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295B1 - 충전 커넥터 및 그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충전 커넥터 및 그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295B1
KR101908295B1 KR1020177020726A KR20177020726A KR101908295B1 KR 101908295 B1 KR101908295 B1 KR 101908295B1 KR 1020177020726 A KR1020177020726 A KR 1020177020726A KR 20177020726 A KR20177020726 A KR 20177020726A KR 101908295 B1 KR101908295 B1 KR 10190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charging connector
arch portion
electrode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309A (ko
Inventor
타오 천
촨룽 판
Original Assignee
치구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구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치구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98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24Electronic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4Means for facilitating stowing or transporting of the trolleys; Antithef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16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mounted on the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24Suit-cases, other lugg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가 적재된 본체,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전극플레이트 및 제2전극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는 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전극플레이트 또는 제2전극플레이트는 굽은 높이가 가변되는 탄성 아치부를 구비하는,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해당 충전 커넥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를 더 제공한다. 해당 충전 커넥터가 전후로 직렬연결 시, 전방 충전 커넥터의 제2전극과 후방 충전 커넥터의 제1전극이 탄성 접촉되어, 현재의 충전 커넥터가 접촉 불량이 존재하는 결함을 해소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핸드카트는 상기 충전 커넥터를 통해 신뢰적으로 충전을 진행할 수 있고, 전기 에너지를 핸드카트에 적재된 외부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의 전기적 연결 방식은 신뢰성이 있고, 인공적으로 회로 연결을 빈번히 검사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Description

충전 커넥터 및 그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핸드카트
본 발명은 충전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 연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충전 커넥터 및 그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상업과 공공서비스업의 발전에 따라, 쇼핑몰, 슈퍼마켓, 공항 등 공공장소에서 광범위하게 핸드카트 및 짐수레 등 이동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짐 및 물품을 운반하는데 편리성을 제공한다. 종래의 핸드카트 및 짐수레는 전자재생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를 획득하는데 편리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판매처 위치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광고 정보 등 기타 관련 정보를 방송한다. 핸드카트가 휴지상태일 때, 충전이 필요하다. 핸드카트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핸드카트의 밑부분에 설치된다. 두 개 핸드카트가 전후로 겹칠 때, 전방 카트의 리셉터클 전극과 후방 카트의 플러그 전극이 접촉하여 폐회로를 형성한 후, 전방 카트와 교류직류변환기를 연결하여, 즉시 두 개 핸드카트를 충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핸드카트의 플러그 금속 전극과 리셉터클 금속 전극의 배합이 밀접하지 않으므로, 전후방 두 개 카트가 공간 위치상에서 가끔 겹치더라도, 후방 카트의 플러그 금속 전극과 전방 카트의 리셉터클 금속 전극이 접촉되지 않아서 폐회로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충전되지 않는다. 다수의 핸드카트가 겹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핸드카트를 찾아내기 힘들다. 또한, 현재의 플러그 금속 전극과 리셉터클 금속 전극은 간단하게 편상(튬?)으로 디자인되어, 상호접촉 시 마찰이 일어나, 전기 불꽃이 쉽게 생성되어, 충전 커넥터의 사용수명에 영향을 주고, 안전상 위험이 있다.
이로써, 플러그 전극과 리셉터클 전극의 배합이 밀접하고, 상호마찰을 줄일 수 있는 충전 커넥터가 필요하다.
종래기술에서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가 적재된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전극플레이트 및 제2전극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1전극플레이트와 상기 제2전극플레이트는 상기 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플레이트 또는 제2전극플레이트는 굽은 높이가 가변되는 탄성 아치부를 구비한다.
종래기술에서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가 적재된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전극플레이트 및 제2전극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1전극플레이트와 상기 제2전극플레이트는 상기 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플레이트 또는 제2전극플레이트는 굽은 높이가 가변되는 탄성 아치부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아치부의 일단의 고정암은 본체 중의 회로와 연결되고, 타단의 자유암은 본체의 가이드홈 중에 용납되어 설치된다. 자유암은 가이드홈 중에서 부동한 아치부의 굽은 높이에 대응되는 부동한 정지위치를 가진다.
아치부에는 고정암과 자유암이 연장되어 돌출되고, 고정암을 통해 본체와 연결된다. 자유암은 가이드홈 중에서 이동 가능하여, 아치형 영역의 받는 힘을 완화시킨다. 해당 설치 방식은 아치형의 전극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구조를 더 안정하게 한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아치부는 아치부 탄성을 강화하도록 구성되는 관통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아치부 상에는 각종 형상의 개구 장식무늬가 관통 설치되고, 효과적으로 전극의 탄성을 증가하여, 받는 힘을 최대한 분산시킨다. 또한 전극 중량을 감소하여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아치부의 오목부분에는 아치부의 변형 높이를 제한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지지플레이트는 아치부의 굽은 높이를 제한하는 동시에, 아치부가 압력을 받아 변형된 후 더 신속히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제2전극플레이트는 동편이고, 지지플레이트는 망간강편이다.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고 높은 변형성을 가지는 동을 아치부, 고정암과 자유암의 재료로 이용한다. 압력을 받을 때, 최대 변형량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한 아치부의 오목면에 망간강 재료로 제조된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한다. 망간강 플레이트 자체의 변형량은 동 제조 아치부의 변형량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아치부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경우에 또한 제2전극의 아치부와 제1전극의 탄성 접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는 세로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상호 편향설치되고,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가 세로방향을 따라 편향된 거리(L)는 아치부의 최대 굽은 높이(Hmax)보다 작다. 이로써, 전후로 두 개 충전 커넥터가 겹쳐서 연결 시, 전극이 용이하게 상호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는 전류경로를 형성하고, 충전 커넥터는 두 개의 독립된 전류경로를 구비함으로써, 충전 커넥터는 직류전원과 더 잘 연결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 중의 어느 하나는 평면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아치부를 형성하는 곡면 구조이며, 전극 사이가 선 접촉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전극 사이가 면 접촉되어 서로 마찰이 일어나 전기 불꽃이 생성되어 안전상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마찰이 일어나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몸체 상에 설치되고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축적 모듈, 및 전기축적 모듈과 연결되고 카트몸체 밑부분에 위치한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핸드카트를 더 제공하고, 충전 커넥터와 카트몸체의 밑부분은,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가 연장되어 카트몸체의 밑부분을 초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는, 전후로 직렬연결 시, 전방 충전 커넥터의 제2전극(리셉터클 전극)과 후방 충전 커넥터의 제1전극(플러그 전극)이 탄성 접촉되도록 유지하여, 폐회로를 형성한다. 현재의 충전 커넥터가 접촉 불량이 존재하는 결함을 해소하고, 또한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과도 마찰이 일어나 전기 불꽃이 생성되어 회로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전극손상을 조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당 충전 커넥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는, 상기 충전 커넥터를 통해 신뢰적으로 충전을 진행할 수 있고, 전기 에너지를 핸드카트에 적재된 외부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 카트가 위치 상에서 겹쳐졌지만 내부 회로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이러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의 전기적 연결 방식은 신뢰성이 있고, 인공적으로 회로 연결을 빈번히 검사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리셉터클 전극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4는 도1에서 도시한 충전 커넥터를 함께 직렬연결하고 외부 전원과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핸드카트를 일괄 충전 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충전 커넥터(1)는, 절연 케이스(11), 절연 케이스(11)의 전단에 설치되고 외부로 돌출된 플러그 본체(12) 및 절연 케이스(11)의 후단에 설치되고 외부로 돌출된 리셉터클 본체(13)를 포함한다. 플러그 본체(12)의 상부표면에는 두 개의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리셉터클 본체(13)의 하부표면에도 두 개의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의 위치는 상응하여, 두 개의 충전 커넥터(1)가 전후로 배열 시, 전방 충전 커넥터의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후방 충전 커넥터의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서로 접촉되어, 서로 절연된 두 개의 전극 세트를 형성한다.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셉리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전기전도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한 동편을 이용할 수 있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셉리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아치형 플레이트이고, 아치부(151) 및 아치부(151)의 두 개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고정단(153)과 자유단(152)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본체(13)에는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의 고정단(153)은 가이드홈 내부에 인입되고, 리셉터클 본체(13)와 고정연결된다. 자유단(152)도 가이드홈 내부에 인입되지만, 리셉터클 본체와 고정연결되지 않고, 셉리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가 압력을 받고 변형되거나 또는 압력이 해제되어 복귀되는 경우, 도3에서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약간 움직인다. 아치부(151)는 리셉터클 본체(13)의 하부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굽은 높이가 가변되는 탄성 아치부(151)를 구비하고, 자유단(152)은 가이드홈 중에서 부동한 아치부(151)의 굽은 높이에 대응하는 부동한 정치위치를 가진다.
일 실시방식에서, 고정단(153)은 절연 케이스(11)에 접근하는 일측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절연케이스(11)에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한다. 아치부(151)는 탄성을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관통된 개구부를 형성한다. 해당 관통된 개구부는 아치부(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좁고 긴 홈일 수 있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 충전 커넥터(1)가 전후로 연결 시, 후방 충전 커넥터의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전방 충전 커넥터의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서로 접촉되어 직렬 회로를 형성한다. 가장 전단의 충전 커넥터의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는 교류직류변환기(2)와 연결된다. 교류직류변환기(2)는 중국대만명위회사(櫓??_?츠?무鱇)에서 생산한 SP-320시리즈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그 공률은 1500W 내지 3000W이다.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는 비교적 두꺼운 두께의 평활한 금속편이고,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를 가압하여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를 변형시킨다. 가압 과정에서,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기본상 선 접촉을 유지한다. 이로써, 면 접촉을 이용하는 경우 양자가 서로 마찰이 일어나 전기 불꽃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동편이고, 그 재질이 비교적 유연하기 때문에, 여러번의 가압을 받으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없다. 그러므로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의 아치부(151)의 내측에 상응하는 형상의 망간강편(154)를 설치한다. 망간강편(154)이 동편에 비하여 변형성이 낮으므로 동편에 대해 일정한 지지작용을 함으로써, 동편이 가압을 받은 후 더 신속히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망간강편(154)은 아치부(151)의 굽은 높이를 제한할 수도 있으므로, 과도하게 변형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 어려운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세로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상호 편향설치되고,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가 세로방향을 따라 편향된 거리(L)는 아치부의 최대 굽은 높이(Hmax)보다 작다.
도5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커넥터(1)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충전 커넥터(1)는 멀티미디어 핸드카트의 밑부분에 장착되고, 전기 축적 모듈(3)과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충전 커넥터를 통해 전기축적 모듈(3) 내로 전송한다. 전기축적 모듈(3)은 핸드카트 상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4)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 커넥터(1)와 카트몸체의 밑부분은,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가 연장되어 카트몸체의 밑부분을 초과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핸드카트가 전후로 겹칠 때, 충전 커넥터를 통해 플러그 전극플레이트(14, 14')와 리셉터클 전극플레이트(15, 15')는 두 개의 독립된 전류경로를 구비하고, 직렬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모든 멀티미디어 핸드카트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회로가 적재된 본체;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전극플레이트 및 제2전극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는 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전극플레이트 또는 제2전극플레이트는 굽은 높이가 가변되는 탄성 아치부를 구비하고,
    아치부의 오목부분에는 아치부의 굽은 높이를 제한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아치부의 일단의 고정암은 본체 중의 회로와 연결되고, 타단의 자유암은 본체의 가이드홈 중에 용납되어 설치되며, 자유암은 가이드홈 중에서 부동한 아치부의 굽은 높이에 대응되는 부동한 정지위치를 가지는,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아치부는 아치부 탄성을 강화하도록 구성되는 관통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플레이트와 아치부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제2전극플레이트는 동편이고, 지지플레이트는 망간강편인,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는 세로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상호 편향설치되고,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가 세로방향을 따라 편향된 거리(L)는 아치부의 최대 굽은 높이(Hmax)보다 작은,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는 전류경로를 형성하고, 충전 커넥터는 두 개의 독립된 전류경로를 구비하는,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 중의 어느 하나는 평면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아치부를 형성하는 곡면 구조인, 전기 축적 모듈을 구비한 핸드카트의 충전 커넥터.
  9. 카트몸체 상에 설치되고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축적 모듈; 및
    전기축적 모듈과 연결되고 카트몸체 밑부분에 위치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며,
    충전 커넥터와 카트몸체의 밑부분은, 제1전극플레이트와 제2전극플레이트가 연장되어 카트몸체의 밑부분을 초과하도록 구성되는, 핸드카트.
  10. 삭제
KR1020177020726A 2015-01-13 2015-12-21 충전 커넥터 및 그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핸드카트 KR101908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021764.9 2015-01-13
CN201520021764.9U CN204348993U (zh) 2015-01-13 2015-01-13 一种充电连接器及具有该充电连接器的手推车
PCT/CN2015/098010 WO2016112770A1 (zh) 2015-01-13 2015-12-21 一种充电连接器及具有该充电连接器的手推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09A KR20170098309A (ko) 2017-08-29
KR101908295B1 true KR101908295B1 (ko) 2018-10-16

Family

ID=5323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726A KR101908295B1 (ko) 2015-01-13 2015-12-21 충전 커넥터 및 그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핸드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06393A1 (ko)
EP (1) EP3247000A4 (ko)
JP (1) JP6461358B2 (ko)
KR (1) KR101908295B1 (ko)
CN (1) CN204348993U (ko)
HK (1) HK1246986A1 (ko)
WO (1) WO2016112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48993U (zh) * 2015-01-13 2015-05-20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连接器及具有该充电连接器的手推车
US11465663B2 (en) * 2019-05-20 2022-10-11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having charge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503903U (zh) * 2013-09-30 2014-03-26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改进的电连接器及使用该电连接器的移动设备
CN104092039A (zh) * 2014-07-09 2014-10-08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大电流对接母排的快插式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4112A (en) * 1971-08-23 1982-02-02 Hewlett-Packard Company Keyboard having switches with tactile feedback
US3845451A (en) * 1973-02-26 1974-10-29 Multi Contact Ag Electrical coupling arrangement
DE2515185C3 (de) * 1975-04-08 1979-04-26 Rudolf Schadow Gmbh, 1000 Berlin Elektrischer Schnappschalter
JPH05316607A (ja) * 1992-05-11 1993-11-26 Yaskawa Electric Corp 電動台車とその充電方法
JP2570469Y2 (ja) * 1992-08-18 1998-05-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雌型電気端子
JP2865247B2 (ja) * 1994-06-17 1999-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電気接続子における弾性接触片の係止構造
US6089929A (en) * 1998-08-18 2000-07-18 Tvm Group, Inc. High amperage electrical power connector
JP2001325875A (ja) * 2000-05-18 2001-11-22 Yazaki Corp 差し込み式ヒューズ
JP2001334940A (ja) * 2000-05-30 2001-12-04 Funai Electric Co Ltd 買物かご及びショッピングカート
US20030060090A1 (en) * 2001-09-21 2003-03-27 Allgood Christopher L. High current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TWI234317B (en) * 2004-06-10 2005-06-11 Delta Electronics Inc Power connector
JP2008140589A (ja) * 2006-11-30 2008-06-19 Yazaki Corp 雌型端子
DE102007016070A1 (de) * 2007-04-03 2008-10-09 Lear Corp., Southfield Elektrische Anschlussanordnung und Verfahren zum Nutzen der elektrischen Anschlussanordnung
KR101598633B1 (ko) * 2009-11-11 2016-02-2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용 단자
DE202010003649U1 (de) * 2010-03-16 2010-07-1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JP5219313B2 (ja) * 2011-05-31 2013-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触端子および電子機器
CN103580297B (zh) * 2013-01-10 2015-11-18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移动设备及其充电方法
CN203103711U (zh) * 2013-01-10 2013-07-31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移动设备
CN203503922U (zh) * 2013-09-30 2014-03-26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使用该电连接器的移动设备
US9368296B2 (en) * 2014-09-12 2016-06-14 Siemens Industry, Inc. Fusible switch assemblies, and load base assemblies, line base assemblies, line bus connector assemblies, fuse clip assemblies, fuse clip and lug assemblies, and operational methods thereof
CN204348993U (zh) * 2015-01-13 2015-05-20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连接器及具有该充电连接器的手推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503903U (zh) * 2013-09-30 2014-03-26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改进的电连接器及使用该电连接器的移动设备
CN104092039A (zh) * 2014-07-09 2014-10-08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大电流对接母排的快插式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1358B2 (ja) 2019-01-30
KR20170098309A (ko) 2017-08-29
WO2016112770A1 (zh) 2016-07-21
JP2018503951A (ja) 2018-02-08
EP3247000A1 (en) 2017-11-22
CN204348993U (zh) 2015-05-20
HK1246986A1 (zh) 2018-09-14
EP3247000A4 (en) 2018-10-10
US20180006393A1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7128B2 (en) SATA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CN104092059B (zh) 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及其组合结构
CN202373467U (zh) 一种母线对接屏蔽罩
CN203850558U (zh) 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及其组合结构
KR101714947B1 (ko)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이동식 장치
KR101908295B1 (ko) 충전 커넥터 및 그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핸드카트
CN203326633U (zh) 充电座及其电连接器组合
CN104426244A (zh) 无线充电装置
JP3205886U (ja) 充電装置
CN102238829B (zh) 接地装置、具有该接地装置的滑盖机构及便携式电子装置
CN103050951B (zh) 电子保护装置
CN203574208U (zh) 电讯传输元件连接器组合及电子系统
TWM549975U (zh) 插座電連接器
US20140340028A1 (en) Charger with hub
CN201490393U (zh) 卡连接器
CN206834367U (zh) 电子卡连接器
CN204103092U (zh) 电池连接器的端子结构
CN203503903U (zh) 改进的电连接器及使用该电连接器的移动设备
CN204834933U (zh) 电子卡连接器
CN211907499U (zh) 电池
TWM461898U (zh) 電連接器及其端子組
CN204809470U (zh) 一种电池连接器端子、电池连接器及终端
CN204577681U (zh) 同轴线缆连接器
CN211980952U (zh) 新型无线充电插座
CN203367657U (zh) Hdmi母座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