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062B1 -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 - Google Patents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062B1
KR101906062B1 KR1020170086433A KR20170086433A KR101906062B1 KR 101906062 B1 KR101906062 B1 KR 101906062B1 KR 1020170086433 A KR1020170086433 A KR 1020170086433A KR 20170086433 A KR20170086433 A KR 20170086433A KR 101906062 B1 KR101906062 B1 KR 101906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ilkworm
powder
parts
cinna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준
윤영준
박주현
장성지
장은영
남하윤
Original Assignee
윤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준 filed Critical 윤석준
Priority to KR102017008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A23L11/2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누에에 인산나트륨 완충액과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계피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된장 분말, 간장 분말, 참깨 분말 및 이산화규소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Soybean paste powder salad seasoning comprising silkworm and Cinnamomum cassia}
본 발명은 (a) 누에에 인산나트륨 완충액과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계피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된장 분말, 간장 분말, 참깨 분말 및 이산화규소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에 관한 것이다.
된장은 대두를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로 장기간 발효시켜 만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곡류 단백질에 부족한 필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유기산, 미네랄, 비타민 등을 보충해 주는 영양식품이다. 또한, 된장의 발효 시 대두 단백질로부터 생성된 펩타이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이외에 된장은 항암 효과, 혈압강하, 항산화, 면역 조절기능, 항콜레스테롤, 혈청용해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된장은 우리나라 전통음식으로써 예로부터 "팔진미(八珍味)의 주인"으로 일컬어져 왔다. 이는 된장이 음식 맛을 낼 때 가장 으뜸이 된다는 뜻일 것으로 풀이할 수가 있다. 이러한 된장은 음식의 간을 맞추고 맛을 내는 기본 식품일 뿐만 아니라, 식물성 단백질의 중요한 공급원이기도 하다. 또한, 오묘한 된장의 맛은 5가지 덕에 비유할 만큼 높이 평가되고 있다.
계피(Cinnamonum cassia B.)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열대성 상록수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으로 중국 남부와 북베트남에서 주로 생산되는 건강 기능성 식품 중의 하나로 한방에서는 육계라고 불리며 식욕부진, 소화불량, 감기, 두통, 발열, 신경성 심계항진, 진통 등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쓰인다.
누에는 영양학적으로 단백질이 풍부하고 뽕나무 유래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특히 디옥시노지리마이신(DNJ, dioxynozirimycine)은 뽕잎 이상의 함유량을 가지며, 누에유충은 당 흡수 저해 효과가 높고, 영양가 면에서는 누에유충체 내에는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레인산의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B2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누에가 먹고 자라는 뽕잎은 거풍, 청열, 명목의 효능이 있고, 두통, 목적(目赤), 구갈을 치료한다. 또한,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루틴(rut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세틴(isoquercetin), 모라세틴(moracetin)과 플라본(flavones), 스테로이드(steroids), 트리테르펜(triterpenes), 아미노산(amino acids), 비타민(vitamin) 및 미네랄 성분 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뽕잎을 먹고 자란 누에는 본초강목에서 잠용을 볶아서 먹으면 풍과 여윈 것을 고칠 수 있다고 소개되고 있으며, 동의 보감에도 누에가 성질이 고르고 맛이 달며 독이 없으니 풍과 여윈 것을 다스리고 당뇨병이나 회충을 없애는 약효도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샐러드는 대표적인 채소의 조리법으로 신선한 느낌을 주고 식욕을 돋우며, 비타민 및 무기질이 풍부하여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소비자들에 의해 각종 채소를 이용한 샐러드와 더불어 샐러드에 곁들이는 드레싱, 소스류의 소비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08929호에는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샐러드 소스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690836호에는 무침과 샐러드용 맛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는 누에 및 계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샐러드 시즈닝 제조 시 누에 및 계피의 영양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다른 재료들과 잘 어우러져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최적의 조건으로 전처리한 후 적정량 첨가하여 품질 및 소비자 기호도가 향상된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누에에 인산나트륨 완충액과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계피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된장 분말, 간장 분말, 참깨 분말 및 이산화규소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누에 및 계피 추출물 등의 재료를 적정량 배합하여 제조된 샐러드 시즈닝은 장류 특유의 불쾌취가 없고 풍미 및 기호도가 증진되어, 샐러드에 뿌려 섭취할 경우 샐러드의 맛을 돋울 수 있다. 또한, 소화불량, 감기, 두통, 발열, 신경성 심계항진, 진통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계피를 이용하여 계피 유래 기능성을 가미하고 기호성을 높임과 동시에 고혈압과 관련된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능을 갖는 누에 추출물을 첨가하여, 소비자들의 영양적 요구뿐만 아니라 풍미를 향상시켜 기호도가 증진된 샐러드 시즈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누에에 인산나트륨 완충액과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계피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된장 분말, 간장 분말, 참깨 분말 및 이산화규소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단계의 누에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누에 4~6 g에 pH 7~8의 인산나트륨 완충액 88~96 mL와 프로테아제 6~10 mL를 가하여 34~40℃에서 8~12시간 동안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누에 5 g에 pH 7.5의 인산나트륨 완충액 92 mL와 프로테아제 8 mL를 가하여 37℃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이취 및 이미가 발생하지 않고, 누에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최대한 파괴되지 않게 전처리하면서, 샐러드 시즈닝에 적정량 첨가 시 기호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의 계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계피에 물을 0.8~1.2:8~12(w:v) 비율로 첨가하여 90~110℃에서 1~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계피에 물을 1:10(w:v) 비율로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은은하게 느껴지는 계피 특유의 맛과 향으로 인해, 샐러드 시즈닝에 적정량 첨가 시 시즈닝의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의 혼합은 바람직하게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12 중량부, 간장 분말 5~7 중량부, 참깨 분말 78~82 중량부, 이산화규소 1.6~2.4 중량부, 누에 추출물 0.4~0.6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 0.4~0.6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8 중량부, 간장 분말 6.1 중량부, 참깨 분말 80.1 중량부, 이산화규소 2 중량부, 누에 추출물 0.5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 0.5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 및 배합비로 제조된 샐러드 시즈닝은 짠맛, 고소한 맛 및 감칠맛 등이 잘 조화되어 샐러드의 뿌려 먹을 경우 기호도가 우수한 샐러드로 섭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a) 누에 4~6 g에 인산나트륨 완충액 88~96 mL와 프로테아제 6~10 mL를 가하여 34~40℃에서 8~12시간 동안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계피에 물을 0.8~1.2:8~12(w:v) 비율로 첨가하여 90~110℃에서 1~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12 중량부, 간장 분말 5~7 중량부, 참깨 분말 78~82 중량부 및 이산화규소 1.6~2.4 중량부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0.4~0.6 중량부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 0.4~0.6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a) 누에 5 g에 인산나트륨 완충액 92 mL와 프로테아제 8 mL를 가하여 37℃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계피에 물을 1:10(w:v) 비율로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8 중량부, 간장 분말 6.1 중량부, 참깨 분말 80.1 중량부 및 이산화규소 2 중량부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0.5 중량부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 0.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누에 추출물 제조
(a) 프로테아제(protease) 생산 균주
누에 단백질 용출 및 펩타이드(peptide) 제조에 사용한 프로테아제 생산 균주는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이 균이 생산한 비활성(specific activity)이 244.32 units/mg인 프로테아제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b) 프로테아제 제조
0.5% NaCl을 첨가한 영양 배지(nutrient broth)에 효소생산을 위하여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사체를 3백금이 접종하고 37℃에서 30시간 동안 교반 배양하여 효소를 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 No.1)로 여과하여 그 상징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c) 누에 추출물(펩타이드 용액) 제조
누에분말 5 g에 0.025M 인산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7.5) 92 mL와 효소액(프로테아제) 8 mL를 가하여 37℃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a) 상기 제조예 1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준비하였다.
(b) 계피분말에 물을 1:10(w:v) 비율로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기로 1/10의 양으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c)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8 중량부, 간장 분말 6.1 중량부, 참깨 분말 80.1 중량부 및 이산화규소 2 중량부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0.5 중량부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 0.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1: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a) 누에분말에 물을 1:10(w:v) 비율로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기로 1/10의 양으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b) 계피분말에 물을 1:10(w:v) 비율로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기로 1/10의 양으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c)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8 중량부, 간장 분말 6.1 중량부, 참깨 분말 80.1 중량부 및 이산화규소 2 중량부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0.5 중량부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 0.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2: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a) 누에분말 5 g에 0.025M 인산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7.5) 92 mL와 프로테아제 8 mL를 가하여 37℃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b) 계피분말에 물을 1:10(w:v) 비율로 첨가하여 8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기로 1/10의 양으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c)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8 중량부, 간장 분말 6.1 중량부, 참깨 분말 80.1 중량부 및 이산화규소 2 중량부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0.5 중량부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 0.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험방법
(1) ACE 저해 효과
제조예 1의 누에 펩타이드 용액을 단백질 용액 1 mL에 대해 100~400 ㎍으로 농도를 달리하여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3M NaCl을 함유하는 0.1M 인산칼륨 완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8.3)에 기질인 HHL(Hippuyul-Lhistidyl-L-leucine) 2.5 mM을 녹인 액 0.15 mL, ACE(0.2 unit/mL) 0.1 mL와 각 농도별 펩타이드 용액 0.1 mL를 혼합하였으며, 대조구는 추출시료 대신 증류수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1N HCl 0.25 mL 첨가로 반응을 중지시킨 뒤 3 mL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첨가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층으로부터 용매를 증류시킨 잔사에 2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된 히푸르산(hippuric acid)을 UV 분광광도계(UV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2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다음 식에 따라 저해율(%)을 구하였다.
ACE 저해율(%) = 1 - (반응구의 히푸르산 생성량/대조구의 히푸르산 생성량) × 100
(2) 아미노산 분석
분리된 누에 펩타이드 용액 10 mg에 6N HCl 10 mL를 가하고 N2 가스로 치환한 뒤 밀봉하여 105℃에서 24시간 가수분해시킨 후 실온에서 이 분해액을 여과하여 회전 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염산을 제거 농축하였다. 이 용액을 0.2M 구연산염 완충액(citrate buffer, pH 2.2) 2 mL로 용해하여 아미노산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여 아미노산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 누에 펩타이드에 의한 ACE 저해 효과
고혈압을 유도하는 효소인 ACE 저해제는 앤지오텐신 Ⅰ(angiotensin Ⅰ)에서 앤지오텐신 Ⅱ(angiotensin Ⅱ)로 변환시키는 ACE의 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앤지오텐신 Ⅱ의 생성 저해, 알도스테론(aldosterone) 분비 감소, 혈관확장제인 브래디키닌(bradykinin)의 증가 등의 과정을 통해 신장 혈관을 확장시켜 나트륨의 배설을 촉진함으로서 혈압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ACE를 억제하기 위해 분리된 누에 단백질을 효소 처리하여 분해한 후, 분해액을 아미콘 멤브레인 PM-10(Amicon membrane PM-10)을 통과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얻은 펩타이드 분말로 항고혈압 효과를 알아본 결과, 100~400 ㎍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90% 이상의 높은 AC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400 ㎍ 처리 시에는 100%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누에 펩타이드에 의한 ACE 저해 효과
펩타이드(㎍) 히푸르산(yg/mL) 저해율(%)
대조구 7.381±0.23 -
100 0.710±0.36 90.39±0.36
200 0.563±0.13 92.37±0.13
300 0.182±0.05 97.54±0.05
400 0.000 100.00
실시예 2: 누에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조성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은 식품의 감칠맛을 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누에 펩타이드에는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과 글루탐산(glutamic acid)이 각각 3.22 g/100 g, 3.422 g/100 g으로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 외에도 류신(leucine) 및 리신(lysine)도 각각 2.031 g/100 g 및 1.978 g/100 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류신 및 리신 등의 아미노산이 ACE 저해 활성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누에 펩타이드의 아미노산의 조성
아미노산 종류 함량(g/100 g)
요소(Urea) 0.460
L-아스파르트산(L-Aspartic acid) 3.220
L-트레오닌(L-Threonine) 1.170
L-세린(L-Serine) 1.133
L-글루탐산(L-Glutamic acid) 3.422
L-프롤린(L-Proline) 2.536
글리신(Glycine) 2.189
L-알라닌(L-Alanine) 2.025
L-α-아미노-m-부티르산(L-α-Amino-m-butyric acid) 0.255
L-발린(L-Valine) 2.109
L-이소류신(L-Isoleucine) 1.266
L-류신(L-Leucine) 2.031
L-티로신(L-Tyrosine) 0.390
β-알라닌(β-Alanine) 0.143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1.399
γ-아미노-n-부티르산(γ-Amino-n-butyric acid) 0.352
에탄올아민(Ethanolamine) 0.121
염화암모늄(Ammonium chloride) 0.289
L-오르니틴(L-Ornithine) 0.455
L-리신(L-lysine) 1.978
L-히스티딘(L-Histidine) 1.044
L-아르기닌(L-Arginine) 1.063
실시예 3: 재료 배합비에 따른 샐러드 시즈닝의 관능검사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3)단계의 재료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된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을 양상추 30 g 당 0.9 g을 골고루 뿌린 후, 색, 맛, 향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해 20명의 관능 평가 요원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샐러드 시즈닝 재료 배합비(%)
재료 367 107 521 201 452
된장 분말 10.8 6.8 15.8 - 16.9
간장 분말 6.1 3.1 9.1 16.9 -
참깨 분말 80.1 87.1 72.1 80.1 80.1
누에 추출물 0.5 0.2 0.8 - 1.0
계피 추출물 0.5 0.8 0.2 0.5 -
이산화규소 2.0 2.0 2.0 2.0 2.0
뽕잎 분말 - - - 0.5 -
합계 100 100 100 100 100
그 결과, 제조예 2의 재료 종류 및 배합비로 제조된 샐러드 시즈닝(367)을 뿌린 양상추가 맛, 향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재료 종류 및 배합비로 제조된 샐러드 시즈닝을 뿌린 양상추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재료 배합비에 따른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관능검사
구분 367 107 521 201 452
4.1 4.0 4.1 3.9 4.0
4.5 4.0 3.9 3.5 3.4
3.9 3.6 3.7 3.0 3.2
종합적인 기호도 4.6 3.9 3.8 3.1 3.2
실시예 4: 제조조건에 따른 샐러드 시즈닝의 관능검사
제조예 2와 비교예 1 및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을 가지고 실시예 3의 방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제조조건에 따른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관능검사
구분 제조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4.1 3.8 3.7
4.5 3.9 4.0
3.9 3.6 3.7
종합적인 기호도 4.6 3.7 3.9
그 결과, 제조예 2의 조건으로 재료 전처리 및 추출조건으로 누에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샐러드 시즈닝 재료들과 잘 어우러져 기호도가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a) 누에에 인산나트륨 완충액과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계피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12 중량부, 간장 분말 5~7 중량부, 참깨 분말 78~82 중량부 및 이산화규소 1.6~2.4 중량부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0.4~0.6 중량부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 0.4~0.6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누에 추출물은 누에 4~6 g에 인산나트륨 완충액 88~96 mL와 프로테아제 6~10 mL를 가하여 34~40℃에서 8~12시간 동안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a) 누에 4~6 g에 인산나트륨 완충액 88~96 mL와 프로테아제 6~10 mL를 가하여 34~40℃에서 8~12시간 동안 반응시킨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누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계피에 물을 0.8~1.2:8~12(w:v) 비율로 첨가하여 90~110℃에서 1~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된장 분말 10~12 중량부, 간장 분말 5~7 중량부, 참깨 분말 78~82 중량부 및 이산화규소 1.6~2.4 중량부와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누에 추출물 0.4~0.6 중량부 및 상기 (b)단계의 제조한 계피 추출물 0.4~0.6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의 제조방법.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분말 샐러드 시즈닝.
KR1020170086433A 2017-07-07 2017-07-07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 KR101906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33A KR101906062B1 (ko) 2017-07-07 2017-07-07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33A KR101906062B1 (ko) 2017-07-07 2017-07-07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062B1 true KR101906062B1 (ko) 2018-10-08

Family

ID=6386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33A KR101906062B1 (ko) 2017-07-07 2017-07-07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0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940B1 (ko) * 2012-10-17 2014-03-12 이성권 생리활성물질의 양이 증가된 누에고치 발효·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얻어진 가수분해물 및 이러한 가수분해물의 항염 활성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940B1 (ko) * 2012-10-17 2014-03-12 이성권 생리활성물질의 양이 증가된 누에고치 발효·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얻어진 가수분해물 및 이러한 가수분해물의 항염 활성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sai et al.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of Agaricus blazei, Agrocybe cylindracea and Boletus edulis
KR100965722B1 (ko) 버섯 배양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1338527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식품의 생체 아민 저감화
KR20190033397A (ko) 병풀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111093A (ko) 장생홍도라지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장생홍도라지
KR101569495B1 (ko) 꼬막을 이용한 조미료와 이의 제조방법
KR20120071932A (ko)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이 증진된 산야초 유산발효액
KR101906062B1 (ko) 누에와 계피를 함유하는 된장분말 샐러드 시즈닝
KR101166754B1 (ko) 발효 화분 분말을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청국장 분말의 제조 방법
US20190029280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mino acids
KR101329412B1 (ko) 버섯을 이용한 김치속 양념 조미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김치속 양념 조미액
KR101713868B1 (ko) 안전성이 향상되고 발효시간이 단축된 어간장 및 그 제조 방법
KR100580334B1 (ko) 저온효소추출에 의한 표고버섯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풍미와 저장성이 향상된 표고버섯 식품조성물
KR101755027B1 (ko) 고감마아미노부티르산 함유 전통된장의 제조방법
KR20140128056A (ko) 무독화 발효 옻을 이용한 천연 발효식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천연 발효식초
KR101338526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식품의 생체 아민 저감화
Liang et al.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of solid-state fermented adlay and rice by Phellinus linteus
KR100369218B1 (ko) 복합발효특성을 이용한 속성 전통된장의 제조방법
KR20170052510A (ko)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의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14055B1 (ko) 헛개나무를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20120000382A (ko) 죽력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041019B1 (ko) 된장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20120074267A (ko) 고로쇠 수액를 이용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981952B1 (ko) 발효 오매 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오매 된장
KR102088213B1 (ko) 해삼을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