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931B1 - 편직물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편직물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931B1
KR101906931B1 KR1020180052488A KR20180052488A KR101906931B1 KR 101906931 B1 KR101906931 B1 KR 101906931B1 KR 1020180052488 A KR1020180052488 A KR 1020180052488A KR 20180052488 A KR20180052488 A KR 20180052488A KR 101906931 B1 KR101906931 B1 KR 10190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fixing
fixed
actua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김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주 filed Critical 김형주
Priority to KR102018005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GMECHANICAL OR PRESSURE CLEANING OF CARPETS, RUGS, SACKS, HIDES, OR OTHER SKIN OR TEXTILE ARTICLES OR FABRICS; 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3/00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3/02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편직물 반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차단된 편직물을 뒤집어 반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케이싱 ;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하부단이 조립되어 수직하게 고정설치되고, 상부단에 고정판을 구비하는 내부고정관 ; 상기 내부고정관의 외부면에 내부면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고정판과 대응하는 중공부를 관통형성한 회전판을 상부단에 구비하는 외부회전관 ; 상기 외부회전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내부고정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과 더불어 외부회전관을 일정각도 분할회전시키는 제1엑추에이터 ;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와 대응하여 고정설치되어 상기 편직물의 개구된 일단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편직물 고정구 ; 상기 복수개의 편직물 고정구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도록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삽입된 편직물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접촉부재를 전후진 왕복이동시키는 제2엑추에이터 ;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반전바를 상승시키거나 하강복귀시키는 제3엑추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직물 반전장치{Apparatus for reversing a knitted goods}
본 발명은 양말과 같은 편직물을 뒤집어 반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편직되어 제조되어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양말이나 내면에 기모를 형성하기 위한 양말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뒤집어 반전시킬 수 있는 편직물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과 같은 편직물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시키며, 땀과 습기를 흡수하여 신체를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널리 착용되는 생활 소모품이다.
이러한 양말은 편직기에서 편직된 상태로써 최종적으로 배출되는데, 양말편직기에서 제조되어 배출되는 양말은 편직기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내측이 밖으로 뒤집혀진 상태로써 배출된다.
이에 따라, 양말 편직물은 검사 및 재작업을 위하여 정상형태로 뒤집어 주는 반전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또한, 최근에 피부에 밀착되어 사용되는 양말은 착용시 보온, 포근한 착용감으로 인하여 피부와 접하는 내면을 기모(起毛, napping)처리한 가공제품이 선호됨에 따라, 외면에 후가공으로 기모를 형성한 다음 정상형태로 뒤집어 주는 편직물 반전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2006-0113109 A
(특허문헌 2) KR10-2010-0127221 A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는 편직물인 양말 제조와 연계하여 기계적으로 양말을 뒤집어 반전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양말과 같은 편직물을 반전하는 장치는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특히 양말 뒤집기의 과정이 복잡하여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말과 같은 편직물을 뒤집어 반전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고, 반전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편직물 반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예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차단된 편직물을 뒤집어 반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케이싱 ;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하부단이 조립되어 수직하게 고정설치되고, 상부단에 고정판을 구비하는 내부고정관 ; 상기 내부고정관의 외부면에 내부면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고정판과 대응하는 중공부를 관통형성한 회전판을 상부단에 구비하는 외부회전관 ; 상기 외부회전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내부고정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과 더불어 외부회전관을 일정각도 분할회전시키는 제1엑추에이터 ;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와 대응하여 고정설치되어 상기 편직물의 개구된 일단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편직물 고정구 ; 상기 복수개의 편직물 고정구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도록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삽입된 편직물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접촉부재를 전후진 왕복이동시키는 제2엑추에이터 ;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반전바를 상승시키거나 하강복귀시키는 제3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편직물의 일단이 삽입된 편직물 고정구가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접촉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회전판을 분할회전이동시키고, 상기 편직물이 접촉부재와 접하여 고정된 다음 상기 제3엑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관통구와 편직물 고정구를 통과하도록 반전바를 상승시켜 상승되는 반전바의 상단이 편직물의 내측으로 밀고 진입하면서 편직물의 내외측을 뒤집어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엑추에이터는 상기 외부회전관의 하단으로 외부노출되는 내부고정관의 하단 외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부재와 힌지핀을 매개로 하여 로드선단이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외부회전관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링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로드선단이 대응삽입되어 상기 회전링과 고정링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용 실린더를 고정설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로드선단이 대응삽입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위치고정용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링은 상기 내부고정관의 하단 외부면에 대응삽입되어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외부고정관의 상부단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엑추에이터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이며,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로드선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안내바를 갖는 왕복대의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왕복대의 전면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왕복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축부재와 수직한 힌지핀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핑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엑추에이터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축이 회전구동되는 모터부재이며, 상기 제3엑추에이터의 구동축과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하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축을 포함하고, 상,하부고정대에 상,하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상,하부고정대에 상,하단이 고정된 한쌍의 수직안내바와 조립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바의 하단은 상기 이동블럭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반전바의 상단은 상기 회전판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고정대는 상기 회전판의 하부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하부고정판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판은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수직한 고정지지바의 상단과 결합되어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엑추에이터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편직물 고정구의 내부공을 관통하여 상승되는 반전바의 상단과 외부면이 접하여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지지바의 하부단이 조립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편직물이 삽입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엑추에이터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인접하여 고정판에 구비되는 센서브라켓과, 상기 센서브라켓의 선단부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감지바 및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삽입되는 편직물과의 접촉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림이동되는 감지바의 후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양말과 같은 편직물의 내외측으로 뒤집어 반전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고, 반전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고,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의 내부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a 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에서 제1엑추에이터와 회전링 및 고정링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에서 회전판의 분할회전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와 도 9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에서 제2엑추에이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와 도 10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에서 제3엑추에이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 와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에서 편직물을 반전시키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편직물 반전장치(100)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차단된 편직물을 뒤집어 반전시킬 수 있도록 본체케이싱(10), 내부고정관(20), 외부회전관(30), 제1엑추에이터(40), 편직물 고정구(50), 제2엑추에이터(60), 제3엑추에이터(70)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본체케이싱(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와 밀폐된 바닥면을 갖추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중공원통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케이싱(10)의 외부면에는 설비 보수유지를 위해 내부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12)를 포함하고, 제1,2 및 3엑추에이터와 같은 구성부품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온오프 버튼 및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와 더불어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판넬(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고정관(20)은 도 4a, 도 4b,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싱(10)의 밀폐된 바닥면에 하부단이 조립되어 수직하게 고정설치되고, 상부단에 고정판(21)을 일체로 구비하는 대략 중공원통형의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판(21)은 상기 내부고정관(20)의 상단과 일체로 결합되는 대략 원반상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판(21)은 몸체중앙에 상기 내부고정관의 상단에 조립되는 어댑터(21a)가 대응조립되는 중앙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어댑터(21a)를 매개로 하여 상기 내부고정관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엑추에이터(60)가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64)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고정브라켓(64)사이에는 상기 편직물 고정구(50)에 개구된 일단이 삽입되어 대기하는 편직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회전관(30)은 도 4a, 도 4b,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고정관의 외부면에 대하여 내부면이 회전가능하도록 대응 조립되고, 상부단에 상기 내부고정관(20)의 상단부가 관통배치되는 중앙공을 회전판(31)을 구비하는 대략 중공원통형의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고정관(20)의 외부면과 상기 외부회전관(30)의 내부면사이에는 복수개의 베어링부재(23a,23b)를 매개로 하여 조립됨으로써 상기 외부회전관(30)은 상기 제1엑추에이터(40)의 동력을 전달받아 위치고정된 내부고정관(20)에 대하여 회전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회전관(30)은 상기 내부고정관(2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춤으로써 상기 내부고정관의 상,하부단은 상기 외부회전관의 상,하부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엑추에이터(40)는 도 4a, 도 4b,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내부고정관(20)의 외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외부회전관(30)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내부고정관(20)을 중심으로 상기 편직물 고정구(50)를 갖는 회전판(31)과 더불어 외부회전관(30)을 일정각도 분할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엑추에이터(40)는 상기 외부회전관(30)의 하단으로 외부노출되는 내부고정관(20)의 하단 외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링(4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부재(42)와 힌지핀(42a)을 매개로 로드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링(41)은 상기 내부고정관의 외부면과 베어링부재(41a)를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리브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41)에는 상기 외부회전관(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링(44)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두고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44a) 중 어느 하나에 로드선단이 대응삽입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링과 고정링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용 실린더(45)를 고정설치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44)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44b) 중 어느 하나에 로드선단이 대응삽입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위치고정용 실린더(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엑추에이터(40)와 위치고정용 실린더(46)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밀폐된 바닥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2수직대(43,47)의 각 상단에 수평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41)은 상기 내부고정관(20)의 하단 외부면에 대응삽입되고 상기 본체케이싱(10)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플랜지를 갖는 외부고정관(29)의 상부단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외부고정관(29)과 이에 대응하는 내부고정관(20)에는 각각 개구부(29a,20a)를 관통형성함으로써 상기 내부고정관의 개구된 상단을 통하여 진입되는 전원케이블과 에어라인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본체케이싱의 내부로 진입된 다음 상기 제어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고정관(20)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판(21)에 대하여 상기 외부회전관(30)의 상단에 구비된 회전판(31)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분할회전시키는 동작은 도 8a 내지 도 8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엑추에이터(40)와 더불어 상기 연결용 실린더(45) 및 위치고정용 실린더(46)에 의해서 연동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즉,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엑추에이터(40)의 로드선단이 전진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41)에 설치된 연결용 실린더(45)의 로드선단이 상기 고정링의 고정공(44a)에 대응삽입됨으로써 상기 회전링과 고정링(44)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엑추에이터가 후진복귀되면,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링(41)은 내부고정관(20)의 외부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링과 연결된 고정링을 갖는 외부회전관(30)은 회전판(31)과 더불어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분할회전되어 이동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외부회전관(30)이 회전판(31)과 더불어 분할회전이 완료되면,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용 실린더(46)의 로드선단은 후진상태에서 전진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고정링의 고정홈(44b)에 걸림연결되어 상기 외부회전관의 회전이동을 구속하는 반면에 상기 연결용 실린더(45)의 로드선단은 하강복귀되어 상기 고정링의 고정공(44a)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고정링과 분리된 이동링의 독립적인 회전이동을 허락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엑추에이터(40)의 로드선단이 전진복귀되면, 도 8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링(41)과 이에 구비된 연결용 실린더(45)는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대기한다.
상기 편직물 고정구(5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회전관(30)의 상단에 구비된 회전판(31)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35)마다 일대일로 대응하여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편직물의 개구된 일단이 삽입되어 임시로 고정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편직물 고정구(50)는 상기 관통구와 대응하여 후술하는 반전바가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관통구와 대응하는 회전판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수지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편직물 고정구(50)의 몸체일부는 상기 내부공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부분 절개형성된 절개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편직물의 개구된 일단에서 외측으로 접혀진 일부가 외측으로 부분절개된 편직물 고정구(50)에 끼워져 임시고정되고, 상기 편직물의 나머지 일부는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상기 제2엑추에이터(60)는 도 1, 도 2, 도 3, 도 4a, 도 4b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1)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35)와 대응하도록 회전판(31)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된 복수개의 편직물 고정구(50)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도록 상기 고정판(21)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삽입된 편직물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접촉부재(61)를 전후진 왕복작동시키는 실린더부재이다.
이러한 제2엑추에이터(60)에 의해서 전후진작동되는 접촉부재(61)가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삽입되어 임시고정된 편직물과 접해짐으로써 양말과 같은 편직물의 반전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편직물의 일단을 고정하는 일정세기의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엑추에이터(60)는 도 9a 와 도 9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64)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이며,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로드선단은 상기 고정브라켓(64)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안내바(63)를 갖는 왕복대(62)의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왕복대(62)의 전면에는 한쌍의 핑거(61a)로 이루어져 상기 편직물 고정구(50)에 임시고정된 편직물과 접해지는 접촉부재(6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핑거(61a)는 상기 왕복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축부재와 수직한 힌지핀(62a)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핑거(61a) 내부면은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편직물 고정구(50)의 외부면과 고르게 면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서 양말과 같은 편직물의 개구된 일단이 외측으로 접혀져 상기 편직물 고정구(50)의 상단에 끼워져 임시고정함으로써 상기 편직물 고겅구의 개구된 상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1엑추에이터(4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31)이 일정각도 분할회전되어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접촉부재와 상기 편직물이 임시고정된 편직물 고정구와 일대일로 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제2엑추에이터(60)의 전진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전진이동되는 접촉부재(610가 편직물을 매개로 하여 편직물 고정구와 접해지기 때문에 한쌍의 핑거(61a)로 이루어지는 접촉부재가 상기 편직물에 밀착되면서 후술하는 반전바의 상승작동에 의해서 편직물의 반전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편직물을 위치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3엑추에이터(70)는 도 4a 와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1)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35)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반전바(7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복귀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3엑추에이터(7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축이 회전구동되는 모터부재이며, 상기 제3엑추에이터의 구동축과 벨트부재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하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축(73)을 포함하고, 상,하부고정대(73a,73b)에 상,하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크류축(73)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상,하부고정대(73a,73b)에 상,하단이 고정된 한쌍의 수직안내바와 조립되는 이동블럭(74)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바(71)의 하단은 상기 이동블럭(74)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반전바(71)의 상단은 상기 회전판(31)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35)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고정대(73a)에 구비되는 안내부재(75)의 안내공(75a)과 대응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대(73a)는 상기 회전판(31)의 하부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하부고정판(76)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판(76)은 상기 본체케이싱(10)의 바닥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수직한 고정지지바(77)의 상단과 결합되어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판(76)의 몸체중앙을 관통하는 외부회전관(30)의 상단은 베어링부재(76a)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하부고정판(7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대(73b)는 상기 본체케이싱(10)의 바닥면에 하단이 고정설치설치되는 고정구조물이다.
상기 반전바(71)는 몸체 일부가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71a)를 갖는 중공원통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3엑추에이터(70)의 작동시 상기 이동블럭(74)과 더불어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엑추에이터(70)가 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도 10a 와 도 10b 및 도 11a 및 도 1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크류축(73)에 나사조립된 이동블럭(74)은 반전바(71)와 더불어 수직안내바를 따라 상승이동되기 때문에, 상승이동되는 반전바(71)가 안내부재의 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회전판의 관통구 및 편직물 고정구의 내부공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의 상부로 일정높이 상승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된 편직물인 양말의 내측으로 반전바의 상단이 진입되어 상승되기 때문에 상기 편직물의 내측과 외측은 서로 뒤집어지면서 반전될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제3엑추에이터(70)의 정방향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이동블럭(74)과 더불어 상승되면서 편직물의 반전공정을 수행한 반전바(71)는 상기 제3엑추에이터의 역방향 회전구동에 의해서 이동블럭과 더불어 하강복귀되어 상기 본체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전바의 상하작동에 의해서 편직물에 대한 반전공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제1엑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서 인접하는 다른 편직물 고정구에 임시고정된 편직물에 대한 반전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은 일정각도 분할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엑추에이터(60)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64)에는 상기 편직물의 반전공정을 위해서 상기 편직물 고정구(50)의 내부공을 관통하여 상승되는 반전바(71)의 상단과 외부면이 접하여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지지바(66)의 하부단이 조립되는 지지브라켓(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편직물 고정구(50)에 고정된 편직물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승되는 반전바가 상기 편직물을 반전시키도록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바의 하부면과 접하여 흔들림없이 직상방으로 일정하게 상승이동되어 편직물의 반전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바(66)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브라켓(65)과 핀부재(66a)를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면과 단부가 접하여 상기 지지바의 경사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편직물의 일단이 삽입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감지부는 상기 제2엑추에이터(60)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64)과 인접하여 고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센서브라켓(67)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브라켓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부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감지바(68)를 포함하고,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삽입되는 편직물과의 접촉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림이동되는 감지바의 후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재(6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센서부재(69)에 의해서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편직물의 개구된 일단이 삽입된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신호에 의해서 제1엑추에이터(40)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회전판(31)은 외부회전판과 더불어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분할회전되어 상기 편직물을 임시고정한 편직물 고정구(50)를 상기 고정판(21)에 구비되는 제2엑추에이터(60)의 접촉부재(61)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회전이동시키는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제2엑추에이터(60)의 전진작동에 의해서 편직물 고정구에 임시고정된 편직물을 이에 밀착되는 접촉부재(61)에 의해서 확고히 고정하고, 상기 제3엑추에이터(70)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반전바(71)를 직상부로 상승시키면, 개구된 일단을 외측으로 접어서 상기 편직물 고정구의 내부공을 덮도록 고정된 양말과 같은 편직물은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승되는 반전바(71)에 의해서 내외측이 뒤집어지도록 반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승된 반전바는 상기 제3엑추에이터의 복귀작동에 의해서 하강복귀되고, 반전된 편직물은 상기 제1엑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서 분할회전되는 회전판과 더불어 편직물 고정구와 더불어 회전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접촉부재가 후진복귀되어 고정력이 해제될 때 작업자가 분리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전바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판을 대략 60 ° 씩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한쌍의 편직물 고정구에 편직물을 삽입고정하는 고정하는 공정, 한쌍의 반전바를 상승시켜 반전하는 공정 및 반전된 한쌍의 편직물을 분리수거하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각도로 분할회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본체케이싱
12 : 도어
14 : 제어판넬
20 : 고정내부관
21 : 고정판
30 : 외부회전관
31 : 회전판
40 : 제1엑추에이터
41 : 회전링
44 : 고정링
45 : 연결용 실린더
46 : 위치고정용 실린더
50 : 편직물 고정구
60 : 제2엑추에이터
70 : 제2엑추에이터

Claims (10)

  1.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차단된 편직물을 뒤집어 반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케이싱 ;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하부단이 조립되어 수직하게 고정설치되고, 상부단에 고정판을 구비하는 내부고정관 ;
    상기 내부고정관의 외부면에 내부면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고정판과 대응하는 중공부를 관통형성한 회전판을 상부단에 구비하는 외부회전관 ;
    상기 외부회전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내부고정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과 더불어 외부회전관을 일정각도 분할회전시키는 제1엑추에이터 ;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와 대응하여 고정설치되어 상기 편직물의 개구된 일단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편직물 고정구 ;
    상기 복수개의 편직물 고정구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도록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삽입된 편직물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접촉부재를 전후진 왕복이동시키는 제2엑추에이터 ;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반전바를 상승시키거나 하강복귀시키는 제3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편직물의 일단이 삽입된 편직물 고정구가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접촉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회전판을 분할회전이동시키고, 상기 편직물이 접촉부재와 접하여 고정된 다음 상기 제3엑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관통구와 편직물 고정구를 통과하도록 반전바를 상승시켜 상승되는 반전바의 상단이 편직물의 내측으로 밀고 진입하면서 편직물의 내외측을 뒤집어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엑추에이터는 상기 외부회전관의 하단으로 외부노출되는 내부고정관의 하단 외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부재와 힌지핀을 매개로 하여 로드선단이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외부회전관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링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로드선단이 대응삽입되어 상기 회전링과 고정링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용 실린더를 고정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로드선단이 대응삽입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위치고정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은 상기 내부고정관의 하단 외부면에 대응삽입되어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외부고정관의 상부단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엑추에이터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이며,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로드선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안내바를 갖는 왕복대의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왕복대의 전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왕복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축부재와 수직한 힌지핀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핑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엑추에이터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축이 회전구동되는 모터부재이며, 상기 제3엑추에이터의 구동축과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하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축을 포함하고, 상,하부고정대에 상,하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상,하부고정대에 상,하단이 고정된 한쌍의 수직안내바와 조립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바의 하단은 상기 이동블럭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반전바의 상단은 상기 회전판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는 상기 회전판의 하부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하부고정판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판은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수직한 고정지지바의 상단과 결합되어 수평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엑추에이터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편직물 고정구의 내부공을 관통하여 상승되는 반전바의 상단과 외부면이 접하여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지지바의 하부단이 조립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편직물이 삽입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엑추에이터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인접하여 고정판에 구비되는 센서브라켓과, 상기 센서브라켓의 선단부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감지바 및 상기 편직물 고정구에 삽입되는 편직물과의 접촉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림이동되는 감지바의 후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반전장치.
KR1020180052488A 2018-05-08 2018-05-08 편직물 반전장치 KR10190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88A KR101906931B1 (ko) 2018-05-08 2018-05-08 편직물 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88A KR101906931B1 (ko) 2018-05-08 2018-05-08 편직물 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931B1 true KR101906931B1 (ko) 2018-10-11

Family

ID=6386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488A KR101906931B1 (ko) 2018-05-08 2018-05-08 편직물 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9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232A (ja) 2002-08-22 2004-03-11 Okamoto Kk 靴下の裏返し装置
KR200372385Y1 (ko) 2004-09-22 2005-01-14 조남준 양말 반전장치
JP2005097803A (ja) 2003-09-26 2005-04-14 Okamoto Kk 靴下の表返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232A (ja) 2002-08-22 2004-03-11 Okamoto Kk 靴下の裏返し装置
JP2005097803A (ja) 2003-09-26 2005-04-14 Okamoto Kk 靴下の表返し装置
KR200372385Y1 (ko) 2004-09-22 2005-01-14 조남준 양말 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579B2 (ja) 筒状ニット製品のための反転装置であり、特には、筒状製品を軸方向端部で自動的に閉じるための縫製又はルーピングステーションのための反転装置
JP5389831B2 (ja)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から筒状ニット製品を取り出し、取り出された製品を、該製品に更なる作業を行うべく適合されたユニットに移すためのピックアップ装置
JP5389830B2 (ja)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で製造サイクルの終わりに筒状ニット製品を軸方向両端部の内の一方で閉じ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373277B2 (ja) 管状製品の軸方向端部を自動的に閉じて管状製品を裏表に外す方法、及びこの方法を行うための装置
JP6313790B2 (ja) 管状製品の軸方向端部を自動的に閉じて管状製品を裏表で外す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を行うための装置
KR20100028904A (ko)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KR101906931B1 (ko) 편직물 반전장치
JP2015142627A (ja) 縫製システム
JP2681696B2 (ja) 丸編機
AU2010247842A1 (en) Mattress edge sewing machine
JP2015142653A (ja) 縫製対象物供給装置、縫製対象物供給方法及び縫製対象物供給プログラム
GB2207075A (en) Automatic machine to steam and cut knitted cloths
CN205501577U (zh) 一种便于缝盘机套圈的移动支架
JP7419390B2 (ja) 円形編機から管状のニット製品をピックアップし、このニット製品に更なる作業を行うべく適合されたユニットに移すためのピックアップ装置
US20040177653A1 (en) Apparatus to manufacture garments starting from tubular knitted textiles and method thus obtained
CN110967176B (zh) 一种叉车组合开关使用寿命测试装置
CN220665638U (zh) 一种内裤囊托缝合装置
US4520744A (en) Sewing machine with articulated table assembly
KR101817602B1 (ko) 재봉부 위치가 가변되는 자동 재봉장치
JP2002266208A (ja) 靴下を機外に搬出する搬出方法および搬出装置
CN220597951U (zh) 一种具有夹持定位功能的断布机
KR101410935B1 (ko) 가죽제의 시접장치
CN220719260U (zh) 一种手套芯生产用套内支撑装置
SU96311A1 (ru) Агрегатный многошпиндельный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й автомат дл обработки канюль инъекционных игл
RU222697U1 (ru) Переносной станок для обработ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детал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 радиальной симметри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