에는 제3결합홈이 형성되고, 제1결합홈은 제2결합홈보다 크고, 제2결합홈은 제3결합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모드스위치에 연결된 제어선과 브레이크 와이어 등의 배선이 프레임에 내장되어, 배선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거나, 비, 바람, 먼지 등의 외부요인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와 간단한 배선구조를 채택하는 것으로 인하여 전기자전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자전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전기자전거 핸들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가이드와이어에 배선이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가이드와이어에 배선이 결합한 상태의 제2실시 예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전기자전거 핸들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전거는 주행방향을 조향하는 손잡이(210), 주행상태를 멈추는브레이크(220), 상기 손잡이(210) 및 브레이크가 고정된 핸들프레임(230), 상기 핸들프레임과 연결된 전방스테이프레임(240) 및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모드스위치(25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전기자전거와 다름이 없으므로, 여기에서는 상기 구성의 구체적인 기능 및 연동관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구성은 모드스위치(250)와 연결된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220)과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221)가, 중공의 핸들프레임(230) 및 중공의 전방스테이 프레임(240)에 내장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채택한 본원은 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모드스위치에 연결된 제어선과 브레이크 와이어 등의 배선이 프레임에 내장되어 있어, 배선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거나, 비, 바람, 먼지 등의 외부요인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효과와 간단한 배선구조를 채택하는 것으로 인하여 전기자전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 가이드와이어에 배선이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핸들프레임(230) 또는 전방스테이 프레임(240)의 내부에 가이드와이어(30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중공의 구조를 갖는 핸들프레임(230) 또는 전방스테이프레임(240)의 내부에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와이어(221)를 삽입할 때, 핸들프레임(230) 또는 전방스테이 프레임(240) 일측 끝단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와이어(221)가 핸들프레임(230) 또는 전방스테이 프레임(240)의 내부에서 구부러지거나, 절첩되어, 반대쪽 타단으로 인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력을 가지는 강철 재질의 가이드와이어(300)를 핸들프레임(230) 또는 전방스테이프레임(240)에 삽입하는데, 상기 가이드와이어(300)의 외표면에는 원호형의 제1탄성고정편(310)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탄성고정편(310)에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와이어(221)를 고정하여, 핸들프레임(230) 또는 전방스테이프레임(240)의 일측 끝단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와이어(300)에 고정된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와이어(221)는, 가이드와이어(300)의 직진성에 의하여, 핸들프레임(230) 또는 전방스테이프레임(240)의 일측 입구에서 타측 출구까지 용이하게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가이드와이어(300)의 구성은 브레이크와이어(221) 또는 제어선(251)이 중공의 다른 프레임을 관통하여 결합할 때도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 가이드와이어에 배선이 결합한 상태의 제2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300)의 외표면에는 제2탄성고정편(320)의 마주보고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제2탄성고정편(320)이 상단에는 제1결합홈(321)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제2결합홈(322)이 형성되며, 다음으로는 제3결합홈(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결합홈은 제2결합홈보다 크고, 제2결합홈은 제3결합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채택한 제2실시 예는, 굵기가 상이한 브레이크와이어 또는 제어선을 제1결합홈 내지 제3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배선의 굵기와 관계없이 배선을 가이드와이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는, 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모드스위치에 연결된 제어선과 브레이크 와이어 등의 배선이 프레임에 내장되어, 배선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거나, 비, 바람, 먼지 등의 외부요인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와 간단한 배선구조를 채택하는 것으로 인하여 전기자전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210:손잡이 220:브레이크
221:브레이크와이어 230:핸들프레임
240:전방스테이프레임 250:모드스위치
251:제어선 300:가이드와이어
310:제1탄성고정편 320:제2탄성고정편
321:제1결합홈 322:제2결합홈
323:제3결합홈

Claims (5)

  1. 주행방향을 조향하는 손잡이(210), 주행상태를 멈추는 브레이크(220), 상기 손잡이(210) 및 브레이크가 고정된 핸들프레임(230), 상기 핸들프레임과 연결된 전방스테이프레임(240) 및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모드스위치(250)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에 있어서,
    모드스위치(250)와 연결된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220)와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221)는, 중공의 핸들프레임(230) 및 중공의 전방스테이 프레임(240)에 내장되어 있되;
    상기 핸들프레임(230) 또는 전방스테이프레임(240)의 내부에 가이드와이어(3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300)의 외표면에 원호형의 제1탄성고정편(310)이 형성되어,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와이어(221)를 고정하며,
    또는 가이드와이어(300)의 외표면에 제2탄성고정편(320)이 마주보고 형성되어, 제어선(251) 및 브레이크와이어(221)를 고정하되;
    상기 제2탄성고정편(320)의 상단에는 제1결합홈(321)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제2결합홈(322)이 형성되며, 그 아래에는 제3결합홈(323)이 형성되고, 제1결합홈은 제2결합홈보다 크고, 제2결합홈은 제3결합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51420A 2017-11-14 2017-11-14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KR10190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20A KR101909155B1 (ko) 2017-11-14 2017-11-14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20A KR101909155B1 (ko) 2017-11-14 2017-11-14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155B1 true KR101909155B1 (ko) 2018-10-17

Family

ID=6409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420A KR101909155B1 (ko) 2017-11-14 2017-11-14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1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476B1 (ko) * 2011-07-22 2011-10-14 어울림엘시스 주식회사 가변 매핑을 지원하는 지능형 전기자전거 제어장치
US20170137081A1 (en) * 2015-11-13 2017-05-18 Yuan-Hung WEN Cable arranging system for bicy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476B1 (ko) * 2011-07-22 2011-10-14 어울림엘시스 주식회사 가변 매핑을 지원하는 지능형 전기자전거 제어장치
US20170137081A1 (en) * 2015-11-13 2017-05-18 Yuan-Hung WEN Cable arranging system for bi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079B2 (en) Wheel assembly of mobile robot
FR2885828A1 (fr) Outil d'enfoncement a fonctionnement electrique
EP3031643B1 (en) Sliding window for vehicle, and trim board fixing method
WO2005100082A3 (de) Antriebseinheit für einen fahrzeugsitz
KR101887699B1 (ko) 차량용 페달 수납 장치
EP1022210A4 (en) MOTOR AND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A2536560A1 (en) Rough-terrain traveling vehicle provided with electrically-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909155B1 (ko) 프레임에 배선이 내장된 전기자전거
JP2009196013A5 (ko)
EP2712792B1 (en) Saddle-ride type vehicle blinker device
ATE281967T1 (de) Kettenfahrzeug
JPH11191337A (ja) コードスイッチ
JP3458005B2 (ja) 自動車ドア用配線構造
JP5906404B2 (ja) 電動自転車
JP5913494B2 (ja) 接触センサ
JP2006294629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異物挟み込み防止装置
KR20190056841A (ko) 파지방식으로 체결되는 도어의 프레임 가니쉬 어셈블리
JP4950863B2 (ja) ワイパ装置
KR10171315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JP4680848B2 (ja) 挟み込み検出装置及び感圧センサの製造方法
JP3824721B2 (ja) グロメット
JPH08175448A (ja) 小型車両の電装部防水構造
KR880001659Y1 (ko) 소형 노면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KR200141894Y1 (ko) 스티어링컬럼 스위치용 스위치커버
JP3263942B2 (ja) 自動車用コーナポ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